생활속 위험관리 가정의 가스 안전 가정의 전기 안전.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전기 안전 연구책임자 | 박종석 ( 경북대학교 ) 공동연구원 | 노태희 ( 서울대학교 ) 한재영 ( 충북대학교 ) 강석진 ( 전주교육대학교 ) 서인호 ( 신림고등학교 ) 고숙영 ( 한강전자공예고등학교 ) 이성미 ( 시곡중학교 )
Advertisements

그린에너지설비과 용접의 기초 및 방법 한국폴리텍 1 대학 서울정수 캠퍼스. 그린에너지설비과.
1)RACK 2)UPS 3)P D U 장치 4)Server Group 5)KVM Switch 7)UPS 를 위한 HUB 6) RACK Monitor.
타워크레인 사고사례 및 안전대책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33 경 2 명이 사망하고, 1 명이 경상.
문산고등학교 학교에서의 인터넷 이용 수칙 사이버 예절, 건강한 디지털 세상의 시작입니다
안전펜스 제품설명 제품설명 제품설명 안전펜스는 위험지역, 구동설비시설 주위의 접근금지 및 출입통제를 목적으로
감전재해사례 및 사고예방대책.
Model : CHEVI-SPARK PAPER VERSION 1.0
MW208UW.CKOR LG 전자레인지 MW208UW 모델명 사진 기본 사양 용량 20ℓ 출하가 119,000원 색상
03 전자 접촉기 제어 학습목표 ▶ 전자 접촉기의 동작 원리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자바실험실 이동준 우리 곁으로 다가온 사물 컴퓨팅 자바실험실 이동준.
정전유도 커패시턴스와 콘덴서 콘덴서의 접속 정전 에너지 정전기의 흡인력
알터네이터 주요 기능 구성 부품. 알터네이터 주요 기능 구성 부품 알터네이터 점검 판정 기준표 구분 점검 항목 소요 장비 조건 판정 기준 판정 비교 엔진 2,500rpm 유지 충전불량 전류(A) 전류계 전압계 엔진 2,500rpm 유지 상태에서 하기와 같이 FULL.
KN A (Rev.1.0) BIXOLON MOBILE PRINTER
같이 생각해 보세요! 어떤 일이 생겼나요? 건이는 왜 사고를 당하게 되었나요? 전기 사고에는 어떤 위험성이 있나요?
회원가입을 클릭하시면 학회홈페이지 회원가입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회원가입 클릭.
“DC POWER SUPPLY의 소개”.
IV. 제조 기술과 자동화.
회원가입 클릭.
임피던스 측정 B실험실 일반물리실험 (General Physics Experiment).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 수진이에게 무슨 말을 해줄 수 있을까요? 자전거 사고를 경험한 적이 있나요?
안전교육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
Ⅰ. 전기와 자기 전압.
5-9. 전기 에너지가 편리한 이유는?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반 : 4 번호 : 1 성명 : 권채윤 건설 시공 과정.
먼저 본사의 잘못으로 귀사에 피해를 드린 부분에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전합니다.
노인안전교육 2017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SAMBO since1996.
비행기의 발달과정.
또 한 번의 인재(人災)! 지하철 공사장 사고 직업안전.
1 전기와 전기 회로(03) 전기 회로의 이해 금성출판사.
BI MATRIX 기술 문서 5.0 기술지원 프로세스.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제품 문제시 해결방안 설치 배관도 YSS-511 DISCAL 증 상 원 인 조치 사항 배 출 이 되지 않는다 이물질에 의해
1-3. 가전기기의 이용과 점검(120p) *가전 기기는 날이 갈수로 종류가 다양해지고 기능이 복잡 -합리적으로 선택하고 안전하게 사용 가능한 능력을 숙지하고 -유사시 간단한 점검능력 숙지 1)가전기기의 선택 *가전기기-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 전자기기.
FIRENZE 사용설명서 Tel
교류 회로 AC circuit 1855 년 Duchenne 교류 전류가 직류 전류보다 근육을 자극하는데 효과적
프로젝트 중간발표 7조(All is well) : 최성운 노환주 송하룡 정지현.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체크포인트 안전과 사고의 일반적인 지식을 통해 안전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마음과 몸이 편안한 상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 안전과 생활 | 사고 예방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사무직 일반 안전교육 시설안전의 기술.
갤럭시 노트7 발화원인 예측 Jason, Min.
.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 네이버 “철골난간대” 검색 철골공사 안전대부착설비의 문제점 & 네이버 “철골난간대” 검색.
Slide wire형 Wheatstone Bridge에 의한 저항 측정
물의 전기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서비스 작업 안전 수칙 윌로펌프㈜ 서비스팀 1.일반 안전 수칙 2.차량 안전 수칙 3.전기 안전 수칙 4.기타 안전 수칙
피 난 안 내 도 화재가 발생하면 소화기 사용방법 ① ‘불이야’라고 크게 외치세요. ② 화재경보 비상벨을 누르세요.
나를 지키고, 침착하게 대처하려면, 반드시 익혀야 하는
3. 가전 기기의 선택과 관리(194P). 날이 갈수록 종류, 성능 및 기능이 다양함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분별증류 GROUP12 조만기 양나윤 김세인.
원예 대표 브랜드 심폴 야생화, 인터넷 포장 방법 원예 대표 브랜드 심폴
불조심.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지진ㆍ 지진해일 대처요령 지진발생시 기본행동요령 집안에 있을 때 빌딩 안에 있을 때 백화점,극장,지하,운동장에 있을 때
이산화탄소 발생실혐 관찰항목 이산화탄소의 색깔 이산화탄소의 냄새 촛불의 변화 석회수의 변화 ?
5-8. 전기 제품에 열이 발생하는 이유는?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회로 전하 “펌핑”; 일, 에너지, 그리고 기전력 1. 기전력(electro-motive force: emf)과 기전력장치
소화용수설비 김 종 희
電氣,設備 安全敎育 전기설비안전 建設安全講師 : 丁 淳 南.
비열 학습 목표 비열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2. 비열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을 계산할 수 있다.
교류 회로 AC circuit 1855 년 Duchenne 교류 전류가 직류 전류보다 근육을 자극하는데 효과적
전기와 안전.
소화설비 및 경보설비 느티나무 요양원.
제동 장치 주행 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낮추거나 자동차를 정지시키는 장치.
안전의 이해.
Presentation transcript:

생활속 위험관리 가정의 가스 안전 가정의 전기 안전

가정의 가스 안전 가스의 종류 안전한 가스 사용방법 가정 내 가스용품 안전사용 수칙 가스누설 시 대처 요령

가스의 종류 LNG LPG (연료가스 : LNG, LPG) 가벼워 가스가 새면 천정 쪽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공급 받는 가스입니다. 프로판과 부탄이 주성분으로서 공기보다 무거워 가스가 바닥쪽에 고이게 됩니다. LPG ● 도시가스란 LPG, LNG 여부화 관계없이 배관을 통해 공급 받는 모든 가스를 통틀어 일컫는 말입니다. 사용되는 가스는 지역에 따라 다릅니다. 도시가스

안전한 가스 사용방법 ▣ 사용 전 환기 가스불을 켜기 전 가스냄새가 나지 않는지 살펴보고 창문을 ▣ 사용중 점화확인 ▣ 사용 전 환기 가스불을 켜기 전 가스냄새가 나지 않는지 살펴보고 창문을 열어 가스 연소시 필요한 공기가 실내에 들어 오도록 합니다. ▣ 사용중 점화확인 점화할 때는 확실히 불이 붙었는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불이 붙지 않은 사실을 모르고 콕크를 계속 열어두면 가스가 새어 위험합니다. ▣ 사용후 벨브잠금 점화콕크와 중간밸브를 함께 잠급니다. 장시간 집을 비워둘 때는 용기벨브(LPG)나 매인밸브(도시가스)를 잠궈야 안전합니다. ▣ 평상시 누설점검 호스와 연소기 등의 이음새 부분과 호스에서 가스가 새지 않는지 비눗물이나 점검액 등으로 수시로 점검해야 합니다. 비눗방울이 생기면 가스가 새고 있는 것입니다.

가정 내 가스용품 안전사용 수칙 ▣ 가스렌지 연소가 불구멍이 막히면 붉은 불꽃이 일거나 불꽃이 길어져 위험 합니다. ▣ 가스렌지 연소가 불구멍이 막히면 붉은 불꽃이 일거나 불꽃이 길어져 위험 합니다. 사용후 버너 헤드를 들어내어 솔로 문질러 깨끗이 청소해 주십시오. ▣ 가스오븐렌지 조리를 끝낸후 오븐이 식었을 때 문유리 및 내부를 깨끗이 행주로 닦아내 주십시오. 그래야 내부상태를 잘 살필 수 있습니다. ▣ 가스난로 세라믹 버너에 먼지 등이 붙으면 가스가 완전히 타지 못하게 됩니다. 세라믹 버너의 먼지를 솔로 깨끗이 털어내 주십시오.

빗물이나 찬바람이 들어온다고 환기구멍을 비닐 등으로 막으면 위험 ▣ 가스보일러 빗물이나 찬바람이 들어온다고 환기구멍을 비닐 등으로 막으면 위험 하므로 항상 주의해 주십시오. 순간 온수기를 난방용품으로 개조하거나 기름보일러를 가스 보일러로 불법 개조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 휴즈콕크|강관 설치 가정, 요식업소 등은 용기에서 중간밸브까지 고무호스를 강관으로 중간밸브를 휴즈콕크로 교체해야 합니다.

가스 누설시 대처 요령 ▣ 밸브잠금 최대한 빨리 전화콕크, 중간밸브, 용기밸브, 혹은 메인밸브를 모두 ▣ 자연환기 ▣ 밸브잠금 최대한 빨리 전화콕크, 중간밸브, 용기밸브, 혹은 메인밸브를 모두 잠궈 주십시오. ▣ 자연환기 창, 출입문 등을 모두 열어 자연 환기를 하면서 비, 방석, 부채 등 가스를 쓸어내 주십시오. ▣ 화기를 멀리 환기팬을 돌린다든지, 전기코드를 뺀다든지, 선풍기를 사용하면 스파크에 의해 가스가 폭발하므로 절대 전기용품에 손을 대지 않습니다. ▣ 가스공급소에 연락 가스를 공급받고 있는 판매소나 도시가스 관리 대행업소에 연락점검을 받아본 다음 사용합니다.

가정의 전기 안전 전기사용에 관한 기초 지식 가정 내 전기설비시설의 종류와 올바른 사용방법 전기사고와 예방 정전 시 대처요령

전기사용에 관한 기초지식 ◈ 습기가 있는 곳은 위험이 있습니다. ◈ 습기가 있는 곳은 위험이 있습니다. 주방, 목욕탕, 세탁실 등 습기와 물기가 많은 곳에서 전기기기를 사용하거나 손과 발에 물이 묻은 상태에서 플러그를 빼거나 꽂을 때 습기로 인한 감전 사고의 위험이 높으므로 전기기기를 접지하여 사용하고 손과 발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전기기구를 사용하여 주십시오. ◈ 용량을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화재위험이 있습니다. 옥내 전기기기 사용시 코드나 배선기구의 용량을 초과해 문어발식으로 사용하는 경우 차단기(개폐기) 또는 전기기기에 열을 발생시켜 전기 화재의 원인이 되므로 용량과 규격에 맞게 사용하여 주십시오.

누전차단기는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거나 전기기기가 고장나서 누전이 ◈ 누전차단기는 월1회 작동 시험합시다. 누전차단기는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거나 전기기기가 고장나서 누전이 발생하였을 때 전기회로를 자동적으로 끊어주는 장치로 전기재해 예방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장치입니다. 누전 차단기의 정상 작동여부를 한달에 한번씩 확인하여 재해를 사전에 예방하도록 해 주십시오. ◈ 노후된 전기시설은 합선과 누전 위험이 있습니다. 피복이 벗겨졌거나 갈라진 전선의 방치, 불량 전기시설의 과다한 사용, 불량 퓨즈나 파손된 전기스위치, 콘센트 등은 합선이나 누전의 원인이 되어 전기화재나 감전의 우려가 매우 높으므로 노후되고 파손된 전기시설 은 반드시 교체하도록 해주십시오. ◈ 전기설비의 개보수는 전문 공사업체에 의뢰합시다. 일부 전기사용자는 공사비가 싸다는 이유로 전문 공사업체가 아닌 무자격자 에게 전기설비의 개보수를 의뢰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필요없는 부분을 고 치거나 잘못 고쳐 더욱 위험한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므로 전기설비의 개보는 반드시 전문 공사업체에 의뢰하여 주십시오.

가정 내 전기 설비 시설의 종류와 올바른 사용 방법 ◈ 인 압 선 인입선이란 전주에서 주택으로 들어오는 첫번째 전선으로 이 전선이 들어오는 중간에 연통, TV 안테나, 수목 등 장애물에 접촉되어 있으면 마찰로 인해 껍질이 벗겨지면서 누전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비오는 날 이 접촉 부위에는 강한 전기가 흘러 감전이 될 우려가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 분 전 반 분전반은 전력량계와 누전차단기, 개폐기가 함께 달려있는 전기공급 기준장치로 지상 1.8m 정도의 높이에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분전반 앞에는 물건을 쌓아두거나 철사, 철파이프 등이 접촉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누전차단기는 미세한 누전만 있어도 0.03초내에 전기를 자동 ◈ 누전차단기 (ELB) 누전차단기는 미세한 누전만 있어도 0.03초내에 전기를 자동 차단하는 고감도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안전장치로 220V 사용시는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며 110V를 사용하는 곳도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누전 차단기는 한달에 한번씩 고장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이상발견시 고장인지, 누전이 있는지 전문기관에 점검을 요청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전기사고와 예방 ◈ 누 전 화 재 ◆ 누전이란? 옥내배선이나 전기기계기구의 전선 피복이 손상되어 충전된 (전기가 통하는) ◈ 누 전 화 재 ◆ 누전이란? 옥내배선이나 전기기계기구의 전선 피복이 손상되어 충전된 (전기가 통하는) 부분이 건물의 철골(철근)이나 전기기계, 기구 외함 등의 금속재료를 통해 전류 가 땅으로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 누 전 화 재 전선의 충전부와 금속체의 접촉부분에서 열이 발생하여 주위의 인화 물질 등에 발화되어 화재가 발생되는 현상입니다.

먼저 옥내의 모든 전기 스위치를 끄고 가전제품 기타, 전기기계 기구의 플러그를 ◆ 누전여부를 알 수 있는 방법 먼저 옥내의 모든 전기 스위치를 끄고 가전제품 기타, 전기기계 기구의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빼놓은 다음 배전반의 전력량계(계량기)가 작동하면 옥내배전선에 이상이 있다는 증거입니다. ◆ 누전 예방대책 누전차단기를 반드시 설치해야 하며 설치된 누전차단기는 한달에 한번 정도 시험버튼을 눌러 정상 작동여부를 확인하고 불량시 즉시 교체해야 합니다.

옥내배선이나 배선기국의 용량을 무시한 전기기기의 과다 사용시 과전류로 인한 ◈ 합 선 화 재 ◆ 합선이란? 옥내배선이나 배선기국의 용량을 무시한 전기기기의 과다 사용시 과전류로 인한 열의 발생으로 전선피복이 녹아 두 전선이 사용중 맞붙은 상태를 말합니다. ◆ 합 선 화 재 전기의 양극(+)과 음극(-)으로 된 두 전선의 피복이 열에 의한 소손으로 합선되면서 발생되는 스파크로 인하여 주위의 인화물질에 착화되어 화재가 발생하게 됩니다. ◆ 합선 예방대책 용량이 큰 전기기기의 동시 사용과 한 개의 콘센트에 문어발식 배선으로 전기를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과전류 발생시 전기를 끊는(차단) 역할을 하는 정격 용량의 퓨즈 또는 차단기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누전이 되어 전기가 흐르는 물체에 사람의 몸이 닿을 때 전류가 인체를 통하여 ◈ 감 전 사 고 ◆ 감전이란? 누전이 되어 전기가 흐르는 물체에 사람의 몸이 닿을 때 전류가 인체를 통하여 땅으로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 감전에 의한 사고 물 묻은 손으로 배선기구(스위치, 콘센트, 플러그 등)를 사용할 때 찌릿찌릿하여 깜짝 놀라는 경우가 이에 속하며, 전류가 인체를 통과하는 정도 (전류크기와 통과시간)에 따라 충격으로 화상을 입거나 사망하게 됩니다. ◆ 감전예방대책 전기기계 기구 외함에는 접지(누전되는 전류가 땅속으로 흘러가게 하는 전선 접속장치)시설을 해야 하며 땅속에 동봉이나 동판을 묻고 전선을 연결한 것을 물기나 습기가 있는 곳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기 외함에 접속하여 누전 등에 의한 고장전류를 땅속으로 흐르도록 합니다. 고층아파트 등 접지시설이 곤란한 장소에서는 접지시설 대상물에 연결된 전로에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면 접지시설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정전 시 대처요령 ▶ 먼저 밖을 내다 봅니다. ▶ 우리집만 정전일때 ▶ 주위 전체가 모두 정전일 때 ▶ 먼저 밖을 내다 봅니다. ▶ 우리집만 정전일때 ◎ 사용중인 전기코드를 뽑고 ◎ 배/분전함(누전차단기나 개폐기기를 한 곳에 설치해 놓은 함 → 주로 현관에 설치) ▶ 주위 전체가 모두 정전일 때 ◎ 사용중인 정기코드를 뽑고 잠시 기다려봅니다. ◎ 기다려도 전기가 들어오지 않으면 한전에(국번없이123)신고합니다. ▶ 개폐기가 설치 된 경우 ◎ 퓨즈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 누전 차단기가 설치된 경우 ◎ 손잡이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 손잡이가 이래(OFF)로 내려와 있는 경우 ◎ 손잡이를 위(ON)로 올려봅니다. ▶ 손잡이가 위(ON)로 올라가 있느 경우 ◎ 전선과 접속되는 나사를 조여주고 ◎ 손잡이를 아래(OFF)로 내리고 위(ON)로 올리는 동작을 반복해봅니다 ◎ 개폐기 손잡이를 아래(OFF)로 내려 전기를 차단한 다음 ◎ 퓨즈커버를 열고 퓨즈 상태를 확인합니다. ◎ 퓨즈가 끊어져 있으면 교체하신 후 계폐기 손잡이를 위(ON)로 올리면 됩니다. ◎ 이 때 합선일 경우 퓨즈가 또 끊어 집니다. 옥내 전기 설비는 부적합 상태로 사용이 불가 하오니 가까운 전기 공사업 면허업체에 개보수 공사를 의뢰하셔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