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류생물학 제 2 장(02) Basidiomycota(담자균문)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Fungi Yeast and Warm Fuzzies 8. 균류의 특징 Ecologically important decomposers( 분해자 ) Break down complex organic molecules into simple molecules that can be.
Advertisements

II. 연구 재료 ■ 생식세포의 수정 ■ 생식세포의 수정 1. 대부분의 세포는 세포막을 가지고 있고 세포막 안에 세포질이 있다. 2. 세균과 같은 박테리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세포의 핵은 핵막으로 둘러 쌓여져 있으며 그 안에는 유전물질인 DNA 와 염색체가 있다. 3. 식물세포는.
Ⅰ. 우주의 기원과 진화 3. 원자의 형성 원자의 구성 - 원자핵 (+) 와 전자 (-) - 전기적 중성 - 원소의 종류마다 원자핵의 질량과 전자의 개수가 다름.
1. 도형의 연결 상태 2. 꼭지점과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 Ⅷ. 도형의 관찰 도형의 연결상태 연결상태가 같은 도형 단일폐곡선의 성질 연결상태가 같은 입체도형 뫼비우스의 띠.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 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제 4 회 스터디그룹 지원 프로그램 스터디명 : Florigen 원예학과 대학원 권종현.
미생물의 생물학적 특징 1. 미생물의 세계 2. 미생물의 분류 2009 년 2 학기 생활속의 미생물 -2 주차.
법질서 UCC 콘테스트 김민숙, 김지혜, 방주진, 최은선.
4주차 기생성과 병의 전진 기생성과 병의 진전.
The Irish Potato famine and the Brith of Plant Pathology
1. 균류의 구조와 성장 * 균류(fungi) = 곰팡이(Mold) + 버섯(mushroom) + 효모(Yeast)--함께 분류 - 최초 연구는 버섯으로부터 시작 : 균류학, 균학(mycology) 1) 곰팡이 : 균사상의 진핵미생물 – 주로 포자에 의해 번식 2) 효모.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Ch.2. 토양(Soil): 여러 권역이 공존 상호 작용하는 곳 (다른 권역 간 계면의 존재)
(Prevention and Control of Fungal Growth)
흑색썩음균핵병의 전파 : 농기구 (트렉터, 호미, 삽, 수확용 기구 등)
미생물의 종류.
식품미생물학 제 7장.
진균 Fungi of Medical Importance
성적관리 출석: 10% 과제보고서 및 퀴즈 :30% (강의계획 서참조) 중간고사:30% 기말고사:30%
항생제.
제 6 장 홍조류(홍조식물문) 진정홍조아강(Florideophycidae) 198
5-2. 오존층의 역할과 파괴 오존층의 형성 생물의 출현  자유 산소 집적  오 존층 형성 자유 산소의 역할
제 14 장 식물병원균으로서의 균류.
LMO 등급 분류 - 1) 미생물 또는 유래 유전물질
바이러스 (Virus) 진균 (Fungi)
체 세 포 분 열 배 수 경 중3 과학.
말의 힘 풍영 초 등 학 교 교사 오은진.
식물은 어떻게 자손을 남길까(1) <생각 열기> 사과, 배, 복숭아 등의 과수나무를 재배하거나
진균의 특성과 구조
생각열기 – 흰 장미꽃을 파란 장미꽃으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제1장 식품미생물학의 발전 역사와 문화 1조: 정미현,정선화,박재현.
진균 (FUngi).
제 16 장 사람에 기생하는 균류.
우리나라의 외래종 확산과 과제: 다 없애는 것이 좋은가?
고등학교 생물 학습자료 이 자료는 고등학교 ‘생물’ 의 “생명의 연속성” 단원에서 세포 분열에 관한 수업을 위한 것입니다.
Ⅴ. 지각의 물질과 변화 5.1 지각을 이루는 물질.
4. 광합성 뿌리에서의 물과 무기 양분 흡수.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제7장 감수분열 어떤 벌들은 수정되지 않은 알에서 발생한다..
제7장 감수분열 어떤 벌들은 수정되지 않은 알에서 발생한다..
Teaming pms.
4.4-3 대기 대순환 학습목표 1. 대기 대순환의 원인과 순환세포를 설명할 수 있다.
치과와 미생물.
제20강 유도전압과 인덕턴스 20.1 유도 기전력과 자기 선속 • 유도 기전력
버섯을 이용한 새로운 건강기능식품 개발 김선아 임금옥.
3-5. 태양계와 행성(2).
해부학자.
곰팡이 실험 조:신발끈 조원 : 김예은, 김민정, 이유선.
24장 균류.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백신의 형태 백신이란 ; 용어는 가축 질병의 원인이 되는 한 종류 또는 다수의 특이한 항원체나 톡신을 적당한 방법으로 배양 또는 처리하여 만든 제품을 말하며 어떤 종류의 백신은 경구적으로, 어떤 종류의 백신은 비경구적으로 적용된다.  톡신은 어떤 미생물이 생산하는 물질.
2015년 2학년 1반.
물의 전기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Copyright Prof. Byeong June MIN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동아리: Bio Holic 조원: 추헌오,박재형,정재엽,김제권
DNA의 구조와 역할 (1) DNA : 이중 나선 구조로 수많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1. 식품미생물의 역사와 발전 미생물의 정의 1.특징;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생물
버섯종균 이야기 버섯의 종류를 알아봅니다. 느타리버섯을 직접 재배 하면서 자라나는 과정을 탐구하고 수확해 봅니다.
가천대학교 생명과학과 생물학 및 실험 학기 생물학 및 실험 1 Exp 10. DNA의 구조.
상관계수.
영구적 염모제의 원리 학번 : 이름 : 윤다현
p 감수 분열로 자손 남기기 학습 주제 [개구리 동영상] [매미 동영상]
생물막 (Biofilm).
TrustNet 전자 협조전 사용설명서 목 차 작성,수정,삭제 결재함 처리현황 발송대장,접수대장
CHAPTER 1 미생물과 미생물학.
스커트 원형 제도.
세포는 어떻게 분열할까?(2) 양파 뿌리의 체세포 분열 관찰 순서 [ 해리 ] [ 염색 ] [ 고정 ] 학습 주제
생명의 청사진 분자유전체의학 김 경 원.
Presentation transcript:

균류생물학 제 2 장(02) Basidiomycota(담자균문) 강사 과목

담자균문(Basidiomycota) 담자균문에 속하는 균류는 약 3만여종이 알려져 있다. 주로 버섯류가 여기에 속하며 담자균효모를 포함해서 식물병원균과 일부 인체 병원균도 포함된다. 담자기(basidium)를 형성하고 여기에서 감수분열이 일어나고 담자포자(basidiospore)가 형성된다. 균사에는 유연공격벽(dolipore septum)을 가지고 있다. 세포벽은 전형적으로 카이틴과 글루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효모의 경우에는 카이틴과 만난으로 구성되어있다. 생활사 대부분이 2개의 서로 다른 교배형의 핵이 존재하는 이핵체(dikaryon) 상태이다. 1. 녹병균강(Urediniomycetes) : 많은 작물과 야생식물에 중요한 균류이다. Rust fungi(녹병균) 포함 2. 깜부기병균강(Ustilagomycetes) : smut fungi 3. 담자균강(Hymenomycetes) : 대부부의 버섯류

Division Basidiomycota Class Urediniomycetes : Order Uredinales(녹병균목) :양치식물, 나자식물 및 피자식물에 기생해서 녹병을 일으키는 녹병균(rust)류. 강한 숙주특이성을 갖는다. Class Ustilagomycetes : Order Ustilaginales(깜부기균 목) : 깜부기병균류(smut fungi) 와 담자균 효모류를 포함한다. Class Basidiomycetes : 목이버섯 목(Auriculariales) 흰목이 목(Tremellales), 떡병균 목(Exobasidiales) 붉은목이 목(Decryomycetales) 민주름버섯 목(Aphyllophorales) 주름버섯 목(Agaricales) 알버섯 목(Hymenogastrales) 어리알버섯 목(Sclerodermatales) 찻잔버섯 목(Nidulariales) 말불버섯 목(Lycoperdales), 말뚝버섯 목(Phallales)

그림 2.18 버섯의 일반적인 생활사

그림 2.19 재먹물버섯(Coprinus cinereus)의 담자기 모습(주사전자현미경 사진).

그림 2.20 이핵체를 유지하는 데 있어서 clamp connection(꺽쇠연결체) 의 역할.

생태 및 중요성 담자균류는 매우 다양하며 버섯류가 대부분 담자균류에 속한다. 일부 담자균 효모 중에는 노쇄한 잎의 표면에서 자라는 Sporobolomyces roeus와 같은 흔히 발견되는 균도 있고 일부는 인체에 생명을 위협하는 병원균도 포함된다. Blastomyces dermatitidis, Cryptococcus neoformans, Histoplasma capsulatum 등을 들 수 있다. 식물병원균으로서 매우 중요한 몇몇 그룹도 담자균문에 속한다. 녹병균류(rust fungi)– 예로 Puccinia graminis, 깜부기병균류(smut fungi) 식용으로 재배되는 버섯류 : 양송이(Agaricus bisporus), 풀버섯( Volvariella volvacea), 표고버섯(Lentinula edodes) 등

담자균류의 다양한 자실체 그림 2.21 --- 2.34에 담자균류의 자실체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준다.

그림 2.21 찻잔버섯류(Cyathus spp.)

그림 2.22 자작나무 아래의 낙엽층에서 자라는 방귀버섯류 (Geastrum spp.)의 모습

그림 2.23 말불버섯(Lycoperdon spp.) (a) 미성숙시기(흰색), (b) 성숙시기(갈색)

그림 2.24 목재부후균 (a) 말굽버섯(Fomes fomentarius), 자작나무버섯(Piptoporus betulinus)

그림 2.25 (a) 흑덕다리벌집버섯(Polyporus squamosus), (b) 해면버섯(Phaeolus schweinitzii)

그림 2.26 (a) 자작나무와 근균관계를 이루며 자라는 Boletus scaber의 담자과, (b) 담자포자가 주름이 아닌 구멍에서 형성됨(구멍장이버섯)

그림 2.27 젤리같은 외형의 목이류 (a) 목이버섯(Auricularia auricula), (b) 죽은 나뭇가지에서 부생체로 자라는 황금목이(Tremella mesenterica),

그림 2.28 (a) 싸리아교풀버섯(Calocera viscosa) (b) 큰붉은젖버섯(Lactarius torminosus)

그림 2.29 (a,b) 구멍장이버섯의 일종인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

그림 2.30 식용 주름버섯의 예 : (a)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b) 꾀꼬리버섯(Cantharellus cibarius)

그림 2.31 먹물버섯(Coprinus spp.) (a) 먹물버섯(Coprinus comatus) (c) 눈물버섯(Psathyrella)

그림 2.32 광대버섯(Amanita muscaria)

유사분열포자류(Mitosporic fungi) 유성세대가 없거나 아직 밝혀지지 않은 자낭성 균류로서 불완전균류(Deuteromycota 또는 Fungi imperfecti)로 불리던 균류이다. 아주 일반적이고 중요한 곰팡이들의 일부는 오직 무성세대만 알려져 있다. Alternaria, Aspergillus, Cladosporium, Humicola, Penicillium, Phialophora 등을 들 수 있다.

2.33

Aspergillus flavus Aspergillus flavus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niger

Fusarium avenaceum

Penicillium camemberti

Penicillium chrysogenum

Trichoderma harzianum

Aureobasidium pullulans

Alternaria alternata

유사균류(Fungus-like organisms)

2.34

2.35

2.36

2.37

2.38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