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장 사회복지 실천 모델의 종류 아낌없이주는 사랑
제 1절 클라이언트 중심모델 1. 개요 -클라이언트중심모델(Client-centered Model)은 인간의 성장과 변화에대해 인본주의적 관점을 가진 모델로서 사회복지사의 공감적 이해,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과 진실성을 바탕으로 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간의 관계를 중시하는 모델이다. -로저스의 인간중심 접근법에 있어 핵심사항은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에게 감정이입적 반응(empathic communication),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unconditional positive regard), 수용(acceptance), 진정한 존중(genuine respect) 등을 표현하면 클라이언트에게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변화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2. 이론적 배경 -클라이언트 중심모델은 정신분석과 행동주의 접근의 이론적 대안으로서 인본주의 이론에 기초하고 있다. 2. 이론적 배경 -클라이언트 중심모델은 정신분석과 행동주의 접근의 이론적 대안으로서 인본주의 이론에 기초하고 있다. - 치료자는 개인 클라이언트가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의 안내자 역할을 한다. -과거의 경험보다는 현재의 경험과주변 여건을 강조하는 점, 자유로운 감정표현을 긍정적으로 보는 점, 개인의 성장과 개인의 의지에 초점을 두는 점, 치료에서 치료자의 권위적 위치 또는 권위적인 태도를 달갑지 않게 생각하는 점 등이 랭크의 관계치료가 로저스의 클라이언트중심 이론에 영향을 준 요소들이다. - 클라이언트중심 이론 인본주의에서는 인간을 본질적으로 성장 지향적이고, 진보적이며, 자신의 기본적 잠재능력을 실현하려는 경향을 가진 존재로 보고 있다. 이것을 자아 실현 경향이라고 부르는데, 로저스는 이것을 “유기체가 자신을 유지하거나 성장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자신의 모든 능력을 개발하려는 선천적인 경향”으로 표현하였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3. 주요개념 1) 실현화 경향 -실현화 경향(actualizing tendency)은 유기체를 유지하거나 고양시키는 방식으로 발달해 가려는 유기체의 생득적인 경향이다. 즉, 인간은 출생 시부터 성취를 향해 생산적으로 성장하도록 운명지어졌다는 것이다. 2) 자아실현 욕구 -자아실현 욕구(self-actualization)는 보다 기본적인 실현화 경향의 하위 체제로 간주된다. -실현화 경향은 기본적인 인간의 동기이며, 자아실현은 이러한 경향의 산물이다. 즉, 자아가 형성됨에 따라 일부 실현화경향이 자아실현으로 표현된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3)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4) 조건부 가치(가치의 조건) 3)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은 클라이언트의 상황, 관점, 진술의 논리등을 따뜻하게 감싸주면서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인간의 긍정적 관심(positive regard)의 욕구는 타고난 것이며, 어떤 사람들은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필요로 하는 사랑과 애정을 얻고 인정받기 위해 인간은 성장과정에서 부모와 중요한 타인들을 기쁘게 하고 자신의 내적 경험은 무시하게 된다. 4) 조건부 가치(가치의 조건) - 조건부 가치(conditions of worth)는 중요한 타인들의 긍정적인 관심을 무조건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조건부로 주어짐에 따라 인간이 어떤 측면에서는 자신이 존중되고 있지만 다른 면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느낄 때 일어난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제 2절 행동주의모델 1. 개요 -행동주의 모델은 인간의 ‘행동의 관찰’을 강조한 pavlov의 고전적 조건화 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 Bandura의 관찰학습 등의 이론적 배경을 갖고 클라이언트의 ‘환경’요인의 중요성을 인정함으로써 사회복지실천에 중요한 지지를 받게 되었다. 2. 이론적 배경 - 행동주의는 인간행동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로서, 대표적인 학자인 스키너(Skinner, 1974)는 행동주의를 인간의 행동을 내면에서 일어나는 정신적 과정에 의존하지 않고 설명하려는 하나의 시도라고 하였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3. 주요개념 1) 강화와 벌 -강화는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긍정적 강화와 부정적 강화가 있다. 3. 주요개념 1) 강화와 벌 -강화는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긍정적 강화와 부정적 강화가 있다. -긍정적 강화는 인간의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강화와 물질적 강화를 혼합하여 쓰면 더 효과적이다. 긍정적 강화는 강화를 제공함으로써 반응행동이 증가하도록 하는 것이고 부정적 강화는 불쾌한 자극을 제거함으로써 반응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처벌은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긍정적 처벌과 부정적 처벌이 있다. 긍정적 처벌은 어떤 행동의 결과 불쾌한 자극이 주어지면 이것이 그 행동을 줄이는 결과가 되는 것이다. 부정적 처벌은 어떤 유쾌한 것을 제거하여, 그 결과 그 행동이 미래에 나타날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2) 소거 - 소거는 어떤 반응을 일으키는 사건이나 문제행동을 증가 또는 유지시켰던 강화물을 제거시킴으로써 행동이 계속되는 것을 막는 방법이다. 즉 조건화된 자극을 반복적으로 제시함으로서 반응을 제거하는 것이다. 3) 체계적 둔감법 - 역조건화를 이용하여 상상된 자극에 대한 이완된 반응을 활용하는 것이다. 상상된 자극에 대한 불안의 제거는 실제 상황에서 실제 자극에까지 일반화되는 것이다. -특별한 불안과 관련된 자극의 목록을 작성하여 클라이언트의 이야기에 근거하여 서열을 정한다음 근육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낮은 수준의 자극에서부터 시작하여 높은 수준의 자극에 이르기 까지를 경험하여 불안 혹은 부정적인 반응을 점차 줄이는 방법이다. 1) 아낌없이주는 사랑
4) 용암법 - 한 행동이 다른 상황에서도 발생할 수 있도록 그 상황을 점차적으로 변경하여 가는 방법을 말한다. 5) 타임 아웃 -문제행동이 어떤 상황으로 인하여 강화를 받게 되는 경우에 문제 행동을 한 사람을 그 상황으로부터 격리 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6) 가족 조작기법 -가족조작기법(family sculpting)은 공간을 이용하여 가족성원들을 다양한 신체적 자세로 배열시킴으로써 가족구조를 시각적으로 묘사하는 기법으로 가족갈등의 형태를 공간속에 행동적인 형태로 드러내는 것이다. -가족간의 갈등 등으로 문제가 있는 가족의 경우 기존의 관계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가족관계를 시각적으로 전시해 보일 수 있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제 3절 위기 개입 모델 1. 개요 -위기개입모델은 자연재해나 갑작스러운 생활상의 사건으로 인해 격심한 고통의 감정을 일시적으로 경험하고 이로 인해 압도당하거나, 발달과정에서 유발되는 스트레스로 인해 일상생활 수행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처할 능력과 자원이 부족하여 문제가 생기는 사람들을 돕기 위한 모델로 위기상황에 즉각적으로 개입하여 전문 원조를 제공하기 위한 모델이다. - 위기개입모델은 긴박한 스트레스 상황 속의 개인이나 가족을 진단하는 준거틀과 임상적 측면에서 예방법으로 일반화할 수 있는 접근방법을 제시해 준다. 1) - 단기간을 통해 집중적인 활동을 하는 것으로 현재상황의 구체적인 사실과 이를 변화시키는 클라이언트 자신의 노력을 강조한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2. 이론적 배경 - 캐플란은 위기상황을 두 가지 형태인 발달적 위기와 상황적 위기로 유형화하였다. 1) ①발달적 위기는 청소년의 정체성 위기, 중년의 위기, 노년의 위기 등 개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위기와 가족의 생애주기에 따른 위기를 포함하며, ② 상황적 위기는 누구에게나 언제라도 일어날 수 있는 신체적 질병, 강간, 자살 등을 포함한다. 2) - 발달적상황적위기에 결합시켜 초기의 심리적 트라우마(trauma)를 발생시킨 인의적, 정서적, 행동적 왜곡을 인정하고 수정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위기개입이라고 하였다. 3) 아낌없이주는 사랑
3. 주요개념 1) 상황적 위기 2) 발달적 위기 3) 실존적 위기 1) 상황적 위기 - 위기상태를 촉발하는 사건을 중심으로 분류한 결과, 심각한 질병, 외상, 사랑하는 사람과의 사별, 자연재해(지진, 해일, 화산폭발 등)와 인재(홍수, 전쟁, 화재, 건물이나 교량붕괴, 교통사고 등), 폭력범죄(강간, 강도 등) 등과 같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외부사건에 의한 위기(situational crisis) 등이 있다. 2) 발달적 위기 - 발달단계에서의 성숙과정(청소년기의 진입, 청소년의 정체성 위기, 중년의 위기, 노년의 위기, 결혼, 자녀의 출생, 노화 등 개인의 생애 주기에 따른 위기와 가족의 생애 주기에 따른 위기를 포함한다)에서 발생하는 생활사건이나 발달단계마다 요구되는 발달과업에 의한 새로운 대처자원이 필요한 성숙위기(maturational crisis등을 들 수 있다. 3) 실존적 위기 -실존적 위기란 목적, 책임, 독립성, 자유, 헌신 등 인간에게 중요한 이슈를 동반하는 내적 갈등이나 불안과 관련된 위기이다. 이는 매슬로(Maslow)의 최상위 욕구인 자기실현 욕구와 관련된 갈등과 위기로 이해할 수도 있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제 4절 과제중심모델 1. 개요 -과제중심모델은 1970년대 초 Chicago대학의 Reid와 Epstein에 의하여 개발된 모델이다. -과제중심모델은 단기치료에서 사용하는 많은 방법, 즉 시간제한, 제한된 목표, 초점화된 면접과 현재에의 집중, 활동과 지시, 신속한 초기사정 그리고 치료의 융통성 등을 이용하고 있다. 1) - 과제중심 모델의 특징은 첫째, 시간 제한적인 단기개입이며 둘째,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가 계약한 구체적인 문제해결에 개입의 초점을 두는 구조화된 접근이고 셋째,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활동은 그가 수행에 동의한 과제를 중심으로 조직되며 넷째, 이론보다는 조사에 근거한 경험적 자료를 중심으로 진행된다는 것이다. 2) -과제 중심모델은 대인간의 문제, 개인 내적인 문제, 개인과 환경간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경감할 수 있는 절충적 실천의 틀(frame-work)로서 여러 이론을 절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였다. 3) 아낌없이주는 사랑
2. 이론적 배경 과제중심 모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과제중심 모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시간 제한적인 단기치료서 주 1~2회 면접을 6~12회 정도로 구성하여 대개 4개월 이내에 사례를 종료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②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가 표면적으로 계약한 구체적 문제의 해결에 초점을 둔다. ③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활동을 수행하기로 동의한 과제를 중심으로 단계별로 각자의 과업이 구체화된 구조화된 접근으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과제를 수행할 수 있게 원조한다. ④ 조사에 근거한 경험적 자료에 의존하여 직접적인 치료기법을 제공해 주기보다 클라이언트 스스로 실행가능한 과제로 대치하도록 하고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인도한다. ⑤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제한된 기간 내에 가능한 건설적으로 자신의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원조하는 것이다. ⑥ 기본적인 가치전제는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의 원리다. ⑦ 개입의 책무성을 강조한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3. 주요개념 1) 일반적 과제 -일반적 과제는 행동의 방향을 제시하는 ‘무엇이 행해져야 하는가?’를 말한다. 일반적 과제는 항상 클라이언트의 목표를 내포한다. -목표는 과제가 행해졌을 때 달성되어야 하는 상태를 말한다. 목표와 과제 모두를 진술하고 이해 하는것이 필수적이다. 2) 조작적 과제 -조작적 과제는 클라이언트가 수행해야 하는 구체적인 활동을 말한다. -조작적 과제는 명확한 활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일종의 하위과제의 형태를 띤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3) 과제의 다른 유형들 ① 유일 과제 : 한 번의 수행을 위해 계획된 것. ② 되풀이 과제 : 반복적인 활동을 위해 계획된 것. ③ 단일 과제 : 여러 단계들이 필요한 하나의 활동. ④ 복잡한 과제 :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 둘 또는 그 이상의 구분된 활동들. ⑤ 개인적 과제 : 한 사람이 수행하는 것 ⑥ 상호적 과제 :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이 수행해야 하는 과제로서 구분되지만 서로 연관되어 있는 과제. ⑦ 공유과제 :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람이 같은 과제를 하는 것. ⑧ 인지적 과제 : 정신적인 활동들을 검토하여 명확히 하기. 아낌없이주는 사랑
제 5절 정신역동적 모델 1. 개요 - 정신역동 모델은 Freud와 그의 동료들의 과업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이론은 행동이 인간 마음속의 움직임과 상호작용으로부터 나온다는 점을 강조하며 정신이 행동을 자주하는 방식과, 정신과 행동이 인간 사회환경에 영향을 주고 받는 방식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정신역동적이라고 불린다. - 현대 정신분석 이론은 행동에 대한 기본적 영향력을 본능적 충동(drives)의 개념으로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어떻게 개인들이 사회화와 상호작용 하는지에 더욱 관심을 갖고 있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2. 이론적 배경 - Freud는 모든 현상이 우연히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선행현상에 의해 결정된다는 심리적 결정론을 주장하였다. - -Freud는 인간의 마음은 id, ego, superego로 이루어 졌다고 하였다. id는 생물학적 충동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id의 모든 과정은 무의식적으로 일어난다. ego는 id의 본능적 욕구와 현실을 중재하는 역할 뿐 아니라 superego와 현실, superego와 id를 중재하는 역할도 한다. superego는 사회의 가치와 도덕을 내면화 하여 현실보다는 이상적인 것을 추구한다. 성숙한 성격은 id, ego, superego가 조화롭고 균형있게 발전 할 때 이루어진다. -인간은 불안을 야기하는 상황에 직접 대처할 수 없을 때 자신을 불안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를 사용한다. 1) 아낌없이주는 사랑
3. 주요개념 1) 정신적 결정론(Psychic determinism) 2) 무의식(unconscious) 3) 전이 인간의 행위는 우연히 발생하기보다는 인간의 사고 과정으로부터 일어난다는 원리이다. 2) 무의식(unconscious) 어떤 생각과 정신 행위는 우리의 지식으로 알 수 없게 숨겨져 있다는 아이디어이다. 1) 3) 전이 정신병리학에서 중요한 추론은 아동이 한 개인에 속해있는 어떤 특성을 다른 사람에게도 귀속시킴으로써 왜곡된 지각을 발달시킬 수 있는데 이것을 전이(transference)라고 불렀다. 4) 저항 치료의 초기과정에서 클라이언트는 억압된 감정이나 생각들을 회상할 수 없거나 혹은 그 표현을 주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것은 클라이언트가 보이는 일종의 저항(resistance)이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제 6절 심리사회적 모델 1. 개요 - 심리 사회 모델은 홀리스(Hollis, 1964)가 집필한 『케이스워크 : 심리사회 치료(Casework : A Psychosocial Therapy)』라는 사회복지실천 방법 교재를 통해 집대성되었다. -심리 사회 모델(psycho-social model)은 사회복지실천 양식이 정형화되고 발달되는 과정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친 여러 가지 요소들이 절충되고 선택되어 이루어진 모델이다. - 심리사회 모델은 정신분석학, 자아심리학, 심리학, 문화인류학 등 여러 분야에 근원을 두고 있으며 대표적인 학자는 Freud, Erikson, Hartmann, Rapport 등이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2. 이론적 배경 - 이 이론은 개인의 심리적인 특성 뿐만아니라 신체생리적인 현상과 사회적인 환경(bio-psycho-social)까지도 모두 고려하는 상황속의 인간(person in situation)이란 관점을 제시하면서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3. 주요개념 1) 환기(Ventilation) 2) 관계형성의 고정 3. 주요개념 1) 환기(Ventilation) 클라이언트가 공격적대감 같은 감정을 표현하지 않고 억압시키고 있으면 그의 사고와 행동을 올바르게 표현하지 못하게 되므로 클라이언트의 감정을 정화(카타르시스)시켜 준다. 2) 관계형성의 고정 클라이언트가 워커를 통해 마치 어머니와 아동 같은 관계를 경험하도록 하여 클라이언트가 과거에 주변 인물과 가지고 있었던 불만족스러웠던 관계를 보상해준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3) 주요전제 ① 모든 개인은 생래적인 가치 또는 존엄성을 갖고 있다고 전제된다. 3) 주요전제 ① 모든 개인은 생래적인 가치 또는 존엄성을 갖고 있다고 전제된다. ② 모든 인간은 성장능력, 학습능력, 적응력 그리고 사회 또는 물리적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긍정적 존재로 간주된다. ③ 개인이 어떻게 기능하는가?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성격체계의 구조나 발달에 관한 프로이트의 관점이 이용된다. ④ 심리체계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것이 아니라 생물학적 체계, 사회적 체계와 끊임없이 상호작용한다고 전제된다. ⑤ 문제 상황을 다룸에 있어 차별성이 강조된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제 7절 인지행동모델 1. 개요 -인지 행동모델은 인간이 생각하고(사고), 판단추리 하며,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인 인지과정의 개념과 함께 행동주의이론과 사회학습이론의 여러 개념들을 통합하여 적용한 이론이다. - -주요 학자로는 벡(Beck), 엘리스(Ellis), 메이크 바움(Meichbaum) 등이 접근에 기여하였다. -인지행동모델에 입각한 치료과정은 문제를 일으키는 잘못된 가정과 사고의 유형을 확인점검하고, 재평가하여 수정하도록 격려하고 원조한다. 이 접근에 포함되는 치료적 하위접근 중에 행동치료, 인지치료, 합리정서치료, 현실치료, 인지행동치료가 있다. - 인지행동 주의 모델들은 기본적인 가정. 첫째, 인지활동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인지활동은 모니터 되고 변경 될 수 있다. 셋째, 바람직한 행동변화는 인지 변화를 통해 영향을 받는다. 대부분 인지행동 모델은 문제에 초점을 둔 시간제한적인 접근으로서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통제하기 위한 대처기제를 학습하는 교육적 접근을 강조한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2. 이론적 배경 - 인지행동 이론에서는 무엇을 어떻게 생각하는가가 정서적 반응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2. 이론적 배경 - 인지행동 이론에서는 무엇을 어떻게 생각하는가가 정서적 반응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인지행동 이론에서 환경적 조건은 개인의 행동을 조성시키고, 개인적 조건은 다시 환경 조건들을 형성한다는 상호결정론적 입장을 취한다. - 인지 행동모델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연구들은 Ellis의 합리적 정서치료 (Rational - Emotive Therapy), Beck의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 Kanfer의 자기규제(self - resulation), Bandura의 자기 효능감(self-efficacy)등이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3. 주요개념 1) Ellis의 합리정서 모델의 주요개념 (1) 기본가정 첫째, 인간은 이성적인 동시에 비이성적이다. 3. 주요개념 1) Ellis의 합리정서 모델의 주요개념 (1) 기본가정 첫째, 인간은 이성적인 동시에 비이성적이다. 둘째, 정서적인 혹은 심리적인 장애, 신경증적 행동은 비합리적이고 비논리적인 사고의 결과이다. 셋째, 비합리적 사고는 생물학적 경향성을 띠고 있으며, 부모와 그 문화에서 특별하게 획득한 비논리적 학습에 기원한다. 넷째, 인간은 언어적 동물이며, 사고는 보통 기호나 언어의 사용을 통해 일어난다. 다섯째, 자기 언어화의 결과로서 계속되는 정서장애 상태는 외부환경이나 사건에 의해서가 아니라 내재화된 문장으로 구체화되는 사건들에 관한 지각과 태도에 의해 결정된다. 여섯째, 부정적이고 자기패배적인 사고와 정서는 비논리적이고 비합리적인 것보다는 논리적, 이성적인 사고를 하도록 사고와 지각을 재구성하는 방법으로 해결해야 할 것이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2) 비합리적 신념 ① 모든 주요 타자들로부터 인정을 받아야 하는 것은 성인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① 모든 주요 타자들로부터 인정을 받아야 하는 것은 성인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② 가치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가능한 모든 면에서 완전히 능력이 있고, 적절하며, 성취적이어야만 한다. ③ 어떤 사람은 사악하고 나쁘며 이런 사람들은 자신들의 악행에 대해 심하게 비난받고 처벌 받아야 한다. ④ 원하는 대로 상황이 되지 않으면 이는 끔찍하고 파멸적이다. ⑤ 불행은 외부적 요인에 기인하며, 사람들은 자신의 슬픔과 근심을 조절할 능력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 ⑥ 위험하거나 두려운 것에 대해서는 매우 염려해야 하며, 이것이 일어날 가능성을 늘 염두에 두어야 한다. ⑦ 인생의 어려움과 책임을 대면하는 것보다는 회피하는 것이 쉽다. ⑧ 우리는 다른 사람들에게 의존해야 하고, 의존할 수 있는 강한 사람을 필요로 한다. ⑨ 과거는 현재 행동의 전적인 결정요인이며, 과거에 영향을 미친 것은 현재에도 비슷한 영향을 미친다. ⑩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문제에 대해 매우 조심해야 한다. ⑪ 인간 문제에는 항상 옳고 정확하며 완벽한 해결이 있으며 이런 해결책을 찾지 못한다면, 이는 파멸적이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2) Beck의 인지치료 모델의 주요개념 (1) 자동적 사고 (2) 스키마 (3) 양분적 사고 자동적 사고(automatic thinking)란 한 개인이 어떤 상황에 대해 내리는 즉각적이고 자발적인 평가를 의미한다. (2) 스키마 스키마(Schema)란 특정 대상에 대한 이전 경험, 그 대상에 대해 타인이 겪은 경험의 관찰, 그 대상에 대한 타인과의 대화, 개인의 기본적인 신념과 가정, 어떤 사건에 대한 개인의 지각, 반응등을 협성하는 인지구조로 대개이전의 경험에 의해 형성된다. (3) 양분적 사고 양분적사고(all-or-nothing thinking)란 모든 경험을 한 두 개의 범주로만 이해하며 흑백논리로 현실을 파악하거나 흑백논리를 전개하므로써 그 이외의 보다 적절한 평가를 못하는 경우이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4) 과도한 일반화 (5) 임의적 추론 (6) 정서적 추론 과도한 일반화(overgeneralzation)란 한가지 단순한 사건이나 경험을 가지고 부당하게 일반적 법칙을 세우려는 경우이다. 즉 한 두 개의 고립된 사건에 근거해서 일반적인 결론을 내리고 그것에 서로 관계없이 상황에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임의적 추론 임의적 추론(arbitrary inference)은 사실과는 전혀 반대되는 근거를 가지고 결론을 내리는 경우로 어떤 결론을 지지하는 증거가 없거나 그 증거가 결론에 위배되는 데도 그러한 결론을 내리는 것을 말한다. (6) 정서적 추론 정서적 추론(emotional reasoning)은 사람이 정서적 경험에 근거해서 그 자신, 세계 혹은 미래에 관해서 추리를 하는 경우를 말한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7) 선택적 축약 (8) 긍정적 측면의 무시 (9) 완곡한 진술 선택적 축약(selective abstraction)은 다른 중요한 요소들은 무시한 채 사소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그 부분적인 것에 근거해서 전체 경험을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8) 긍정적 측면의 무시 긍정적 측면의 무시(disqualifying the positive)는 개인은 상황의 부정적인 측면들에 초점을 맞추고 긍정적인 측면들을 무시한다. (9) 완곡한 진술 완곡한 진술(“should/must/ought" statements)은 완곡한 표현의 죄의식, 압박감 및 원망을 야기할 잠재력을 갖고 있다. 타인에게 완곡한 표현을 할 때에도 실망과 분노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10) 극대화 및 극소화 극대화 및 극소화(magnification or minimization)는 어떤 사건에 대해 사실을 과장하거나 아니면 축소시키는 것이다. 즉, 어떤 사건이나 개인이 경험한 일을 그 사건이나 경험이 가진 특성의 한 측면만 고려하여 그것이 실제로 가진 중요성과는 무관하게 과소평가하거나 과대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11) 진단적 명명 진단적 명명(labeling) 이란 개인이 자신의 오류나 불완전함에 근거해서 하나의 부정적 정체성을 창조하여 그것이 마치 진실한 자기인양 단정짓는 일과 관련 있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제 8절 문제해결모델 1. 개요 -문제해결 모델은 1950년대 초에 진단주의 모형에서 분리된 것으로 정신역동이론에 기초를 두면서 기능주의 이론을 도입한 것이다. -이 모델은 1957년 시카고 대학교의 펄만(Helen Harris Perlman)에 의해서 처음 소개된 이론으로 클라이언트의 문제 해결 능력과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복지 실천방법이다. 2. 이론적 배경 -문제해결 모델은 교육학자인 듀이(Dewey)의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 펄만(Perlman)은 사회복지실천을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문제를 올바르게 평가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문제를 인식하게 하고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교육과 치료의 중간과정이라고 보았다. -이 모델은 진단주의 학파와 기능주의 학파의 이론을 모두 절충한 통합주의 모델이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3) 주요개념 ●펄만의 문제해결모델 (1) 문제(problem) (2) 사람(person) 3) 주요개념 ●펄만의 문제해결모델 (1) 문제(problem) 문제는 개인의 심리내적인 원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나타나는 사회적 기능 수행상의 문제들로서 과거의 경험에 의해서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2) 사람(person) 사람은 과거의 무의식에 의해 지배를 받는 존재가 아니라 자아의 의지에 따라 항상 변화하고 발전하는 개방된 체계로서 자기에게 주어진 역할과 당면하고 있는 문제에 영향을 받는 존재이다. (3) 기관(place) 기관은 문제 해결에 필요한 자원과 기능을 갖고 있는 공식적인 조직과 사회복지사의 원조가 이루어지는 비공식적인 조직을 모두 포함하며 사회복지실천은 기관의 역할내에서 제공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4) 과정(process) 과정은 문제 해결을 위해 클라이언트의 참여와 협조를 강조하며 상황에 따라 문제를 재 사정하고 수행하는 지속적인 원조과정(on-going helping process)이라고 하였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제 9절 권한부여 모델 1. 개요 -권한부여 모델은 1970년대 이후 사회복지에서 일반체계이론과 생태학 이론을 활용하게 되면서 나타난 일반사회복지실천에서 오랫동안 존재해왔던 강점 중심의 실천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를 문제 중심이 아니라 강점 중심으로 봄으로써 클라이언트를 문제 중심이 아니라 강점 중심으로 봄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잠재력 및 자원을 인정하고 클라이언트가 건강한 삶을 결정할 수 있도록 권한 혹은 힘을 부여하고 하는 것이다 - 1970년대에는 일반체계이론과 생태학이론이 사회복지의 주요 이론틀로서 활용되면서, 생태체계 관점에 근거한 강점(Strength) 지향 혹은 해결중심 접근 (solution-focused approach)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권한부여모델의 개념은 다양한 클라이언트집단과의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개입 및 전략, 중요한 기술, 또는 클라이언트를 돕는 일련의 과정으로 정의되고 있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2. 이론적 배경 - 생태체계 관점은 인간과 물리적, 사회적 환경 사이의 상호 교환을 개념적 기반으로 하는 많은 이론들의 공통된 관점으로 (Germain, 1983., Germain & Gitterman, 1980), 인간행동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통합하고 있으며, 특히 생태학과 일반체계이론의 개념들을 통합하고 있다. - 생태학적 관점에서는 ‘문제’를 환경적 자원의 유무와 관련된 것으로 보기 때문에 부적응적인 행동은 환경 안에서의 체계와 자원 조정을 통하여 변화할 수 있다고 본다. -체계의 관점은 변화에 대해서는 매우 개방적이다. -생태체계 관점에서는 사회체계에 대한 이해는 다양한 체계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개인들과의 관련성을 강조한다. -강점 관점(Strength perspective)은 클라이언트의 강점을 강화시키는 과정이 클라이언트의 역량을 향상시켜 가장 신속하게 클라이언트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전략이라고 본다. -강점 관점이란 클라이언트를 독특한 존재로서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면서 클라이언트의 결점보다는 강점에 초점을 두고 가능한 모든 자원을 활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역량을 실현해 나가도록 돕는 것이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3. 주요개념 1) 권한부여 -권한부여는 전통적인 힘(Power) - ‘통제력 소유 혹은 다른 사람에 대한 영향력’, ‘법적 혹은 행정적 권위, 능력 혹은 권위’, ‘물리적 힘’ - 에 대한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 권한부여는 다른 사람들에 대한 통제력, 권위, 영향력의 소유일 뿐 아니라 스스로의 삶에 대한 통제력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2) 협력과 파트너십 - 권한부여모델에서 클라이언트는 경험과 역량을 가진 원조과정의 파트너이다. -클라이언트의 참여를 중시하고 변화노력의 전 과정에서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을 강조하며 -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간의 상호협력적인 파트너십을 갖게 한다. 아낌없이주는 사랑
3) 역량 (competence) 4) 소비자(Consumer) -역량이란 인간체계의 구성원을 돌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른 체계와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사회적, 물리적 환경의 자원체계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 역량은 개인 특성, 대인상호관계, 사회적, 물리적 환경에서 비롯되는데, 이러한 세 차원이 잘 기능할수록 각 개인의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은 향상된다. 4) 소비자(Consumer) - 권한부여모델은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관계를 협력과 파트너십을 강조한 수평적인 파트너로 보고 클라이언트를 개입의 주체로 보기 때문에 자기결정권을 강조한다. - ‘소비자’라는 용어는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체계의 파트너십 내에서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 보호와 활동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것이다. 아낌없이주는 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