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디젤 사용 실태와 발전 방향 비엔디에너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전라북도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안 전라북도 환경정책과 전라북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Advertisements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수출 ( 이전기업 ), 용역수출 ( 외국인면세점 ) 도 포함하는 광의 개 념 수출 ( 이전기업.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 전기생산을 위해 공장마다 자가발전기를 구축하는 대신 발전소에서 전기를 받아 이용하는 것처럼, 클라우드는 IT·SW자원을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이용하는 방식.
법조분야의 국제화와 전문화 국내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법률서비스 제공 일부 국내 대기업들은 국내 기업들이 아니다 (?) [ 삼성전자, 현대 자동차, LG 전자 등 ]
대 기술혁신과제 2015 년 주요 연구 내용 2015 년도 예산 및 사업 현황 14. 미세조류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 개발 - 미세조류 이용 바이오 수송연료 · 소재 생산기술 개발 4,072 백만원 - 글로벌프론티어사업 (3,450 백만원 중 신규 700.
중국 정치경제 이슈 시진핑시대 분석 년 11 월 : 공산당 제 18 차 전국대표대회 ( 당대회 ) 와 제 18 기 1 중전회 ( 제 18 기 중앙위 원회 제 1 차 전체회의 ) 에서 총서기와 중앙군 사위원회 주석 년 3.
새로운 표준화 이슈 및 동향. ICT 와 기후변화대응전략  과거 100 년간 지구 온도변화 추이 지구온난화.
1. Ⅰ Ⅱ Ⅲ 국부고용창출 농림수산식품 산업의 선진화로 국부와 고용을 창출 자원관리 효율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자원관리 효율화 국격제고미래준비 G20,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격제고와 미래준비 경영혁신 소득증대 체질개선 미래준비 안전식품.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사업 요약서 ㈜티엠바이오 ○ 패건전지 재활용에 대한 관심 증가 ▶ 패건전지를 활용한 다양한 재활용 사업 등장 - 패건전지 활용 벽돌 생산 업체 등 ▶ 패건전지 활용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재활용 기술의 장벽으로 기존 사업의 경우 저수익의 사업 구조를 가짐 ○ ㈜티엠바이오.
5월 3주5월 3주 5월 4주5월 4주 6월 1주6월 1주 국제휘발유가 원 / l 정유사공급가 주유소판매가 1, 원 / l 1, 원 / l 국제휘발유가 국제휘발유가 정유사공급가 1, 관세 / 수입부과금.
5월 3주5월 3주 5월 4주5월 4주 6월 1주6월 1주 국제경유가 원 / l 정유사공급가 주유소판매가 1, 원 / l 1, 원 / l 국제경유가 국제경유가 정유사공급가 1, 관세 / 수입부과금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GB 마스터 사업 설명회 Ⅰ. GB 마스터 제도 변경 취지 년도 하반기 현금영수증 제도 개선 ① 현금영수증 발급 금액 하향 조정 : 현행 5,000 원  3,000 원으로 하향 조정 ② 포상금 제도 도입 : 발급거부 신고 때 건당.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박 화용. 전기자동차 배터리 리스 1. 도입의 필요성 2. 배터리 리스 사업도 3. 리스회사의 개념 4. 가솔린차량과 전기자동차 연료비 비교 5. 새로운 시장, 새로운 일자리 창출 ! >> 목 차.
이 지표는 OECD 국가별로 휘발유 소비자 가격에서 세금이 차지하는 비율을 표시한 것입니다.
2012년 5월 2주 국내 경유 가격구조 [경유] 소비자 판매가격 : 1,856.64원/l (5월6일~5월12일) α
2013년 8월 3주 국내 경유 가격구조 [경유] 소비자 판매가격 : 1,743.6원/l (8월18일~8월24일) α
로컬 푸드에 이어 로컬 에너지 시대로! 중앙집중형 지역자립형 발전소 수명 연장 분산화된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의사소통과 통제향상
세계에너지산업 동향 및 시사점 (기후변화 및 미국정책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절단 발표자료
바이오 연료의 보급전망과 사회적 가치추정 바이오 연료의 보급전망과 사회적 가치추정
II. 감축량 산정.
신기술 세미나 제안서 발표 신원호.
2012 3월 28일 상지대학교 이공대 환경공학과 1조 발표자 강성훈 강성훈 송용범 정우경 박영호.
IPCC 탄소배출계수(CARBON EMISSION FACTOR: CEF)
제4강 바이오메스 (Biomass) 물리,에너지학부 (6월4일, 수).
(사)대전시민환경연구소 기획실장 / 한국유채네트워크 사무처장
3-4. 지열 에너지(geothermal energy)
풍력 에너지.
남∙녀 성별 임금격차 : 2010년 중앙값 기준 Korea 39.0 % 36,757 USD (PPP) Japan 28.7 %
분석 기획 발굴 워크북 (템플릿)
4-6. 광합성 작용(1).
바이오에너지 산업의 동향과 전망 양 승 룡(고려대 교수).
바이오디젤 혼합유의 정성ㆍ정량분석 한국석유품질관리원.
Hydrogen Storage Alloys
5-3. 화석 연료의 이용 세계 에너지 소비량
태양광발전 원리 Solar Followers.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경유 연료 사용의 문제점 출력 저하 소음 발생 엔진 수명 단축 매연 발생 연비 불량 연소 퇴적물 윤활성 불량 노킹 현상 불완전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추진방안
연소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서는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2] 식품안전성 수업목표1. 수업목표2. 수업목표3. GMO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2. 쌀의 생산 및 수급 (1) 우리나라의 쌀 생산 현황 ○ 쌀 생산 및 소비 추이.
Part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생명 기술과 미래의 기술 VI 1 생명 기술의 세계 2 미래 기술과 통합 체험 활동 금성출판사.
지구온난화 보고서.
빅맥지수와 GDP per capita 의 상관도
석유대체연료 현황
바이오디젤 사업계획서 Copyright © by p&a All rights reserved.
제 17 장 재정정책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회사소개 리사.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위험물 제조소 등의 종류 주식회사 한국소방엔지니어링.
FTA - 한미 FTA.
[ 二次電池 , secondary cell battery , rechargeable battery ]
수력에너지.
신 재생 에 너지 방 예 인.
이산화탄소 총 배출량 억 톤 산업용 배출량 가정용 배출량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한국의 물류현황 분석 한국 통운㈜ 김대현.
핵심 교양 신,재생에너지와 자원재활용 화공생명공학과 이관영 교수.
에너지 공학 제 5장 PRESENTATION 에너지 소비량의 CROSS-CHECK CNU
우리나라 매립지 메탄가스 처리방법 9조 강택원 연주상 오명석.
생산 부문의 테마선정 착안사항 구 분 관 리 항 목 관 리 기 준 비 고 원가절감 인건비 인원/인건비
차량의 배기가스에 의한 공해로 엔진의 소음과 출력 저하로 신경이 쓰이십니까? 자!! Bio-Power Long으로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바이오디젤 사용 실태와 발전 방향 비엔디에너지㈜

Contents I. 바이오디젤 개요 III. 국내 바이오디젤 현황 V. 국내 바이오디젤 사업의 발전 방향 최초의 디젤 연료 바이오디젤이란? 바이오디젤 반응 메커니즘 바이오디젤 필요성 바이오디젤 장점 바이오디젤 개선점 II. 세계의 바이오디젤 현황 EU 보급 현황 및 정책 미국 보급 현황 및 정책 기타 국가의 보급 현황 III. 국내 바이오디젤 현황 바이오디젤 보급 현황 바이오디젤 상용화 추진 현황 바이오디젤 보급 정책 V. 국내 바이오디젤 사업의 발전 방향 정부 정책의 일관성 유지 바이오디젤 기술 개발 지원 바이오디젤 보급 인센티브 바이오디젤 원료 공급 정책 BND ENERGY CO., LTD.

바이오디젤의 개요

최초의 디젤연료 1895년 디젤엔진이 Rudolf Diesel이이라는 독일 기술자에 의해 처음 공개 될 때 땅콩기름을 연료로 쓰였다. 대두유, 유채유 등 식물성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연료는 광물성 경유에 비해 채산성과 경제성이 낮아 사용하지 않았다. 최근 고유가 및 지구 온난화 문제가 대두 되면서 대체에너지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BND ENERGY CO., LTD.

바이오디젤이란? 바이오디젤( BD100 ) 바이오디젤 연료유 동·식물성 油脂( 대두유, 유채유, 폐식용유, 우지 등)와 알코올을 반응시켜 만든 지방산메틸에스테르로서 순도가 96.5%이상인 것을 말한다. 바이오디젤 연료유 동·식물성유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연료(바이오디젤) 및 이를 석유 제품과 혼합한 연료 (BD20, BD5) BD 20 : 경유 80% + BD 원액 20% 혼합 BD 5 : 경유 95% + BD 원액 5% 혼합 BND ENERGY CO., LTD.

바이오디젤 반응 메커니즘 + 3ROH CH2OCOR’’’ CH2OCOR’’ CH2OCOR’ CH2OH CH1OH R’’’COOR R’’COOR R’COOR + Triglyceride (oil or fat) Alcohols (usually MeOH) Glycerine Methyl Esters (biodiesel) Catalyst* * NaOH, KOH BND ENERGY CO., LTD.

바이오디젤 필요성 대체에너지로서의 효과 - 에너지 자원의 고갈 문제가 없고, 폐식용유 등의 폐자원(약 20만톤)을 활용 가능 환경적인 효과 석유계 경유에 포함되어있는 발암성 방향족 벤젠계 고분자가 거의 포함되지 않음 자연계에서 28일 경과시 90% 이상 생분해 분자내 다량의 산소를 포함 – 분진, 매연, 일산화탄소 등 각종 공해 물질 급감 기후변화협약의 대응 기후변화협약에 따라 선진국 등 이행국가는 1990년도 수준으로 이산화탄소 감축 의무 바이오디젤 1톤당 2.2톤의 이산화탄소 감축 농가소득 증대 및 농촌경제 향상 - 유채 등 유지 작물 재배를 통해 보리 대체 작물로서 농가 소득 향상 에너지 안보 화석연료 위주의 해외 자원 의존도 감소 폐식용유 등의 폐자원의 에너지화 BND ENERGY CO., LTD.

바이오디젤 장점 에너지 자원의 고갈 문제가 없고, 폐식용유 등의 폐자원을 활용 가능 바이오디젤 사용시 발생된 CO2는 식물의 광합성작용으로 회수 산성비의 주범인 황산화물이 전혀 배출되지 않음 함산소 연료이므로 발암물질인 입자상 물질 및 CO, HC 등 유해배출가스 저감 세탄가가 경유 보다 높아서 압축 착화엔진에 그대로 적용 가능 엔진 개조가 거의 불필요하고 기존의 연료 인프라 활용 경유의 윤활성 저하 대책으로 사용 가능- 경유에 1% 혼합하면 40%향상 생분해도가 높아서 유출시 환경오염이 적다- 3주 이내 90%이상 분해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SHA)은 비가연성 액체로 분류- 차량 사고시 경유에 비해 안전 BND ENERGY CO., LTD.

바이오디젤 개선점 - 유동점 향상제( WAFI 등 )를 투입하여 저온 유동성 향상 기존 경유에 비해 유동점이 높다( Pour Point, CFPP) - 유동점 향상제( WAFI 등 )를 투입하여 저온 유동성 향상 공기중의 산화반응에 의한 산화안정성 낮음 - 산화안정제( TBHQ 등 )를 투입하여 산화안정성 향상 경유보다 NOx 배출량 증가 및 생산 원가가 높다. BND ENERGY CO., LTD.

바이오디젤 함유에 따른 공해물질 저감 효과 출처 : 미국 NREL/TP_580_24772 등 BND ENERGY CO., LTD.

경유대비 바이오디젤 공해 물질 저감 효과 배출 물질 BD100 BD20 미연소탄화수소(THC) -36.7 -7.3 배출  물질 BD100 BD20 미연소탄화수소(THC) -36.7 -7.3 황산화물(SOx) -100 -17.6 질소산화물(NOx) +8.9 +1.8 일산화탄소(CO) -46.2 -9.3 입자상물질(PM) -68.1 -13.6 오존발생잠재도(OFP) -50 -10 발암성방향족 화합물(PAH) -80 -13 질화 발암성방향족 화합물(nPAH) -90 Life Cycle CO2 저감량 -78.45 -15.66 출처 : 미국 NREL/TP_580_24772 등 BND ENERGY CO., LTD.

세계 바이오디젤 현황

EU 바이오디젤 보급 현황 ’03년 5월 EU Directive 2003/30/EC를 발효 ’03년 10월 EN 590 ’05년에 자동차연료의 2% ’10년에 5.75% ’03년 10월 EN 590 BD5를 일반적인 경유로 인정 전유럽을 대상으로 보급 고유가와 지구온난화 대책의 하나로 바이오디젤 사용을 적극 권장 강제 휴경지에도 바이오연료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허용 세제 혜택 및 보조금 지원 최소 혼합비율 의무화 등 ’07년 1월 2020년까지 에너지 사용량 중 바이오디젤을 포함한 재생가능 에너지로 20% 대체 BND ENERGY CO., LTD.

EU 바이오디젤 생산 현황 2005년 6월 현재 BND ENERGY CO., LTD.

EU 바이오디젤 생산 현황 회원국 2003년 2004년 증가율 독일 715,000 1,035,000 44.8% 이탈리아 273,000 320,000 17.2% 체코 74,861 82,698 10.5% 덴마크 41,000 70,000 70.7% 오스트리아 32,000 57,000 78.1% 슬로바키아 15,000   스페인 6,000 13,000 116.7% 영국 9,000 0.0% 리투아니아 5,000 스웨덴 1,000 1,400 40.0% EU25 1,508,861 1,956,098 29.6% * 자료원 : EurObserv'ER-EEB 2005 BND ENERGY CO., LTD.

미국의 바이오디젤 보급 현황 1992년 국립 Biodiesel Board 설립 1992년 제정된 ‘ Energy Policy Act’ 관용차량의 바이오연료 사용 의무화 바이오 연료 차량 개방 등을 규정 1998년 국회 및 EPA에서 BD20을 디젤차량 연료로 승인 ’01년 부시대통령이 바이오디젤유를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천명 ’10년까지 바이오 에너지가 기존화석에너지 수요의 10%를 대체 목표 ’25년에는 바이오디젤이 전체 자동차 연료의 25% 대체를 목표 공공차량( 연방관용차량, 스쿨버스 등)을 중심으로 사용량이 계속 증가 ’07년 1월 부시대통령이 연두 국정연설을 통해 2017년까지 석유 소비량 20% 감축 천명 대체에너지 개발을 통해 석유소비량의 15% 대체 – 나머지 5%는 차량의 연비 개선을 통해 대체 ’07년까지 대체에너지 사용량 350억 갤런으로 상향 조정 - ’11년까지 75억 갤런에서 약 5배 상승 BND ENERGY CO., LTD.

미국의 바이오디젤 생산량 및 생산설비 증가 추세 BND ENERGY CO., LTD.

미국의 바이오디젤 보급 현황 출처 : Biodiesel Standards, 2006.4.5., Biodiesel for Fleet Managers Information Seminar, Leland Tong BND ENERGY CO., LTD.

기타 국가의 바이오디젤 보급 현황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04년도 초부터 바이오디젤에 대한 검토 및 규격화 조사작업 시작 ’05년 4월 교토의정서 목표 달성을 위해 ‘ 신에너지 대책’을 추진 ’10년 1차 에너지 공급량의 3%를 바이오 연료로 대체를 추진 ’ 07년 신연료이용확대기본법의 제정 추진 중국 연간 바이오디젤 생산 능력은 총 4만톤 정도 ’05년 국가 농림 바이오매스 특별 프로젝트에 착수 바이오디젤 연간 생산량을 ’10년 200만톤, 20년에는 1,200만톤 생산 계획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내 4개 주유소에서 BD5, BD10 판매 ’10년 전체 연료의 10%를 바이오 연료로 대체 할 계획 BND ENERGY CO., LTD.

전세계 바이오디젤 추정치 BND ENERGY CO., LTD.

국가별 바이오디젤 보급 지원 현황 구분 연료소비세 (유로/L) 바이오디젤 세제우대(유로/L) 비 고 독일 0.470 비 고 독일 0.470 · 세제우대 : 2009년까지 · ’04.1부터 BD혼합유도 적용 프랑스 0.417 0.330 · 생산할당량 387,500톤/년 이탈리아 0.403 · 생산할당량 300,000톤/년 오스트리아 0.310 · ’05년 부터 도입 영 국 0.682 0.300 · 세금우대가 적어 보급되지 않고 있음. 스페인 0.294 스웨덴 0.368 · ’08년까지 세금우대 EU · ’05년까지 총 에너지의 5%, ’10년까지 12%를 바이오 에너지로 대체 계획 · ’10년까지 액체 바이오 연료(바이오디젤 70~80%, 바이오에탄올 0~30 미국 1센트/L · ’05.1.1부터 시행 캐나다 4센트/L BND ENERGY CO., LTD.

국내 바이오디젤 현황

국내 바이오디젤 현황 ’02년 5월 부터 ’06년 6월까지 4년간 BD20 시범보급 시행(3만KL) 시범사업 종료 후 ’06.7월부터 BD20 대신 국제적으로 널리 보급된 BD5 상용화 BD20은 자가 저장·정비 시설, 자가 주유용 취급소 등을 갖춘 사업장에 대하여 예외적으로 사용 허용 ’06년 7월부터 시판 중인 경유는 BD5 (경유99.5%+ BD0.5%) 세계에서 유일하게 BD5를 모든 정유사를 통해 주유소에 공급 산업자원부와 정유사간 자발적 협약에 의해 ’08년 6월까지 2년간 바이오디젤 년 9만KL 이상(BD0.5) 보급 추진 ’07년 2월 현재 바이오디젤 생산 등록 업체는 11개사이며, 정유사 만이 혼합 및 바이오디젤 유통 ·판매 가능 11개 생산업체 총 바이오디젤 생산량 년간 약 350,000KL 추정 BND ENERGY CO., LTD.

바이오디젤 상용화 추진 현황 정유사 BD 혼합율 06년 하반기 계획대비 진행율 구분 경유생산량(KL) BD투입량(KL) 혼합비율(%) 보급계획량(KL) 보급량(KL) 진행율(%) 7월 1,022,930 5,090 0.50% 11.3% 8월 1,291,103 6,489 14.4% 9월 1,443,065 7,341 0.51% 16.3% 10월 1,569,651 7,907 45,000 17.6% 11월 1,829,955 9,475 0.52% 21.1% 12월 1,888,696 9,548 21.2% 누계 9,045,399 45,849 101.9% BND ENERGY CO., LTD.

국내 바이오디젤 보급 정책 ’02년 11월 산업자원부 고시 2002-109호에 의해 보급 지역 확대 실시 ’02년 5월 산업자원부 고시 2002-54호에 의해 바이오디젤 시범 보급 실시 수도권 매립지 ’02년 11월 산업자원부 고시 2002-109호에 의해 보급 지역 확대 실시 수도권, 전라남도, 전라북도 2002.5.25 ~ 2004.5.24까지 ’05년 5월 산업자원부 고시 2005-55호에 의해 시범보급기간 연장 및 전국확대 시행 2005년 12월 31일까지 ’05년 12월 산업자원부 고시 2005-122호에 의해 이용 및 보급 확대 연료의 인정에 관한 고시 ’06년 6월 30일 까지 시범보급 기간 연장 및 ’06년 7월 1일부로 전경유 차량 확대, 품질기준 고시 ’07년 1월 산업자원부 고시 2007-1호에 의해 BD20의 보급기간을 2007년 3월 31일까지로 연장 BND ENERGY CO., LTD.

국내 바이오디젤 사업의 발전 방향

국내 바이오디젤 발전 방향 정부 정책의 일관성 유지 바이오디젤 품질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 지원 바이오디젤 보급 활성화를 위한 연차별 보급 목표 설정 및 구체적인 보급 계획 마련 국내 바이오디젤 업체의 생산량을 감안한 현실적인 로드맵 제시 바이오디젤 품질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 지원 유럽수준(EN14214)의 품질 기준 강화 바이오디젤 유통 체계의 지속적인 품질 관리 바이오디젤 혼합 비율에 따른 자동차사 및 부품사와 대체연료로서의 검증 바이오디젤 보급 촉진을 위한 인센티브 제도 도입 보급 확대를 위한 일정 기간 세제 지원 폐식용유 등과 같은 폐자원 활용시 인센티브 지원 BND ENERGY CO., LTD.

국내 바이오디젤 발전 방향 바이오디젤 원료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 바이오디젤 경쟁력 확보를 위해 수입 유지의 관세율 조정 원료 별로 상이한 통관 관세율 조정 ( 대두3%, 대두유 5.4%, 팜유 2%, 자트로파와 같은 기타유지 8%) 바이오디젤 생산에 원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70%이상 경유 대비 원료의 생산 원가가 너무 높음 해외에서 국내 업체가 직접 유지작물을 재배할 경우 인센티브 제공 대두유로 BD5를 생산할 경우 남한 면적의 52%의 경작지 필요 국내 생산과 동등 취급 관세 철폐 새로운 대체 원료 작물 개발 지원 장기적으로 연중 생산이 가능한 열대지방에서 비식용유를 집중적으로 개발 유전개발기금 등을 통한 금융 지원 정책 BND ENERGY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