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 ICU 08802016 방예경.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뇌 졸 증 환자의 관 절 운 동 건강관리과 정읍시 보건소. 뇌 졸 증 환자의 일 반 적 문제점 ▶ 근육의 약화 ▶ 근육의 약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감각 장애 ▶ 감각 장애 ▶ 독립운동의 상실 ▶ 독립운동의 상실 ▶ 지각운동의 장애 ▶ 지각운동의.
Advertisements

6 장 클라이언트의 모델. 기능회복 모델 포괄적인 평가 - 병력 - 문제점과 관련된 영역의 조사 - 구체적 평가 자료수집 후 평가 - 현재 상태의 정도 - 손상된 정도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 손상 / 기능제한 / 장애의 근거한 진단 - 기능적 장애의 정도 - 만성 / 급성.
소금의 긍정적/부정적 측면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장내과 박정환.
Case 년 7 월 7 일 응급의학과 R3 김현종. 권 0 웅 M/65  Chief Complaint Epistaxis  Duration 내원 3 시간 전.
B형 간염 환자의 임상증례 . 안산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실 우성혜, 최정아.
Cetirizine 2014/05/30 Son Han Pyo.
GI conference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한림의대 한강성심병원 장현주, 최민호, 은창수, 계세협, 이 진
81병동 Case Study 이수미.
Case Study 102 병동 성인간호학 실습 양남영 교수님 이상희.
성인간호학 (ICU) CASE STUDY 목 차 서 론 1) 사례연구의 목적 및 문헌고찰 본 론 1) 간호사정 2) 환자사정
Case Study – 102병동 김초아 성인간호학 실습 - 양남영 교수님.
사 례 연 구 hypoglycemia (저혈당증)
‘중환자실 CASE’ 유지영.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전반적 이해, 선별, 진단, 중재법
lung and massive intra abdominal lymphadenopathy.
임플란트 환자의 효과적인 상담기법.
뇌신경계 뇌혈류검사[Brain Perfusion SPECT]
102w case study 배혜인.
퇴행성 신경질환.
사례 연구 81병동 – 소화기내과 과 목 명 성인간호학Ⅳ 학 과 간호학과 담당교수님 양남영 교수님 학 번
SICU 사례연구 -최OO – 진단명 : Hemoperitoneum 박민수.
Tube Feeding NG tube/PEG,PEJ/OE tube
` 수술 후 환자 간호와 정서적 지지 6병동 간호사 최 윤 영.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화기내과 강 창돈
Case presentation R1 박정훈.
성인 간호학 (내과계 병동) case study
ER(응급실) CASE STUDY 서효혜.
구강악안면외과 환자와 치과위생사.
ICU case study 배혜인.
102병동 CASE STUDY   학과 : 간호학과 학번 : 학년 : 3학년 이름 : 이민성.
급성복통.
증 례 56세 남자환자 내원 6개월전에 골수 이형성 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진단후 항암화학치료 받았으나 급성 골수구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으로 진행하여 입원.
ICU Case Study - 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 우은경.
치매이해와 케어.
절주프로그램 1조 ⓒ 간호와 건강증진.
ICU case study -AMI 박효은.
CASE STUDY: PNEUMONIA.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기진단검사 I.
토혈과 흑혈변을 주소로 내원한 신증후성 출혈열 환자 1예
알칼리증(alkalosis)및 저혈당이 유산증(lactic acidosis)을 유발한 증례
노인의 설사.
교육진단검사 PEP-R.
시뮬레이션 기반 가상 보조기구 알고리즘 최적화
병리학의 영역 박 주 완.
병원에서 사용하는 약물 R1 이누가.
Video Fluoro Scopy Study
약물조사 항암제 - 관해 유도 치료 - 유지요법 - 항생제 - 항진균제 - 진토제.
3조 : 손우리, 송문주, 신예림 안윤하, 양미진, 양진영 원데레사, 윤소연, 이경화, 이미선
인생과 신앙을 푸는 열쇠 “EQ” - Emotional Intelligence
(생각열기) 염화나트륨은 고체 상태에서는 전류가 통하지 않지만 용융 상태나 물에 녹으면 전류가 잘 통한다. 그 이유는?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월례집담회 영남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김용길.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강석진, 김현진
요독성 뇌병증(uremic encephalopathy)에 의한 발작후 저환기 (postictal hypoventilation)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와 건강.
이화의대 소화기내과 김성은·심기남·염혜정·조유경·이종수·이창배·정성애
Automatic nerve system
2010년 609병동 QI 환자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한 낙상 예방활동.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Fentanyl 사용시 보이는 이상 호흡 양상 (abnormal respiratory pattern)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임상시험대상자 모집 공고 건강한 남성 자원자에서 rosuvastatin과 ezetimibe 각 약물의 단독투여 시와 rosuvastatin 및 ezetimibe 병용투여 시 약동학적 상호작용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가천대 길병원 임상시험센터에서는 상기.
이화의대 내과학교실, 의과학 연구소 조유경, 심기남, 이종수, 염혜정, 김성은, 정성애, 유권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생명의 시작 1) 수정 2) 성의 결정.
생약 혼합 추출물을 사용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치료기술 Tech Biz Material 기술소개자료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Presentation transcript:

CASE study - ICU 08802016 방예경

간호사정 - 환자사정 일반적 배경 환자명 : 신ㅇㅇ 입원일 : 2010.05.03 진단명 : SAH (지주막하 출혈) 연령 : 55세 성별 : Female 종교 : 기독교 학력 : 고졸

간호사정 - 환자사정 2. 건강력 가계도 본인

간호사정 - 환자사정 2) 과거력 : 없음 (비염 갖고 있는 정도) 3) 현병력 발병 당시 : 당일(2010년5월3일) PM 8:20경 대화 후 일어나던 중 mental change 있어서 ER-> NCU 입원 : mental change (의식소실) 4) 주증상 Mental change (의식소실)

간호사정 - 환자사정 3. 신체검진 키 : 모름 체중 : 모름 활력징후 (5월4일) B.P P.R RR B.T 8시 135/75 98 21 37.2 9시 145/90 120 18 37.4 10시 130/80 90 20 36.8 11시 120/70 75 16 37

간호사정 - 환자사정 소화기계 연하기능 : 불능 치아상태 : 양호 오심, 구토, 통증: 사정불가능 설사,변비 : 없음 비위관 영양 배변습관 : 배변3회/day (기저귀착용) 장음 : normal 완화제 사용안함 ※ 문제점 : deep drowsy 상태로 인한 연하장애

간호사정 - 환자사정 심혈관계 심박동수 : 90~100정도로 정상 심계항진 : 없음 흉통, 현기증 사정불가 ※ 문제점 : deep drowsy 상태로 흉통과 현기증 사정불가

간호사정 - 환자사정 비뇨기계 소변색 : normal 1일 소변량 : 3100cc 도뇨경험 : foley cath. ※ 문제점 : deep drowsy상태로 배뇨장애

간호사정 - 환자사정 근골격계 보행상태 : 불능 근력 : 약함 보조기 사용여부 : 없음 ROM 범위 : 정상 ※ 문제점 : deep drowsy 상태로 인한 보행장애, 근력의 약화

간호사정 - 환자사정 신경계 의식 : deep drowsy mentality 언어능력 : 자극 시 이름에 대한 대답이 가능하며 그 외 지남력이 정확히 확인되지 않는 상태 (GSC에서 verbal이 3점) 운동 : limbmovement 5 3~4 5 4 감각 : 있음 마비 : 없음 반사 : 동공 빛 반사에서 P/S,L/R이 4+,4+ (정상) ※ 문제점 : deep drowsy 상태로 인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간호사정 - 환자사정 피부계 피부색, 탄력성 : normal 병변 : 없음 손톱, 발톱, 머리카락, 구강점막 : 정상 ※ 문제점 : 없음

간호사정 - 환자사정 4. 영양 1일 식사량 : SLD1200kcal+w 300cc QID 식이형태 : SLD (Special Liquid Diet; 특수유동식)를 L-tube feeding 시행 알러지 음식 : 없음 ※ 문제점 : 의식수준 저하로 위관영양실시.

간호사정 - 환자사정 5. 개인위생(ADL평가) Deep drowsy상태로서 개인 위생이 전혀 이루어 지지 않음 ※ 문제점 : 의식수준 저하로 인해서 개인위생이 이루어지지 못함.

간호사정 - 환자사정 6.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질병과 관련된 대인관계 문제점 : 의식수준 저하로 인한 의사소통 불가능으로 대인관계 형성되지 못함. 가족내, 사회적 역할의 문제점 : 의식수준 저하로 인해서 가족 또는 사회에서 역할수행이 불가능 그 외 의사소통 장애의 원인 : deep drowsy 상태

간호사정 - 환자사정 7. 정서적 상태 의식수준 저하로 사정 불가능 ※ 문제점 : deep drowsy 상태로 정서적 상태 사정이 불가능함.

간호사정 - 환자사정 8. 활동 및 수면 운동의 종류 : 체위변경 운동의 빈도 : 2시간 간격 수면시간 : 자극 없으면 계속 수면상태 수면양상 : deep drowsy ※ 문제점 : deep drowsy 상태로 활동성 없이 계속 수면상태임.

간호사정 - 환자사정 9. 건강관리 입원 전 : 특별히 관리하지 않음. 입원 동안 : 체위변경, 위생간호, 영양공급 질병과 관련된 : 신경학적 변화 관찰 음주, 흡연 없음 ※ 문제점 : 의식수준 저하로 자가간호 결핍

간호사정 - 환자사정 10. 성적 및 영적욕구 질병과 관련된 성생활의 변화 : 성생활 불가능 질병과 관련된 종교/신앙의 변화 : 사정 불가능 ※ 문제점 : 의식수준 저하로 인해 성생활과 신앙생활이 불가능

간호사정 - 진단검사 검사항목 검사결과 임상적 의의 WBC 10900/uL (↑) 염증반응 Hb 10.0g/dL (↓) 빈혈가능성 Hct 31.4% (↓) Plt 232000/uL 정상 Electrolyte PANEL Na 144 mmol/L Electrolyte PANEL K 4.16 mmol/L Electrolyte PANEL Cl 102.9 mmol/L ESR 3 mm/hr CRP 0.1 mg/dl

ABGA ABEe (base excess) 간호사정 - 진단검사 검사항목 검사결과 임상적 의의 BUN 21.9mg/dL 정상 Creatine 0.71mg/dL ABGA pH 7.472 (↑) 알칼리증 ABGA pCO₂ 31.8mmHg (↓) 호흡성 알칼리증 ABGA pO₂ 178.3mmHg(↑) 과호흡->호흡성 알칼리증 ABGA HCO₃ 23.5mmol/L (↑) 대사성 알칼리증 ABGA ABEe (base excess) -0.9mmol/L ABGA SaO₂ 99.7%

간호사정 – 투여되는 약물 약물명 투여용량 투여경로 투여목적 관찰해야 할 부작용 N/S + Netilmicin 100mg+100mg IV 수술 후 감염예방 과민반응, 신장애 20% mannitol 150ml 뇌압하강 대량 투여 시 산증, 급성 신부전 Methylprednisolone 125mg 진통 부종, 나트륨저류, 칼륨손실 Ranitidine 50mg 위, 십이지장 궤양 예방 쇼크, 황달, 서맥 Salbutamol + Atrovent 2cc + 500mcg Neb 호흡곤란 증상 완화 + 비염 치료제 두통, 진전, 심계항진+ 비강출혈 Bromhexine 8mg PO 객담 제거제 발진, 호흡곤란

간호사정 – 투여되는 약물 약물명 투여용량 투여경로 투여목적 관찰해야 할 부작용 Choline 400mg PO 뇌혈관 결손에 의한 2차 증상 및 변성 예방 과민반응, 구역질 Valproate 240mg/4cc 간질과 행동장애 예방 및 치료 간손상 AAP 650mg 동통, 두통, 신경통 위장출혈, 소화성 궤양 Eupatilin 60mg 위궤양 예방 구토, 설사 Ceftizoxime 1g/V IV 패혈증 예방 위막성 대장염 5% Albumin 250ml 저알부민혈증 치료 과민반응, 쇽

간호진단 간호진단 근거자료 지주막하 출혈로 인한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 위험 객관적 자료 : 진단명 SAH, EVD (혈액이 섞인 뇌척수액 배액)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활동 장애 객관적 자료 : LOC 가 deep drowsy 상태. GCS motor response가 3점. 보행이 불가능한 상태 이다. 의식수준 저하로 인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객관적 자료 : LOC가 deep drowsy 상태. GCS verbal 3점, 대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자가간호 결핍 객관적 자료 : deep drowsy 상태로 개인 위생을 전혀 시행하지 못하고 있다. 과도환기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객관적 자료 : ABGA 수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