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제 설계 Guideline 2000년 2월18일 성신여대 박준성 교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국내기업의 인센티브 제도 사례. Page 1  보상 체계  인센티브 200% 급여 (12) + 500% + + 영업인센티브 PJT 인센티브 기본연봉 + ‘ 99 년 *  인센티브 : 기존연봉 중 일부를 조직 및 개인실적에 따라 차등 지급 ‘ 00 년 기본연봉.
Advertisements

연봉제 임금 사례 컴퓨터과학전공 이현원 자료출처 : 노동부 ( 사람인 (
주 40 시간제 주요내용 해설 최 영 우 한국노동교육원 교수
주 40 시간 근무제 도입 성과와 과제 실태조사. 주 40 시간 근무제 도입성과와 과제 1 목 차 Ⅰ. 조사 개요 1. 조사 목적 2. 조사대상 및 조사기간 3. 주요 조사내용 4. 조사방법 및 집계 5. 응답업체 특성 Ⅱ. 조사결과 분석 1. 주 40.
주 40 시간 자료. 근로기준법이란 사회, 경제적으로 열등한 위치에 있는 근 로자 보호 최저한의 근로조건에 관한 기준을 설정한 법 사법상 계약자유 원칙을 수정하여, 국가공 권력에 의한 강제 수단을 통해 개별 근로 자의 생존권 보장.
GB 마스터 사업 설명회 Ⅰ. GB 마스터 제도 변경 취지 년도 하반기 현금영수증 제도 개선 ① 현금영수증 발급 금액 하향 조정 : 현행 5,000 원  3,000 원으로 하향 조정 ② 포상금 제도 도입 : 발급거부 신고 때 건당.
HRD 목표 HRD 전략 HRD 실행과제 HRD 실행계획 Human Centered Process/SystemDevelopment 체계적 육성과 지속적 관리를 통한 인적가치 극대화 소통과 신뢰 투명하고 공정한 인간중심 문화 HRD ERP 구축 성과 역량.
한국타이어 신인사제도 - 직무 성과급형 연봉제를 중심으로 -
연봉제 임금 사례 컴퓨터과학전공 이현원 자료출처 : 노동부( , 사람인( 1.
2. 일반 현황 □ 코스피 □ 코스닥 □ 비상장 업체명 주 소 상장여부 업 종 주요품목 대표자 성함 :
사례 1 : H사(IT기업) 보상 체계 ‘99년 ‘00년 영업인센티브 급여(12) + 500% +
LG전자 평가 및 보상제도 목 차 Ⅰ. 인사관리의 기본원칙과 방침 Ⅱ. 성과지향 평가관리시스템 Ⅲ. 성과주의 보상관리시스템
교대근무 변경과 생산성 향상 - 주 40시간 근무제에 따른 임금보전과 생산성 향상 -
주40시간(주5일)제 근무 & 임금 도입안 ㈜인디텍.
임금체계에 대한 이해
목 차 Ⅰ. 연봉제 개요 Ⅳ. 연봉제 실시방안 Ⅱ. 성과주의 개요 Ⅲ. 국내 연봉제·성과배분제 도입현황 1. 도입배경(2)
성과주의 연봉제의 재설계 방안.
지원자를 위한 인턴 사원 채용 FAQ.
전국고무산업노동조합연맹 한국타이어노동조합
초과근로시간 및 수당 베트남 정부는 1주 48시간의 근로시간 제도를 기본으로 하면서
임금제도 자본참가제도 성과참가제도 임금제도의 중요성 개념 임금관리의 목적 종업원지주제도 임금의 제개념
제9장 임 금 관 리.
CJ 직무성과급 도입과 운영 사례 조성형.
임금피크제 (사례).
성과급 지급 사례 발표자 정보라미.
4. 임금체계 관리 임금의 범위와 항목구성 기본급 임금체계 임금분포와 임금곡선
6 시그마 경영혁신 특강 김한수 교수 경영정보학과 / 연대과기학원 삼성경제연구소 자료.
KOTRA 사례 발표
Rucker plan과 Scanlon plan
평가와 보상전략 및 개선과제 인재개발팀 인사기획파트 성신여대 경영학과 박준성교수.
Chapter 8 VIII . 임금제도와 성과참가 임금제도 성과참가제도 자본참가제도.
Chapter 09 임금관리 임금관리 신라대학교 경영학과 김상현.
건인회 정기모임자료( ) 인재 경영 체계 구축 프로젝트 - 금호건설 평가/보상제도 - February, 2005.
오리온의 직무성과급 제도 오리온 / HR 팀.
연봉제-평가제도 도입 시 검토사항 작성자: 정시원 연락처: ☎
임 금 관 리 정 연 앙 (중앙대학교 경영대학).
연봉제설계와 평가제도 개선W/S 성신여대 경영학과 박 준성 교수.
LG전자 평가 및 보상제도 목 차 Ⅰ. 인사관리의 기본원칙과 방침 Ⅱ. 성과지향 평가관리시스템 Ⅲ. 성과주의 보상관리시스템
보상 ( Compensation) 1. 임금의 개념 2. 임금수준의 관리 3. 임금체계의 관리 4. 임금의 구성 5. 변동급제
2000년 승진심사 (승진자격 Point제) 2000년 5월 16일 기획조정실 인력개발팀.
Ⅲ. 행위보상급과 임금.
장~ 제11장 : 노사간의 임금 협상 1. 임금수준 2. 적정임금수준의 산정 임금협상 과정 동영상 학습과제
연봉제를 위한 평가제도의 설계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1. 임금의 정의와 범위 1) 우리나라 근로기준법 근로기준법 제2조 5항
(Source: G.T.Milkovich and J.M.Newman, Compensation 7th ed, 2002.)
우리회사 성과향상을 위한 연봉제 설계 사례 Creating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한국표준협회컨설팅 시춘근 수석위원 /
평가 및 포보상에 대한 업무에 따른별도의 양식과 행정 처리 번거로움
공급사슬 성과평가 차시명을 입력합니다..
CONTENT CONTENT BPR의 등 장 배 경 BPR의 정 의 BPR의 4 가지 근 간
Ⅰ. ESOP의 주요 내용과 활용 방안 1. 한국 ESOP의 특징과 효과 종업원에게 자사주 취득 기회 확대 생산성 및 주주중시
1. 인력계획 1) 인력 계획 프로세스 사업계획 인력계획 과부족 비교 인적자원 수요 예측 가용 인적자원 예측 과잉인력 적정인력
임금제도와 성과참가 4조 김정남 경영 이명창 경영 박경수 경영
삼성전자 연봉제 조사 자료 회사 개요 2. 조직 체계 3. 인사 운영 - 직급 구조 / 인력구조 / 평가 / 승진 4. 연봉제
인건비 분석 보고서 기획팀.
KOTRA 사례 발표
연봉제 가이드.
주요 패턴 (한)문화방송 14 HY울릉도M 13 [ Bottom-Up ] 휴먼새내기체 12 [ Top-Down ]
삼성전자 연봉제 조사 자료 회사 개요 2. 조직 체계 3. 인사 운영 - 직급 구조 / 인력구조 / 평가 / 승진 4. 연봉제
1.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의 유형 ● 개별급 승급중심 개인능력 조직내 직무 가치 존중 집단급 교섭중심 임금 사회적 기준 존중 (
제2장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의 유형 동서양의 인적자원관리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사람 중심의 인적자원관리란?
‘17년 협력 업체 등급 평가 제도 운영안 2017년 01월 18일.
< 대면평가 자료 작성요령 > 안녕하십니까! 창업진흥원 창업인프라팀입니다.
김 용 관 / SLI 평가/보상 시스템 김 용 관 /
Company logo 성과지향적 보상활동 K-1.
11판 회계감사론 『新英社』 이 효 익.
2002년 상반기 기업설명회 Investor Relations
3. 연구접근방법 가. 분석 수준(level of analysis) 1) 거시적 분석수준
점수 법에 의한 직무평가 사례 정보통계학과 김성재.
Part 7 호텔 식음료 직원의 인적관리 Ch 01 호텔 식음료의 인사관리 Ch 02 호텔 식음료부서의 교육훈련.
(주)삼양사 직무급 인사체계 설명 멸 APRIL 2002.
Presentation transcript:

연봉제 설계 Guideline 2000년 2월18일 성신여대 박준성 교수

Ⅰ. 연봉제의 의의 Ⅱ . 연봉의 전환원칙과 구성 Ⅲ. 연봉의 운영방안 Ⅳ. 각사의 대응방안

performance evaluation) Ⅰ.연봉제의 의의 1. 연봉제 개념 임금체계 유형 임금항목 구성 임금인상 방법 직급별 호봉 기본급 (단일호봉) 제수당 고정상여 Base-up 호봉승급 능력급 본급 능력급 제수당 고정상여 Base-up 고과승급 (merit pay) 고과상여 (incentive) 일본식 연봉 연봉(기본연봉+업적연봉) (=월봉 × 지급개월 수) 제수당 Base-up 고과승급 (merit pay) 고과상여 (incentive) 미국식 연봉 연봉(base pay) 고과승급 (merit pay by performance evaluation) Incentive pay ● 연봉제란 개인의 능력발휘와 기여도(업적평가 결과)에 따라 차등적인 임금인상 (by merit +incentive increase)을 하는 보상체계 - 비호봉제 - 개별급 - 고과승급 - 인센티브 - 직무가치반영

2. 임금체계 비교 연공급 능력주의적 연공급 직능급 (능력급) 연봉제 호 봉 제 직급별 호봉제 호 봉 제 직급별 호봉제 호 봉 기 본 연 봉 직급별 임금 단일 호봉제 단일 호봉제 단일 호봉제 고과승급 능력급 고과승급 업적연봉 고정상여 고정상여+ 차등상여 고정상여+ 차등상여 인센 티브 차등상여 교섭 의존도 大 小 집단급 개별급 노동 통제 弱 强 자동승급 고과승급 배분 효율 低 高 연공적배분 성과적배분 관리 효율 低 高 고정급(100%누적인상) 변동급(일부 비누적인상)

3. 임금체계의 발전 추이 1900 1930 전후 1960 1980~90 ● 도급제 /년급/일급제 ● 직급별 호봉제 ● 직계제 ● 사원공원제 ● 남녀고용평등 종업원지주제 최저임금법 ● 직능급(능력급) ● 연봉제 ● Stock Option ● 직급별 호봉제 ● 사원-공원제 ● 전산형 임금체계 (연령급) ● 사정승급 (merit system) ● 직능급 ● 성과배분제 ● base-up ● 연봉제 ● base-up 축소 ● F.W.Taylor 차별적성과급 ● Exempt/ Non-exempt 구분 ● Minimum law ● Profit Sharing Plan ● Job-based Pay ● merit pay ● EEO ● Incentive pay ● Stock option ● Skill-based Pay

4. 고임금 저인건비율의 지향 선 투자 사원 비용 절감 회사 개별임금 관리체계 일 중심/ 업적중심의 평가 연봉제 /성과급 저임금 사기 고임금 사기 사원 선 투자 비용 절감 경영혁신 고인건 비율 - 저생산성 - 저품질 - 저부가가치 저인건 비율 - 고생산성 - 고품질 - 고부가가치 회사

Ⅱ.연봉의 전환원칙과 구성 1. 전환원칙 전환원칙 기대효과 ● 호봉제 폐지 누적인상 , 교섭인상 부담 완화 고과승급 기능 강화 ●근로기준법 준수 통상임금 적용 준수, 이행이후의 추가인건비 부담의 최소화 ●제수당의 통합 임금항목의 간소화 (형식적) 교섭부담의 최소화(실질적) ●이행비용의 최소화 잔액방식 이행 적용으로 이행비용의 ZERO화 전환의 형평성 유지, 조정수당 불필요 ●고정상여의 최소화 교섭상여 부담 완화 인센티브제의 기능 활성화

2. 전환절차 총연봉결정 연봉제외 수당 확정 기준연봉 확정 기본연봉 확정 (월정연봉) 상여연봉 확정 (월외연봉) 고정 상여연봉 지급방안 확정 인센티브 지급방안 확정 연간임금 총액에서 비용성임금 제외 (식대,교통비 등:폐지가능) 시간외 근로수당 직무수당 연월차수당 등 기준연봉 =총연봉- 연봉제외 수당 기본연봉 =통상임금 × 12개월 상여연봉 =기준연봉 -기본연봉 제1안 1/12안 제2안 월외연봉안 반기실적 (8월)/ 년실적 (익년2월) 반영 ● 연봉제외수당은 가족수당, 직무수당,직책수당 등의 변동수당 ● 연봉제외수당을 통 폐합 하는 방안을 마련 할 수도 있음

3. Model 연봉 구성안 기존임금항목 연봉임금항목 비고 본봉+직급수당 총 연 봉 기 준 연 봉 월 정 연 봉 기본연봉 (통상임금×12) ● 호봉제 폐지 ● 고과승급 적용 업무수당 고과승급 ● merit pay 기능강화 직무추진 상여 월 외 연 봉 상여연봉 (고정상여) ● 고정상여로 활용 ● 장기적으로 축소 폐지 체력단련비 인센티브 (변동상여) ● 인센티브 기능 활성화 변동수당 변동수당 ● 시간외근로,가족수당,직책수당등 법정수당 법정수당 ● 연월차수당 등

4. 타 그룹의 연봉 구성 사례 기존 LG SAMSUNG 기 준 연 봉 기본연봉 (기본급) B/U 월급여 호봉제 + 고과승급 월정급여 기 준 연 봉 기본연봉 (기본급) (45%) 직급 정액 B/U 월정급여 월정급여 고과승급 정기 상여 고정급 능력연봉 (능력급) (40%) 업적연봉 (업적급) 월외급여 월외급여 능력가급 차등 상여 변동급 정기상여 월외급여 인센티브 성과급

Ⅲ.연봉의 운영방안 1. 연봉 지급방안 기본연봉 상여연봉 인센티브 성격 통상임금 고정상여 변동상여 지급형태 월정급여 월외급여 지급시기 매월 제1안 제2안 상반기(8월) 하반기(익년2월) 기타 특별한 시기 지급 1/12 홀수달지급 근로기준 ● 인센티브를 제외한 여타 임금의 지급시기는 통일할 것을 권장함. ● 상여연봉은 기본연봉에 흡수하여 점진적으로 폐지할 것을 권장함.

2. 연봉 조정 방안(총액인건비 운영방안) 인상(조정) 재원 배분 방식(예시) ◆ ( )속의 % 값은 권장비율 총인상재원 ◆ ( )속의 % 값은 권장비율 총인상재원 (실질임금 인상률) 교섭임금 인상재원 (20%) 승급재원 (70~90%) 법정수당 인상재원 (0~10%) 〓 + + 승급(총연봉조정)재원 (70~90%) 연봉승급 재원 (70~80%) 승진승격 재원 (0~10%) 〓 + 순연봉조정재원 (70~80%) 기본연봉 조정재원 (30~40%) 상반기 인센티브 (0~20%) 하반기 인센티브 (0~40%) 〓 + + 4월 8월 익년2월

3. 누적/비누적 MIX 기본연봉 상여연봉 인센티브 성격 통상임금 고정상여 변동상여 LG그룹 누적인상 기본연봉에 연봉(누적) 삼성그룹 비누적인상 정액 비누적 모델안 누적인상 정액(잔액) 비누적 ● 기본연봉의 누적인상으로 비누적인상의 문제점 흡수 ● 고정 상여연봉은 기본연봉과의 연게를 단절하고 정액으로 운영, 점진적인 축소 폐지 ● 인센티브의 비누적 운영으로 인건비의 탄력성과 경기변동 흡수 기능 강화

누적제/비누적제의 비교 2000년 100만원 호봉승급 2.5만원 기준 102.5 2.5 2000 2001 2002 2,003 105.06 5.0 107.69 7.5 110.38 10.0 105 110.06 115.19 120.38 107.56 110.19 112.88 현행 호봉제 누적 가급제 비누적 107.63 2.56 112.94 2.62 115.56 118.45 2.69 121.14

4. Pay mix : Merit or Incentive MERIT PAY INCENTIVE PAY 산정 기준 과거 성과에 대한 평가 미래성과에 대한 평가 활용 목표 미래 성과에 대한 유인 성과배분을 통합 협력으로 성과향상 유인 (미국의 경우 fringe benefit으로 관리) 성공 조건 성과측정-보상연계의 제도화 수준 cost,sales volume,profit의 측정과 보상연계 제도화 수준 적용 실태 ● 미국 :사기업의 80% 이상,1984년도 부터 공기업에도 적용 시작 ● 일본 : 1950년대 부터 적용, 일반화 ● 미국 : 상급관리자에 주로 적용, blue collar의 경우 양보교섭의 일환,장기근속 유도목적으로 활용 ● 일본의 경우 고과상여로 활용 (작은 비중) 적용 성과 ● 미국 : merit pay의 경우 최근 30년동안의 연구결과 42건중 40건에서 performance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 incentive pay의 경우 최고경영층의 보상수단 으로 혹은 blue collar에 대한 fringe benefit의 일부로 활용성과가 제한적임 ● 일본 : 사정승급은 능력급(직능급)의 중심 축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일본 노동자의 노동몰입의 제도적 장치로 평가되고 있고, 상여는 기업경기를 임금수준에 반영하고 개별고과성적을 반영하는 보상수단으로서 장기적인 노사협력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인센티브제에 치중한 차등상여제 형태의 연봉운영 방안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요청됨

5. 배분계수제 적용 성적 등급 등급별보상 성적 등급 재원 AS IS : 고과등급제 TO BE : 배분계수제 기준금액×률 등급별금액 ● 재원산정이 곤란 ● 하방경직성 성적 등급 재원 점수제 계수제 ● 재원 범위내 보상 ● 업적비례형 보상

“기본인상률= 재원÷누적배분계수 인상액 = 기본인상률× 고과계수 ×기본급(누적배분계수) “ 배분 계수제 적용 과정 예시 기본급 Case 1(가급제) Case 2(가급제) Case 3(배분계수제):재원 2,500 고과등급 인센티브 (%) 재원 고과등급 인센티브 (%) 재원 고과등급 고과계수 누적배분 계수 배분액 1 200 S 300 600 D D 2 205 A 200 410 C 50 102.5 C 0.5 102.5 92.09 3 210 A 200 420 C 50 105 C 0.5 105 94.34 4 215 B 100 215 B 100 215 B 1.0 215 193.17 5 220 B 100 220 B 100 220 B 1.0 220 197.66 6 225 B 100 225 B 100 225 B 1.0 225 202.16 7 230 B 100 230 B 100 230 B 1.0 230 206.65 8 235 C 50 117.5 A 200 470 A 2.0 470 422.28 9 240 C 50 120 A 200 480 A 2.0 480 431.27 10 245 D S 300 735 S 3.0 735 660.38 2332.5 2782.5 2752.5 2,500 “기본인상률= 재원÷누적배분계수 인상액 = 기본인상률× 고과계수 ×기본급(누적배분계수) “ 기본배분율= 2500/2782.5=0.89847259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