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새로읽기 6주 역사의 객관성과 주관성 2013년 1학기 건양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설계공학특론 기말 발표 김범준 [ 생체역학 연구실 ] 김승환 [ 초미세트랜스듀서 연구실 ]
Advertisements

글로벌 핀테크 Issue Tracking Briefing. Fintechload Weekly Report ( ~ ) 날짜구분주요 내용기업 / 분야 독자전략 Zopa, IPO 가능성 염두 Zopa 시장현황.
뉴턴의 법칙 뉴턴의 법칙 뉴턴의 법칙 뉴턴의 법칙 뉴턴의 법칙 뉴턴의 법칙 뉴턴의 법칙 뉴턴의 법칙 뉴턴의 법칙
Chapter 2 1계 미분방정식.
SCS502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in a Christian perspective
농도가 달라지면 반응 속도는 어떻게 변할까? 과학 10학년 Ⅲ. 물질. 3. 반응속도 <첫화면>
KINECT DEVLOPMENT USING BIOMETRICS.
Single PPM 추진사례 (주)다함이텍.
역학 혁명 2: 데카르트와 뉴턴.
강의 자료 Motivation Theory.
바이러스 배양 면역혈청파트 박정용.
1-1. 제트추진력의 배경(Background of Jet Propulsion)
Operations Research - 1 Spring 2007 OR
첨단영상대학원 박경주교수 첨단영상대학원 박경주 교수
Final Examination, 2008 Fluid Mechanics
열역학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7/e) RICHARD E
회전(Rotation) 각 변위 (Angular displacement) 각 속도 (Angular Velocity)
1.3 Viscosity 유체의 성질 중에서 무엇보다도 점성은 유체유동연구에 있어서 가장 깊은 이해를 필요로 한다.
FORCE 이해하기 Moon Yong Joon.
철근콘크리트 구조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건축공학전공 담당교수: 전대한 건설공학관3304(T )
Advanced Product Quality Planning (APQP)
R e p o r t 제목 :system 안전이란 과 목 :시스템 안전공학 및 설계 담당교수:민 승 남 교수님 학 과:안전공학
복잡계 물리 사이버 과학영재교육센터 여름캠프 과학조교 최재원
기계공학기초 제3장 기계의 역학.
Instrumental Analysis
인간행동과 심리학 1. 심리학의 본질과 이해.
Presentation transcript:

한국사새로읽기 6주 역사의 객관성과 주관성 2013년 1학기 건양대

역사를 어떻게 쓸것인가 역사적 사실 → 역사를 어떻게 쓸 것인가 “어떻게”를 어떻게 하느냐 → 철학의 문제 주관적인 학문적 경향성? ↔ 객관적인 학문체계? 문학과 다른 점은 자료의 뒷받침 역사와 역사소설의 다른점 역사는 문학인가, 과학인가 역사는 객관적인가, 주관적인가

서양의 초기 수학 서양의 초기 수학은 자연을 이해하는데 목적 → 공식의 발견 → 유클리드 기하학 유클리드 기하학의 목차 구성 1권 – 필수적이고 예비적인 정의와 설명, 공준과 공리로 구성 2권 – 14개의 정리, 피타고라스 학파의 기하 대수학 3권 – 39개의 정리, 원, 선, 등의 정리….

동양의 수학 동양의 초기 수학 <구장산술> : 원리 보다는 실생활에 필요로 하는 계산을 찾는데 목적 구장산술의 목차 구성 1권 – 방전장(方田章)-논밭의 측량 39문제 2권 – 속미장(粟米章)-곡물교환 계산에 대한 46문제 5권 – 상공장(商工章)-토목공사의 공정에 관한 28문제 6권 – 균륜장(均輪章)-조세의 운반에 관한 28문제

서양의 수학과 객관성 서양의 자연이해는 뉴턴에 와서 완성단계 자연을 가장 객관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노력 → 과학의 발전 뉴턴은 자연의 힘을 F=ma로 설명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의 발전 이후 자연의 이해에 대한 객관성에 의문

객관성의 확률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측정하기 전까지는 위치 등의 물리량이 확률적으로 존재하고 측정을 하면 측정된 값으로 그 물리량이 정해진다” 과학보다 철학에서 큰 파장을 일으킴 → 객관성의 문제를 뒤짚음 인식된 존재는 有無가 아니라 확률로 정의 그것이 객관적인가보다 얼마나 객관적인가가 더 중요한 문제

역사의 주관성 역사의 주관성 문제는 주로 철학적 방식으로 접근 니체는 역사를 세 종류로 구분 첫번째 기념비적 역사 두번째 골동품적 역사 세번째 비판적 역사

기념비적 역사 과거를 소급하여 위대한 과거로 복귀를 의미하는 역사 이순신의 경우, 너무나 유명하여 자기지역의 인물로 내세움 지역과의 연관성은 거의 없으면서 자기 홍보로 위대한 과거를 내세움 아산(출생지, 무덤), 서울(거주지), 남해+해남+여수+고성+진도(활동지) 단지 하나의 사실만으로 그 지역 전체의 역사로 포장하여 이순신을 빌어 자기지역 역사의 위대성을 설명

골동품적 역사 오래된 것, 근원적인 것에 대한 인간 본유의 낭만적 감정을 역사의 의미로 전환시키는 태도 현재 사람들의 감정을 과거에 투영하여 그 가치를 숭상하는 것 고려청자 → 아름다움 → 고려는 정말 예술성이 뛰어나고 그 감각이 탁월하다고 생각 서산 마애삼존불 → 백제인의 미소라고 칭송 → 백제인들은 아마 저렇게 온화한 미소를 하고 있으며, 백제의 역사는 참으로 평화로웠을 것이라 추측 내 감정으로 역사의 의미를 평가 하나의 사실을 가지고 확대해석하거나 과장된 형태의 역사

비판적 역사 과거에 대항하기 위해 쓰여진 역사 서술방식 역사를 심판한다는 의미 사마천의 <사기>, 조선왕조실록,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교훈적 역사를 보여줌 역사를 쓰는 사람의 명분에 따라 우리가 되새겨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알려줌 역사를 도덕으로 이해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과학과 철학에서 주는 역사의 의미 → 역사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과학은 객관성 문제를, 철학은 주관성 문제를 제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역사학의 과제 결국 역사는 왜 해야 하는가의 문제 교훈으로서의 역사를 넘어서서 역사를 통해 더 다양한 무엇을 갈구할 필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