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 장 교류회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8. Alternating Current and Voltage 전기 · 전자 · 통신 교육론 담당교수님조병록 교수님 발표일 발표자 김나영.
Advertisements

기술가정 Ⅲ. 전기전자기술〉  1. 전기회로와 조명 2. 전기회로의 기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
Ch.2 다이오드 응용.
2.5 오일러-코시 방정식(Euler-Cauchy Equations)
AC(Alternating Current)
임피던스(Impedance) 측정 일반물리 B실험실 일반물리실험 (General Physics Experiment)
Chapter 9 정현파와 페이저.
제2장 주파수 영역에서의 모델링.
Chapter 10 증폭기의 주파수 응답.
RLC 회로 R L C 이 때 전류 i 는 R, L, C 에 공통이다.
정전유도 커패시턴스와 콘덴서 콘덴서의 접속 정전 에너지 정전기의 흡인력
교류 등가회로 모델링 AC Equivalent Circuit Modeling
6.1 필터 6.3 저역통과 필터 6.4 고역통과 필터 6.5 LC 공진회로
Chapter 13 기타 연산 증폭기회로.
기계공학기초 제9장 전기의 에너지.
Pspice를 이용한 회로설계 기초이론 및 실습 4
차량용 교류발전기 alternator Byeong June MIN에 의해 창작된 Physics Lectures 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3.0 Unported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시계기 AC 브리지 측정.
전기공학실험 함수발생기 설계.
28장 전기회로.
정의 (정의) 레지스턴스 (Resistance) -저항의 영어 표현의 부품명으로 레이스터(Resister, 저항)의 값.
제 5장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Field Effect Transistor)
실험 3 - 비선형 연산 증폭기 회로와 능동 필터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방 기 영.
Space Shuttle Cargo Door
컴퓨터 계측 및 실습 D/A Converter DC 모터 구동
실험1. 연산 증폭기 특성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방기영.
Chapter 8 FET 증폭기.
Chapter 14 특수 목적 연산 증폭기 회로.
제 10 장 다이오드(Diodes) 10.1 다이오드의 선형 모델 10.2 전원장치 10.3 기타 다이오드
기초 이론 윤석수 (안동대학교 물리학과).
전자회로 2 교류회로 2016년.
1장 전기 (Electricity) 전기 저항과 옴의 법칙 직렬 및 병렬 결합 전원 전력 종속 전원
Power Factor Correction
Electronic Engineering 2
RLC 회로의 공진 현상 컴퓨터 응용과학부 홍 문 헌.
임피던스 측정 B실험실 일반물리실험 (General Physics Experiment).
6.1 정류회로 6.2 평활회로 6.3 안정화 전원 6.4 IC를 이용한 안정화 회로
13장 : 변압기 13.1 변압기의 원리 13.2 변압기의 구조 13.3 이상변압기 13.4 실제 변압기
Register, Capacitor.
정보제어공학과 장재영 저항 정보제어공학과 장재영
제4장 제어 시스템의 성능.
실험4. 키르히호프의 법칙 실험5. 전압분배회로 실험6. 전지의 내부저항
Ch. 8. 시변장(Time Varying Electromagnetic Field)
Lab #2(Re). Series/parallel circuits
Ⅰ. 전기와 자기 전압.
일반물리 General Physics 21 장 교류회로와 전자기파.
Copyright Prof. Byeong June MIN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하지 말라. 설움의 날을 참고 견디면 머지않아 기쁨의 날이 오리니
4 에너지 저장(동적) 회로소자 기초전자회로 PPT. ○ 생체의공학과 배정호 20%
Lab #5. Capacitor and inductor
4 장 신호(Signals) 4.1 아날로그와 디지털(Analog and Digital)
CHAPTER 02 회로 개념과 전송선로 Circuit Concepts and Transmission Lines
Op-amp를 이용한 함수발생기 설계 제안서발표 이지혜.
1 전기와 전기 회로(03) 전기 회로의 이해 금성출판사.
Ch.6 주파수 응답과 시스템개념 김하린 오희재 이연재
교류 회로 AC circuit 1855 년 Duchenne 교류 전류가 직류 전류보다 근육을 자극하는데 효과적
제20강 유도전압과 인덕턴스 20.1 유도 기전력과 자기 선속 • 유도 기전력
전자회로 Electronic Devices and Circuit Therory
2. 누화와 케이블링 1. 서론 2. 용량성 누화 3. 유도성 누화 4. 복합적인 누화(누화의 일반적인 이해)
제 5장 제어 시스템의 성능 피드백 제어 시스템 과도 성능 (Transient Performance)
Slide wire형 Wheatstone Bridge에 의한 저항 측정
제 8 장 발전기와 전동기 8.1 교류발전기 8.2 3상 교류 발전기 8.3 직류발전기 8.4 직류전동기 8.5 교류전동기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실험 13. MOSFET 소스 공통 증폭기 1 조 방 기 영.
자기유도와 인덕턴스 (Inductance)
OP-AMP를 이용한 함수발생기 제작 안정훈 박선진 변규현
회로 전하 “펌핑”; 일, 에너지, 그리고 기전력 1. 기전력(electro-motive force: emf)과 기전력장치
교류 회로 AC circuit 1855 년 Duchenne 교류 전류가 직류 전류보다 근육을 자극하는데 효과적
Ch8.기본적인 RL, RC 회로 자연응답, 강제응답, 시정수, 계단입력과 스위치 회로
Ohm의 법칙, 에너지, 전력 전자 교육론 발 표 자 유 지 헌 발 표 일 2009년 09월 11일 E- mail
Presentation transcript:

제 3 장 교류회로

직류와 교류 직류 : 시간에 따라 전압이 변화하지 않는 전압원 교류 : 시간에 따라 전압이 정현적으로 변화하는 전압원 교류의 발생 : 자장 하에서 도선을 회전시키면 도선내로 유도되는 전류는 정, 역 방향으로 흐른다(전압도 양, 음으로 변화) - 전류 및 전압의 변화형태 : 정현파 전압 : e = Emsinwt 전류 : I = Imsinwt

주파수와 주기 사이클(cycle) : 교류의 1 주기 동안의 파형변화 주기 : 1 사이클이 완료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 주파수(frequency) : 1 초 동안 반복되는 사이클의 수 단위 : hertz [Hz] 각속도 : 무차원 회전속도 w [rad/s], 1 회전 = 2p [rad] 주파수(f)/주기(T)/각속도(w) 사이의 상관관계 f = 1/T = w/2p 주파수 단위 Hz 건물, 기계의 진동영역 kHz 무전기, AM라디오, 소리 MHz FM라디오, 컴퓨터 GHz 이동통신

교류의 크기 순시값 : 전압 및 전류의 각 시간별 변화형태 표시 e = Em sin(wt + q) 최대값 : 순시값이 최대일 때의 값, 진폭(amplitude) Em, Im 첨두값(peak to peak) : 순시값의 정의 최대값과 음의 최대값 사이의 크기 Vp-p or Vpp 평균값 : 순시값의 반주기 동안의 평균값 Eave , Iave 실효값 : 직류와 동등한 일량을 하는 교류값

위상각(phase angle) 위상 : 어떤 정현함수가 임의의 시간에 갖는 각도 [rad] 위상각 : 어떤 정현함수가 t=0 에서 갖는 각도 [rad] : a e = Em sin (wt + a) 위상차 : 두 정현함수가 t=0 에서 갖는 각도차이 : (a-b) e1 = Em sin (wt + a) e2 = Em sin (wt + b)

복소변수 ej(wt-q) = cos(wt-q) + j sin(wt-q) 복소수 : 정현함수의 복소표현 전압의 복소표현 Vmej(wt-q) =Vm cos(wt-q) + j Vmsin(wt-q) v(t) = Im[Vmej(wt-q) ] = Vmsin(wt-q)

벡터와 복소수 복소수 평면과 벡터식 전류벡터 I = a + j.b 의 경우 허수의 성질 수평축 : 실수, 수직축 : 허수 a : 실수성분, b : 허수성분 전류벡터 I 의 크기 I = 위상각 q = 허수의 성질 1) j2 2) j3 3) 1/j 4) j x A 5) A/j

복소변수의 미분과 적분 정현함수의 미분과 적분 v(t) = V sin(wt-q) 미분 : dv(t)/dt = wVcos(wt-q) 적분 : v(t) dt = -V/w.cos (wt-q) 복소변수의 미분과 적분 v(t) = Vej(wt-q) 복소수를 미분하여 허수 부분만을 구하면 미분방정식의 답 미분 : dv(t)/dt = j w Vej(wt-q) = j w V cos(wt-q) - w V sin(wt-q) 그러므로 허수부만 취하면 dv(t)/dt = w V cos(wt-q) 적분 : v(t) dt = v(t)/ jw = V/ jw cos(wt-q) + V/w sin(wt-q) = - j. V/w cos(wt-q) + V/w sin(wt-q) v(t) dt = -V/w.cos (wt-q)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 임피던스 : 전압 V 와 전류 I 의 비율 V/I = Z 직렬연결된 회로의 해석에 사용 저항 V = I.R : 저항의 임피던스 ZR = V/I = R 커패시터 I = C dV/dt = jwC.V: 커패시터의 임피던스 ZC = V/I = 1/jwC 인덕터 V = L dI/dt = jwL.I : 인덕터의 임피던스 ZL = V/I = jwL 어드미턴스 : 전류 I 와 전압 V 사이의 비율 I/V = Y 병렬연결된 회로의 해석에 사용 저항의 어드미턴스 YR = 1/ZR = 1/R 커패시터의 어드미턴스 YC = 1/ZC = jwC 인덕터의 어드미턴스 YL = 1/ZL = 1/ jwL

저항뿐인 교류회로 저항 R 에 교류전압 v(t) = 를 부가 회로내를 흐르는 전류의 순시값 전압과 전류는 동일한 위상 전류의 실효값 I = V/ZR = V/R

인덕터뿐인 교류회로 인덕턴스 L 뿐인 교류회로 인덕터 L [H] 에 교류 를 부가 회로내에는 역기전력 eL [V] 발생 전압의 실효값 V = ZL.I = jwL.I 전류의 실효값 I = V/ ZL = - j.V/wL 전압과 전류는 90o 위상차

커패시터뿐인 교류회로 커패시터 C [F] 뿐인 회로에 교류전압 v(t) = 를 부가 커패시터내에 저장되는 전하 q = C.v [C] q =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 I = dq/dt 전압의 실효값 : V = I.ZC = - j.I/wC 전류의 실효값 : I = jwCV

RLC 직렬회로 저항 R[W], 인덕터 L [H], 커패시터 C [F] 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전류 i(t) 를 흘린다. 회로의 총 임피던스 ZT = ZR + ZL + ZC = R + j(wL - 1/wC) Ohm의 법칙 V = I.ZT = I(R + j(wL - 1/wC)) 임피던스벡터 z = V = I.z 위상각 q = tan-1(wL - 1/wC)/R

RLC 직렬공진 RLC 직렬회로의 임피던스 : ZT = R + j(wL - 1/wC) 임피던스 벡터 z 는 wL = 1/wC 일 때 최소가 된다. 회로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된 경우 임피던스가 최소이면 회로내를 흐르는 전류는 최대가 된다 : Ohm 의 법칙 wL = 1/wC 인 w 를 공진주파수라고 부른다

RLC 병렬회로 저항 R[W], 인덕터 L [H], 커패시터 C [F] 가 병렬로 접속된 회로에 전류 i(t) 를 흘린다. 회로의 총 어드미턴스 YT = YR + YL + YC = 1/R + j(wC - 1/wL) Ohm의 법칙 I = V.YT = V(1/R + j(wC - 1/wL)) 어드미턴스 벡터 Y = 위상각 q = tan-1(wC - 1/wL).R

RC 직렬회로의 과도현상 RC 회로에 시간 t=0 에서 직류전압을 인가하면 회로내의 커패시터에 전하가 충전되면서 커패시터 양단 사이의 전압은 서서히 상승한다. 커패시터의 용량이 클수록 전압의 상승시간은 길어진다. 커패시터의 용량이 작을수록 전압의 상승시간은 짧아진다. 회로내 스위치가 ON 된 시점에서 출력전압의 기울기로 출력전압의 상승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시상수 t =RC

각종 직렬회로의 특성

변압기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전압을 변환시키는 기구 철심 : 규소강판 전압, 전류와 1차/2차코일의 권선수 사이의 상관관계 a : 권수비(turn ratio)

최초의 변압기 Ganz (독일,1885) : 1:2 및 1:4 변압 http://www.ien.it/museum/collection.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