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17년 현장 아차사고사례 1. 굴삭기 버켓 탑승 앙카작업중 추락(아차사고) 2. 굴삭기로 H빔 양중 하역작업중 낙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2010 년 06 월 01 일.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1. PC 무선랜 카드 활성화 및 체크 1 단계 : 시작 -> 설정 -> 네트워크 설정 2 단계 : 무선 네트워크 설정 선택 -> 마우스 버튼 오른쪽 클릭 -> 사용.
Advertisements

그린에너지설비과 용접의 기초 및 방법 한국폴리텍 1 대학 서울정수 캠퍼스. 그린에너지설비과.
- 안전교육 - 어린이집 ( 어린이집 ) 버스 이용 시 주의점. 1. 어린이집에서 멀리 또는 가까이 사는 친구들을 집에서 어린이집까지 빠르고 안전하게 데려다 준다. 2. 견학이나 나들이 활동 시 편하고 안전하게 데려다 준다. ( 어린이집 ) 버스의 필요성 -> 버스를.
슬라이스의 원인과 교정 동도 센트리움 골프클럽 이상윤 프로. 슬라이스란 ?  일반적으로 골프에서 오른손 잡이의 경우 타구가 비구선 보다 우측으로 꺾여 휘는 것 을 말한다.  즉 슬라이스의 원인은 클럽헤드가 열려있는 상태로 임팩트가 되는 것이다.
타워크레인 사고사례 및 안전대책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33 경 2 명이 사망하고, 1 명이 경상.
사고사망재해 감소 70 일 특별대책 (10.21~12.29) 기초교육기관용 추진배경 최근 건설업 사고사망재해가 7 월 이후 급속히 증가하여 8 월에는 전년 동기대비 25 명 (9.5%↑) 이 증가함에 따라, - 사고사망재해 증가추세 반전 및 감소목표 5%
안전 보건 교육 노동부지정건설재해예방전문지도기관 ㈜미래건설안전컨설팅. 노동부지정건설재해예방전문지도기관 ㈜미래건설안전컨설팅 토목공사의 안전보건 I I 충돌 · 협착 재해 예방조치 II 붕괴 · 도괴 재해 예방조치 III 안전사고 예방방법 IV 차 례 차 례 맺음말 V V.
건설분야–교육자료 미디어개발 중대재해사례[건설] 천공작업 중 항타기해머 낙하.
  2. 어떤 재해가 발생하였는가? 중대재해 사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워크숍) 라싱작업 안전대책 한국항만연수원 최재준.
하절기 질식재해 발생위험 경보 Alert 최근 하절기 질식재해 사례
질식재해 발생위험 경보 증가하고 있습니다. O 밀폐공간작업 재해의 발생원인
재난 종합상황보고 66초 마다 1건 접수 119신고접수 현황 총 건 수 1,306건 현장출동 502건 (38.4%) 의료상담
천장크레인-본체 재해예방대책 한국산업안전공단.
목 차 1 추락재해 현황 및 발생 유형 2 안전대의 종류 및 사용방법 3 안전대 부착설비 4 안전대 착용으로 생명을 구한 사례
1. 실험 목적 회전축에 대한 물체의 관성모멘트를 측정하고 이론적인 값과 비교한다 .
장비 구성도 (특징) (장비 구성품) 1) Beam Projector
New Handy Terminal(DT-900/930) Ver. 1.1
텔레비전 마이 동산 Q. 도서관 이용교육 반드시 도서관에 와야 하나요?
(압력용기-비래) 용기 기밀시험 중 볼트 파단으로 뚜껑 비래.
( Bulk Head 및 Ballast Water Tank)
TARGET 운반 CASE 제품 소개서 OSUNG METAL
내 임무를 다하면 사고는 막을 수 있다. 삼 성 물 산(주) 종합직업체험관 신축현장
크레인(Crane) 작업 장비 안전기준 작업시 유의사항 1. 작업 반경 내 사람의 접근금지 조치
PSC 교량 작업안전 1 PSC교량 거더 제작 및 운반 PSC교량 거더 인양 및 거치 건설분야–교육자료
기계안전 지게차 작업안전 안전분야–교육자료 미디어개발
로울러기 안전화 대책 한국산업안전공단.
갱폼(GANG FORM)작업시 재해예방 대책.
(Wire & Wireless Anemometer)
크레인 줄걸이 작업안전.
크레인 작업 특별안전보건교육.
압축천연가스자동차 연료용기 (CNG Cylinder)
이미지 포렌식 작성자: liberte97.
안전규정 협력업체 및 방문자용 안전환경팀 2014.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 수진이에게 무슨 말을 해줄 수 있을까요? 자전거 사고를 경험한 적이 있나요?
덤프트럭 작업시 장비 안전기준 작업시 유의사항
- ㈜미도정밀 (제 7,400호 인정) 『CLEAN 사업』추진현황 한국산업안전공단 포항지도원.
환경부 화학물질안전TF.
나를 지키고, 침착하게 대처하려면, 반드시 익혀야 하는
장비별 공통 안전수칙10계명 굴삭기 •버켓 탈락방지용 안전핀 설치 •비탈면 전도방지 위한 작업경로 확보
맞춤형복지 사용자 시스템 매뉴얼 공무원연금공단 맞춤형복지부 문의사항:
- 목 차 - 1.불량유형별 점유율 2.불량내용별 점유율 3.불량원인 및 개선대책 4.결론
먼저 본사의 잘못으로 귀사에 피해를 드린 부분에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전합니다.
2 자동화와 로봇 2 기계 운동의 원리 기계의 이해 기계요소 기계의 동력 전달 과정 금성출판사.
전자 계약서 등록(갱신) 매뉴얼
고소작업대 & 이동식크레인.
낙 하 물 방 지 공 직 접 시 공 브램프 / BRAMP ( / 브램프 공법) 건설 신기술 제408호
지게차 사고사례 (월) 총무부 김 재 영.
덕신산업 (제7,000호 인정) 『CLEAN 사업』추진현황 한국산업안전공단 광주지역본부.
Teaming pms.
건물형 이동식 샤워장 시방서 모델명 : BT80-S 제조사 : ㈜코리아 카라반.
선회하는 지게차와 NC밀링기 사이에 협착되어 사망
& 네이버 “철골난간대” 검색 철골공사 안전대부착설비의 문제점 & 네이버 “철골난간대” 검색.
생활주제 : 교통기관 소 주 제 : 탈것의 안전한 이용 활동형태 : 이야기 나누기 승용차, 자전거를 탈 때.
서비스 작업 안전 수칙 윌로펌프㈜ 서비스팀 1.일반 안전 수칙 2.차량 안전 수칙 3.전기 안전 수칙 4.기타 안전 수칙
Ⅰ 줄걸이작업 안전기준 아차사고 사례 전파 빔클램프(안전학카) 사용기준 와이어로프 사용기준 와이어로프 단말가공법
국내 중대재해.
안전분야–교육자료 미디어개발 제조분야 중대재해사례 지게차 헤드가드와 마스트 사이에 협착 사망.
신소재 장비개발 [공기충전기] 하안119안전센터.
7. 힘과 운동 속력이 변하지 않는 운동.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3. 굴착 작업 오른손 조종 : 붐과 버킷 작동 ㄱ) 붐 하강 : 앞으로 민다. ㄴ) 붐 상승 : 뒤로 당긴다.
“국내 발명특허 설계 제작된 BL 전자테크” 태양광 안전 경고등
8월 정기교육.
機械,設備安全敎育 기계설비안전 建設安全講師 : 丁 淳 南.
윈스톰 이모 입력 주의사항 현장에서 키를 일반 키로 제작 후 엔진 이그니션에 ON으로 절대 돌리지 말것
[첨부#2] 검토일: 년 월 일  구 분 내 용 공 사 명 업 체 명 공사예정 기간 견적안내부서 확 인 사 항 견적부서(견적)
소화설비 및 경보설비 느티나무 요양원.
Progress Seminar 양승만.
제동 장치 주행 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낮추거나 자동차를 정지시키는 장치.
Presentation transcript:

Ⅰ 17년 현장 아차사고사례 1. 굴삭기 버켓 탑승 앙카작업중 추락(아차사고) 2. 굴삭기로 H빔 양중 하역작업중 낙하 ’17년 현장 사고사례 대외비 Ⅰ 17년 현장 아차사고사례 1. 굴삭기 버켓 탑승 앙카작업중 추락(아차사고) 2. 굴삭기로 H빔 양중 하역작업중 낙하 3. 굴삭기로 H빔 양중 하역작업중 협착 4. Strut 상부에서 이동중 추락 5. H-PILE 근입작업 중 현장 외부로 H-PILE 낙하 6. 점보드릴 장착작업 중 롯트 회전부에 손가락 협착 7. 데크플레이트를 잡아 당기다 허리통증 발생

□ 굴삭기 버켓 탑승 케미칼 앙카 작업중 미끄러져 추락 안면찰과상(경희의료원 현장) ’17년 현장 사고사례 대분류 Ⅰ. 17년 현장 사고사례 소분류 1. 굴삭기 버켓 탑승 작업중 추락 □ 굴삭기 버켓 탑승 케미칼 앙카 작업중 미끄러져 추락 안면찰과상(경희의료원 현장) □ 재해 상황도(아차사고) □ 재해내용 - 언 제 : 2017년 1월 21일, 10시 20분경 - 누 가 : 혜원 가시설공(성칠호, 50세)가 - 어디서 : 흙막이 가시설 작업구간에서 - 무엇을 : 굴삭기 버켓에 탑승하여 케미칼 앙카작업 중 - 어떻게 : 굴삭기 버켓에서 미끄러져 2m 하부로 추락 하여 - 왜 : 안면 찰과상(응급처치) □ 재발방지 대책 - 장비 용도외 사용금지 - 부득이 사용시 추락방지 조치 실시 ① 굴삭기 버켓 안전핀 체결 ② 굴삭기 Hook에 안전벨트 고리 체결 (Hook 해지장치 체결 확인) 대외비 안전벨트 고리 체결 □ 사고원인 - 장비 용도외 사용 - 부득이 사용시 추락방지 미조치 (굴삭기 Hoook에 안전벨트 고리 미체결) 버켓 안전핀 체결

□ 굴삭기로 H빔 양중 하역작업 중 H빔 낙하로 재해자 발가락 골절(GS동천 현장) ’17년 현장 사고사례 대분류 Ⅰ. 17년 현장 사고사례 소분류 2. H빔 양중 하역작업 중 낙하 □ 굴삭기로 H빔 양중 하역작업 중 H빔 낙하로 재해자 발가락 골절(GS동천 현장) □ 재해 상황도 □ 재해내용 - 언 제 : 2017년 2월 21일, 10시 00분경 - 누 가 : 혜원 가시설공(공현식, 만51세)가 - 어디서 : 자재 야적장에서 - 무엇을 : H빔(길이4m, 3개)를 와이어로프로 1줄걸이하여 - 어떻게 : 굴삭기로 이동 하역 작업 중 H빔 1개가 이탈 되면서 재해자 발가락을 가격하여 - 왜 : 엄지 및 중지 발가락 골절(진단8주) □ 재발방지 대책 - 양중작업시 2줄걸이 및 유도로프 사용 - 양중물 하부 및 주변 접근금지 대외비 □ 사고원인 - 자재 양중작업시 1줄걸이 작업 및 유도로프 미사용 - 양중물 주변 접근작업 실시

□ 굴삭기로 H빔 양중 하역작업 중 H빔 낙하로 재해자 발가락 골절(GS동천 현장) ’17년 현장 사고사례 대분류 Ⅰ. 17년 현장 사고사례 소분류 2. H빔 양중 하역작업 중 낙하 □ 굴삭기로 H빔 양중 하역작업 중 H빔 낙하로 재해자 발가락 골절(GS동천 현장) □ 재해 상황도 □ 재해내용 - 언 제 : 2017년 2월 21일, 10시 00분경 - 누 가 : 혜원 가시설공(공현식, 만51세)가 - 어디서 : 자재 야적장에서 - 무엇을 : H빔(길이4m, 3개)를 와이어로프로 1줄걸이하여 - 어떻게 : 굴삭기로 이동 하역 작업 중 H빔 1개가 이탈 되면서 재해자 발가락을 가격하여 - 왜 : 엄지 및 중지 발가락 골절(진단8주) □ 재발방지 대책 - 양중작업시 2줄걸이 및 유도로프 사용 - 양중물 하부 및 주변 접근금지 □ 사고원인 - 자재 양중작업시 1줄걸이 작업 및 유도로프 미사용 - 양중물 주변 접근작업 실시

□ 굴삭기로 H빔 양중 하역작업 중 버켓 링크에 손가락 협착(GS부산 현장) ’17년 현장 사고사례 대분류 Ⅰ. 17년 현장 사고사례 소분류 3. H빔 양중 하역작업 중 협착 □ 굴삭기로 H빔 양중 하역작업 중 버켓 링크에 손가락 협착(GS부산 현장) □ 재해 상황도 □ 재해내용 - 언 제 : 2017년 3월 5일, 13시 45분경 - 누 가 : 직영 가시설공(김범수, 만44세)가 - 어디서 : 레이커 설치 작업구간에서 - 무엇을 : 사보강재 레이커 H빔를 벨트슬링으로 양중하여 - 어떻게 : 설치위치에 고정하고 안전학카를 해체하는 중 찬넬에 걸린 굴삭기 붐대를 억지로 내리다 버켓 링크에 - 왜 : 오른손 엄지 손가락 협착(진단 12주 예상) □ 재발방지 대책 1) 2줄걸이 및 유도로프 설치(안전학카 잠금장치 체결) -> 신호수 양중신호 2) 자재 하역위치에 유도로프로 유도 -> 신호수 장비 정지 신호(장비 운전원 조작금지) 3) 장비 정지 확인 후 줄걸이 해체작업 실시 대외비 □ 사고원인 - 무리한 작업시행(찬넬에 걸린 붐을 억지로 내림) - 장비조작 중 양중물 주변 접근작업

□ Strut 상부에서 ㄷ볼트 설치 후 Strut 상부 이동중 추락(대우동탄2 현장) ’17년 현장 사고사례 대분류 Ⅰ. 17년 현장 사고사례 소분류 4. Strut 상부에서 이동중 추락 □ Strut 상부에서 ㄷ볼트 설치 후 Strut 상부 이동중 추락(대우동탄2 현장) □ 재해내용 - 언 제 : 2017년 2월 27일, 16시 00분경 - 누 가 : 피에스테크 가시설공(신동조, 만52세)이 - 어디서 : #1번게이트 복공판 하부 Strut 작업구간에서 - 무엇을 : 4단 Strut ㄷ볼트 설치 후 Strut 상부 이동중 - 어떻게 : 미끄러져 안전벨트 죔줄을 오른손으로 잡고 추락하면서 죔줄이 우측 어깨 겨드랑이에 걸려 - 왜 : 우측 어깨 회전근개 파열(진단 8주 예상) □ 추락재해 방지 대책 - 비계 또는 철골위 작업시는 안전벨트 고리 2개 사용 □ 재해 상황도 대외비 안전벨트 고리 2개 체결 근로자 이동방향 □ 사고원인 -

□ H-PILE 근입작업 중 안전후크 잠금장치 파손되어 현장 외부로 H-PILE낙하(롯데부산 현장) ’17년 현장 사고사례 대분류 Ⅰ. 17년 현장 사고사례 소분류 5. H-PILE 근입작업 중 H-PILE 낙하 □ H-PILE 근입작업 중 안전후크 잠금장치 파손되어 현장 외부로 H-PILE낙하(롯데부산 현장) □ 재해 상황도 □ 재해내용 - 언 제 : 2017년 3월 29일, 09시 55분경 - 누 가 : 명지토건 천공기 운전원이 - 어디서 : 현장 남측 CIP 천공구간(#237)에서 - 무엇을 : 엄지말뚝(H-PILE) 근입작업 중 - 어떻게 : 설치된 케이싱과 인양중이던 H-PILE이 충돌 하면서 아이 안전후크 잠금장치가 파손되어 H-PILE이 - 왜 : 탈락, 현장 외부로 낙하하여 고압선 및 인근 현장 낙하물방지시설 파손됨(대물피해금액 집계중) □ 재발방지 대책 - 작업 전 양중 공도구 일일점검 실시(샤클, 줄걸이 등) - 아이 안전후크 자동잠금 훅 작동상태 및 변형여부 확인 - 작업방법 변경(아이 안전후크 -> 샤클 사용) 대외비 아이 안전후크 잠금장치 파손됨 □ 사고원인 - 아이 안전후크 노후화로 잠금장치 파손됨 작업방법 변경 당초 : 안전 후크 변경 : 샤클

□ 점보드릴 롯트 재 장착작업 중 롯트 회전부에 손가락이 말려 찢어짐(삼성양평 현장) ’17년 현장 사고사례 대분류 Ⅰ. 17년 현장 사고사례 소분류 6. 점보드릴 롯트 장착작업 중 손가락 협착 □ 점보드릴 롯트 재 장착작업 중 롯트 회전부에 손가락이 말려 찢어짐(삼성양평 현장) □ 재해 상황도 □ 재해내용 - 언 제 : 2017년 3월 29일, 13시 30분경 - 누 가 : 직영 터널공(노영인, 만 59세)이 - 어디서 : 양서터널 화도구간 막장구간에서 - 무엇을 : 점보드릴 롯트가 풀려 재 장착하기 위해 - 어떻게 : 손으로 밀어 넣으려다 점보드릴 기사와 수신 호가 맞지않아 드릴 스위치를 넣는 순간 - 왜 : 손이 롯트 회전부위에 말려, 장갑이 벗겨지면서 왼손 중지 3번째 마디와 약지 3번째 마디 손가락이 찢어짐 (2주 진단) □ 재발방지 대책 - 장비 전문가 및 운전원 이외 수리금지 - 점보드릴 롯트 장착시 운전원 조작금지(작업자 확인) - 장비 수리작업시 공사팀에 유선보고 후 작업실시 대외비 □ 사고원인 - 재해자와 장비 운전원 신호 불일치

□ 지붕층 하지작업 중 데크플레이트를 잡아 당기다 허리통증 발생 (구리포천 현장) ’17년 현장 사고사례 대분류 Ⅰ. 17년 현장 사고사례 소분류 7. 데크플레이트를 잡아 당기다 허리통증 □ 지붕층 하지작업 중 데크플레이트를 잡아 당기다 허리통증 발생 (구리포천 현장) □ 재해 상황도 □ 재해내용 - 언 제 : 2017년 3월 16일, 11시 30분경 - 누 가 : 대동요업 지붕공(김안종, 만 51세)이 - 어디서 : 중랑영업소 톨게이트 지붕에서 - 무엇을 : 하지작업 중 - 어떻게 : 철골사이에 끼어있던 데크플레이트를 무리 하게 잡아 당기던 중 바닥에 엉덩방아를 찧으면서 - 왜 : 허리통증 발생 □ 재발방지 대책 - 신규채용자 채용시 건강문진 및 면담실시 (고혈압 및 질병 유소견자 채용금지) - 현장 TBM시 무리한 작업을 하지않도록 지속적인 교육 대외비 1. 데크플레이트 잡아당김 2. 데크플레이트가 빠지면서 바닥에 엉덩방아 찧음 □ 사고원인 - 무리한 작업실시

□ 지붕층 하지작업 중 데크플레이트를 잡아 당기다 허리통증 발생 (구리포천 현장) ’17년 현장 사고사례 대분류 Ⅰ. 17년 현장 사고사례 소분류 7. 데크플레이트를 잡아 당기다 허리통증 □ 지붕층 하지작업 중 데크플레이트를 잡아 당기다 허리통증 발생 (구리포천 현장) - 상병코드가 M으로 시작되어 개인질병으로 추정됨 - 근로복지공단에 산재요양신청서 접수시 “질병판정위원회”의 - 결정이 확정된 날짜를 기준으로 산재가 성립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