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의 응급처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심폐소생술 ☞ 무사고, 무질병, 무공해를 위한 주인장.
Advertisements

응 급 처 치응 급 처 치응 급 처 치응 급 처 치 한지현 간 호사. 응급처치란 ? 사고나 질병으로 갑자기 환자가 발생하였 을 때 의사의 치료를 받을 때까지의 즉각 적이고 일시적인 처치.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 동남보건대학 응급구조과 고 봉 연. 우리나라 심정지의 결과 생존 병원내 사망 응급센터내 사망 현장 사망.
공주대학교 김진회 교수 충주대학교 신동민 교수. 기본 소생술 에서 자동 제세동기 심실세동 환자 제세동 (defibrillation): 가장 중요한 치료 심실세동 환자 제세동 (defibrillation): 가장 중요한 치료 심실세동 발생  제세동까지 시간.
기본생명유지술 - 심폐소생술 (CPR) - 강서소방서 안전교육팀. 2 안전교육팀 심폐소생술의 의의 진 행 순 서진 행 순 서 심폐소생술의 3 단계 심폐소생술의 3 단계 맥박이 없을 시 응급처치법 맥박이 없을 시 응급처치법 호흡이 없을 시 응급처치법 호흡이 없을 시 응급처치법.
교재 04 서비스 매너의 기본 제 13 장 의전서열 에티켓 제 14 장 응급처치 요령 제 15 장 안전관리 편.
 덕정고등학교 보건교사 한희영 4 분의 기적 ! 심폐소생술  한해 심정지 환자수 : 2 만명  생존률 : 2.4% - 미국 : 8.4%, 일본 :10%  심정지 환자 목격률 : 40%  심폐소생술 시도율 : 1.4%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 5 조 2.
INSERT LOGO 5조5조 심정지 환자 발생 시 대응요령 제 2 기 소방안전교육사반.
심폐소생술의 정의 CPR ( 심폐소생술 ) 갑작스런 심장마비나 사고로 인해 심장박동과 호흡이 멈출 때 ! 가슴압박, 인공호흡.
◆응급처치의 정의◆ 위급한 상황에서 부상자가 발생하였을 때 즉각적이고 임시적인 적절한 처치를 통하여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키고 귀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되는 지식과 기능.
심폐소생술 (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소생의 사슬 (Chain of Survival) 응급의료체계의조기활성화 조기심폐소생술 조기제세동 조기 전문 심장구조술.
심폐소생술 교직원 연수 신 암 초 등 학 교신 암 초 등 학 교 심정지 환자 생존율 2 한 해 심정지 환자 발생수 : 2 만명.
심폐소생술 (CardioPulmonaryResuscitation) 보령소방서 신흑 119 안전센터 구 영 선.
드레싱 간질 심폐소생술 출혈 및 골절 처치 1. 직접압박 2. 간접압박 출혈 2) 1)  깨끗한 거즈를 대고 세게 누른다  탄력붕대로 감고, 출혈이 스며나오면 더 감아준다.
제 10 주차 3 교시 기본인명 구조술 Ⅲ 1. 학습개요 2. 사전학습 3. 본 학습 : 기본인명 구조술 Ⅲ - 레슨 1. 심폐소생술의 발전 - 레슨 년 한국인의 사망원인 - 레슨 3. 심폐소생술에 대한 조사결과 - 레슨 4. 심폐소생술 - 레슨 5. 생명을.
수호천사 장수경 국경숙 심폐소생술 이란 ?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갑작스런 심장마비나 사고로 인해 폐와 심장의 활동이 멈추게 될 때 인공으로 호흡과 혈액순환을 유지함으로써 조직으로의 산소공급을 유지시켜서 사망을 지연시키고자 하는 기술.
학년 체력 검사 * 요령 및 측정방법 * 서울문교초등학교 50m 달리기 출발 전 1. 제자리에서 가볍게 뜀뛰며 준비한다. ( 기록향상효과 ) 2. 출발 직전 ( 제자리 ) 에는 상체를 최대한 앞으로 쏠리게 한다.
살모넬라 ▶ 예방대책 - 열에 약하므로 잘 조리 된 음식을 먹는다. - 주방기구는 물로 잘 닦는다. - 식품을 취급하기 전 반드시 손을 닦는다. - 살모넬라에 감염된 사람은 식품을 취급하지 않아야 한다. 여름철 질병예방 1 - 살모렐라 식중독 “ 식사 전 반드시 손을 씻도록.
운동과 위생 운동상해 및 응급처치. 운동위생 위생의 개념 많은 사람들이 건강보호 증진 / 질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해 협동 -> 일 반 건강 추구
뇌 졸 증 환자의 관 절 운 동 건강관리과 정읍시 보건소. 뇌 졸 증 환자의 일 반 적 문제점 ▶ 근육의 약화 ▶ 근육의 약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감각 장애 ▶ 감각 장애 ▶ 독립운동의 상실 ▶ 독립운동의 상실 ▶ 지각운동의 장애 ▶ 지각운동의.
2011 NEW 심폐소생술 수연특수아어린이집 강대건.
질병관리본부의 표준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일반인들이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AED) 사용법을 배울 수 있는 교육과정
119 구급대 CPR팀 운영방안.
. . . The 10 Minute Success POSTURES (운동자세) R&G Marketing.
2016년 1학기 버디프로그램 최종보고서 버디이름 : 미즈노 에리나 백가영 일어일문학과.
심폐소생술 춘천소방서.
야구 글러브에 대한 것 5학년 4반 6번 백경렬.
염기 비누화 반응 (Saponification)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
응급 처치.
4분의 기적, 심폐소생술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체육 6학년 안전한 생활 (4/5) 적절한 응급처치가 사람을 살릴 수 있다!! 응급처치.
관절염 용인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과장 김형식.
2012 심폐소생술 응급구조사 소방교 이대만.
생명을 구하는 응급처치 갈뫼초등학교.
송현준, 강성미, 강진주, 김미나, 김영화, 김은경, 김은혜
응급상황 발생시 교내 비상연락 체계도(서울캠퍼스)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수술 전/후 사진. 수술 전/후 사진 관절경 수술 적용 질환 7. 수술 후 처치 및 재활 치료 1) 수술 시 발생한 창상 부위(약 1cm 정도)는 감염의 예방을 위해 약 5~7일 정도 소독하며, 수술 후 다리는 누워있는 자세에서 무릎과 발목이 가슴보다 약간 위쪽에.
근관치료학 개요.
♠ 비타민 비타민이란 ? * 지용성 비타민 : A,D,E,K * 수용성 비타민 : B군, C
심폐소생술 주 순오.
기본인명구조술 서울강서 근로자 건강센터 강모열.
화상환자의 응급처치              .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응급의학과 문중범
응급상황 발생시 교내 비상연락 체계도 위급 시 119 신고 환자(신고자) 상황실 0119 한양보건센터 응급 상황 시
응급처치 RICE요법과 심폐소생술(CPR)
나를 지키고, 침착하게 대처하려면, 반드시 익혀야 하는
산업현장에서의 응급처치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응급처치, 나도 할 수 있어요 왜 관 중 앙 초 등 학 교 황 수 진.
체크포인트 인명소생술 등 응급처치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위급한 환자 발생 시 전문 의료진의 진료 전에 행하는 즉각적이고 임시적인 처치 | 개념과 원리 | 인명소생술 | 외상의 응급처치 | 구출 및 이송 응급처치란? 위급한 환자 발생 시 전문 의료진의 진료 전에.
심폐소생술 주 순오.
기본생명소생술 BLS (Basic Life Support) 사회체육학부 : 엄대영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강석진, 김현진
체크포인트 안전과 사고의 일반적인 지식을 통해 안전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마음과 몸이 편안한 상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 안전과 생활 | 사고 예방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상처와 출혈 처치 주순오.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성인 심폐소생술 의식확인 방법 119신고 및 도움요청 환자가 반응이 없고, 비정상인 호흡 또는 호흡이 없으면
제4차시 큰절 남녀 큰절의 기본 동작 대구달서시니어클럽 유아전통예절교육단.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생명의 시작 1) 수정 2) 성의 결정.
2. 굴착기 코스운전 1. 코스 운전 조건 : S 자 코스를 출발하여 반곡점 정지선 안에서 정지 하였다가 정지선 넘은 다음 후진하여 제자리 출발선 까지 4분 이내 완료 한다. 후진 정지선 시간 측정 정차 출발 도착 4분.
인간생명과 질병 생활응급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과교실 문중범.
Ⅱ. 분자의 운동 1. 움직이는 분자.
<제작> <출발 글씨팀>모둠 세원 <가위바위보>모둠 나예 <글씨 레벨 업>모둠 지현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Autometed External Defibrillator)
실험동물기초 실습 서정대 애완동물과 황보람.
일상생활 속 응급처치가이드 서울강서 근로자 건강센터 강모열.
심 폐 소 생 술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Presentation transcript:

<생활 속의 응급처치>

박 연 우 가천의과학대학교 응급구조학과 졸업-2006.02 1급 응급구조사 자격증 취득-보건복지부 2006.02 수상인명구조원 취득-YMCA 2003.08 일반 응급처치 강사 자격증 취득 -사단법인 대한응급구조사 협회 2004.02 전문 응급처치 강사 교육과정 수료 -사단법인 대한응급구조사 협회 2006.02 소방학교 교육-인천소방 2003.05 마라톤 응급처치 봉사-동아일보 2005.03 병원코디네이터 교육과정 수료-GMEC 2005.07 병원코디네이터 자격증 취득-대한병원코디네이터협회-2005.10 김포소방서 걸포파출소 구급대원 근무-2006 인천국제공항 소방대 구급대원 근무 중-2007

♣목차♣ ♣응급처치의 필요성 화상 골절 절단 일사병 저체온증 기도폐쇄 ♣심폐소생술

♣응급처치♣ 돌발적인 사고나 질병이 발생되었을 때 병원에서 전문적인 치료를 받기 전까지 행해지는 즉각적이고 임시적인 처치로써 인명구조, 고통 경감, 상처나 질병의 악화 방지 및 심리적인 안정을 목적으로 한다.

♣응급처치의 필요성♣ 응급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의료기관의 연락은 환자생존가능성을 높인다. 응급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의료기관의 연락은 환자생존가능성을 높인다. 응급의료서비스요원의 현장 도착 전 또는 병원도착 전까지 적절한 응급처치는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고, 고통경감 및 회복기간의 단축을 가져온다.

♣화상♣ 높은 온도의 기체, 액체, 고체 화염 따위에 데었을 때 일어나는 피부의 손상 화상의 깊이 1도 화상 : 피부가 붉어지고 화끈거림 2도 화상 : 물집이 생긴 상태로 통증이 심함 3도 화상 : 피부와 피하조직이 파괴되어 감각 기능이 상실

♣화상 응급처치♣ 최대목표:고통경감,충격처치,감염예방 불에 그을렸거나 뜨거운 물질에 젖어있는 옷이나 양말을 신속히 제거한다. 통증이 가라앉을 때까지 흐르는 물에 화끈거리는 부위의 열기를 식힌다.(냉찜질) 물집은 터트리지 말고 소독가제를 대고 붕대를 감아준다. 어린아이들은 화상부위를 찬물로 10분 이상 담그지 않는다. 화상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해준다.

♣골절♣ 폐쇄 골절 개방 골절 골절을 의심할 수 있는 경우 변형 압통 부종 및 반상출혈 마찰음 가성운동

♣골절 응급처치♣ 골절 환자를 함부로 움직이지 않는다. 출혈 시 직접 압박으로 지혈한다. 뼈 조각 돌출 시 소독 후 깨끗한 천으로 덮고 붕대로 감아서 압박 지혈한다. 부러진 곳이 붕대를 대서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병원으로 이송한다. 원래의 모양대로 뼈를 맞추려 하지 말고 부러진 상태 그대로를 유지한다. 삼각건사용법

♣골절 응급처치 이미지자료♣

♣발을 삐었을 때♣ 쉬게 하고 안정을 취한다. 부상 직후라면 부종을 줄이기 위해 얼음찜질 등으로 식혀준다. 다음날은 온 찜질을 한다. 두꺼운 패드로 발목을 싸고 단단하게 붕대로 감아준다. 다친 발을 올려 놓는다.

♣근육경련♣ 발에 쥐가 난 경우 : 발의 앞부분으로 서게 한다. 경련이 사라지면 발을 가볍게 주무른다. 장딴지에 쥐가 난 경우 : 무릎을 펴고 발등 쪽으로 꺾어주고 근육을 주무른다. 허벅지 뒤쪽 경련 : 무릎을 쭉 펴서 완화 시킨다. 허벅지 앞쪽 경련 : 무릎을 구부려서 완화 시킨다.

♣절단♣ 손가락, 발가락이 절단 되었을 때 상처 치료도 중요하지만 잘려나간 손가락, 발가락도 중요하므로 적절히 처치해서 병원에 가져가면 다시 재 접합이 가능합니다. 상처는 직접 압박하고 높이 들어 올려 지혈시킨다. 전화로 구조 요청 시 절단환자라고 밝힌다. 절단 부위를 깨끗한 거즈로 잘 감싼다. 비닐주머니로 잘 싸고서 얼음물에 재워서 신속히 병원으로 가져간다.

♣잘려나간 손,발가락을 병원에 가져갈 때에는……♣ 절단 부위를 절대로 닦지 말 것 절단 부위에 솜을 직접 대면 안 된다. 절단 부위가 얼음물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한다. 절단 부위에 임의로 지혈제나 연고 등을 바르지 말 것

♣교상(뱀에 물렸을 때)♣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뱀은 독사가 아니며 독사의 경우 2개의 이빨자국이 남는다. 증상 : 심한 통증, 부종, 주변이 붉어짐, 구토, 호흡곤란, 앞이 잘 안 보임. 교상처치법 구급 요청을 한다. 편안하게 눕히고 움직임을 제한한다. 상처보다 심장에 가까운 부위를 가볍게 묶고 압박붕대로 감아준다.(손가락 하나 들어갈 정도의 세기) 필요할 경우 상처부위를 비누와 물로 씻어 준다. 신속히 병원으로 옮긴다. 지혈대를 감거나 칼로 피부를 짼다거나 입으로 뱀독을 빨아 내려고 시도하지 않는다.

♣일사병♣ 직사광선에 장시간 노출되어 발한중추가 마비되고 땀에 의한 체온 방출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일어난다. 증상 : 두통, 구토, 현기증, 권태감, 경련 빨리 체온을 내려주는 것이 중요하다.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 옮기고 머리를 높여준다. 의복을 벗기고, 물을 끼얹는다. 알코올로 몸을 닦는 등 흐르는 물에 몸을 담가준다. 찬물을 마시게 한다.

♣저체온증♣ 찬물에 빠지거나 한랭한 공기, 눈, 얼음 등에 장기간 노출된 경우 보통 체온이 35℃ 이하 일 때를 말한다. 따뜻한 환경으로 옮기고 평편하게 눕힌다. 젖은 옷을 제거 하고 노출된 신체부위에 담요나 옷 등으로 감싸줌으로써 신체를 점차적으로 따뜻하게 해준다. 열 패드나 열이 발생하는 도구를 겨드랑이나 서해부 사이에 대준다.

♣기도폐쇄♣ 기도폐쇄가 되는 경우 -소아나 고령자 : 이물질(사탕,공기,땅콩..) -외상/사고 : 부러진 치아, 출혈 -의식이 없는 경우 : 혀, 구토물 증상 : 촉킹-싸인, 청색증, 기침, 불안감.

♣기도 폐쇄 처치♣ 호흡상태 정상, 의식 있는 경우 완전 기도 폐쇄 계속 기침 유도하며 즉시 119 신고 완전 기도 폐쇄 환자의 뒤에 서서 환자의 허리를 팔로 감싸고 한쪽다리를 환자의 다리 사이에 지지한다. 구조자는 한 손을 주먹을 쥐고 주먹 쥔 손의 엄지를 배꼽과 검상돌기 중간에 위치한다. 다른 한 손으로 주먹 쥔 손을 감싸고 빠르게 위로 밀쳐 올린다. 이물질이 밖으로 나오거나 환자가 의식을 잃을 때까지 계속 한다.

♣심폐소생술♣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부상이나 질환 등으로 인하여 호흡이 정지되거나 심장이 정지되었을 경우 의료요원이 도착 전까지 인공호흡과 심장마사지를 시행하여 환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여주는 응급처치를 말한다.

♣심폐소생술의 순서♣ 1. 의식확인 2. 119신고 3. 자세교정 (앙와위) 4. 기도개방 5. 호흡확인 6. 2회 구조호흡 1. 의식확인 2. 119신고 3. 자세교정 (앙와위) 4. 기도개방 (두부후굴-하악거상) 5. 호흡확인 6. 2회 구조호흡 7. 맥박확인 8. 흉부압박 (30:2) 9. 맥박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