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인지발달이론 4. 학습이론 1)Piaget의 인지발달이론 2) 정보처리이론 3) Vygotsky의 사회문화적인지 이론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일본 근세사. (1) 에도막부의 개창 ( ㄱ ) 세키가하라의 전투 (1600) - 히데요시의 사후 다섯 명의 다이로 ( 大老 ) 가운데 최대 영지 (250 만석 ) 를 보유하고 있던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급부상. 이에 이에야스와 반목해 온 이시다 미쓰나리 ( 石田三成 ),
Advertisements

행동주의 학습이론 심리학과 이연경 / 심리학과 정은주 수학과 윤경수 / 생명과학과 이경민 / 사학과 김현철.
대구가톨릭대학교 체육교육과 06 학번 영안중학교 체육교사 신웅섭 반갑습니다. 반야월초등학교 축구부 대륜중학교 축구부 대륜고등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차석 입학 대구가톨릭대학교 수석 졸업 2014 년 경북중등임용 체육 차석 합격 영안중학교 체육교사 근무 소개.
폭력. 폭력이란 무엇인가 우상의 눈물 물리적인 폭력 ( 최기표 ) VS 지능적인 폭력 ( 임형우, 담임선생님 )
성격발달 3. 행동주의 2009 년 2 학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 정 은 선.
일장 - 1 일 24 시간 중의 명기 ( 낮 ) 의 길이 ( 밤은 암기, 낮은 명기 ) 광주기성 - 하루 중 낮의 길이의 장단에 따라 식물의 꽃눈 형성이 달라지는 현상 일장이 식물의 개화현상을 조절하는 중요한 요인 단일식물 - 단일조건에서 개화가 촉진되는 식물 장일식물.
2 학년 6 반 1 조 고은수 구성현 권오제 김강서.  해당 언어에 본디부터 있던 말이나 그것에 기초하여 새로 만들어진 말  어떤 고장 고유의 독특한 말  Ex) 아버지, 어머니, 하늘, 땅.
1 Prof.Joonsung Park 1. 인재 육성의 의의 1) 인재육성 프로세스 T & D needs 결정 T & D 목표 설정 T & D 방법 선정 T & D 실행 과정 ( 프로그램 ) T & D 과정 ( 프로그램 ) 평가 용어개념 훈련 (training) 현재.
학습과제 제 7 장 인재 육성 인재육성은 왜 필요한가 ? 학습의 원리는 ? 무엇을 교육훈련 할 것인가 ? 교육훈련 방법은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 ? 교육훈련의 성과측정은 어떻게 할 것인가 ?
1 박 2 일 !!! 인천마장초등학교 유수아. 1 박 2 일 멤버 인기순 위 1 위 이승기 2 위 엄태웅 3 위 은지원 4 위 김종민, 이수근 ※인터넷에서 본것이기 때문에 사람에따라 서 다를 수 있다. ※
2009년 2학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 정 은 선
행동수정의 이해 및 역사 행동수정.
석관중앙교회 5남전도회 석 관 중 앙 교 회 회원 소식 통권 05-04호 발행일 : 2005년 04월 회 장 : 장진호 집사
2014년도 교원 및 기간제교사 성과상여금 전달교육 개 회 국기에 대한 경례 - 인사말
인지적 발달 1조 교육심리 EDU 권경욱 송원영 연용흠
선진 고양교육 “유아교육 행정 업무 연수” 유치원 회계실무 및 유아학비 연수 경기도고양교육청.
2016년도 제2차 서비스 자격시험 고사장 안내 시험종목: 병원서비스코디네이터, 서비스경영컨설턴트,
<아동발달론> 아동기의 언어발달
지역사회복지론 1조. 요양보호시설에 대해서 황성국 임재형 이동영
7.영아의 신체발달.
묵자 겸애, 비명, 비공, 상현, 상동, 천지, 명귀, 삼표 법.
제4장 학습 심리학.
내 아이를 위한 구강관리.
14주차 1교시 강화계획 [학습목표] 1. 강화계획의 정의를 안다 [학습내용] 1. 단순한 강화계획 2. 간헐적 강화 3. 복합 계획 4. 선택과 대응법칙 [사전학습] 강화계획이 일어날 수 있는 사례를 생각해본다.
8. 행동치료 1-C 최 아람 하 평화 허 진영 홍 경희.
제16장 원무통계 • 분석 ☞ 통계란 특정의 사실을 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숫자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통계로서 활용할 수 있는 조건으로는 ① 동질성을 지녀야 하고 ② 기준이 명확하고 ③ 계속성이 지속되어야 하며 ④ 숫자로 표시하여야 한다 경영실적의.
아동발달 ❤ 담당교수: 교과목 3조 그룹발표 발표주제: 영아기 만1세 발달 발달영역: 운동,신체발달 인지발달
제 2장 아동발달의 이론 1. 정신분석이론 2. 학습이론 3. 인지이론 4. 인본주의이론 5. 비교행동학이론 6. 생태학적이론.
연장근로와 야간·휴일근로 김영호 노무사 나눔 노사관계연구소 소장 연세대 일반대학원 박사 수료 고려사이버대 법학과 외래교수
I 문학의 개념과 역할 1. 문학의 개념 (1) 언어 예술로서의 문학 (2) 소통 활동으로서의 문학
제 3장 교수-학습의 기저 이론.
4. 목적론적 윤리와 의무론적 윤리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2. 결과론적 윤리와 공리주의
인지와 학습 특성 지난주에 배운 내용을 간략하게 복습하도록 하겠습니다..
Chapter 9. 행동주의 학습이론.
제11장 행동주의이론 1.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2.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3. 사회학습이론 4. 행동주의이론과 사회복지실천 1.
CONTENTS [제 4 장] 행동주의와 사회인지이론 1. 학습의 개념 2. 행동주의의 출현 3. 행동주의(Ⅰ):
경건의 시간 (QT) 한남 큰모임.
감성지능 ( Emotional Quotient)
개항기 조선과 동아시아 박 범 한국역사입문Ⅱ.
학 습 Ⅰ.
Vygotsky 인지발달이론.
1. 초기 행동주의이론.
Piaget 인지발달이론.
인지발달과 운동수행 강의 5.
컴퓨터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이론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제 1장 성장발달의 이해.
제 2장 인간행동의 이해와 사회복지실천.
아동복지론 옥필훈 교수.
학습이론.
대구의 부도심 대구의 주요축 동대구 부도심 4조 강민석 / 박성균 / 최은지/ 황재현/김예지.
뉴미디어 이용과 뇌 구조의 변화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행동치료 박정순 이정화 박경희 최희정.
○ 직 무 기 술 서 드라이빙센터 매니저 1. 주요 업무 2. 자격요건 직 무 드라이빙센터 매니저 근무형태
3장. Learning.
제1장 기업과 기업경영 제1부 전략 개론.
Human Behavior & Social Environment
제6장 행동주의 모델 사회복지실천기술론(전남련외)
사도행전 13장 22절 말씀 –아멘 다 윗 을 왕 으 로 세 우 시 고 증 언 하 여 이 르 시 되 내 가 이 새 의 아 들
Wisdom21 고성과 R&D 조직의 운영방안과 개선과제 Management Consulting
Piaget의 인지이론.
행동의 정의(매리엄웹스터사전) “행동이란 어떤 규정된 유기체의 활동 ,특히 내적 또는 외적 자극으로부터 일어나는 관찰이 가능한 활동으로 그것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제 7 장 인간발달.
4장 구성주의 학습이론.
경찰행정과 세미나 결과를 공개해야한다. VS 비공개로 해야한다. 경찰의 근무성적평정 제도.
제안 제도 운영방안.
6장. 발달.
Introduction to Psychology
인간 성장발달 Human Development across the lifespan
Three major theories of development I
감각운동기 하위단계 하위단계 구체적 행동 심리적 특성 반사운동기 (0~1개월): 젖 빠는 행동 반사운동 일차순환반응기
Presentation transcript:

2. 인지발달이론 4. 학습이론 1)Piaget의 인지발달이론 2) 정보처리이론 3) Vygotsky의 사회문화적인지 이론 (1) 근접발달영역 (2) 비계 (3) 언어와 사고 4. 학습이론 1)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2)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3) Bandura의 인지적 사회학습이론

1)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 피아제 인지 발달 이론의 배경 (1) Piaget이론의 주요개념 인지발달의 기본 원리

피아제 이론의 배경

피아제 이론의 배경 초기에는 프랑스에서 지능 검사계발 및 실시 지능을 양적으로 측정하여 개인차를 이해하는 것에 한계를 느낌 자신의 세 아이를 깊이 있게 관찰하여 인지 발달의 다양한 현상을 발견

피아제 이론의 기본 원리

인지 구조(도식) : 감각운동 도식: 잡기, 빨기 상징도식: 정신적 이해의 틀 (예:사과) 조작도식: 더하기, 빼기

인지 기능(동화와 조절) 동화 Assimilation : 기존에 있는 도식/스키마에 외부 자극을 끼워 맞추어 이해하는 과정 예)

조절 Accommodation : 기존의 도식이 새로운 정보(기존의 도식에 동화되지 않는 자극)에 의해서 수정되어지고 있는 과정 예)

평형(Equilibrium)과 불균형(Disequilibrium) 기존의 도식에 새로운 정보가 아무런 무리 없이 동화되어지는 상태 . 인지적으로 괴로움이 없고 평형을 이루고 있다 평형 기존의 도식에 새로운 정보나 자극이 더 이상 동화 되지 않아 인지적으로 불균형을 이루거나 불편한 상태 인지 구조(도식)의 수정, 즉 조절이 필요한 상태 불균형

(2) 피아제의 인지 발달 단계 (1)감각운동기(sensory motor stage): 0~2세 (2)전조작기(pre-operational stage): 2~7세 (3)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stage): 7~12세 (4)형식적조작기(formal operational stage):12세~

(1)감각운동기(sensory motor stage) • 생애 초기 몇 개의 반사적 행동(반사 도식)만을 가지고 세상을 이해하기 시작하는 단계 • 단순한 반사들이 감각 운동적인 도식으로 변화하여 환경을 인식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 • 그렇지만 순수한 정신적인 도식이 아직 없다

감각운동기와 대상 영속성 • 대상 영속성(object permanence)이란 .모든 대상들이 독립적인 물리적 실체로 존재하며 대상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시야에 보이지 않더라도 어딘가 계속 존재하고 사실을 이해하는 것 . 피아제를 이와 같은 개념이 생득적으로 타고난 것이 아니라 감각운동기 내내 조금씩 발달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전조작기(pre-operational stage) • 정신적 표상이 가능하다. • 상징적 사고의 시작 • 조작적으로는 생각하지 않는다. • 그 순간, 자기 중심적으로만 생각한다. • 자극의 어떤 한 측면(차원)에만 고착

전조작기와 보존 개념 • 보존 개념이란 어떤 대상이 외양이 바뀌어도 그 속성(양적 속성, 수, 부피)는 변화하지 않는다는 이해 • 외양과 한가지 차원에만 중심을 두어 머리 속으로 조작하는 능력이 없는 전조작기 아이들은 보존 개념 과제에서 실패한다. . 수의 보존 개념 실험 . 조망 수용 과제 (perspective taking)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stage) • 전 조작기에서 실패했던 과제에서 거의 성공 한다. • 조작들을 할 수 있다. :가역, 보상, 더하기 등등 • 그러나 아직 조작들이 모두 구체적인 수준에 머문다. • 추상적이고 가상적인 것에 대한 조작은 아직 불가능하다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stage) • 추상적인 사고의 발달 - 논리적 사고, 가설 검증이 가능하다. -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사고가 가능 - 실제 세계와 가능한 세계를 모두 포괄 할 수 있다. - 가능성,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사고를 할 수 있다.  청소년기의 자기 개념, 반향과도 관련

피아제이후의 인지발달 이론 ◆ 피아제 이론의 제한 점 들은 ? ◆ 피아제 이후의 인지 발달 이론들

피아제 이론의 제한점 • 단계 이론, 질적 변화의 문제 : Decalage 현상을 설명 못함. (같은 단계에서 같은 능력을 측정한다고 여겨지는 과제들간의 수행이 일치하지 않음.) • 문화와 같은 사회적 요인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 영아나 취학 전 아이들의 인지 능력을 너무나 과소 평가 했다.  측정의 문제 (능력 vs. 수행)

피아제이후의 이론 비고츠키의 이론 정보처리 이론 이론-이론의 이론

비고츠키의 이론1 • 사회, 문화가 아이들이 무엇을 어떻게 생각할 지를 결정한다. ex)attention management (<-> 피아제 이론) • 아동의 능동적인 역할뿐 아니라 성인과 함께하는 양방향적인 상호 작용을 강조한다. • 근접 발달 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 미래의 발달 수준에 맞추어진 성인의 도움이 인지 발달의 근원이다. ex) jigsaw puzzle 맞추기에서 부모의 역할

비고츠키의 이론2 • 성인의 역할을 거푸집에 비유함 (아이가 스스로 할 때 까지 버팀목이 되어주는 것) • 인지발달을 도와주는 도구를 강조 : 언어, 수 체계, 쓰기, 그래프, 상징물

정보 처리 이론 정보처리이론의 기본적 가정 - 인지과정이란 결국 :input(자극) black box(인지과정) output (반응)의 처리 과정 - 제한된 처리 용량 - 주의, 기억, 표상, 책략 등을 강조한다.

정보처리 이론에서의 인지 발달은 시간에 걸쳐 나타나는 정보처리 능력의 발달 변화 -처리 속도의 증가 (자동화의 증가와 관련) -지식 기반의 증가 -책략의 발달 -기억 폭 (한 순간 저장할 수 있는 기억 단위의 개수)

이론- 이론의 이론(child born as a scientist) • 영아들이 이론(지식, 개념, 규칙성, 제약 등)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주장 : 4 개월 영아에게도 대상 영속성이 존재 • 발달은 선험적으로 얻어진 이론을 펼치며 수정해 가는 것이다.

영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 방법 1. 심장 박동 측정 2. 뇌파의 측정 3. “looking”의 관찰 : 습관화 방법, : 기대 파괴의 방법(violation of expectation

◆ 학습이란 무엇인가? ◆ 여러 가지 학습 과정을 발달 과정과 관련 시켜 살펴본다 4. 학습 이론 ◆ 학습이란 무엇인가? ◆ 여러 가지 학습 과정을 발달 과정과 관련 시켜 살펴본다

학습이란 학습이란

고전적 조건 형성 Classical conditioning : 어떤 자극이 특정 반사행동을 일으키는 자극과의 연합으로 그 반사행동을 일으키는 자극으로 조작화되는 과정 : 고전적 조건화의 요소 - 무조건적 자극 Unconditioned stimulus (US): : 아무런 경험 없이도 반사 행동을 일으키는 자극 - 무조건적 반응 Unconditioned response (UR) : 무조건적 자극에 의한 반응 - 조건 자극 Conditioned stimulus (CS) : 조건화 된 결과로 반사 행동을 일으키는 자극 - 조건 반응 Conditioned response (CR) : 조건 자극에 의해서 일어나는 반응

파블로프의 발견(고전적 조건 형성의 예)

고전적 조건 형성의 주요 현상 획득(acquisition) 무조건 자극과 조건 자극간의 연합 소거(extinction)조건 자극이 무조건 자극이 동반하지 않은 채로 여러 번 반복되면 조건 반응이 사라진다. : 정말 사라지는 것 VS. 억압 자발적 회복(spontaneous recovery) 소거된 조건 반응이 오랜 시간이 지나면 다시 살아난다.

고전적 조건 형성과 발달 언어 언어 학습의 많은 면을 설명 : 예컨대, 우유= 공포학습 : Albert 의 흰색 털 공포 흰쥐 – 큰 소리 연합 신생아기 : 어머니를 보자마자 빨기 반사를 시작하는 현상

2)Skinner의 조작적 조건 형성이론 어떤 반응에 대해 체계적이고 선택적으로 강화를 해 줌으로써 그 반응이 다시 일어날 확률을 증가시키는 것. 행동은 그 행동의 결과에 의해서 통제된다는 것을 이용한 조건 형성의 방법 Skinner Box 행동 ->보상(긍정적 강화) -> 행동이 강화됨 예 ) 비둘기의 지렛대 누르기  먹이  더 많이 누른다

강화, 강화물, 정적 강화, 부적 강화 강화 (reinforcement) : 행동이 일어날 확률을 높이는 과정 강화물(Reinforcer) :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행동이 일어날 확률을 증가시키는 요인 - 정적 강화 Positive reinforcement: 그 강화물(주로 보상적)을 제공함으로써 반응의 확률을 증가시키는 과정 예) 미신적 행동 (시험보기 전날 구두 닦기) vending machine 두들기기 - 부적 강화 Negative reinforcement: 그 강화물(주로 혐오적)을 제거함으로써 반응의 확률을 증가시키는 과정 예) 숙제를 시작할 때까지 잔소리를 계속 하는 것

조성과 강화 계획 조성 (shaping) :목적 행동을 위하여 그 행동과 가까운 반응에 강화를 주어 점차적으로 근접해 가게 하는 것  예) 어려운 기술의 습득 강화 계획: 원하는 반응을 할 때마다 강화를 주는 것이 과연 효과적일까? - 연속적 강화 - 부분적 강화 : 고정/변동 간격(얼마간의 시간이 지나야) 고정/변동 비율 (몇 번을 해야만)

조작적 조건 형성과 발달 • 애착의 토대 : 영아의 미소  엄마가 웃음, 관심  더 잦은 미소 • 우는 행동  엄마의 다가옴  다시 반복 만약 엄마가 다가 오지 않는다면?

3) Bandura의 인지적 사회학습이론 - 반응수행과 이에 따른 보상이나 처벌이 없어도 새로운 학습이 가능하다. - 반응수행과 이에 따른 보상이나 처벌이 없어도 새로운 학습이 가능하다. - 다른 사람의 학습과정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학습이 가능하다. . 모델링(모방) (1) 관찰학습의 구성요소 . 주의- . 기억- . 운동재생- . 동기유발- (2) 상호결정론 (3) 자기 효능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