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 태양계내의 행성 공전주기 : 365일 5시간 48분 48초 자전주기 : 24시간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태양계 행성들의 특징. 수성 (Mercury) 첫번째 행성 지구의 1/3 크기 수성의 1 년 - 88 일 하루 - 59 일 수많은 분화구로 덮여있음 밤낮의 기온차 큼.
Advertisements

 과학  10 학년  Ⅴ. 지구 > 3. 태양계와 은하 > 4 / 9 행성의 표면과 대기의 특징은 어떻게 다른가 ? 행성의 표면과 대기의 특징은 어떻게 다른가 ?
목차  1. 태양계 구성요소  2. 태양계의 의미 태양 지름은 지구보다 109 배, 질량은 약 33 만 배로 태양계 질량에 99% 를 차지하며 2 억년 주기로 은하계 중심을 공전하는 항성이다. 태양에서 나오는 빛과 열은 생명체에게 도움을 주어서 옛날엔 신 ( 아폴론,
1. 2. C ontents Science curriculum ▶ 국가 경쟁력의 원천으로 창의적 인재 육성 방안 모색 - 수학, 과학 교육 강화를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 ▶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09.12)의 취지에 부합하는 창의 · 인성 중심의.
우연일까 ? 설계일까 ? 어떻게 보이나요 ? 만물은 어디에서 ? O 내가 땅을 만들고 그 위에 사람을 창조하 였으며 ( 사 45:12) O 이 모든 것이 다 내 손으로 지은 것이 아 니냐 ( 행 7:50) O 천지와 바다와 그 가운데 만유를 지은이 시요 (
태양계와 우주 제 9 주 2015 년 가을학기 우주는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 ? 컴퓨터시뮬레이션학과 이형원, 장영실관 304 호,
생태학개론 제 2 주제 : 조직의 계층구조. 1. 계층구조 계층구조 (hierarchy) - 구분된 요소들이 정돈되어 있는 일련의 계열 - 인간사회와 마찬가지로 생태계도 계층구조가 존재 - 생태계의 계층구조를 이해 → 유기체적 작용 ( 움직임 ) 을 이해.
Ⅱ. 태양계와 지구 Ⅱ-2. 지구 구성 원소와 지구계 2. 지구의 진화.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9 Part.3 지구의 형성과 진화.
Chapter 03. 자기 자신 이해하기 2011년 가을학기 IT대학 컴퓨터공학부 김권양 교수.
2016학년 1학기 공학윤리 Ethics for Engineers.
게놈 서열을 바탕으로 한 생명의 나무(Tree of Life)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자원과 환경 Ch. 5. 화석 연료
폴란드 데본기 중기의 지층에서 발견된 테트라포드의 발자국 화석
Ch.2. 토양(Soil): 여러 권역이 공존 상호 작용하는 곳 (다른 권역 간 계면의 존재)
3-4. 지열 에너지(geothermal energy)
미생물의 종류.
동의대학교 생명공학과 생물정화공학 폐 수 처 리 공 학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Disposal, and Reuse 9장 생물학적 단위공정 – (2) 변 임 규
Ch.4. 화석 연료와 환경 문제 화석 연료(Fossil Fuel)? 환경 문제 석유 천연가스 석탄
인류의 수월성 1. 직립활동 2. 두뇌의 발달: 지식 활용 3. 정보전달기술 발달: 정보의 전달과 축적
1-3. 지구의 탄생과 진화(2)
1-3. 지구의 탄생과 진화(1)
LMO 등급 분류 - 1) 미생물 또는 유래 유전물질
먹이사슬 제작 6-2한인희,김도윤 부족해도 잘봐주세요..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The Rise of Homo Sapiens Access to Earth’s Treasure Chest Permits a Planetary Takeover 박선연.
5-5.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일반적 의미: 지구가 따뜻해지는 것
 과학  1학년  Ⅳ.생명>1-3.광합성과 호흡(1/5) 광합성 수업계획 수업활동.
[2] 식품안전성 수업목표1. 수업목표2. 수업목표3. GMO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수 경 재 배 (Hydroponics).
생명 기술과 미래의 기술 VI 1 생명 기술의 세계 2 미래 기술과 통합 체험 활동 금성출판사.
지구온난화 보고서.
생명은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을까? 원시 지구에서의 화학적 진화 화학 반응식 쓰기.
유기지구화학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Ch.5. 동위원소 지구화학 정의 동위원소 Isotopes: 동중성자원소 Isotones: 동중원소 Isobars:
자원과 환경: 지구의 선물, 그 빛과 그림자 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유재영.
Ch.2. 지구: 물과 생명의 행성 From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제1장 생명체의 특성과 구성성분 식물인가 아니면 동물인가? 잎 모양의 바다용은 그 형태가 마치 주변의 해초를 흉내 낸 것처럼 주위환경에 절묘하게 적응하고 있다.
1-2. 과학의 발달과 생활.
우리가 만드는 new과천과학관 고유진 어성경 정석영 최윤송.
치과와 미생물.
(생각열기) 1족 원자는 전자 1개를 잃기 쉽다. 전자 1를 잃으면 어떤 이온이 되는가? ( )
3-5. 태양계와 행성(2).
다윈은 약육강식을 말하지 않았다 (거꾸로 생각해 봐! 2. 세상도 나도 바뀔 수 있어)
이산화탄소 총 배출량 억 톤 산업용 배출량 가정용 배출량
산성비가 자연에 미치는 영향 화학과 4학년 김민기.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6-3. 지질시대의 구분.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문화예술과 과학기술 충북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오 창 석.
제 19장 물의 오염도와 오염물질의 종류 김기호 정남진.
8. 생물농약의 이해 1.
제1장. 환경문제와 그 원인들 인류의 직면 문제 환경오염 사건 인간환경선언
과학 8학년 2학기 6. 지구의 역사와 지각변동 (2)지질시대와 화석 (4/15) 지질 시대와 화석.
광물과 광물학.
서산여고 김광욱  VI. 지 구  태양계 탐사와 별 끝.
생물막 (Biofilm).
생명의 기원5 화학진화 생물과학과 김동균.
대기오염 지구온난화 한지우.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CHAPTER 1 미생물과 미생물학.
II-2. 지구 구성 원소와 지구계 1. 행성의 대기와 에너지 보존
5-3. 화석 연료의 형성과 개발 화석 연료: 과거 생물의 유체가 지층 중에 묻혀 연료 화 된 것 석유 석탄 천연가스.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전문교양 DU생활설계(1)
Marine Biology (해양생물학)
Presentation transcript:

지구 : 태양계내의 행성 공전주기 : 365일 5시간 48분 48초 자전주기 : 24시간 공전주기 : 365일 5시간 48분 48초 자전주기 : 24시간 자전축 : 28ㅇ27’ (공전 괴도 면과의 기울기)

지구 공기(건조)의 조성 성분 분자(원자)식 용적(%) 질소(Nitrogen) N2 78.09 수성 : 없음 금성 , 화성 : CO2 목성 , 토성 : H , He 지구 공기(건조)의 조성 성분 분자(원자)식 용적(%) 질소(Nitrogen) N2 78.09 산소(Oxygen) O2 20.95 아르곤(Argon) Ar 0.93 이산화탄소 CO2 0.03 수소(Hydrogen) H2 5X10-5 기타 : Ne, He, Kr, Xe, O3, NH3, H2O2, I2, Rn, etc.

Life : An organismic state characterized by Capacity of metabolism, Growth, Reaction to stimuli, and Reproduction. (미생물, 식물, 동물)

The Five Kingdoms of Organisms 1. Monera : Bacteria (세균) 2. Protista : Protozoa (fragella) (First animals) 3. Fungi (진균, 곰팡이) 4. Plantae 5. Animalae ( Virus, Prion(광우병) )

생명체의 기원 화학적 진화: Oparin, Haldane, Muller 1. 자연발생설 Aristoteles (B.C 384-322) 2. 창조론 3. 우주 기원설 4. 진화론 화학적 진화: Oparin, Haldane, Muller 생물의 진화: Lamark, Darwin “ The origin of species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

생명체의 탄생 (유기화합물(Protein, DNA)의 합성) [ H2O, H2, CH4, NH3, etc, (-O2) ] + Energy

생명체의 탄생(화학진화)

The Five Kingdoms of Organisms 1. Monera : Bacteria (세균) 2. Protista : Protozoa (fragella) (First animals) 3. Fungi (진균, 곰팡이) 4. Plantae 5. Animalae ( Virus )

식 물 ( Plants ) :선태, 양치, 걷씨,속씨(쌍자엽, 단자엽)식물

동물(animals) 환형동물, 갑각류 파충류 (척추동물) 난생동물 태생동물 (포유동물)

인류의 진화 類人猿 : Dryopitheus species (2000만년) 猿 人 : Australophythecus specis(500만년) 原 人 : Homo erectus (160 ~ 300만년) 舊 人 : Homo sapiens neanderthalensis (25 ~ 30만년) 新 人 : Homo sapiens sapiens (3 ~ 1만년, 크로마뇽인)

인 류 의 진 화 원인 猿 人 原 人 舊 人 新 人

지구의 역사 생성 : 45억년 시(원)생대 : 35억년 Prokaryotes 15억년 Eukaryotes 고생대 : 5억 ~ 2.3억년 (석탄기) 중생대 : 1.9 ~ 1.1억년 (쥬라기) 신생대 : 1억 ~ 0.7억년

지구의 역사: 45억년 인류의 역사: 25만년 (H. sapiens)

생물 생태계 (Ecosystem) 생물권내 다양한 종의 생물체가 환경조건등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전체적인 질서가 유지되는 체제. 생물권내 다양한 종의 생물체가 환경조건등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전체적인 질서가 유지되는 체제. 생태계 환경 생물 기상 토양 (생물)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

탄소의 순환

생물계의 상호작용 1. 먹이연쇄(Predation) 2. 진화(Co - evolution) 3. 경합(Competition) 4. 공존적 상호작용( Symbiotic interaction) 기생(Parasitism) 편생(Commensalism) 공생(Mutualism)

Major environmental problems: 공기오염, 수질오염, 폐기물질(쓰레기), 식량공급부족, 생물다양성 축소

생물 생태계 (Ecosystem) 생물권내 다양한 종의 생물체가 환경조건등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전체적인 질서가 유지되는 체제. 생물권내 다양한 종의 생물체가 환경조건등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전체적인 질서가 유지되는 체제. 생태계 환경 생물 기상 토양 (생물)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

생태계의 특성 1. 폐쇄계 : Closed system. 2. 유한성 : Total Biomass. 3. 순환성 : Cycling. 4. 상호관련성 : Interrelationship. 5. 자기 조정 능력 : Homeostasis.

Ecological capacity, production capacity 인류의 문명활동과 지구의 생태학적 복원 능력 Ecological capacity, production capacity

생태계와 인간 2. 자원 의존적 존재. 3. 환경조건에 지배. 생산자 분해자 소비자 생태계의 관리자 : X 1. 생태계 구성요소. 2. 자원 의존적 존재. 3. 환경조건에 지배. 생산자 분해자 소비자 생태계의 관리자 : X 생태계에 의존하여 살아가는 인류 : O

1. 문화혁명 2. 농업혁명 3. 산업혁명 4. 지식혁명 인류문명의 발전 1. 원시 사회 2. 농경 사회 3. 산업 사회 4. 고도 산업 사회 1. 문화혁명 2. 농업혁명 3. 산업혁명 4. 지식혁명

Ecological capacity, production capacity 인류의 문명활동과 지구의 생태학적 복원 능력 Ecological capacity, production capacity

Sustainability of Human Civilization is Questioned in 21C

인류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