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수 당뇨 및 내분비질환 유전체연구센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죽음을 방관하시겠습니까 ? ” 신체활동부족이 어떤 결과로 다가올까 ? 북구보건소 운동처방사 사영훈.
Advertisements

제 56 차 미국 생물안전 프리컨퍼런스 참석 결과 교육기간 : ~10.20.
PRESENTATION EMBEDDED AND BIO DATABASE LAB YONSEI UNIVERSITY, XX JUNGRIM KIM.
휴먼게놈프로젝트와 컴퓨터 Human genome project and Computer science
1. IT 환경 변화 Ⅳ. 프로젝트 추진방안 기업이 당면한 다양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IT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기업 내 데이터 발생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IT 환경 변화는 단순 데이터가 아닌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급격하게.
(화) 나로고등학교 미래 과학 기술 전망과 이공계 진로 선택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환경교육과 교수 강형일.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3. 첨단 과학과 질병 치료 3. 생명을 위협하는 암.
바이오산업 Back on the Radar Screen
고성군민 기대수명 연장을 위한 중점추진 사업계획 고성군 보건소.
B형 간염 환자의 임상증례 . 안산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실 우성혜, 최정아.
Background  In the Helsinki policemen Study Hyperinsulinemia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all-cause and CV mortality independent of other risk factors.
전농축기와 MEMS 기반 박막 트랜스듀서 통합을 통한 고감도 폭발물 감지 Bio molecule을 이용한 폭발물 감지
α-Glucosidase Inhibitor
경희의료원 ADHD 환자 현황 및 처방분석 김인경0, 이은경, 홍혜정, 김남재, 경희의료원 약제본부 배 경 목 적 방 법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전반적 이해, 선별, 진단, 중재법
임플란트 환자의 효과적인 상담기법.
인공지능시스템 (Artificial Intelligent)
퇴행성 신경질환.
DynaMed-What is EBM -What is Evidence-Based Medicine ?-
ICH-GCP, KGCP의 배경 및 기타 관련 규정
.
08. 선천성 및 유소아 질환 1. 선천성 유전질환 1) 유전학적으로 본 병인의 분류
알코올사용관련 가정폭력 행위자의 특성과 치료적 개입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Bioinformatics for Genomic Medicine Do Kyoon Kim
99mTc-DMSA신장검사에서 ROI 설정 방법에 따른 정량분석 차이에 관한 연구
당뇨병 의학전문대학원 내과 김상욱.
윤리연구관련 ELSI 제도 - 운영경험을 중심으로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의 투석간 적정체중 유지를 위한 관리방안 최미정 경희 의료원 인공신장센터 안녕하십니까?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경희의료원 외래 환자의 항고혈압제 처방현황 및 처방분석
알칼리증(alkalosis)및 저혈당이 유산증(lactic acidosis)을 유발한 증례
유-헬스케어 U-Health Care.
Case Presentation 날짜: 장소: Sub-intern:.
Case Presentation 날짜: 장소: Sub-intern:.
바이오 보건산업 활성화를 위한 조직은행 추진방안
아이스랜드 경우:deCODE社의 전략 Iceland 아이슬란드 정부 & deCODE Genetics사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Micro Array 활용분야 발표자 : 김민정.
내시경 컨퍼런스 **내시경 질 관리 평가 소화기 내과 F1 박정은.
Department of clinical pharmacology
알레르기비염 치료를 위한 면역요법의 효과 김영기 이비인후과 김영기, 윤건식.
Global Nursing 환자안전과 의료분쟁 학생들에게 보여주는 슬라이드 지도교수 : 박 신 애.
Video Fluoro Scopy Study
I. Wellness : Life-Styles for Healthy Living
당뇨병에서의 C-peptide와 Insulin, Glucagon의 ratio 상관성
비소세포성폐암에서 MonoTotal™ 유용성 평가
체크포인트 안전과 사고의 일반적인 지식을 통해 안전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마음과 몸이 편안한 상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 안전과 생활 | 사고 예방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폐결핵 진단을 위한 분자생물학검사 유용성과 한계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유아 건강 ★ 해피 트리 ★.
Data Mining and Bioinformatics Lab
Bio의 시대 조동성 국립 인천대학교 총장.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중 증 환 자 보 고 서 2007년 1월 11일.
2010년 609병동 QI 환자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한 낙상 예방활동.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다음을 보고 이야기 해 봅시다. [제작의도] 학습 동기유발을 위한 화면이다. [활용방법]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4. 지역 문화의 특성 ① 다양한 지역 문화(1).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LT; 거골의 골연골 병변)
1차 약제에 감수성을 보인 폐결핵 환자에서 당뇨가 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
학부생 연구원 및 대학원생 모집 DataBio 연구실 (윤영미 교수님) 연구실 소개 연구 과제 모집 대상 혜택 모집 기간
Progress Seminar 신희안.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2주전 계획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노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AEP 어지럼증 한양대
2015년 만성 질환 관리 및 건강조사 전문가 FMTP Ⅱ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건강증진 전략 개발을 위한 이론.
Presentation transcript:

박경수 당뇨 및 내분비질환 유전체연구센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기술을 활용한 의료기술의 발전전망과 전략 박경수 당뇨 및 내분비질환 유전체연구센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http://www.ornl.gov/hgmis

Postgenome Technologies

신기술을 활용한 의료기술의 발전전망 신개념 진단법 예측의학 – 치료에서 예방중심으로 신기술을 활용한 의료기술의 발전전망 신개념 진단법 예측의학 – 치료에서 예방중심으로 맞춤치료 – 일률적인 치료방침에서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치료로

당뇨병의 관리 A씨는 최근 정기 신검에서 당뇨병이 의심된다는 이야기를 듣고 근처의 병원을 찾았다. 담당의사는 문진과 진찰후에 몇 가지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를 확인후 혈당조절 지침에 따라 식사, 운동 요법 및 약물요법을 병행하도록 하였다.

철저한 혈당조절이 당뇨병 합병증을 예방 또는 지연시킨다 철저한 혈당조절이 당뇨병 합병증을 예방 또는 지연시킨다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 Trial

A씨는 최근 정기 신검에서 당뇨병이 의심된다는 이야기를 듣고 근처의 병원을 찾았다 며칠후 A씨는 다시 담당의사를 만나 본인의 당뇨병이 “DM123”과 “DM205” 등 여러 개의 유전자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였으며, 합병증 발병과 관련된 감수성 유전자로 “R23”과 “K17”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신개념 진단법

담당의사는 유전자 검사결과로 볼 때 당뇨병에 의한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다른 당뇨병 환자보다 3배이상 높다고 하였다. 합병증 발생 위험 예측

맞춤 치료지침 및 맞춤 약제 선택 이에 따라 다른 당뇨병 환자보다 혈당조절의 목표를 더 엄격하게 조정하였고, A씨의 유전자 이상에 특이하게 작용하도록 개발된 혈당강하제와 합병증 예방약제를 선택하여 처방하였다.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약물유전학적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약제를 선택하였다. 맞춤 치료지침 및 맞춤 약제 선택

A씨 당뇨병의 유전적 원인이 밝혀짐에 따라 가족들도 유전자 검사를 받았고 그 결과 A씨의 큰 아들도 당뇨병의 고위험군으로 판정되었다. 이에 따라 잘못된 생활습관을 수정하도록 하였고, 유전자 이상에 의해 초래되는 대사이상을 교정하기 위해 개발된 약제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예측의학-고위험군 예방

FROM GENE FUCTION TO IMPROVED HEALTH Better Public Knowledge Support for Novel Approaches Structural Genomics Gene Function Gene/ Enviroment Interaction Model organisms Post-genome Technologies New Medical Technologies Social Factors in Health and Policy New Drug Diagnostic Target Understanding Disease Variability Understanding Response to Treatment Environmental Risk Factors Genetic Risk Factors Commercial Products Improvements in Clinical Practice More-effective Health Policy Better Public Knowledge about Health MRC, UK

BT/IT/NT 신기술의 발전 Sensitivity 증대 Faster Cheaper Nano scale 신소재 발굴

Bio Nanotech in Action

Bar code beads Tiny light-emitting crystals tucked into latex beads play tag with proteins.

FROM GENE FUCTION TO IMPROVED HEALTH Better Public Knowledge Support for Novel Approaches Structural Genomics Gene Function Gene/ Enviroment Interaction Model organisms Post-genome Technologies Translational and Patient Oriented Research New Medical Technologies Social Factors in Health and Policy New Drug/ Diagnostic Target Understanding Disease Variability Understanding Response to Treatment Environmental Risk Factors Genetic Risk Factors Commercial Products Improvements in Clinical Practice More-effective Health Policy Better Public Knowledge about Health MRC, UK

Postgenomic Era의 유전체연구 흔하고,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하여 보건사회적 영향이 큰 질환 유전적 배경은 강하나 원인을 못 밝힌 질환 한국인 고유의 특성을 가진 질환 복잡한 유전양식을 갖는 질환

Clinical Phenotyping이 필요한 이유 대부분의 주요질환 다인자성 임상적, 유전적 이형성 유전자 상호간 또는 유전자-환경 상호작용 질병의 자연경과 약물반응성

“The rate of discovery of susceptibility genes will depend on the quality of the patient and control populations, rather than being limited by the technical capacity to construct new, ordered, limited SNP maps” Postgenome Technologies Patient Oriented Research New Medical Technologies

질환군별 유전체연구 질병 Medicine + BT/IT/NT 유병율 감소 사회경제적 손실 감소 새로운 진단 및 치료기술 개발 보건사회적 중요성 유전적 요인의 기여도 유병율 감소 사회경제적 손실 감소 Medicine 새로운 진단 및 치료기술 개발 환자 유전체 확보 및 임상정보 DB구축 + BT/IT/NT 유전체 연구 환자를 직접 대하는 임상의사의 임상적 판단에 따른 표적 선정 예측의학 고속진단법 맞춤치료법 신약개발의 토대마련 SNP DNA chip Proteomics Bioinformatics

Multidisciplinary Human-Oriented Medicine Disease-Oriented Genomics Proteomics Bioinformatics Nanotechnology Multidisciplinary Human-Oriented Medicine Disease-Oriented 고위험군 예측 및 예방 신개념 진단법 맞춤치료 질병 정복 및 삶의 질 향상 복지사회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