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력클럽 2016 선상중력자료 및 해상중력모델을 이용한 동해 지역의 완전부우게 이상 계산 강원대학교 이동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학 습 목 표 1. 기체의 압력이 기체 분자의 운동 때문임을 알 수 있다. 2. 기체의 부피와 압력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기체의 부피와 압력관계를 그리고 보일의 법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Advertisements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1.3.1 원의 방정식. 생각해봅시다. SK 텔레콤에서는 중화동에 기지국을 세우려고 한다. 이 기지국은 중화고, 중화우체국, 뚝방에 모두 전파를 보내야 한다. 기지국은 어디에 세워야 할까 ? 중화동의 지도는 다음과 같다 원의 방정식.
우주공학 개론 손 명환 (Myong Hwan Sohn)
재료수치해석 HW # 박재혁.
경주 3코스 양반문화와 전통 다크호스 백 지연 다크호스 백지연 4학년.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물리 현상으로 본 지구 - 지구물리학 년 2학기 일반지구과학및실험 II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이훈열 교수
Terra MODIS를 이용한 Landsat 해수면 온도 보정
Entity Relationship Diagram
부산대학교 복합원격탐사 실험실 저고도 원격탐사를 이용한 해양 환경 관측
무선 11N Chariot throughput절차서
Hyperion 3조 조철희 전경미 김현준 이은선.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이훈열 참고: PG Steamer User’s Guide
디지털영상처리 및 실습 대구보건대학 방사선과.
일(Work)과 역학적 에너지(Mechanical Energy)
Fluorescence Correlation Spectroscopy
멀티미디어 시스템 (아날로그 이미지,신호를 디지털로 변환 방법) 이름 : 김대진 학번 :
상관함수 correlation function
602 LAB FDTD 를 이용한 Acoustic Simulation 지도: 이형원 교수님 차진형.
대기굴절률을 이용한 Arc-SAR 시스템의 위상보정
1-3. 지구의 탄생과 진화(2)
1-3. 지구의 탄생과 진화(1)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제4장 제어 시스템의 성능.
지구의 중력(16장) GRAVITY 중력이란 ? 지구가 잡아 당기는 힘 만유인력의 한 형태.
Initial Concepts for Modeling
원격탐사의 활용 - Mapping -.
DXA를 이용한 요추 팬텀 측정 시 연부조직의 두께와 골밀도 간의 상관도 분석 및 평가
우리나라 관할해역의 해상 중력 (자력) 이상도
흉부영상의 촬영조건과 화질평가 신구대학 방사선과3학년 조한상.김영국.문성호.
정다면체, 다면체와 정다각형, 다각형의 관계 한림초등 학교 영제 6학년 5반 송명훈.
BIC 사례 1 연관규칙과 분류모형을 결합한 상품 추천 시스템: G 인터넷 쇼핑몰 사례
밀도 (1) 부피가 같아도 질량은 달라요 ! 밀도의 측정 밀도의 특징.
기상 레이더 정보를 이용한 획기적인 LID시설 제어 방법 GIST대학 물리학부 정희원 GIST대학 기초교육학부 박연준, 기태윤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모형 설정 양동훈.
투팩 TPU 에어 목베개 DETAIL TWOPACK TPU AIR PILLOW 여행의 고수라면 꼭 챙기는 준비물
우리 지역의 공정여행 지도를 만들어볼까? - 우리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공정여행 지도-
4.4-3 대기 대순환 학습목표 1. 대기 대순환의 원인과 순환세포를 설명할 수 있다.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Ⅱ.부등식의 영역 1. 부등식의 영역(2/5) 부등식 영역 수업계획 수업활동.
P 직선상에서 속력이 일정한 운동.
3-5. 태양계와 행성(2).
3장, 마케팅조사의 일번적 절차 마케팅 조사원론.
네이버 CCL 도입 현황 및 계획 서비스정책센터 최인혁.
생각열기 – 옛날 인디언들은 들소를 사냥할 때 땅에 귀를 대고 들소의 발자국 소리를 들었다고 한다. 그 까닭은?
4장. 데이터 표현 방식의 이해. 4장. 데이터 표현 방식의 이해 4-1 컴퓨터의 데이터 표현 진법에 대한 이해 n 진수 표현 방식 : n개의 문자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표현 그림 4-1.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제 5장 제어 시스템의 성능 피드백 제어 시스템 과도 성능 (Transient Performance)
비열.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덴마크의 Herrzsprung과 Russell에 의해 고안된 태양 부근 별들의 표면온도와 절대등급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별들이 몇개의 무리로 분류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후에 이것이 그들의 이름자를 딴 H-R도가 되었으며, 별의 분류와 그 특징을 알아보는 중요한.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3-2. 지구의 크기.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시계열적 Landsat 영상에 의한 호수의 표면수온과 계절적 수직 온도구배 현상 분석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와 지역 센터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승보.
지구화학 및 실험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비교분석 보고서 Template 2015.
상관계수.
기체상태와 기체분자 운동론!!!.
7. 힘과 운동 속력이 변하지 않는 운동.
Week 4: 다변수(2변수) 데이터분석 5장_1(산포도: scatter plot) 동영상 1,2,3,4,5
Ice Flow of the Antarctic Ice Sheet
정삼각형을 정사각형으로 바꾸는 원리 탐구 하귀초등학교 6학년 고지상.
지질해양학 과제 최성진 이창진 박영재 이은선.
현지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현지조사(field working)란?
전류의 세기와 거리에 따른 도선 주변 자기장 세기 변화에 대한 실험적 고찰
Presentation transcript:

중력클럽 2016 선상중력자료 및 해상중력모델을 이용한 동해 지역의 완전부우게 이상 계산 강원대학교 이동하

목 차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II 연 구 내 용 완전부우게 보정의 방법 동해 지역 완전부우게 이상의 계산 연 구 내 용 완전부우게 보정의 방법 동해 지역 완전부우게 이상의 계산 결과의 비교 및 분석 III 결 론

Ch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배경 중력이상 중력이상의 활 용 중력이상의 종 류 지구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지오이드 상의 중력과 타원체 상의 정규중력과의 차이로 정의 중력이상의 발생 : 지하 이상체, 지각 구조 등에 기인한 중력효과 지구 내부의 밀도 불균등, 지각구조, 지오이드 모델 개발 등의 연구에 활용 측정된 중력값(지표면)에는 다양한 오차가 존재 : 측정오차, 타원체와 지오이드 간의 거리, 측정점과 지오이드 간의 거리, 지형의 형태, 지각의 밀도 등 보다 정확한 지구물리학적 해석 : 특정한 보정을 수행한 보정된 중력이상을 이용 보정을 위한 다양한 보정방법이 존재 -> 특별한 지구물리학적 특성을 나타냄 중력이상의 활 용 프리에어(Free-air) 이상 : 측정 중력값을 임의의 기준면, 통상 해수면의 값으로 환산한 중력이상 부우게(Bouguer) 이상 : 기준면과 측점 사이에 있는 물질의 인력에 의한 중력의 차이를 보정한 중력이상 아이소스타시(Isostasy) 이상 : 지각의 수평적 밀도 변화나 두께 변화를 보정한 중력이상. 표준중력식의 가정(지구 중심부터 거리가 같은 곳의 밀도는 모두 일정)을 지각평형설에 의해 보정 중력이상의 종 류

연구의 배경 측지학적 목적 : GVBP의 해결, 지질학적 해석 등 프리에어 이상 부우게 이상 해상에서 중력이상 활용의 문제점 ‘프리에어 이상’과 ‘부우게 이상’을 주로 사용 프리에어 이상 해양의 중력해석을 위한 표준으로 주로 이용 최근 정규표고체계를 이용하는 지역의 지오이드 모델 개발에 활발히 활용(Quasi-geoid 개념) 부우게 이상 육지의 지질학적 해석을 위한 표준으로 주로 이용 최근 해양부문에서의 활발한 이용 : 해저지형의 불규칙성 조사, 해저지형의 밀도 효과 산출 및 시각화 지형효과 보정방법에 따라 단순부우게, 완전부우게 이상으로 구분 해상에서 중력이상 활용의 문제점 광활한 해양에서의 중력측정을 위해서는 위성중력측정을 활용 위성중력측정 데이터 -> 해상중력모델(DTU13, Sandwell 모델)을 개발 -> 해상의 중력이상 제공 하지만, 해상중력모델에서는 프리에어 이상만을 제공하여 부우게 이상을 이용한 해상 지역의 정밀한 지구물리학적 특성 연구가 어려운 상태임

선상(KHOA), DTU13, Sandwell 모델 ETOPO1 Global Relief Model 연구의 목적 선상중력자료 및 해상중력모델의 프리에어 이상과 지형자료를 통해 동해 지역의 완전부우게 이상을 계산 및 분석 중력자료 : 선상(KHOA), DTU13, Sandwell 모델 지형자료 : ETOPO1 Global Relief Model 부우게 보정방법 : Bullard Correction 비교 및 분석 동해 지역에서 해상중력모델의 활용성 제시 6

Ch 2. 연구내용

완전부우게 보정의 방법 완전부우게 보정 Bullard 보정식 관측점에서 지형의 중력학적 인력의 영향은 3부분으로 구성 프리에어 이상에서 완전부우게 이상을 구하기 위해서는 이를 모두 보정하여야 함 Bullard(1936) : 각 영향을 계산하기 위한 수학적 방법(B.A, B.B, B.C)을 제시 Bullard 보정식 Bullard A (B.A) Correction (단순부우게 보정) Bullard B (B.B) Correction (곡률보정) Whitman 근사법(1991) 이용 : 4km 두께의 부우게 환에 대해 10-3mGal 정확도로 계산 가능 RT : 지구의 반경, Rd : 구면환의 범위(167km) * Hayford-Bowie 시스템의 외곽존 범위 * 무한 수평환과 구면환의 효과 간 차이 최소화

완전부우게 보정의 방법 Bullard C (B.C) Correction (지형보정) - 실제 관측점 주변의 지형에 의한 효과 : DEM과 같은 실제 지형의 형태 이용 - 매우 어렵고, 지루한 작업 : 최근까지도 지형보정을 위한 새로운 수치적 방법이 꾸준히 개발 - Fullea 등(2008)에 의한 새로운 방법 제시 : 보다 빠르고 정확한 지형보정량 계산 * Prism 방법에 기반한 지형효과 계산 시 Zone 별(외각, 중간, 내부)로 영향을 따로 계산 외곽존 범위 : 167km, 중간존 범위 : 20km 격자크기 : 4km(외곽), 2km(중간), 1km(내부) 특정 지역에 보다 고해상도의 DEM 존재 : 그 지역에 고해상도의 중간존 설정 가능 중간존 범위 20km(> 0.1 mGal 정확도) 9

동해 지역 완전부우게 이상의 계산 항목 기본사항(또는 Assumption) 선상중력자료 해상중력모델 표고(수심)모델 계산을 위한 기본사항 항목 기본사항(또는 Assumption) 선상중력자료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관측한 선상중력자료 이용 약 616,913 점 선정 (연구지역 내) 1996~97년 관측자료 (해양2000호) 해상중력모델 (Based on EGM2008) DTU13 모델 (해상도 1 min): 정확도 6.024 mGal (vs. 선상자료) Sandwell v23.1 모델 (해상도 1 min) : 정확도 5.998 mGal (vs. 선상자료) 표고(수심)모델 ETOPO1 모델(해상도 1 arc-min) : NGDC와 NOAA에서 개발 표고정확도(RMS) : 육상 18m, 해상 200m 부우게 보정방법 Bullard 보정방법에 기초 B.B : Whitman 근사법 B.C : Fullea 등(2008)이 제안한 Prism 모델 기반의 계산법 계산 Parameter 외곽존 범위 : 167km, 중간존 범위 : 20km 격자크기 : 4km(외부), 2km(중간), 1km(내부) 밀도 : 지형(2,670kg/m3), 해수(1,030kg/m3)

동해 지역 완전부우게 이상의 계산 (a) (b) 기초자료 (a) (b) (a) Distribution of shipborne gravity points (b) bathymetry from ETOPO1

동해 지역 완전부우게 이상의 계산 B.A 보정량 B.B 보정량 B.C 보정량 부우게 보정량의 계산 B.A 보정량 B.B 보정량 B.C 보정량 동해 지역의 Bullard 보정량(단위 : mGal) Corrections Min. Max. Mean Std. Dev. Bullard A -204.736 -19.976 96.853 50.066 Bullard B -26.326 22.538 -0.054 3.204 Bullard C -16.218 30.297 0.709 3.064

동해 지역 완전부우게 이상의 계산 자료별 중력이상 Sandwell 모델 DTU13 모델 선상중력자료

동해 지역 완전부우게 이상의 계산 (a) DTU13 Model (b) Sandwell Model 중력이상과 표고 간 상관관계 비교 프리에어 이상 : 표고와 비례관계 (수심이 낮을수록 낮은 이상값) 부우게 이상 : 표고와 반비례관계 (수심이 낮을수록 높은 이상값) 각 해상중력자료 모두 표고와 중력이상 간의 상관성을 잘 표현하고 있음 DTU13 모델 Sandwell 모델 (a) DTU13 Model (b) Sandwell Model

결과 비교 및 분석 가장 큰 완전부우게 이상값 : 수심이 가장 낮은 B 지역(>260mGal) 완전부우게 이상 비교 및 분석 가장 큰 완전부우게 이상값 : 수심이 가장 낮은 B 지역(>260mGal) 높은 이상값의 분포가 동해해분의 형태와 매우 유사하게 발생 울릉도 인근 및 동해해분 북동측 해구에서 두 모델 간의 다소 큰 차이 발생 - 차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 필요 -> 동해 지역에 적합한 모델 선정

(a) Shipborne – Sandwell 결과 비교 및 분석 자료 간 결과 비교 Grid Difference Min. Max. Mean Std. Dev. (a) Shipborne – Sandwell -29.357 34.692 4.256 5.998 (b) Shipborne - DTU13 -29.543 37.263 4.269 6.024 (c) DTU13 – Sandwell -6.797 7.477 -0.014 0.508

Ch 3. 결론

결론 1. 계산과정 정리 차량 MMS를 국가지리정보 구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2. 완전부우게 이상 계산결과 ETOPO1 모델의 1분 간격의 지형데이터를 이용하여 Bullard 방법에 기초한 부우게 보정량(B.A, B.B, B.C)을 계산하고, 이를 통해 동해 지역의 완전부우게 이상을 계산 보정량 계산을 위한 파라미터로 지형과 해수의 표준밀도 2,670㎏/㎥와 1,030㎏/㎥, 167㎞의 외부존 범위, 20㎞의 중간존 범위, 4㎞(외부), 2㎞(중간), 1km(내부)의 존별 격자크기를 설정 차량 MMS를 국가지리정보 구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2. 완전부우게 이상 계산결과 각 자료 모두 동해 지역에 대해 매우 유사한 중력이상의 분포를 보이고 있었으며, 계산된 각 중력이상이 표고(수심)과의 상관성을 잘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음 높은 부우게 이상의 분포 형태가 연구대상지역 중 수심이 상대적으로 깊은 동해 해분의 형태와 매우 유사(가장 큰 부우게 이상값 분포 : 가장 낮은 수심분포를 보이는 지역) 차량 MMS를 국가지리정보 구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18

결론 3. 해상중력모델 간 차이 분석 차량 MMS를 국가지리정보 구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4. 선상중력자료와의 비교 및 분석 DTU13과 Sandwell 모델 간 울릉도 인근과 동해 해분의 북동측 해구 인근에서 다소 큰 차이가 발생, 두 모델 간 차이에 대한 원인을 명확히 분석할 필요가 있음 차량 MMS를 국가지리정보 구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4. 선상중력자료와의 비교 및 분석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관측한 선상중력자료와 두 해상중력모델을 비교한 결과, 연구대상지역 전반에 걸쳐 자료의 해상도에 따른 다소의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 선상자료와 비교한 정확도는 두 해상중력모델 모두 매우 유사하나, Sandwell 모델이 상대적으로 조금 높은 정확도를 보이고 있음 완전부우게 이상 분포와 지질구조(특성)와의 상관성 파악을 위해 해양지질도 혹은 해저지질조사 자료 등과의 비교 필요 차량 MMS를 국가지리정보 구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5. 실제 밀도값 혹은 3D 밀도 모델 이용의 필요 실제 지형의 밀도가 아닌 전체적인 지형에 대한 표준값을 이용하는 경우에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완전부우게 이상을 왜곡 차량 MMS를 국가지리정보 구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19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