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신경&근육 박 주 완
전기생리학적 특징 막전위(membrane potential) 안정막 전위(resting membrane potential) 활동전위(action potential) 내재단백질(intrinsic proteins)
세포막의 구조 세포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내부환경을 격리 세포의 내용물을 둘러싸는 막 주요성분은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과 단백질로 구성
막전위와 관계되는 세포막의 구조 나트륨-칼륨 펌프 ICF 와 ECF의 조성차이 삼투의 영향으로 변화되는 내환경을 안정상태로 돌리는 역할 ATP를 사용한 능동수송 ICF K+ Mg 2+ 인산 단백질 ECF Na + Ca 2+ Cl - HCO 3-
이온통로(channel) 전위변화와 연접에서의 전달 이온통로의 선택성 이온통로의 개폐 Voltage-gated channel Chemically-gated channel
안정막 전위 근육 : -80~90mV 신경 : -70mV
활동전위 탈분극 재분극 과분극 절대불응기 상대불응기 가중 http://youtu.be/ifD1YG07fB8
활동전위의 전파 도약전도 http://youtu.be/mOgHC5G8LuI 랑비에르 결절(node of Ranvier)
신경근 이음부의 생리 Neuromuscular junction Nerve ending End plate Synaptic cleft Exocytosis Ach + receptor -> intrinsic protein의 변화
근수축기전 근원섬유마디(sarcomere) Actin + Myosin
운동단위 하나의 α-motor neuron과 이것이 지배하는 근육섬유들 근수축의 크기 – 운동단위의 수와 동원율 Fine movement Gross movement Size principle of recruitment (Hennenman principle)
Factors for Muscle function 단일 운동신경세포가 지배하는 근육섬유가 많을수록 자극에 대한 근육반응의 크기가 크다 축삭의 굵기가 굵을수록 활동전위의 전도속도가 빠르다 동시에 활성되는 운동단위가 많을수록 근수축 반응이 크다 운동단위의 활성빈도가 클수록 근수축 반응이 크다
근 섬유의 유형 Ⅰ type – slow twitch oxidative Ⅱa type – fast twitch oxidative glycolytic Ⅱb type – fast twitch glycolytic 안정근(stability muscle) 자세유지근(postural muscle) 운동근(mobility muscle) 위상근(phasic muscle) 긴장근(tonic muscle) 비자세유지근(Nonpostural muscle) SO FG
근 수축의 역학 근 장력은 운동단위의 활성빈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근 장력은 활성 되는 운동단위의 수가 많을수록 증가한다 근 장력은 많은 근 섬유를 지배하는 운동단위의 동원일 수록 증가한다 근 장력은 교차결합이 많이 형성될수록 증가한다 근 장력은 횡단면적이 큰 근육일수록 증가한다
수동적 근 장력 비 수축성 요소들에 의한 장력 전체장력 = 능동장력 + 수동장력 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근육길이와 장력과의 관계
근 수축 속도와 장력과의 관계
4. 말초신경계 구성 신경막 말이집과 신경집 Endoneurium Perineurium Epineurium Myelin Node of Ranvier Schwann cell
신경섬유 신경섬유의 굵기와 전도속도 A fiber B fiber C fiber (group Ⅳ) Aα (group Ⅰ)
신경 변성과 재생 순행변성 역행변성 재생 (Regeneration) Wallerian degeneration Anterograde degeneration 축삭 먼저 소실, 신경집 소실 역행변성 Retrograde degeneration Nissl’s body – chromatolysis 재생 (Regeneration)
말초신경질환 말초신경손상 분류 Seddon의 분류 Schaumberg Neurotmesis Axonotmesis Neuropraxia Schaumberg Class Ⅰ Class Ⅱ Class Ⅲ
말초신경 손상에 의한 문제점 감각장애 근육 약화와 마비 혈관운동 장애 관절과 연부조직 장애 Negative phenomena Positive phenomena 근육 약화와 마비 혈관운동 장애 관절과 연부조직 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