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년 섬유산업 활동실적 및 '07년 전망 2007. 1. 4 한국섬유산업연합회.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Fly Incheon Airport. 연혁 / 부지조성공사 착공 / 인천국제공항 개항 / 2 단계 건설 완료 및 운영 개시 / 해외사업.
Advertisements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수출 ( 이전기업 ), 용역수출 ( 외국인면세점 ) 도 포함하는 광의 개 념 수출 ( 이전기업.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한국 섬유산업 및 해외투자 현황 통상마케팅팀 팀장 김부흥. 1 목 차 1 1 한국 섬유산업 현황 2 2 한국 섬유산업 해외투자 현황.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법조분야의 국제화와 전문화 국내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법률서비스 제공 일부 국내 대기업들은 국내 기업들이 아니다 (?) [ 삼성전자, 현대 자동차, LG 전자 등 ]
Google, Apple, Amazon 의 2012 년 2 분기 실적 분석과 하반기 전망  지난 7 월 대표 인터넷 기업 Google, Apple, Amazon 의 2012 년 2 분 기 실적이 발표된 가운데, 3 社 모두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증가했지만 실제 사업.
세계 스마트폰 시장 현황 및 당사 매출 분석 보고서 전략기획팀 이상훈 팀장.
2004 년 3/4 분기 경영실적 설명회 ( 금 ) 동부제강㈜. 본 자료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작성된 것으로 일부 내용은 회계감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년 10 월 STS 통계 년 10 월 STS 생산, 판매동향  STS HR 을 제외한 냉연, 선재, 후판은 생산 및 판매 전년동월비 증가  STS CR 생산 (TCM 포함 ) : BNG, 대한전선의 생산증가, 중소업체.
1. Ⅰ Ⅱ Ⅲ 국부고용창출 농림수산식품 산업의 선진화로 국부와 고용을 창출 자원관리 효율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자원관리 효율화 국격제고미래준비 G20,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격제고와 미래준비 경영혁신 소득증대 체질개선 미래준비 안전식품.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I I II III IV 목 차 I I 1. 인터넷의 어제와 오늘 Pre-Web 시대 Web 시대 Mobile & Social Internet 시대.
사업 요약서 ㈜티엠바이오 ○ 패건전지 재활용에 대한 관심 증가 ▶ 패건전지를 활용한 다양한 재활용 사업 등장 - 패건전지 활용 벽돌 생산 업체 등 ▶ 패건전지 활용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재활용 기술의 장벽으로 기존 사업의 경우 저수익의 사업 구조를 가짐 ○ ㈜티엠바이오.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2003 년 ¼ 분기 경영실적 April, 본 자료는 2003 년도 ¼ 분기 실적에 대한 외부 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 서 투자자 여러분의 편의를 위하여 작성된 자료입니다. 본 자료의 내용 중 일부는 회계감사 과정에서 달라질 수 있음을 양지하여.
ICT 기반 베이비붐 세대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목차 1. 창업 동기 2. 지원 동기 3. 자체역량 분석 4. 시장 전망 5. 재무 분석 6. 창업자 및 경영진 준비하시는 사업 특성에 따라 목차 및 세부내용의 일부 변경 ( 추가 및 Skip) 은 가능합니다.
HRD 목표 HRD 전략 HRD 실행과제 HRD 실행계획 Human Centered Process/SystemDevelopment 체계적 육성과 지속적 관리를 통한 인적가치 극대화 소통과 신뢰 투명하고 공정한 인간중심 문화 HRD ERP 구축 성과 역량.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2 차 전지 성장성과 수익성은 지속 2010 년 IT 용 2 차 전지 시장은 전년대비 15% 성장 예상 스마트폰 및 넷북 수요 확대로 소형 2 차전지 수익성 지속 모멘텀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확대 애플 아이폰 출시와 같은 스마트폰 수요증가 다음주 애플 테블릿 PC.
2. 일반 현황 □ 코스피 □ 코스닥 □ 비상장 업체명 주 소 상장여부 업 종 주요품목 대표자 성함 :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베트남의 문화 & 경제 경영학과 김태성 경영학과 김시홍 벤쳐중소 전석곤 정통전공 송성식 전기공학 박주영 경제학과 서준영.
아모레퍼시픽과 IT기술 아모레퍼시픽에서 쓰이는 IT기술.
주간 자산관리 전략( ) Wealthcare센터 서경덕 차장.
로컬 푸드에 이어 로컬 에너지 시대로! 중앙집중형 지역자립형 발전소 수명 연장 분산화된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의사소통과 통제향상
COMAR사업_3차년도 국가표준물질 수요조사 (화) 김윤배.
LS네트웍스 상세모집요강 1. 채용 직무 및 세부 업무
두뇌유출지수 경영학부 홍석민.
2005 1분기 경영설명회 ㈜ 세아베스틸.
구조조정(restructuring)의 필요성
1. 회사 소개 인사말 재무 계획 3 예상 소요 비용 인력 운용 계획 예상 매출 예상 손익계산서 수익성 분석 자금 조달 계획.
기 업 설 명 회 보 령 제 약 2003 년 2월.
- 사업의 수익증대와 마케팅 자질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 Ⅱ. 환경분석 - 거시환경분석
한국제약산업 현황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기업전략 三 星 電 子.
제약산업 시장동향 (주)성우인터켐 윤 재 헌 대표이사 2001년 12월 6일.
기업 경영전략의 의의 경영전략 기업경영전략의 요소 확인 전략수행과 달성 기업의 모든 자원인 물적, 인적자원과 능력, 환경적인
섬유패션 산업의 경쟁력 강화대책 (월).
거시경제학 강의 1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중국 대형업체 : up to 9 % 영업이익 한국 업체 : 10 ~ 35 % 영업손실
?blogId=babiana_she&logNo=
/foreign/others/newsview ?newsid= 보도 : 미국 뉴욕타임스(NYT)
UNISDR ONEA-GETI 안내.
※ 2007년 경영방침의 중점추진사항에 따라 설정한 부서의 경영방침중점추진계획을 4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여 작성.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발표평가 자료 작성 유의사항 각 페이지의 작성 TIP을 참고하여 내용 기재 (총 20페이지 이내, 발표시간 약 10~15분)
제16장 투자 제1절 토빈의 q이론 제2절 옵션이론 제3절 건축투자 제4절 재고투자 제5절 맺음말.
제3장 스포츠 산업.
회사소개 리사.
OECD 평균 한국
1. 인력계획 1) 인력 계획 프로세스 사업계획 인력계획 과부족 비교 인적자원 수요 예측 가용 인적자원 예측 과잉인력 적정인력
대 남 학 영 교 Y E T U S N R G V I A M 신소재가 변화시키는 미래사회 (복합 재료)
마케팅 4. 우리회사의 마케팅,고객관리,홍보전략 MD상대-상품의 다양성 (3가지 포장방법 - 70여종 - 250개)
서울건해산물㈜ 겸영사업 내용
2002 3/4분기 실적.
㈜엔프라넷.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국민 의식의 변화 사회 환경의 변화 업무 효율성 제고 행정수요의 증가 다양한 정보 요구 신속한 정보 요구 국민 의식의 변화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정부 구현 정보화사회 도래 도면관리의 비효율 수작업 도면관리.
한국의 물류현황 분석 한국 통운㈜ 김대현.
3조 중독 팀 류성현 김현철 백영아 김용준 강윤호 조옥래 장재동 강효선
년 11월호 영업현황1p 요약 재무제표 4p 주가동향 6p.
에너지 공학 제 5장 PRESENTATION 에너지 소비량의 CROSS-CHECK CNU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4. 지역 문화의 특성 ② 문화 행사와 관광 산업의 효과.
2002년 상반기 기업설명회 Investor Relations
FBAR capping wafer 제작 기술
Signal vs. Noise 차 영 주 와이즈경제연구소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1. 중요불량 개선대책 현황 품확 방안 고객 불량율 감소 방안 순 발생처 현상 / 원인 개선대책 일정 비고 1 2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생산 부문의 테마선정 착안사항 구 분 관 리 항 목 관 리 기 준 비 고 원가절감 인건비 인원/인건비
Presentation transcript:

'06년 섬유산업 활동실적 및 '07년 전망 2007. 1. 4 한국섬유산업연합회

Contents 1 섬유산업 활동 실적 2 세계 섬유산업 동향 3 섬유산업 경기전망 4 섬유산업 현황 및 당면과제

1 섬유산업 활동 실적 ’06년 섬유산업 주요 이슈 1 ’06년 섬유산업 수급동향 2

1. ’06년 섬유산업 주요 이슈 원화환율 급락과 고유가 등으로 업계의 채산성 극도로 악화 - 수익성 악화에 따른 영업이익 감소, 화섬직물업체의 적자운영 및 장기불황 지속 세계적인 공급과잉과 중국의 물량공세 등으로 업계 구조조정 지속 - Huvis 수원공장 폐쇄(1월), HK 가동중단(3월), 동국무역 구미1공장 중단(4월) 등 중국, 인도의 세계 섬유시장 잠식과 FTA 로 인한 무역 블록화 - 중국, 인도의 높은 성장세 지속, 한-ASEAN FTA, 한-미 FTA, NAFTA, CAFTA, 등 섬유패션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업계의 구조혁신전략 추진 구조혁신을 위한 111개 과제 도출과 섬유특별법 국회 상정 -섬유특별법 제정 촉구를 위한 100만명 서명운동 실시

2. 섬유산업 수급동향 - 총괄 ’06년 (추정) ’05년 (실적) ’04년 구 분 18.5 8,020 6.4 6,765 7.8 6,359 수 입 (백만불) △5.2 13,221 △8.2 13,946 △0.4 15,192 수 출 △9.0 1,624 △5.3 1,785 △8.0 1,884 내 수 (천톤) △12.8 2,048 △10.7 2,347 △9.4 2,630 생 산 증감(%) 주) 생산, 내수는 섬유사 기준

2. 섬유산업 수급동향 – 생산, 내수 생 산 내 수 세계적인 공급과잉과 과당경쟁 지속 등 업계 구조조정 지속으로 크게 감소 - (’05년) 2,347천톤 △10.7% → (’06년) 2,048 천톤 △12.8% 생 산 경기침체와 다운스트림 업계의 경쟁력 약화로 내수 소비가 크게 감소 - (’05년) 1,785천톤 △5.3% → (’06년) 1,624천톤 △9.0% 내 수

2. 섬유산업 수급동향 – 생산, 내수 섬유 수급 추이 (’96-’06) 주) 섬유사 기준

2. 섬유산업 수급동향 - 수출입 수 출 수 입 환율 하락, 원자재가 상승, 중국 등 후발개도국과의 경쟁 심화로 인한 가격경쟁력 악화로 수출 감소세 지속 - (’05년) 13,946백만불, △ 8.2% → (’06년) 13,221백만불, △ 5.2% 수 출 국내 생산기반 약화에 따른 해외소싱 확대, 저가제품 유입으로 대폭 증가 - (’05년)6,765백만불 6.4% → (’06년) 8,020백만불 18.5% 수 입

2. 섬유산업 수급동향 - 수출입 섬유류 수출입 추이 (’96-’06) 쿼터폐지

2. 섬유산업 수급동향 - 수출 주요국별 섬유류 수출 추이 (’96-’06)

2 세계 섬유산업 동향 세계 섬유산업 현황 1 주요국의 섬유류 수출입 현황 2

1. 세계 섬유산업 현황 세계 섬유무역은 쿼터폐지와 WTO DDA, FTA 등으로 확대 지속 세계 섬유무역 추이 - ’05년 세계섬유 무역은 5.3% 성장, 중국, 인도, 동남아 등 후발국 높은 성장 기록 - Life Style 변화 및 신소재의 개발 등으로 세계 섬유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 세계 섬유무역 추이 세계 섬유류 수요 전망 ’00 ’05 ’10 단위:백만톤 16,7 19,7 53,1 62,8 23,8 73,8 연3.3% 신장 전체섬유 산업용섬유 연4.2% 신장 연14.1% 신장 나노섬유 159억불 308억불 단위:백만톤 단위 : 억불, % ’00 ’05 품목  '00  '03  '04  '05   증감 '00-'05 섬유 의류 1,570 1,978 1,737 2,326 1,954 2,591 2,030 2,756 3.9 6.4 5.3 6.9 계 3,548 4,063 4,545 4,786 6.2 전체섬유 73,8 16,7 19,7 53,1 62,8 23,8 연3.3% 신장 산업용섬유 연4.2% 신장 연14.1% 신장 나노섬유 159억불 308억불 ’10 자료 : WTO 자료 : PCI

1. 세계 섬유산업 현황 산업용 섬유, 나노섬유 및 슈퍼섬유 등 기술혁신이 가속화 산업용 Hi-tech 섬유는 대체소재로서 급신장 추세

1. 세계 섬유산업 현황 섬유/의류 자유무역 확산 섬유/의류 부문 자유무역 확산 섬유쿼터제의 폐지 FTA 확산 2005년 1월 섬유쿼터제 전면 폐지로 섬유교역 완전 자유화 FTA 확산 후발개도국의 성장 중국 : 섬유수출 연 23.6% 성장 수입의류의 급속한 국내시장 잠식 FTA에 따른 자유무역 확산 및 지역 블록화 경향 섬유/의류 자유무역 확산 수입·환경 규제 강화 반덤핑 발동건수 증가 추세 EU 중심의 환경 규제 (ECO, REACH) 강화

1. 세계 섬유산업 현황 세계 섬유수출에서 중국의 세계시장 잠식 가속화, 인도의 부상 주요국의 섬유/의류 수출현황 (’05) - ’05년 현재 중국은 세계 섬유/의류 수출의 32.7%를 차지, 인도의 급성장 - 우리나라의 경우 저임금 후발개도국의 부상으로 세계시장 점유율이 지속 하락 (한국의 세계시장 점유율 : ’90 (6.6%) → ’00 (5.0%) → ’02 (4.2%) → ’04 (3.1%) → ’05 (2.7%) 주요국의 섬유/의류 수출현황 (’05) 단위 : 백만불, % 구  분 세 계 중국 EU 터키 미국 인도 한 국 섬유소재 202,966 (100.0) 54,880 (27.0) 67,977 (33.5) 7,068 (3.5) 12,379 (6.1) 7,850 (3.9) 10,391 (5.1) 의류제품 275,639 101,455 (36.8) 80,354 (29.2) 11,818 (4.3) 4,998 (1.8) 8,290 (3.0) 2,581 (0.9) 합 계 478,605 156,335 (32.7) 148,331 (31.0) 18,886 17,377 (3.6) 16,140 (3.4) 12,972 (2.7)

2. 주요국의 섬유류 수출입 현황 ’06.10까지 미국의 섬유류 수출은 1.3% 증가, 수입은 3.4% 증가 - 중국, 인도의 높은 수출 증가율 지속,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지속 감소 추세 미국의 섬유류 수출입 현황 (’06.1~10) 단위 : 백만불, 전년대비% 구분 사 직물 의류 기타섬유제품 섬유계 수출 1,540(18.3) 6,768(△1.9) 3,685(△2.2) 2,097(7.9) 14,089(1.3) 수입 1,484(△3.2) 5,861(△1.4) 63,040(2.8) 13,659(9.5) 84,043(3.4) 수지 56 907 △59,355 △11,562 △69,954 미국의 주요국별 섬유류 수입현황 (’06.1~10) 단위 : 백만불, 전년대비%, 점유율 세계 중국 멕시코 인도 홍콩 한국 84,043(3.4) (100) 24,958(11.4) (29.7) 6,078(△9.6) (7.2) 4,286(10.3) (5.1) 2,592(△12.9) (3.1) 1,493(△13.3) (1.8)

2. 주요국의 섬유류 수출입 현황 EU 25의 섬유류 수입은 8월까지 11.7% 증가한 534억 유로 - 중국의 증가율이 둔화된 반면, 인도, 방글라데시 등으로 부터 수입이 급증 EU 25의 섬유류 수입 현황 (’06.1~8) 단위 : 백만유로, % 전 체 중국 터키 인도 방글라데시 홍콩 한국 53,379(11.7) 14,922(5.4) 4,243(5.2) 4,243(18.4) 3,191(34.8) 1,950(221.6) 720(5.6) 중국의 섬유류 수출은 8월까지 24.7% 증가한 914억불 기록 - 선진국 규제와 증치세 인하 등 불리한 여건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출 증가세 지속 중국의 섬유류 수출 현황 (’06.1~8) 단위 : 백만불, % 전 체 EU 25 미국 홍콩 일본 루마니아 한국 91,361(24.7) 14,459(10.9) 12,818(5.7) 11,728(23.9) 11,727(7.7) 3,440(697.3) 3,254(35.7)

3 섬유산업 경기전망 ’07년 섬유산업 활동 여건 1 ’07년 섬유산업 수급전망 2

1. ’07년 섬유산업 활동 여건 원화강세 기조 지속, 원자재가격 상승, 소비침체로 섬유경기 부진 - 수출경쟁력 약화와 경기불투명에 따른 소비침체, 저가제품 유입 급증 예상 세계적인 공급과잉에도 불구하고 후발국의 설비증설 지속 - 중국, 인도 등 후발국의 설비증설과 대규모 투자로 아국산 소재 수요 감소 예상 중국, 인도 등 후발국의 세계시장 지배와 베트남의 급성장 예상 - 중국, 인도의 세계시장 지배와 WTO에 가입한 베트남의 급성장 예상 국내설비 노후화와 신규투자 부진에 따른 생산 효율성 하락 우려 - 채산성 확보를 위한 고부가제품 위주의 생산체제 전환으로 구조조정 지속 전망 의류용 섬유제품의 경쟁력 상실로 고부가, 고기능 섬유 확대 예상 - 흡한속건, 난연, 메모리 섬유 등과 홈텍스타일 및 산자용 제품의 수요 확대

2. ’07년 섬유산업 수급 전망 생 산 내 수 대외여건 악화와 수익성 고려한 생산부문 구조조정 지속으로 감소세 지속 - (’06년) 2,048천톤 △12.8% → (’07년) 1,923 천톤 △6.1% 생 산 국내 경기 침체 지속과 국내 생산 축소, 수입제품 증가로 내수 소비 감소 - (’06년) 1,624천톤 △9.0% → (’07년) 1,575천톤 △3.0% 내 수

2. ’07년 섬유산업 수급 전망 수 출 수 입 환율 등 대외여건 악화 추세 지속과 후발국의 세계시장 잠식 가속화로 인한 경쟁력 약화로 감소세 지속 - (’06년) 1,3221 백만불, △ 5.2% → (’07년) 12,500백만불, △ 5.5% 수 출 해외소싱 확대와 해외브랜드 도입 증가, 저가제품 유입으로 증가세 지속 - (’06년) 8,020백만불 18.5% → (’07년) 8,780백만불 9.5% 수 입

4 섬유산업현황 및 발전과제 섬유산업 현황 1 섬유산업의 발전과제 2 기타 현안사항 3

경제적 위상(’04년) 세계 시장 점유율(’05년) 1. 섬유산업 현황 – 국민경제적 위상 생 산 39조원 (4.9%) 부가가치액 16조원 (5.4%) 기업수 17,343개 (15.3%) 고 용 295천명 (10.5%) 수 출 액 (억불) 점 유 율 (%) 구 분 세 계 4,786 1,563 1,483 189 174 161 130 100 32.7 31.0 3.9 3.6 3.4 2.7 중 국 E U 터 키 미 국 인 도 한 국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 자 료 : WTO

섬유산업 현황 – 기술수준 기 술 수 준 선진국 대비 원사 원단 염색·가공 패션 ·의류 화섬 약 80%, 방직 약 70% 수준 산업용 원사 약 60``% 수준 직·편물 65% 수준 - 신규상품 및 부가가치 제품 개발력 낮음 기 술 수 준 선진국 대비 패션 ·의류 염색·가공 원단 원사 75% 수준 - 염료조제`,`복합가공, 에너지 절감기술 취약 약 80% 수준 - 패션·디자인 R&D 능력 취약

섬유산업 현황 – 패션 디자인 기술수준 ◇ 섬유패션산업의 부가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패션디자인 능력 취약 - 디자인 수준, 브랜드 이미지, 마케팅 능력 등 패션디자인 기술력 낙후 - OEM방식 위주의 생산체제로 선진국 제품의 모방수준 100 90 80 60 이태리 프랑스 미국 일본 한국 대만 (단위 : 지수) 패션디자인 경쟁력

섬유산업 현황 – 당면과제 ◇ 생산설비 노후화 ◇ 첨단제품 개발능력 열위 ◇ 패션·디자인 개발력 취약 ◇ 인력부족 심화 ◇ 통상대응 및 수출 확대 ◇ 업종별로 면방 52.2%, 모방 46.2%, 직물 25.8%, 의류 50.0%가 15년 이상된 노후설비 보유 * 설비 자동화율은 선진국 대비 35∼55% 수준 ◇ 범용 생산기술은 선진국의 90% 수준이나 첨단 신소재 개발 및 제품화, 응용기술은 선진국의50∼60% 수준에 불과 * 신 소 재 : 고감성·고기능성․산업용 분야 취약 * 가공기술 : 교직물, 신합섬 등의 염색가공분야 취약 ◇ OEM 방식의 생산위주로 선진국 종속 및 모방수준 * 고부가가치 패션의류 수출비중은 10% 수준 ◇ 이공계 기피, 생산직에 대한 낮은 인식으로 인해 산업현장에서 전문 기술인력 부족 심각 * 섬유공학기술자 12.6%, 패션디자이너 2.5%가 부족 ◇ FTA 확산, 각국의 수입규제 강화로 수출환경 악화 및 불공정 섬유수입 급증으로 국내 산업의 피해 확산 * 전세계 FTA 193건, 섬유류 수입규제 피소 27건

섬유산업 현황 – 성장잠재력 세계 6위의 섬유수출 공급기지 수출 마케팅 기반 확대 세계수준의 IT, NT, BT기술 보유 New Frontier 확보가능 고기능성 산업용 섬유의 수요증대 세계수준의 IT, NT, BT기술 보유 원료에서 제품생산까지 균형적인 산업구조(Stream-Line) 보유 60년간의 축적된 품질 및 공정기술 세계 6위의 섬유수출 공급기지 120여개국에 구축된 마케팅 거점 주요 교역국과의 FTA 체결 증대 수출 마케팅 기반 확대 독창적 감각이 우수한 국민성과 패션인력의 활용 기회 동북아 중심지의 지정학적 위치 문화적 우수성과 유리한 지리적 위치

구조개선 기술혁신 국제통상 디자인 마케팅 인재양성 2. 섬유패션산업의 발전과제 – 구조혁신전략 추진 산업자원부 “2015 산업 발전 비전과 전략” 을 섬유·패션산업 차원에서 차질없이 수행하기 위한 Action Plan을 제시 구조개선 기술혁신 국제통상 디자인 마케팅 인재양성 5대 핵심분야 ’05년 6월~’06년 3월까지 10개월간 산학연 전문가 150명이 참여하여 기업현장의 목소리를 담는데 주력

섬유·패션산업의 구조혁신을 위한 111개 혁신과제 발굴 2. 섬유패션산업의 발전과제 – 구조혁신전략 추진 섬유·패션산업의 구조혁신을 위한 111개 혁신과제 발굴 구조혁신 활성화 고비용·저효율 구조를 개선하고 구조고도화를 추진하기 위한 제도개선, 스트림간 협력사업, 인재양성 등 30개 과제 유망분야 경쟁력제고 IT, BT, NT 등과 접목된 고기능성 및 첨단 섬유, 산업용 소재 등 기술 혁신 분야의 76개 과제 해외마케팅 촉진 해외시장별 유통정보망구축, 신흥시장 개척, 국산제품 홍보강화를 통한 해외마케팅 촉진 등 3개 과제 글로벌 브랜드구축 패션디자인 및 브랜드 개발지원, 기반구축, 글로벌 디자이너 양성 사업 등 섬유제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2개 과제

2. 섬유패션산업의 발전과제 – 구조혁신전략 추진 ’06.3월 섬산련은 5대 혁신분야의 구조혁신전략을 마련하고 정부지원을 요청 산업자원부 “2015 산업 발전 비전과 전략”과 통합하여 111개 실행과제로 조정 산자부와 섬산련은 구조혁신전략 실행을 위하여 T/F팀을 구성하여 실천방안을 마련 - 산업정책 적합성, 정부 및 민간의 가용역량 등을 고려, 기 도출된 과제의 통합 재구성 - 섬유산업의 구조혁신 활성화 (3,245억원) 전략적 해외 마케팅 촉진 (1,731억원) 미래 유망분야의 경쟁력 제고 (10,253억원) 패션디자인 글로벌 사업 (2,926억원) 발 전 전 략

2. 섬유패션산업의 발전과제 – 발전비전 섬유수출 확대 (’05년 139억불→’15년 250억불), 세계 일류 섬유ㆍ패션 강국으로 재도약 파 급 효 과  ` 2005년 2015년 □ 섬유수출 139억불 250억불 □ 세계 섬유수출 시장점유율 3.0% 3.7%   ⋅섬유생산액(십억원)   ⋅고용(천명)   ⋅산업용 섬유 비중 확대   ⋅패션제품 비중 확대     ⋅글로벌 패션의류 브랜드 보유 39,197 295  25% 10% 0개 56,460 483 55% 30% 3개

2. 섬유패션산업의 발전과제 – 파급효과 생산유발효과 : 연평균 생산 2.5% 신장 경쟁력 향상 구조혁신전략 투자액 *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투입산출팀의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파급효과 2조 9,897억원 구조혁신전략 투자액 직접 생산유발효과 6조 2,856억원 증가 10조 9,879억원 증가 간접 생산유발효과 (민간투자 유발액) 2015년 총 생산유발액 17조 2,735억원 증가 70% 2015 2005 45% 60% 90% 기술수준 디자인수준 설비 자동화율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