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장 식물공장 II 오명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센서 4. CO 2 gas 센서 안동대학교 물리학과 윤석수. 기초센서 및 실험 2 1. CO 2 gas 센서 개요 n CO 2 gas 센서 n 기체속 CO 2 의 농도를 ppm 단위로 측정하는 센서 n 용도 n 작은 동물이나 곤충으로 부터 CO 2 농도의 증가 측정 n.
Advertisements

2. 지표면 부근의 에너지 수지 2.1 이상적인 지표면의 에너지 수지 2.2 에너지 평형 방정식 2.3 맨땅의 에너지 수지
지구의 기권 생물권과 함께 지구와 다른 무생명체 행성과의 차이를 만드는 요인
실험 1 오실로스코프 목적 오실로스코프 작동원리 오실로스코프 사용법 오실로스코프 적용 R-C 회로 주파수 특성 측정.
2. 잎까지 운반된 물은 어떻게 될까? 학습목표: 증산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흑체 복사 강도 측정 일반물리 B실험실 일반물리실험 (General Physics Experiment)
이슬점과 상대 습도 우리는 단짝! 이슬점 상대 습도.
원자 스펙트럼 1조 서우석 김도현 김종태.
냉동 및 공기조화 Chapter 3. 냉동 사이클 (연습문제 풀이)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전자기파 전자기파의 분류 전자기파의 발생기구에 따른 분류 장파, 라디오파(방송파) LC회로: 고전 전자기학 이론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냉동 및 공기조화 Chapter 9. 공조 프로세스의 공기선도 상 표현 (Cont’d)
센서 11. 기체 압력 센서 안동대학교 물리학과 윤석수.
3-4. 지열 에너지(geothermal energy)
제 10 장 다이오드(Diodes) 10.1 다이오드의 선형 모델 10.2 전원장치 10.3 기타 다이오드
광전효과(photoelectric effect)과 광센서
Fourier Transform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5-2. 오존층의 역할과 파괴 오존층의 형성 생물의 출현  자유 산소 집적  오 존층 형성 자유 산소의 역할
기상청 WEB 자료를 이용한 일기 예보 안산부곡중학교 교사 이 영 기.
Hydrogen Storage Alloys
센서 12. 자기장 센서 안동대학교 물리학과 윤석수.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빛의 이중성 빛의 이중성 By kwang SEO.
전류에 의한 자기장 B < B’ 자기장(magnetic field)
연소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서는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2조 식품생명공학과 조광국 배석재 윤성수 우홍배
5-5.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일반적 의미: 지구가 따뜻해지는 것
[2] 식품안전성 수업목표1. 수업목표2. 수업목표3. GMO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TFT-LCD 구조 동작원리 응용분야.
Prepared by Han, Jae-Woo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프로젝트 7. Zeeman Effect 윤석수.
LUMINESCENT MATERIALS
색체 인식과 영상 장치 빛의 합성과 색체 인식 백색광 ex) 햇빛, 형광등, 백열등
고체의 전도성 Electronic Materials Research Lab in Physics,
3M Crystalline window film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3D 나노전자.
6. 에너지 사용 신기술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 태양 전지.
DISPLAY.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4.4-3 대기 대순환 학습목표 1. 대기 대순환의 원인과 순환세포를 설명할 수 있다.
열역학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7/e) RICHARD E
원격지구물리 프로젝트 발표 대기구성성분의 관측 (10조) 지 훈 홍전의 이수연
기관의 개요 및 기초공학 동력발생 개요 실린더 내에 혼합기를 흡입,압축하여 전기점화로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얻어 이 열에너지 로 피스톤을 움직여 기계적 에너지를 얻는다. 열효율은 30% 가량 열에너지 → 기계적 에너지로 변화시켜 이용.
2장 변형률 변형률: 물체의 변형을 설명하고 나타내는 물리량 응력: 물체내의 내력을 설명하고 나타냄
신 재생 에 너지 방 예 인.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비열.
7장 전위이론 7.2 금속의 결정구조 7.4 인상전위와 나선전위 7.5 전위의 성질.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의 스펙트럼(Spectrum)
물의 순환 돌고 도는 물 대기 중의 수증기 물의 순환.
1. 정투상법 정투상법 정투상도 (1) 정투상의 원리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제1장 생물환경조절의 개요 원예과학과.
Flowcytometer.
기체상태와 기체분자 운동론!!!.
시료채취장치, 조립 및 취급.
5-8. 전기 제품에 열이 발생하는 이유는?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대기오염 지구온난화 한지우.
Ⅱ. 분자의 운동 1. 움직이는 분자.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케플러 법칙.
전류의 세기와 거리에 따른 도선 주변 자기장 세기 변화에 대한 실험적 고찰
비열 학습 목표 비열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2. 비열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을 계산할 수 있다.
3. 보일러 효율 관리 보일러 및 열사용 설비 성능 분석
Presentation transcript:

제 6장 식물공장 II 오명민

식물공장의 요소 기술 지상부 환경 제어 기술 -온도/습도 조절: 공조시설(에어컨) -CO2 조절: CO2발생기, 포집 기술 -광원: LED, 형광등, 고압나트륨등… 지하부 환경제어 기술 -양액재배 관수방식: 분무경, 수경, 배지경 -양액성분 제어 기술: pH, EC에 의한 제어, 개별 성분에 의한 제어 -양액 용존산소 복합환경제어기술: PID제어, LAN에 의한 원격제어 등 시스템 구축 및 제어 기술

습공기 습공기: 공기의 온도와 습도 포함 작물의 생육에 영향 습공기선도(Psychrometric chart): 습공기의 성질을 도표로 나타낸 것, 2개의 공기성질을 이용하여 모든 공기 성질을 알 수 있도록 만든 도표 건구온도, 습구온도, 노점온도, 상대습도, 절대습도, 증기압, 비엔탈피, 비체적 등이 표시됨

습공기-온도 건구온도(dry-bulb temperature): 습구온도(wet-bulb temperature): 보통 건조온도계나 건조한 온도측정센서로 측정된 현열(sensible heat, 반드시 온도변화를 일으키는 열)온도 - 잠열(latent heat): 온도변화 일으키지 않고, 기체,액체, 고체 상호간의 상변화만 일으키는 열 습구온도(wet-bulb temperature): 수분증발에 의한 냉각효과를 고려한 온도, 온도계에 젖은 심지를 부착할 경우의 온도 노점온도(dew point temperature):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나는 금속 표면의 온도를 점점 하강시키면 어느 순간 금속 표면에 결로가 생기는데, 이때의 온도

습공기-습도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 절대습도(absolute humidity): 포화수증기압에 대한 실제 수증기압의 비, RH(%)=실제수증기압/포화수증기압 절대습도(absolute humidity): 공기 중에서 건조공기 1 kg에 대한 수증기 질량의 비

습공기-압력 증기압(vapor pressure): 포화수증기압(saturated vapor pressure):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기체상태의 수분(수증기) 자체에 의하여 조성되는 압력 포화수증기압(saturated vapor pressure): 일정 온도에서 포화가 가능한 증기압

습공기-기타 비엔탈피(specific enthalpy): 비체적(specific volume): 단위 건조공기 질량당 총 열량(kcal/kg) 비체적(specific volume): 건조공기 1 kg에 해당하는 복합 기체의 체적, 온도의 증가에 비례

습공기 선도 어떤 공기의 상태는 습공기선도 상의 한 점으로 표시 가능 상대습도(50%), 건구온도(20℃)점 A 건구온도: 점 A에서 수직방향으로 x축과 만나는 점 (B) 절대습도/수증기압: 점 A에서 수평방향으로 y축과 만나는 점C와 D

습공기 선도 비체적: 점 A에서 대각선으로 지나가는 값 (V) 노점온도: 수평방향과 상대습도 100% 선과 만나는 점(G)에서 수직방향으로 내려가 x축과 만자는 점(H)

습공기 선도 습구온도: 점 A에서 등엔탈피선과 상대습도 100%선과 만나는 점(E)에서 수직방향으로 내려가 x축과 만나는 점 (F) 비엔탈피: 점 A에서 등엔탈피선과 비엔탈피선이 만나는 점 (I)

공기조화시 공기의 상태 진행방향

난방과정 공기중의 수분량은 일정한 상태로 열이 공급될 경우의 상태: 온도상승 및 상대습도 하강 냉방은 난방의 역순

가습과정 동일한 온도상태에서 수증기를 공급: 절대습도 및 상대습도 상승 제습은 가습의 역순

난방 및 가습과정 열 및 수증기를 동시에 공급: 온도 및 상대습도 상승

증발냉각과정 하절기 온실냉방에 사용되는 방법 실내에서 수증기로 기화되면서 현열이 잠열로 변화되어 온도하강 및 습도 상승이 발생 단열변화: 공기의 총열량은 변하지 않음

습공기를 이용한 환경조절(난방) 체적 2000m3 온실 - 건구온도 20℃, 상대습도 65%  건구온도 25℃ 1) 절대습도:0.0095 2) 비엔탈피:10.4 kcal/kg 3) 비체적: 0.863m3/kg

습공기를 이용한 환경조절(난방) 건구온도 25℃로 상승 후 4) 상대습도: 48% 5) 비엔탈피: 11.8 kcal/kg 6) 건조공기량=체적/비체적 (비체적=체적/건조공기량) =2000/0.863=2317 kg 7) 총에너지공급량=비엔탈피증가량*건조공기량=(11.8-10.4) * 2317 = 3243.8 kcal

습공기를 이용한 환경조절(난방가습) 체적 2000m3 온실 건구온도 20℃, 상대습도 65%  건구온도 25℃, 상대습도 65%유지 1) 절대습도:0.0095 2) 비엔탈피:10.4 kcal/kg 3) 비체적: 0.863m3/kg

습공기를 이용한 환경조절(난방가습) 건구온도 25℃, 상대습도 65%로 상승 후 4) 비엔탈피: 13.9 kcal/kg 5) 건조공기량 = 2000/0.863=2317kg 6) 총에너지공급량 =(13.9-10.4)*2317 =8109.5 kcal

습공기를 이용한 환경조절(난방가습) 건구온도 25℃, 상대습도 65%로 상승 후 7) 잠열 =(13.9-11.8)*2317 =4865.7 kcal (수분을 수증기로 기화시 필요한 열) 8) 가습량 =(0.0129-0.0095)*2317 =7.8778 kg

습공기를 이용한 환경조절(증발냉각) 체적 2000m3 온실 건구온도 30℃, 상대습도 60%  분무냉각방식 이용 1) 절대습도: 0.016 kg/kg 2) 비체적: 0.881 m3/kg

습공기를 이용한 환경조절(증발냉각) 냉각효율 100%(상대습도 100%)라 가정시 3) 건구온도: 23.8℃ 4) 절대습도: 0.0187 kg/kg 5) 건조공기량: =2000/0.881 =2270 kg 6) 총수분공급량 = 절대습도 증가량*건조공기 =(0.0187-0.016)*2270 =6.12 kg

광 가장 중요한 환경 요인 중 하나 광의 물리적 성질 - 전자기장 복사(electromagnetic radiation) 광은 입자를 갖고 있으면서 그 입자가 파장을 갖음, 짧은 파장 높은 에너지

광학적 특성 흡수 반사 투과 흡수율+반사율+투과율=1

복사 복사(radiation): 광복사(light radiation): 물체 표면에서 전자파 또는 광자모양의 에너지를 방출 또는 전달하는 과정을 총칭 광복사(light radiation): 빛(가시광선+적외선+자외선)의 복사

태양광 태양복사(일사) 97%(280-2800 nm) 43%(가시광선) 4%(자외선) 53%(적외선) 파장별 성질

광의 역할 광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원 : 광합성의 명반응의 전자전달을 위한 에너지로 사용 신호전달 : 식물체에 존재하는 광수용체(예:피토크롬)가 특정 파장을 받아서 광형태형성, 광주기성과 같은 현상 유도

광표현 및 단위 파장별 에너지 E=h*c/λ 광강도: (h:플랑크상수, c:광속, λ:파장) *단파장 vs. 장파장: 에너지가 같으면 장파장이 광량자수가 많음 광강도: 단위는 단위시간당, 단위면적당 광에너지로서 일사량 또는 복사량을 나타냄 - 단위: W/m2 또는 kcal/m2/h - 광합성 유효복사량(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PAR): 400-700 nm 구간의 총 광에너지

광표현 및 단위 조도: 광양자(photon): 가시광선에 대해 인간이 느끼는 휘도(brightness), 단위 lx 또는 klx 555nm에서 최대인 비시감도를 기준으로 나타낸 값 광양자(photon): 광화학반응이 가능한 파장의 입자수 - 단위: μmol 또는 einstein - PPF(photosynthetic photon flux): 광합성 유효광량자속, 400-700nm의 광양자, 광합성 관련 실험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위

광 측정 센서 분광광도계(spectroradiometer) PAR/Quantum 센서 측정하고자 하는 광원의 파장별 광강도 및 광량분포를 측정 고가의 장비 PAR/Quantum 센서 400~700nm의 광에너지(PAR)나 광량자(PPF)를 측정 간단하여 사용하기 쉽고 비교적 저가의 장비

인공광원의 분류 백열방식 : 열을 내면서 빛이 방출되는 원리 전기방전방식: 기체나 증기중의 방전에 의한 빛을 이용하는 원리 전기장발광방식: 물체에 전자기장을 적용을 통해 발생되는 빛을 이용하는 원리 백열등 형광등 발광다이오드 (LED)

발광다이오드(LED) 기술적 작은 크기 적은 열방사 LED 기능적 다양한 파장조합 펄스조사 경제적 긴 수명 낮은 전압

엽록소 a와 b

단색 LED 465 nm 525 nm 650 nm 460 + 560 nm

단색광에 따른 상추의 생육 Red Blue White Control Green

적색과 청색 LED 조합 1 2 3 Red : Blue 10 : 0 9 : 1 8 : 2 7 : 3 6 : 4 5 : 5 10 : 0 9 : 1 8 : 2 7 : 3 6 : 4 5 : 5 Control 1 2 3 4 5 6 4 5 6 7 7

10:0 9:1 8:2 7:3 6:4 5:5

적색과 청색 LED 혼합광에 의한 상추의 생육

식물공장의 과제 환경제어적 접근에 의한 생산성 향상 경제성 향상을 위한 생산량/투자비(전기비) 극대화 작업의 자동화에 의한 생력화 식물공장에 적합한 품종의 개발

식물공장의 미래 부가가치 1 단계 2 단계 3 단계 고품질 작물 주년/ 계획생산 기능성 원료 생산 의약품 원료 생산 무농약 저세균 무세척 영양강화 작물 (미네랄, 비타민 등) 1 단계 2 단계 3 단계 고 기능성 작물 (한약재 및 식품 등) 경구백신 단백질 의약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