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원론 6강 국민경제의 구조와 순환
미시 경제학과 거시 경제학 미시 경제학 거시 경제학 Micro Macro
Box2. 미시경제이론과 거시경제이론 1930년대까지는 미시경제이론 부분에 집중되어 있었음 경제학의 두 기둥 1930년대까지는 미시경제이론 부분에 집중되어 있었음 상품의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며, 소득이 어떻게 분배되느냐에 관심 1930년대 케인즈혁명(Keynesian revolution) 거시경제이론이 체계적인 이론으로서 등장 현재 거시경제이론과 미시경제이론 사이의 장벽이 허물어지고 하나의 일관된 체계로 통합됨 ‘거시경제이론의 미시경제적 기초’
거시경제학의 기본틀 재화의 가격 미시경제학에서의 수요와 공급 거시경제학에서의 수요 거시경제학에서의 공급 미시경제학 거시경제학
개별 상품의 시장과 대표상품의 시장 두 곡선이 교차하는 점에서 균형이 이루어짐
총수요(aggregate demand) 국민경제 전체로 보아 얼마나 많은 상품이 수요되는지를 나타냄 가계 기업 정부 외국 총수요 = + + +
총공급 (aggregate supply) 국민경제 전체로 보아 얼마나 많은 상품이 공급되는지를 나타냄 한 나라 다른 나라 총공급 = +
국민소득의 개념 국민 소득이란?
국내총생산의 유용성 한 국가의 경제 수준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국가 간 경제력과 생활수준을 비교하기에 용이 함 한 나라의 경제 정책을 세우는 자료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
나라 전체의 경제 상태를 나타내는 국내 총생산 ★경제 지표란? 경제 상태를 눈으로 파악 할 수 있도록 나타낸 숫자 Ex)국내 총생산(GDP), 경제 성장률, 물가지수, 실업률 등.
한 나라 전체의 경제적 복지수준은 그 나라 국민의 소득과 밀접한 관련 한 나라 전체의 경제적 복지수준은 그 나라 국민의 소득과 밀접한 관련. 국민의 총체적 소득은 일반적으로 國內總生産(gross domestic product; GDP)으로 대표
국내총생산(GDP) (1) 일정 기간 동안에 (2)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3) 최종생산물 (4) 시장가치
국내총생산(GDP) (1) 일정기간 동안에 • • • ▶ 보통 1년 ▶ 필요에 따라 분기별 (2) 한 나라 안에서 • • • ▶ 국가 영토 개념 ▶ 비교: GNP
中国经济增速 形反转
三季度GDP增8.9%前三季度增7.7% 国家统计局22日公布的数据显示,前三季度中国国内生产总值(GDP)为217817亿元,同比增长7.7%,其中三季度增速达到了8.9%。 今年以来的中国经济,面对国际金融危机的强烈冲击,依然以GDP一季度6.1%、二季度7.9%、三季度8.9%的增速,划出一道坚定的“上行线”。 国家统计局22日发布的数据显示,前三季度我国居民消费价格(CPI)同比下降1.1%,工业品出厂价格(PPI)同比下降6.5%,二者均呈现环比由降转升,同比降幅收窄态势。 来源:齐鲁晚报 2009-10-23
GDP 국내총생산의 정의 國內總生産(Gross Domestic Product; GDP)은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되어 최종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재화와 서비스의 (화폐)가치를 모두 더한 것. 매크로랜드(Macroland)에서 밀 3천 톤, 옷 5백 벌, 그리고 신발 1천 켤레를 생산. 밀 1톤의 가격이 50달러, 옷 한 벌의 가격이 20달러, 그리고 신발 한 켤레의 가격이 10달러. 매크로랜드의 2000년도 국내총생산은 17만 달러. (3,000 50) + (500 20) + (1,000 10) = 170,000
GNP 국내총생산과 함께 널리 쓰이는 국민소득의 개념이 國民總生産(gross national product; GNP). 국내총생산 은 한 나라의 ‘영토’안에서 생산한 최종재의 가치를 뜻하는 데 비해, 국민총생산은 그 나라 국민이 생산한 최종재의 가치를 뜻한다는 차이. 결국 누가 어디에서 소득을 얻느냐가 국민총생산과 국내총생산을 구분하는 기준.
国民生产总值(GNP)和国内生产总值(GDP) 国民生产总值是指一国在一定时期(通常为一年)内,所有部门生产的最终产品和劳务总量的货币表现。 国内生产总值是指一国在一定时期(通常为一年)内,在其领土范围内,本国居民和外国居民生产最终产品和劳务总量的货币表现。 国民生产总值(GNP)和国内生产总值(GDP)二者都是综合反映国民经济活动的重要指标。二者的区别是计算方法和计算范围不同,国民生产总值是以国民为计算范围,只要是本国国民,不管生活在国内还是国外,其经济活动都要计算在内; 国内生产总值是以国土为计算范围,只要其经济活动在本国国土范围不管是本国居民还是外国居民都要计算在内。
국내 총생산과 국민 총생산의 관계 GNP GDP 외국인이 국내에서 벌어들인 소득 한국 국민이 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 한국 국민이 국내에서 벌어들인 소득
다음의 그림에서 폐쇄 경제 체제에서 개방 경제 체제로 나아갈수록 그 면적이 늘어나는 부분의 기호는? ① ㉠, ㉢ ② ㉠, ㉡ ③ ㉡, ㉢
GDP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주부의 가사노동 ② 지하경제 ③ 환경파괴 ④ 모두 포함되지 않음
GDP의 측정 : 간단한 예시 10 농부가 밀을 수확하여 이를 제분업자에게 5만원을 받고 팔았다. 농부가 밀을 수확하여 이를 제분업자에게 5만원을 받고 팔았다. 그리고 제분업자는 밀을 원료로 밀가루를 만들어 제빵업자에게 7만원에 팔았으며, 제빵업자는 빵이라는 최종 생산물을 만들어 소비자에게 10만원에 팔았다. 이 경우 GDP는 ( )만원이다. 10
GDP의 측정 : 간단한 예시 밀 밀가루 빵 10만원 7만원 5만원 부가가치 재료비 5만원 농부->제분업자 농부 제빵업자 ->소비자
중간재와 부가가치 중간재中間財(intermediate goods and services)의 가치를 국내총생산의 계산에 포함시키면 어떤 상품의 가치가 이중, 삼중으로 계산되는 문제가 발생. 대식국大食國에서는 지난 해에 30억원 어치의 빵 생산. 빵 만드는 회사들은 밀가루 만드는 회사들로부터 24억원 어치의 밀가루를 구입. 밀가루 회사들은 농민들로부터 17억원 어치의 밀을 구입.
어떤 상품이 원래부터 갖고 있는 고유한 특성에 따라 중간재 혹은 최종재로 구분되는 것은 아님. 생산되어 거래된 모든 상품의 가치로 국내총생산을 정의하면 밀, 밀가루, 빵의 가치를 모두 합친 71억원. 이렇게 계산하면 밀가루의 가치는 두 번, 그리고 밀의 가치는 세 번이나 겹쳐서 계산되는 결과. 대식국의 국내총생산은 중간재들을 모두 빼고 최종재인 빵의 가치만을 계산한 결과, 즉 30억원이라고 해야 옳은 답. 어떤 상품이 원래부터 갖고 있는 고유한 특성에 따라 중간재 혹은 최종재로 구분되는 것은 아님. ex. 밥상에 올라온 쌀은 최종재인 반면, 막걸리 생산에 쓰여지는 쌀은 중간재.
부가가치란 각 생산자가 생산과정에서 새로 창출한 가치 부가가치란 각 생산자가 생산과정에서 새로 창출한 가치. 빵 만드는 회사들이 창출한 부가가치는 6억원, 밀가루 회사들이 7억원, 밀 경작하는 농민들이 17억원. 각 생산단계에서 창출된 부가가치를 합쳐 경제 전체에서 만들어진 총 부가가치는 30억원으로 최종재인 빵의 가치와 일치.
실질 GDP와 명목 GDP 명목소득과 실질 소득
명목 GDP와 실질 GDP 작년에 사과 100개가 생산되었고, 그 가치는 5만원이었다. 금년에도 똑같은 사과 100개가 다시 생산되었다. 그런데 1년 동안 사과가격이 올라 금년에는 6만원을 받게 되었다. GDP가 20% 상승했다? “말이 되나?”
명목GDP와 실질 GDP 명목국내총생산 = 400 × 7만원 + 200 × 3만원 =3,400만원 국내총생산을 구할 때 가격이 해마다 바뀌는데 어느 해의 가격을 통해 시장가치를 구할지 선택해야 하는 문제. 2000년의 생산량에 그 해의 가격을 곱해 각 상품의 시장가치를 구하고 이를 모두 더해 국내총생산을 계산한 것이 명목국내총생산(nominal GDP). 2000년의 쌀과 옷 생산량이 각각 4백 가마와 2백 벌 이고, 그 해의 쌀과 옷 가격은 각각 7만원과 3만원 이라고 하면, 그 해의 명목국내총생산은, 명목국내총생산 = 400 × 7만원 + 200 × 3만원 =3,400만원 32
명목국내총생산은 생산량의 변화뿐 아니라 가격에 생긴 변화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 어느 한 해를 기준으로 삼아 언제나 그 해의 가격을 곱해 각 상품의 시장가치를 구함으로써 국내총생산이 물가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만들 수 있음. → 실질국내총생산(real GDP) 1995년의 쌀과 옷 가격이 각각 5만원과 2만원이었다면, 2000년의 실질국내총생산은, 실질국내총생산 = 400 × 5만원 + 200 × 2만원 = 2,400만원 실질국내총생산은 미리 정해진 기준연도의 가격을 기초로 하여 구해지기 때문에 생산량의 변화추이만 반영. 33
명목 GDP와 실질 GDP 재화와 서비스의 현재 시장가치로 계산하면 명목 GDP(Nominal GDP) 실질 GDP(Real GDP)는 주어진 기준년도의 시장가격으로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계산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을 GDP Deflator라고 한다.
실질과 명목 작년 휴대폰 2개 생산 / 휴대폰 가격 50$ 올해 휴대폰 2개 생산/ 휴대폰 가격 60$ 올해 휴대폰 2개 생산/ 휴대폰 가격 60$ 올해 명목GDP : 2 개×60 $ = 120 $ 올해의 물가상승률 20% 올해의 물가지수 : 기준연도를 100으로 보았을 때 올해의 물가수준 50 : 60 = 100 : X 물가지수 :120 올해의 실질GDP :물가지수를 고려한 GDP 100$ 60$-50$ ×100 50$ 60×100 = X 50 명목GDP X100 물가지수 120$ X100 120
实际和名义GDP GDP名义增长没有剔除物价因素,实际增长剔除物价因素,更反映实际经济增长状况。 我国每年公布的是名义GDP,名义GDP是包含价格水平考虑的,如果我们现在的所有价格水平上升1倍,则名义GDP也要上升1倍。所以名义GDP有很大的不确定性,尤其在通货膨胀时期。这种情况下,人们引用实际GDP的含义。其实,经济学上的实际GDP也不是完全舍弃了价格水平。而是用基年的价格水平。举例说,2005年的名义GDP是用2005年的价格水平算出的,而实际GDP则是用2000年的价格水平得出的(如果选2000年作基年)。有了实际GDP, 可以很方便地算出GDP平减指数。
명목 소득과 실질 소득 명목소득 이용 실질소득 이용
1인당 GDP 보통 미 달러로 표시 (명목 GDP÷ 인구수) ÷ 환율 1997년 한국 명목 GDP 429조 원 인구 4,599만 명 환율 달러당 850원 930원 환율 변동이 1인당 GDP
경제성장률: 경제성장의 측정 경제 성장률의 의미 경제 성장률 계산 방법 금년도 실질 GDP - 전년도 실질 GDP ×100 경제 성장률의 의미 국내총생산(GDP), 국민총생산(GNP)의 증가율 모든 생산 주체가 생산하는 부가 가치의 증가율 경제 성장률 계산 방법 금년도 실질 GDP - 전년도 실질 GDP ×100 전년도 실질 GDP
경제성장률의 계산 기준년150Cm->올해165Cm 기준년150$->올해165$ 165 - 150 ×100 150 10%성장 기준년150$->올해165$ 165 - 150 ×100 150
GDP 디플레이터Deflator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을 GDP Deflator라고 한다.
GDP디플레이터 GDP디플레이터는 어떤 한 해의 명목국내총생산을 실질국내총생산으로 나눈 값에다 100을 곱함으로써 간단히 구함. GDP디플레이터 = 100
2000년의 명목국내총생산과 실질국민총생산은 각각 3,400만원과 2,400만원. 그러므로 2000년의 GDP디플레이터는 141.7. = 100 = 100 = 141.7 400 7만원 + 200 3만원 400 5만원 + 200 2만원 3,400만원 2,400만원 45
2000년의 GDP 디플레이터가 141.7이란 것은 그 해에 생산된 모든 최종재를 바로 그 해의 가격으로 구입하기 위해 필요한 지출이 1995년의 가격으로 구입할 때 필요한 지출보다 41.7% 더 크다는 것을 의미.
물가와 물가 지수 가격 : 개별상품의 값 물가지수: 한 나라에서 거래되는 모든 재화나 용역의 평균적인 가격수준 모든 재화나 용역의 평균적인 가격수준 기준 연도에 대한 비교연도의 전반적인 물가 수준을 비교 물가지표 소비자 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GDP 디플레이터: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
물가지수 물가지수의 의미 물가의 움직임은 物價指數(price index)라는 지표를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 가능. 물가지수란 기준시점의 물가를 100으로 잡고 다른 시점의 물가를 이의 백분비로 표시한 지수. 48
각 물가지수는 고려대상에 포함하는 상품의 범위를 서로 다르게 설정. (1)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 : 서울을 비롯한 36개 주요 도시의 가계가 사용하는 대표적 소비재 509개의 가격. (2) 생산자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PPI) : 기업 사이에서 거래되는 원자재 및 자본재 896개 품목의 가격. (3) GDP디플레이터(GDP deflator) : 한 나라 안에서 생산한 모든 상품의 가격. 49
국민소득 관련 여러 개념 NNP(Net National Product)國民純生産 NNP = 국민총생산- 감가상각 감가상각은 한 경제가 보유한 장비나 구조물이 닳아 없어지는 것 (예: 트럭) NI(National Income)국민소득 한 나라의 거주자들이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과정에서 벌어들인 소득 NI= NNP –간접세 + 정부의 대 기업 보조금
PI(Personal Income) 개인소득 가계소득과 비법인 영업소득 PI=NI- (법인세+사내 유보)+ 가계이전지출 DI (disposable income )可處分所得 가계와 비법인들이 정부에서 세금을 납부한 후 보유하는 소득 소비자가 쓸 수 있는 소득 DI = 개인 소득 – 개인 소득세
GDP와 경제적 후생
GDP와 경제적 후생 1인당 GDP는 한 경제내의 사람들이 평균적으로 얼마를 벌어 얼마를 쓰고 있는지 측정하는 지표 국민의 물질적 복지를 측정하는 지표 그러나 GDP(또는 GNP)는 국민의 행복이나 삶의 질을 측정하는 지표는 아니다. 그러나 국제적으로 비교해 보면, GDP가 높은 국가일수록 행복관련 지표나 삶의 질 지표가 일관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GDP의 한계 시장을 통하지 않는 생산물의 거래는 계산에 포함되지 않음(예 : 가사 활동, 봉사 활동, 자가 소비를 위한 생산 활동) 국민 복지 후생을 떨어뜨리는 행위가 국내 총생산을 증가시킴(예 : 범죄, 공해, 교통사고) 총량 개념이므로 나라간의 소득 격차 등의 차이를 밝혀주지 못함
GDP와 GNP 등 국민소득지표들은 삶의 질 수준을 나타내는 `국민복지지표`로서 여러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국민소득지표들이 갖는 한계 첫째, 주부 가사활동이나 암거래 같이 시장을 통하지 않는 재화나 용역이 제외되어 있다. 주부가 제공하는 식사, 빨래, 육아, 청소 등 서비스는 분명히 우리 후생 수준을 높이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국민소득에 계산되지 않는다.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기 때문이다. 반대로 고금리 사채나 부동산 투기 등 지하경제는 후생 수준을 낮추지만 GDP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둘째, GDP에는 여가(leisure)의 가치도 제외되어 있다. 일주일에 6일 근무하던 사람이 5일만 근무한다면 나머지 여가시간을 자기에게 유익한 일에 쓸 수 있다. 운동, 낚시, 서예 등 여가는 분명히 우리 후생을 높임에도 불구하고 국민소득에서 제외되어 있다.
셋째, 환경오염은 국민소득에 계산되지 않는다. 맑은 물, 깨끗한 공기, 아름다운 자연환경은 물질적 풍요 못지않게 우리 생활에 필요한 요소다. 그런데 공해를 유발하는 산업을 운영하여 생산활동을 했을 때 그 생산물의 시장가치는 국민소득에 포함되지만 그로 인한 환경오염은 비용에 포함되지 않는다. 도시화에 따른 교통혼잡이나 범죄 증가 등도 국민소득에 포함되지 않는다. 매일경제 2009년 10월 30일
MEW(Measure of Economic Welfareㆍ경제후생지표) 노드하우스-토빈(Nordhaus-Tobin)이 제시한 것으로 GNP에 포함된 항목 중 경제적 후생과 무관한 항목(공해 제거비 등)을 제외한 지표 경제적 후생과 관련 있는 항목(주부 자가용역, 여가 등)을 가산하는 것이 종전 GNP 계산방법과 다른 점
NEW(Net Economic Welfare) 순경제후생 새뮤얼슨(P A Samuelson) 교수가 제시한 지표로, 한 나라 `순경제적 후생`을 나타낸다는 의미에서 NEW라고 이름 붙여졌다. 이 지표는 구체적으로 (GNP+주부 서비스 가치=여가 가치-공해비용)이라는 계산방법을 통해 얻어진다.
Green GNP 생산활동을 통해 발생하는 공해 등 환경파괴를 중요시 하는 국민총생산 개념의 일환으로 공해인자에 의한 발생물의 제거를 위해 사용된 생산물을 GNP에서 공제하는 한편 환경파괴에 의한 자연의 감모분도 계량화해 공제한다는 사고방식에 근거를 두고 있는 사회경제지표의 일종이다. <자료=녹색성장위원회> 환경일보 2010년 09월 13일
그린 GNP 환경요소를 합산한 국민 경제의 새로운 지표
예를 들어 대기오염으로 호흡기 질환 환자가 증가해 병원이나 약국을 찾는 사람이 늘어난다면 이는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이지만, 의료 서비스업은 소득이 증가하기 때문에 GNP는 상승한다. 이러한 현상은 의료 서비스 부문만이 아니다. 수질오염이 심각해져서 정수기 판매가 늘어나도 GNP는 상승
이같은 GNP 체계의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것이 곧 그린GNP이다 이같은 GNP 체계의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것이 곧 그린GNP이다. 그린GNP는 1983년 국제연합환경계획(UNEP)과 세계은행이 환경 계정 워크숍을 개최한 뒤 1993년에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냈다. 유엔통계국은 1993년에 세계 각국이 그린GNP를 계산할 수 있는 지침을 내놓았다.
그린GNP는 환경에 영향을 주는 경제 행위를 분류해낼 수 있고, 그 경제 행위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반면 기존의 GNP 통계와 함께 사용하지 않을 경우 경제정책 수립에 어려움이 있으며 여건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다. 따라서 유엔통계국이 주도하는 그린GNP는 기존의 GNP 구조를 유지하면서 문제점을 보완하는 형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국가 행복지수 영국의 싱크탱크 신경제재단(NEF)이 전 세계 143개국을 대상으로 기대 수명, 삶의 만족도, 탄소발자국(환경오염 지표) 등을 평가해 국가별 행복지수(Happy Planet Index,HPI)를 산출 한국은 68위 높은 복지수준을 자랑하는 프랑스가 71위 영국 또한 74위 미국은 114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