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조업도-이익 관계 (Cost-Volume-Profit Relationships) Chapter6 원가-조업도-이익 관계 (Cost-Volume-Profit Relationships)
공헌이익(CM)은 매출액에서 변동비를 차감한 금액. 원가-조업도-이익(CVP)분석의 기초 공헌이익(CM)은 매출액에서 변동비를 차감한 금액. 공헌이익 = 매출액 - 변동비
원가-조업도-이익(CVP)분석의 기초 공헌이익(CM)에서 고정비를 회수한다.
고정비를 회수하고 남은 공헌이익(CM)은 순이익이 된다. 원가-조업도-이익(CVP)분석의 기초 고정비를 회수하고 남은 공헌이익(CM)은 순이익이 된다.
추가로 한 단위를 더 판매할 때마다, 공헌이익은 ₩200이 증가하고, 이는 고정비를 회수하고 이익을 증대시킨다. 공헌이익 접근 추가로 한 단위를 더 판매할 때마다, 공헌이익은 ₩200이 증가하고, 이는 고정비를 회수하고 이익을 증대시킨다.
손익분기점에 도달하기 위해서 ㈜서강자전거는 매달 적어도 ₩80,000의 공헌이익을 확보해야 한다. 공헌이익 접근 손익분기점에 도달하기 위해서 ㈜서강자전거는 매달 적어도 ₩80,000의 공헌이익을 확보해야 한다.
㈜서강자전거는 매달 400 대 를 판매한다면, 손익분기점(break-even point)에 도달할 수 있다. 공헌이익 접근 ㈜서강자전거는 매달 400 대 를 판매한다면, 손익분기점(break-even point)에 도달할 수 있다.
㈜서강자전거가 손익분기점을 넘어서 추가적으로 한대(총 401대)를 더 판매한다면, 순이익 ₩200이 발생할 것이다. 공헌이익 접근 ㈜서강자전거가 손익분기점을 넘어서 추가적으로 한대(총 401대)를 더 판매한다면, 순이익 ₩200이 발생할 것이다.
손익분기점(break-even point)의 정의: 공헌이익 접근 손익분기점(break-even point)의 정의: 총수익과 총비용(변동비+고정비)이 일치하는 조업수준. (일본: 사활점) 총공헌이익과 총고정비가 같아지는 조업수준.
공헌이익률(Contribution Margin Ratio) 공헌이익률 공식: ㈜서강자전거의 공헌이익률: 공헌이익 매출액 공헌이익률 = ₩200 ₩500 = 40%
공헌이익률(Contribution Margin Ratio) ㈜서강자전거는 매출이 ₩1 증가할 때마다 공헌이익은 ₩0.4씩 증가한다. 만약 매출이 ₩50,000 증가한다면 공헌이익은 얼마나 증가할까요?
공헌이익율(Contribution Margin Ratio) 매출이 ₩50,000 증가
공헌이익율(Contribution Margin Ratio) 매출이 ₩50,000 증가하면 공헌이익은 ₩20,000 증가. (₩50,000 × 40% = ₩20,000)
고정원가와 매출액의 변화 ㈜서강자전거는 현재 매달 500대의 자전거를 판매하고 있다. 회사의 판매담당자는 매출을 540대로 증가시키려면 월별 광고비 예산을 ₩10,000 증대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광고비예산을 증대시켜야 한다는 요구를 받아들여야 할까요?
고정원가와 매출액의 변화 ₩80,000 + ₩10,000(광고비) = ₩90,000 매출은 ₩20,000 증가, 그러나 순이익은 ₩2,000 감소.
고정원가와 매출액의 변화 해 답
손익분기분석(Break-Even Analysis) 손익분기점 산출방법: 등 식 법 공헌이익법.
등식법(Equation Method) 손익분기점에서 이익은 0. 이익 = 매출 – (변동비 + 고정비) OR 이익 = 매출 – (변동비 + 고정비) OR 매출 = 변동비 + 고정비 + 이익 손익분기점에서 이익은 0.
등식법(Equation Method) 서강자전거주식회사의 자료 :
등식법(Equation Method) 손익분기점의 계산: ₩500Q = ₩300Q + ₩80,000 + ₩0 매 출 = 변동비 + 고정비 + 이익 ₩500Q = ₩300Q + ₩80,000 + ₩0 Where: Q = 자전거 판매량 ₩500 = 단위당 판매가 ₩300 = 단위당 변동비 ₩80,000 = 총고정비
등식법(Equation Method) 손익분기점의 계산: ₩500Q = ₩300Q + ₩80,000 + ₩0 매 출 = 변동비 + 고정비 + 이익 ₩500Q = ₩300Q + ₩80,000 + ₩0 ₩200Q = ₩80,000 Q = 400대
등식법(Equation Method) X = 0.60X + ₩80,000 + ₩0 손익분기점 매출액을 산출하는 방법 : 매 출 = 변동비 + 고정비 + 이익 X = 0.60X + ₩80,000 + ₩0 Where: X = 총매출(금액) 0.60 = 총변동비/총매출액 ₩80,000 = 총고정비
등식법(Equation Method) X = 0.60X + ₩80,000 + ₩0 손익분기점 매출액을 산출하는 방법 : 매 출 = 변동비 + 고정비 + 이익 X = 0.60X + ₩80,000 + ₩0 0.40X = ₩80,000 X = ₩200,000
공헌이익법(Contribution Margin Method) 공헌이익법은 등식법의 변형. 고정비 단위당 공헌이익 = 손익분기점 판매수량 고정비 공헌이익률 = 손익분기점 매출액
CVP 관계- 그래프의 활용 CVP 그래프의 사용은 관리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 ㈜서강자전거의 정보:
CVP 그래프 총비용 단위 : 원 고정비 단위 : 대
CVP 그래프 총매출 단위 : 원 단위 : 대
CVP 그래프 이익영역 단위 : 원 손익분기점(BEP) 손실영역 단위 : 대
목표이익 분석(Target Profit Analysis) ㈜서강자전거는 ₩100,000의 이익을 얻기 위해 얼마나 많은 자전거를 판매해야 할까? 목표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매출수량을 구하기 위해서 CVP공식을 활용한다.
CVP 등식 매 출 = 변동비 + 고정비 + 이익 ₩500Q = ₩300Q + ₩80,000 + ₩100,000
공헌이익접근 (The Contribution Margin Approach) ㈜서강자전거는 공헌이익접근법을 사용하여 ₩100,000 순이익을 얻기 위해 판매해야 할 자전거의 수량을 계산할 수 있다. 고정비 + 목표이익 단위당 공헌이익 = 목표이익달성 판매량 ₩80,000 + ₩100,000 ₩200 = 900대
안전한계(The Margin of Safety) 예산상(또는 실제)의 매출이 손익분기점 매출을 초과하는 정도(금액,수량 % 등으로 표현). 매출이 현 수준에서 어느 정도까지 하락하면 손실을 보게 되는가를 나타냄. 안전한계(M / S) = 총매출액 - 손익분기점 매출액 ㈜서강자전거의 안전한계를 구해 보자.
안전한계(The Margin of Safety) ㈜서강자전거의 손익분기점 매출액은 ₩200,000 이다. 만약 실제 매출액이 ₩250,000 이면, 안전한계는 ₩50,000 혹은 100대이다.
안전한계(The Margin of Safety) 안전한계는 매출의 20 %. (₩50,000 ÷ ₩250,000)
영업레버리지(Operating Leverage) 매출액의 변화에 따라 순이익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보여주는 측정치. 레버리지가 높으면 매출액 변화율이 조금만 증가 하여도 순이익의 변화율은 크게 증가한다. 공헌이익 순이익 영업 레버리지 =
영업레버리지(Operating Leverage) ₩100,000 ₩20,000 = 5
영업레버리지(Operating Leverage) 서강자전거의 영업레버리지가 5라면, 매출액이 10% 증가하면, 순이익은 5배인 50% 증가한다. Here’s the proof!
영업레버리지(Operating Leverage) 매출 10% 증가 ₩250,000 ₩275,000 (결과) 순이익 50% 증가 ₩20,000 ₩30,000.
매출배합(Sales Mix)의 개념 매출배합은 여러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 총매출액에서 각 제품 매출액이 차지하는 상대적인 비율. 제품별로 판매가격, 원가구조, 공헌이익이 각기 다르다. ㈜서강자전거는 자전거와 카트를 판매한다고 가정하고 손익분기분석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에 대해 알아봅시다.
매출배합(Sales Mix)의 개념 ㈜서강자전거의 정보: ₩170,000 0.48 ₩265,000 ≒ 48% ₩550,000 ≒ 48% ₩170,000 0.48 ≒ ₩354,167 (BEP)
CVP 분석의 가정 판매가격, 변동원가, 고정원가는 관련범위 내에서 일정하다. 관련범위 내에서 원가와 수익의 행태는 선형이다. 여러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에 매출배합은 일정하다. 각 기간별 재고 수준은 일정하다 (생산량 = 판매량).
End of Chapter 6 We mad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