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중 용접 장면.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학 습 목 표 1. 기체의 압력이 기체 분자의 운동 때문임을 알 수 있다. 2. 기체의 부피와 압력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기체의 부피와 압력관계를 그리고 보일의 법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Advertisements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그린에너지설비과 용접의 기초 및 방법 한국폴리텍 1 대학 서울정수 캠퍼스. 그린에너지설비과.
스터드(STUD) 용접 1938년 Mr.Ted Nelson에 의해 발명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9 Part.3 지구의 형성과 진화.
임피던스(Impedance) 측정 일반물리 B실험실 일반물리실험 (General Physics Experiment)
03 전자 접촉기 제어 학습목표 ▶ 전자 접촉기의 동작 원리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 근접센서(condet 시리즈) ▣ 물을 많이 사용하거나 순간 물 분사압력이 강한 산업 현장에서는 기존의 IP68 방수등급의 제품을 사용하시는 경우 침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격거리 10~15cm에서 80℃온도하에 80~100bar의.
정전유도 커패시턴스와 콘덴서 콘덴서의 접속 정전 에너지 정전기의 흡인력
원자 스펙트럼 1조 서우석 김도현 김종태.
아크용접 arc welding 용접법의 하나로서 금속과 금속을 접합하는 데 아크 방전을 이용하는 방법. 아크용접에는 탄소전극을 사용하는 탄소아크용접과 금속전극을 사용하는 금속아크용접의 두 종류가 있다. 탄소아크용접(미소모전극식)은 용접모재와 탄소전극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주조 및 용접 2차 과제물 울산대학교 공과대학 첨단소재공학부.
생산공정 실습 Welding.
차량용 교류발전기 alternator Byeong June MIN에 의해 창작된 Physics Lectures 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3.0 Unported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실험 8. 연산증폭기 특성 목적 연산증폭기의 개관, 특성 및 사용법 이해 입력저항, 개루프 이득, 출력저항, 슬루레이트 등
피복 아크 용접 [1] 학습내용 학습목표 ▐ 이번 차시의 주요 학습내용과 학습목표입니다. 1. 피복 아크 용접의 원리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제 5장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Field Effect Transistor)
전기에 대해 알아보자 영화초등학교 조원석.
금속을 용융하거나 분자간 거리로 가깝게 부착시키는 방법
“DC POWER SUPPLY의 소개”.
특수 용접 학습내용 학습목표 ▐ 이번 차시의 주요 학습내용과 학습목표입니다. 1.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
AM, FM.
1장 전기 (Electricity) 전기 저항과 옴의 법칙 직렬 및 병렬 결합 전원 전력 종속 전원
내열금속재료 항공기 내열 재료 H조 전성표.
Hydrogen Storage Alloys
Register, Capacitor.
센서 12. 자기장 센서 안동대학교 물리학과 윤석수.
전류에 의한 자기장 B < B’ 자기장(magnetic field)
체 세 포 분 열 배 수 경 중3 과학.
Ⅰ. 전기와 자기 전압.
5-9. 전기 에너지가 편리한 이유는?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2조 식품생명공학과 조광국 배석재 윤성수 우홍배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1-1.우리 생활과 전기 전자 (1).전기 전자의 뜻 *전기- 생활 속에서 편리하게 이용되고 있는 에너지 발전소서 만든전기는- 전기.전자기기 종류에 따라 빛, 열, 동력, 전자파등 다양하게 이용 *전기- 자유 전자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 *전자- 물질을.
한국산업인력공단 익산직업전문학교 산업설비공과
물질의 자성 자성 – 물질이 자석에 반응하는 성질 자성의 원인 1. 운동하는 전자에 의한 자기
Lab #5. Capacitor and inductor
Electromagnetics (전자기학) Electricity (전기학) Magnetics (자기학)
Electromagnetics (전자기학) Electricity (전기학) Magnetics (자기학)
6. 에너지 사용 신기술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 태양 전지.
1 전기와 전기 회로(03) 전기 회로의 이해 금성출판사.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GM7 PLC 모니터링 프로그램 한국 폴리텍 항공대학 항공정보통신과 송 승 일.
알고 쓰자 전자레인지 김학철.
교류 회로 AC circuit 1855 년 Duchenne 교류 전류가 직류 전류보다 근육을 자극하는데 효과적
Ⅱ. 기계 공업 기술 3. 기계제작 2. 기계제작이란 무엇인가 [ 소 성 가 공 법 ]
제20강 유도전압과 인덕턴스 20.1 유도 기전력과 자기 선속 • 유도 기전력
Gland Packing 과 Mechanical Seal의 비교
1. 정투상법 정투상법 정투상도 (1) 정투상의 원리
물의 전기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열역학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7/e) RICHARD E
DNA의 구조와 역할 (1) DNA : 이중 나선 구조로 수많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8 장 발전기와 전동기 8.1 교류발전기 8.2 3상 교류 발전기 8.3 직류발전기 8.4 직류전동기 8.5 교류전동기
3.3-2 운동 에너지 학습 목표 1. 운동에너지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운동에너지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3. 가전 기기의 선택과 관리(194P). 날이 갈수록 종류, 성능 및 기능이 다양함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의 발전 진행하는 추진력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받는 저항보다 뒤에서 받는 저항(흡인력)이 훨씬 더 크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은 흡인에 의한 저항력의 최소화를 위한 발전을 거듭한다. 그것들은, 유선형(Streamlined.
3. 자동차의 관리 (2) 자동차의 구조 교144쪽.
직선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5-8. 전기 제품에 열이 발생하는 이유는?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회로 전하 “펌핑”; 일, 에너지, 그리고 기전력 1. 기전력(electro-motive force: emf)과 기전력장치
전류의 세기와 거리에 따른 도선 주변 자기장 세기 변화에 대한 실험적 고찰
Chapter 29 전자기 유도.
Prof. Seewhy Lee Presents
교류 회로 AC circuit 1855 년 Duchenne 교류 전류가 직류 전류보다 근육을 자극하는데 효과적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전기와 안전.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수중 용접 장면

3. 용접의 특징 1) 장점 재료가 절약되고 중량이 가벼워진다. 작업 공정이 단축되며 경제적이다. 두께의 제한이 없으며, 복잡한 구조물 제작이 쉽다. 기밀성, 수밀성, 유밀성이 우수하며 이음효율이 높다. 제품의 성능과 수밀성이 향상되며 이종 재료를 조합할 수 있다. 용접 준비 및 작업이 비교적 간단하다. 보수와 수리가 용이하며 제작비가 적게 든다.

급열, 급냉의 열영향으로 수축, 변형 및 잔류응력, 재질변화 발생 2) 단점 급열, 급냉의 열영향으로 수축, 변형 및 잔류응력, 재질변화 발생 취성, 잔류응력, 변형 등을 풀림에 의해 제거하여야 함 응력집중으로 저온 취성 파괴 위험 간단하고 정확한 용접부의 품질 검사 곤란 용접사의 기술에 의한 이음부 강도 좌우 유해광선 및 폭발 위험이 있음 주조, 리벳이음에 비해 빈약하게 느껴짐 용접구조물의 균열 발생시 전체로 퍼져 나갈 위험

4. 용접의 응용 각종 구조물 제작((원자로, 우수선, 철탑, 교량, 석유화학 탱크, 건물, 테라스 등) 운반기계 제작(선박, 자동차, 탱크, 장갑차, 항공기, 중장비, 철도 차량 등) 기계장치류 제작(보일러, 압력용기, 기계부품, 배관, 기계설비 등) 가정용품 제작(난로, 주방기기, 가전 제품 등)

모재를 눈 위에 놓고 용접선 아래에서 용접봉을 위로 향하여 하는 용접자세 5. 용접 자세 모재를 눈 위에 놓고 용접선 아래에서 용접봉을 위로 향하여 하는 용접자세 위 보 기 자 세 모재를 수평면과 90°및 45° 이상 놓고 용접선이 수평이 되게 용접하는 자세 수 평 자 세 용접방향을 상향, 하향으로 용접하는 자세 수 직 자 세 용접하려는 재료를 수평으로 놓고 용접봉을 아래로 향하는 용접자세 아래보기자세 이번 장에서는 용접 자세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용접자세는 아래보기, 수직, 수평, 위보기 자세 등 네 가지가 있는데, 아래보기자세는 용접하려는 재료를 수평으로 놓고 용접봉을 아래로 향하는 용접자세이며, 수직자세는 모재를 수평면과 90도 및 45도 이상  놓고, 용접방향을 위로 아래로  용접하는 자세입니다.  또한, 수평자세는 모재를 수평면과 90도 및 45도 이상 놓고, 용접선이 수평이 되게 용접하는 자세이며, 위보기자세는 모재를 눈 위에  놓으며, 용접선 아래에서 용접봉을 위로 향하여 하는 용접자세입니다.

아래보기, 수직, 수평, 위보기자세의 2가지 이상 자세 4가지 전부를 응용하는 자세 전 자세(all position : AP)    아래보기, 수직, 수평, 위보기자세의 2가지 이상 자세    4가지 전부를 응용하는 자세 이번 장에서는 용접의 전자세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전자세 용접은  아래보기, 수직, 수평, 위보기자세 등  두 가지 이상을 조합하여 용접하거나, 4가지 전부로 응용하는 자세입니다.

6. 전기 기초 전기의 본질 에보나이트봉을 잘 건조된 모직물에 마찰시킬 때 발생한 흡인력 1-2-7 전기의 본질, 도체와 절연체 전기의 본질    에보나이트봉을 잘 건조된 모직물에 마찰시킬 때 발생한 흡인력   전기의 종류 : 양전기(+)와 음전기(-) 직류 : 크기와 방향이 항상 일정한 전기 교류 :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기 도체 : 금속과 같이 전하가 통하기 쉬운 물질 부도체(절연체) : 공기와 같이 전하가 통하기 힘든 물질 이번 장에서는 전기의 본질과 도체 및 절연체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전기는 일반적으로 어떤 물체가 다른 것과 서로 마찰하면 전기가 발생하는데, 여기에 발생된 전기의 종류에는 양전기와 음전기가  있습니다. 크기와 방향이 항상 일정한 전기를 직류라 하고,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기를 교류라 하며, 금속과 같이 전하가 잘 통하기 쉬운 물질을 도체라 하고, 공기와 같이 전하가 통하기 힘든 물질을 부도체라 합니다. 직류 교류

1) 직류와 교류의 이해 * 직류(DC) 물 피스톤 물 공급 물 유출 직류란 : 이 피스톤 출구를 통해 나오는 물의 압력이나 량이 일정하듯 직류는 일정한 압력(전압)과 일정한 량(전류)이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는 전기 * 교류(AC) 물 공급 피스톤 물 유출 교류란 : 이 피스톤이 양쪽으로 왕복운동할 때 물이 주기적으로 나가는 것과 같이 시간과 주기가 바뀌며 흐르는 전기

2) 전압과 전류의 이해 * 전압(V) 전압이란 : 전기장(電氣場)이나 도체 내에 있는 두 점 사이의 전위(電位)의 차. 단위는 볼트(volt). [약호는 V] 전위차(電位差). 전압 측정 : 전기가 흐르는 두선에 측정기의 코드 선을 연결하여 측정 수위(전기 : 전위차) 수량 (전기 : 전류) 전류란 : 전하(電荷)가 이동하는 현상. 도체 내의 전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며, 양전기가 흐르는 방향을 그 방향으로 함. 전류 측정 : 전기가 흐르는 하나의 선에 측정기의 코드 선을 연결하여 측정 * 전류(A) 수압(전기 : 전압) 수량 측정 = 높이 × 관경 전력 측정 = 전압 × 전류

7. 피복아크 용접의 원리 철사에 피복제를 바른 용접봉과 모재 사이를 통전시키면 두 재료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여 높은 온도(약 3500-5000℃)의 열이 발생하며 이 열에 의하여 모재와 용접봉이 녹아서 두 금속 사이를 접합하게 하며, 피복제가 타면서 아크 안정과 적당한 화학반응에 의해 용융금속을 정련하 환원가스에 의해 용접부를 보호하며 슬랙이 형성되어 용접부의 급랭을 방지하여 양호한 용착금속을 형성하게 함

용 적 : arc열에 의하여 용접봉이 녹아 물방울처럼 떨어지는 것 용착금속 : 용접봉이 용융지에 녹아 들어가 응고된 금속 용  입 : 모재가 녹은 깊이 이번 장에서는 피복금속 아크 용접부의 용어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용적이란 아크열에 의하여 용접봉이 녹아 물방울처럼 떨어지는 것이고,  용착금속은 용접봉이 용융지에 녹아 들어가 응고된 금속을 말하며, 용융지는 용접할 때 아크열에 의하여 용융된 모재 부분을 말합니다. 또한 용입은 모재가 녹아 들어간 깊이를 말합니다.

8. 직류 및 교류 아크 용접기의 비교 비 교 항 목 직 류 용 접 기 교 류 용 접 기 아크의 안정성 비피복봉 사용 비 교 항 목 직 류 용 접 기 교 류 용 접 기 아크의 안정성 비피복봉 사용 극 성 변 화 자기쏠림 방지 무부하 전압 전격의 위험 구         조 유         지 고         장 역         률 소         음 가         격 우                        수 가                        능 가                        능 불           가           능 약 간 낮 음 (40 ~ 60V) 적                        음 복                        잡 약 간         어 려 움 회 전 기 에     많 음 매  우           양 호 회전기는 크고, 정류형은 조용 고                       가 약 간 떨 어 짐 불     가     능 불    가     능 가 능(거의 없음) 높 음 (70 ~ 80V) 많           음 간            단 쉬          움 적           음 불            량 조    용     함 저           렴 이번 장에서는 직류 및 교류 아크용접기의 비교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직류 아크 용접기는 아크가 안정되고, 전격의 위험이 교류 아크용접기에 비하여 좋은 반면 아크쏠림이 발생하게 되고, 교류 아크용접기는 반대로 아크쏠림 현상은 없으나 아크가 불안정하고 전격 위험이 있으며, 다른 비교 사항은 표와 같습니다.

9. 용접기의 극성 비교 극성(polarity) : 용접봉과 모재로 이루어지는 아크용접의 전극에 관련된 성질                  전극에 관련된 성질   직류 아크 용접 (DC arc welding)   교류 아크 용접 (AC arc welding) 9. 용접기의 극성 비교 극성선택    전극, 보호가스, 용제의 성분, 모재의 재질과 모양, 두께 등 이번 장에서는 직류요접의 극성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극성이란 용접봉과 모재로 이루어지는 아크용접의 전극에 관련된 성질을 말하며, 직류 아크용접과 교류 아크용접이 있습니다. 극성선택에 있어서는 전극, 보호가스, 용제의 성분, 모재의 재질과 모양, 두께 등에 의하여 하고, 직류 아크용접의 양극 발생하는 열은 약 60내지 75프로(%)이고, 음극에서 발생하는 열은 약 25 내지 40프로(%)입니다. 그리고 교류 아크 용접은 두 전극에서 거의 같습니다. 온도 분포    직류 아크 용접       양극 : 발생열의 60~75%   음극 : 발생열의 25~40%   교류 아크 용접 : 두 극에서 거의 같음.

(straight polarity, DCSP) (reverse polarity, DCRP) 정극성 (straight polarity, DCSP) 역극성 (reverse polarity, DCRP) 이번 장에서는 직류 정극성과 역극성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직류 정극성은 화면의 그림과 같이 용접기를 음극(-)에 모재를 양극(+)극에 연결하는 극성이고, 디시에쓰피(DCSP)라고 표시하며, 직류 역극성은 용접기를 양극(+)에 모재를 음극(-)극에 연결하는 극성으로 디시알피(DCRP)라고 표시합니다.

1) 극성에 따른 특징 비교 모재의 용입이 깊음 용접봉이 늦게 녹음 비드 폭이 좁음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 직류정극성 (DCSP) 특징 용접부 극성 모재의 용입이 얕음 용접봉이 빠르게 녹음 비드 폭이 넓음 박판,주강,고탄소강,합금강, 비철 금속 등에 사용 직류역극성 (DCRP) 이번 장에서는 직류 정극성과 역극성의 비교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직류 정극성은 용접봉의 용융 속도가 늦고, 모재의 용입이 깊으며, 모재의 용융 속도가 빠르고, 비드 폭이 좁으며, 후판 등 일반적으로 이용합니다. 이에 반하여 직류 역극성은 용접봉의 용융 속도가 빠르며, 모재의 용입이 얕고. 모재의 용융 속도가 느리며, 비드 폭이 넓고, 박판, 주철, 고탄소강, 합금강, 비철금속 등의 용접에 이용됩니다.

10. 용접용 케이블 용접용 케이블 규격 1차 케이블(리드용 케이블) : 전원에서 용접기까지 연결하는 케이블 1차 케이블(리드용 케이블) : 전원에서 용접기까지 연결하는 케이블 2차 케이블(홀더용 케이블)   용접기와 홀더(접지 클램프) 사이의 케이블   유연성이 많도록 지름이 0.2~0.5㎜의 가는 구리선을 수백 내지    수천 선을 꼬아서 튼튼한 종이로 감고 그 위에 고무를 피복한 것 60 50 38 2차 케이블단면적[㎟] 14 8 5.5 1차 케이블지름[㎜] 400 300 200 모양 용접기용량(A) 용접용 케이블 규격 이번 장에서는 용접 케이블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용접용 케이블은 전원에서 용접기까지 연결하는 1차 케이블이 있고, 용접기와 홀더 또는 접지 클램프 사이에 연결하는 2차 케이블이 있습니다. 2차 케이블이 굵은 이유는 대전류가 필요하기 때문이고, 지름이 0.2 내지 0.5미리미터(mm)의 가는 구리선을 수백 내지 수천선을 꼬아서 튼튼한 종이로 감고 그 위에 고무 피복한 것입니다. 1차 케이블과 2차 케이블의 규격은 화면의 표와 같습니다.

11. 용접기의 종류 직류 아크 용접기(DC arc welding machine) 안정된 아크가 필요한 박판, 경금속,    안정된 아크가 필요한 박판, 경금속, 스테인리스강 용접, * 포타블 용접기가 가정용으로 많이 쓰임 전동 발전형(MG형)   3상 유도 전동기로 용접용 직류 발전기구동   거의 사용하지 않음 엔진 구동형(EG형)   가솔린, 듸젤엔진 등으로 용접용 직류 발전기 구동   전원 설비없는 곳이나 이동 공사에 이용   DC 전원이나 AC 110V, 220V 전력 얻음 엔진 구동형 DC 용접기 이번 장에서는 발전기형 직류용접기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직류 아크용접기는 아크가 안정되기 때문에 안정된 아크를 필요로 하는 박판, 경금속, 스테인레스강 등의 용접에 이용됩니다.  발전기형 직류 아크용접기 중 전동 발전형은 삼(3)상 유도 전동기로 용접용 직류 발전기를 구동하는 것으로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엔진 구동형은 가솔린, 프로판, 듸젤 등으로 용접용 직류 발전기를 구동하는 것으로 전원 설비가 없는 곳이나 이동 공사에 이용되고, 직류전원이나 교류 백십볼트(110V)나 이백이십볼트(220V)의 전력을 얻어 쓸 수 있습니다.

1) 가동철심형 교류용접기 원리 : 교류 변압기의 원리이며, 가동철심의 이동으로 누설자속을 가감하여 전류의 크기를 조정 장점 : 연속 전류를 세부적으로 조정 단점 : 누설 자속 경로로 아크가 불안정          가동부 마멸로 가동 철심이 진동 1차전류 / 2차전류 = E2 / E1 = n2 / n1 이번 장에서는 가동철심형 교류 아크 용접기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가동철심형 교류 아크용접기는 보급형으로 철심의 이동으로 누설자속을 가감함으로 전류의 크기를 조정하여 용접전류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 용접기는 연속적으로 전류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나, 누설 자속으로 의하여 아크가 안정하지 못하고, 오래 사용하면 가동부 마멸로 가동 철심이 진동하여 용접전류가 불안합니다.

2) 가동철심형 교류용접기 원리 및 전류조정 가동철심형 용접기의 원리 가동철심의 위치와 전류 크기 이번 장에서도 계속하여 가동철심형 교류 아크 용접기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가동철심형 용접기의 전류조정은 가동 철심의 위치에 따라 용접전류가 변화하는데, 가동철심이 밖으로 나오면 누설자속이 많이 흘러 용접전류가 크게 되고, 가동철심이 안으로 들어가면 용접전류은 점점 적어지므로, 이 용접기는 가동철심 이동에 따라 용접전류값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탭 전환 등 전기적 접속부는 자주 샌드페이퍼 등으로 잘 닦을 것 용접케이블 등의 파손된 부분은 절연 테이프로 감을 것 3) 용접기 설치시 피해야할 장소 먼지가 매우 많은 곳 수증기 또는 습도가 높은 곳 옥외의 비바람이 치는 곳 진동 및 충격을 받는 곳 휘발성 기름이나 가스가 있는 곳 유해한 부식성 가스가 존재하는 곳 폭발성 가스가 존재하는 곳 주위 온도가 - 0℃ 이하인 곳 2차측 단자 한쪽과 용접기 케이스는 접지할 것   가동 부분, 냉각팬(fan)의 점검 및 주유   탭 전환 등 전기적 접속부는 자주 샌드페이퍼 등으로 잘 닦을 것   용접케이블 등의 파손된 부분은 절연 테이프로 감을 것 4) 용접기 관리 및 보수 이번 장에서는 용접기 설치시 피해야 할 장소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용접기 설치시 먼지가 매우 많은 곳과 수증기 또는 습도가 높은 곳과 옥외의 비바람이 치는 곳과 진동 및 충격을 받는 곳과 휘발성 기름이나 가스가 있는 곳과 유해한 부식성 가스가 존재하는 곳과 폭발성 가스가 존재하는 곳과 주위 온도가  마이너스 영도씨(-0℃) 이하인 곳에는  설치를 피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