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과학적 조사방법
무질서한 복잡성으로부터 의미 있는 단순성을 탐구하는 학문. 1. Scientific Approach What is Science? 자연의 섭리를 찾아가는 학문 또는 여정. 무질서한 복잡성으로부터 의미 있는 단순성을 탐구하는 학문.
1. 과학의 전제 (The Assumptions of Science)
1). 자연은 질서가 있다 (Nature is orderly) 인식할 수 있는 규칙성과 질서가 자연세계에 있다. There is a recognizable regularity and order in the natural world. The concept of nature does not refer to omnipotent or supernatural forces. In science, nature encompasses all empirically observable objects, and includes the human being as a biological system.
2). 자연을 알 수 있다 (We can know nature) 인간은 자연뿐만 아니라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정신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The assumption that we can know nature is no more provable than assumptions that nature is orderly and that there are laws of nature. The human mind is not only capable of knowing nature but also of knowing itself and the minds of others.
3). 지식은 무지보다 우월하다. (Knowledge is superior to ignorance) 자연과 우리 자신을 알 수 있다는 전제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은 지식이 자신을 추구하고 인간조건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믿음이다. Closely related to the assumption that we can know nature and ourselves is the belief that knowledge should be pursued both for its own sake and for improving human conditions The belief that knowledge is better than ignorance is diametrically opposed to epistomologies based on absolute truth. Science is often temporarily helpless when its bastions are stormed by overzealous proponents of absolute systems of belief
4). 모든 자연현상은 자연적 원인들을 가진다. (All natural phenomena have natural causes) 모든 자연적 현상에 원인들이 있다는 전제는 과학적 혁명의 전형이다. The assumption that all natural phenomena have natural causes epitomizes the scientific revolution. It has placed the scientific approach in opposition to fundamentalist religion on the one hand and spiritualism and magic on the other. Epitomize : to be a very typical example of something ; This building epitomizes the spirit of the nineteenth century
5). 자명한 것은 없다. (Nothing is self-evident) Scientific thinking is Skeptical and critical
6). 지식은 경험의 습득으로부터 도출된다. (Knowledge is derived from the acquisition of experience) 과학이 우리가 실제세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면 그것은 경험적이어야 한다. 즉, 지각과, 경험, 관찰들에 의존해야 한다. If science is to help us understand the real world, it must be empirical; that is, it must rely on perceptions, experience, and observations.
2. 사회과학의 목적 (Aims of social sciences) 과학적 설명(Scientific explanation) Deductive explanations Probabilistic explanations 예측(Prediction) 이해(Understanding)
3. 일반적 지식탐구방법 1). Authoritarian Mode 권위주의적인 방법에서 지식은 사회적으로, 정치적으로 지식에 대한 자격을 갖춘 생산자들로 정의된 사람들과 관계 함으로서 추구된다. In the authoritarian mode, knowledge is sought by referring to people who are socially or politically defined as qualified producers of knowledge These may be oracles in tribal societies, archbishops in theocratic societies, king in monarchical societies, and individuals occupying scientific positions in technocratic societies.
2). 신비적 방법 Mystical Mode 지식은 신의의 대변자나 성직자, 신과 매개체들과 같은 초자연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권위들로부터 얻어진다. Knowledge is obtained from supernaturally knowledgeable authorities such as prophets, divines, gods, and mediums In this sense, the mystical mode is similar to the authoritarian mode. However, it differs in its dependence on manifestations of supernatural signs and on the psychophysical state of the knowledge consumer. For example, the rites surrounding the process of astrological prophecy are aimed at persuading the layperson of the astrologer’s supernatural powers.
3). 합리주의적 방법 (Rationalistic mode) 합리주의는 철학의 한 분야로서 지식의 총체가 논리의 형태와 규칙을 엄격한 적용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인간의 정신이 경험보다 우위에 있다고 전제한다. Rationalism is a school of philosophy that holds that the totality of knowledge can be obtained by strict adherence to the forms and rules of logic The underlying assumptions of rationalism are (1) that the human mind can understand the world independently of observable phenomena and (2) that forms of knowledge exist that are prior to our personal experiences.
4). 과학적 방법 (scientific mode) 객관적인 지식, 즉 적절한 경험이나 관찰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자료(data)를 기초로 하여, 주관을 넘어 증명가능하고 개인의 의견이나 선호로부터 독립된 지식의 획득을 목적으로 한다. 개인의 주관성을 배제한다는 측면에서 다른 방법들과 차이를 나타냄.
4. 과학적 조사방법이란? 어떤 하나의 일관된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동의하는 방법은 없다. 다만 과학적 방법이 갖고 있는 속성들을 논의한다.
1). ‘관찰에 근거한 증거’에 바탕 권위, 전통, 이념 등을 통해서가 아니라 관찰된 증거를 통하여 진리를 찾는 것이다. 이러한 관찰은 체계적이고 포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관찰의 과정이나 절차가 구체적이어야 한다. 어떤 증거가 완전히 객관적이고, 정확하고, 일반화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해 주는 과학적 조사방법이 존재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복(replication)조사가 필요하다. 다양한 연구대상과 상황에도 똑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는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2). 명백한 규칙과 절차의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생각과 정보의 지속적인 교환을 통하여 과학적 방법은 공통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규칙과 절차를 만들 수 있고 이것을 통하여 일치하는 방법론과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 이것이 게임의 규칙(rule of game)이고 이것을 통하여 의사소통, 건설적 비판, 그리고 과학의 진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The scientific methodology is a system of explicit rules and procedures on which research is based and against which claims for knowledge are evaluated. This system is neither closed nor infallible. Rather the rules and procedures are constantly being improved; scientists look for new means of observation, inference, generalization, and analysis. The methodology of the social sciences has evolved slowly. In this evolution, criticism has always performed an important function. Through the continuous interchange of ideas, information, and criticism, it became possible to institutionalize commonly accepted rules and procedures and to develop corresponding methods and techniques. This system of rules and procedures is the normative component of the scientific methodology. It defines the “rules of the game,” and these in turn enable communication, constructive criticism, and scientific progress.
3). 의사소통(communication) 을 위한 규칙 과학적 방법의 주요 기능은 어떤 공통의 경험을 공유하거나 하기를 원하는 사람들 사이에 의사소통을 원할 하게 해 주는 것이다. 반복조사, 즉 동일한 사람들에 의하여 똑같은 방식으로 동일한 조사를 반복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은 실수나 거짓 조사를 막을 수 있다. 건설적 비판을 통하여 어떤 사람이 어떤 지식을 발견했다고 주장할 때 이러한 주장이 방법적인 측면에서 옳은 것인지를 밝힐 수 있다. By making the rules of methodology explicit, public, and accessible, the framework for replication and constructive criticism is set forth. Replication-the repetition of the same investigation in exactly the same way either by the same scientist or other scientists-is a safeguard against unintentional error or deception. “Does the explanation(prediction)follow logically from the assumptions?” “Are the observation correct?” “What were the methods of observation?” “Did other factors interfere in drawing conclusions?” “Should the findings be taken as evidence that another explanation is correct?” and so forth.
4). 추론(reasoning)을 위한 규칙 *경험적 관찰은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구조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경험적 관찰 혹은 사실 그 자체가 진리인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류(classification)와 정의(definition)의 규칙, 연역적이고 귀납적인 유추의 형태, 확률이론, 표집조사, 측정 규칙 등의 방법적인 도구들이 필요하다. 논리적 절차는 서로를 지지하는 적어도 서로 모순되지 않는 가깝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일련의 절차이다.
5). 경험적 객관성을 위한 규칙 논리란 추론의 옳고 그름과 관련이 있지 경험적인 진실 혹은 입증된 사실과 관련된 것은 아니다. 사실(fact)이란 그것을 지지하는 객관적 증거(evidence)가 있을 때 진실인 것이다. 옳지 않게 추론(reason), 입증된 사실(진실)로부터 잘못된 유추를 할 수 있다. 반면에 입증된 사실을 사용하지 않으면 논리적으로 올바르게 추론해도 잘못된 유추를 할 수 있다. 경험적 객관성의 기준이나 입증을 위한 방법들은 사람들 간에 소통 가능해야 한다. 어떤 사람이 조사를 했다면, 다른 사람이 같은 기준이나 방법으로 조사를 다시 할 수 있고 두 조사 후 비교가 가능해야 한다. 즉, 방법이 옳고 조건이 변하지 않았다면 두 조사의 결과는 유사해야 한다.
5. 과학적 지식탐구방법의 특징 Science is logical (과학적 연구는 논리적이다) Science is deterministic (과학적 연구는 결정론적인 인과성이 있다) Science is general (과학적 연구는 일반적인 것을 추구한다) Science is parsimonious (과학적 연구는 간결한 것을 추구한다) Science is specific (과학적 연구는 구체적이다) Science is empirically verifiable (과학적 연구는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하다) Science is intersubjective (연구과정이 같으면 같은 결론을 얻어야 한다) Science is open to modification (과학적 연구는 수정 가능하다)
6. 비과학적 지식탐구방법 전통과 권위(tradition and authority) 부정확한 관찰 지나친 일반화(over-generalization) 선택적 관찰(selective observation) 고정관념(made-up information) 사후가설(ex post facto hypothesizing) 비논리적 근거(illogical reasoning) 자아관여(ego involvement in understanding) 중간에 중단된 탐구작업 신비화(mystification)
7. 과학검증 방법 합리주의 권위적인 방법 과학적인 방법 논리적인 방법 이상주의 경험주의 신비적인 방법 실존주의
8. 과학적인 연구방법의 종류 1) 관찰(observation) 관찰이란 일반적으로 언어에 의존한다. 진실의 관찰은 언어적 이론적 틀을 가지고 감각적인 인상을 해석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관찰을 통해서 측정, 표본추출, 모수의 추정 등을 거쳐 일반화해 간다. 지나친 일반화는 연구자가 경계해야 할 사항이다.
2) 연역적인 방법(deduction) 가설-조작화-관찰-검증 “모든 사람은 죽는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연역법과 귀납법은 대립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 보완성을 갖는 과학적인 접근방법. 3) 귀납적인 방법(induction) 특수한 사실을 전제로 하여 일반적인 진리 또는 원리로서의 결론을 내리는 방법 “소크라테스는 죽었다” “다른 사람들도 죽었다” “모든 사람은 죽는다” 연역법과 귀납법은 대립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 보완성을 갖는 과학적인 접근방법.
9. 연역적/귀납적 연구방법 비교 구분 연역적인 연구방법 귀납적인 연구방법 접근방법 방법가설→조작화 →관찰→검증 관찰→경험적 일반화 →임시적 결론→검증 예 모든 사람은 죽는다(p→q).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r→p).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r→q). 소크라테스는 죽었다. 다른 사람들도 죽었다. 모든 사람은 죽는다. 특징 일반적인 것으로부터 특수한 것을 추론해내는 방법(삼단논법) 특수한 사실을 전제로 하여 일반적인 진리 또는 원리로서의 결론을 내리는 방법
귀납법/연역법의 관계 귀납법 연역법 이론 가설 관찰 경험적 일반화
The Main Stages of Research Process Theory Problem Generalization Hypothesis Research Design Measurement Data Collection Analysis Generalization The Main Stages of Research Process
10. 사회조사방법의 의의 및 중요성 사회조사방법의 의의 사회조사방법은 사회현상에 대한 새로운 사실, 지식이나 사실·지식 간의 관계(이론)를 논리적, 체계적, 경험적, 객관적으로 찾아내기 위한 방법. 즉, 실증적 자료수집과 논리적·체계적 과정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요소를 가짐.
1) 사회조사방법의 중요성 방법이나 수단이 좋으면 목적을 쉽게 달성. 예) 이동방법 : 도보→ 말 또는 마차 → 자동차 → 기차 → 비행기 → 로켓 보다 빠르고 정확한 시간에 도착할 수 있다. 나무베기방법 : 원시시대-돌도끼 → 칼 → 톱 → 전기톱 보다 빠르고 정밀한 방법 학문의 발달은 학문하는 방법의 발달에 상당한 영향을 받음. 서양이 동양보다 학문이 발달한 것은 학문하는 방법의 발달이 상당한 영향을 발휘한 것.
2). 사회조사방법의 위치 과학의 발전 과학자들의 태도 조사방법론의 발전 정책/문화적 지지
11. 사회조사의 구분 사회조사(social survey)와 사회조사연구(social research)의 두 개념은 조사의 궁극적인 목적을 어디에 두고 있느냐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사회조사(social survey) 실천적 목적을 위한 것으로 일정한 지역 및 공동체게 대하여, 특히 그것이 가지는 사회병리적 현상의 실태를 파악하여, 이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실천적 목적을 지닌 통합(종합)적 성질의 조사이다. 사회조사연구(social research) 가설검증이나 이론도출 목적을 위한 것으로, 실천적 목적과는 직접적인 관련 없이 사회적 현상을 관찰하여 그 속에 내재하고 있는 규칙성 내지 사회적 입법을 도출하려는 가설검증적 목적과 이론 형성적 조사이다.
12. 사회조사의 기원 고대의 호구조사, 토지조사 등에서 찾아볼수 있다.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조사방법의 발달은 근대 자본주의 사회의 형성 및 그 발달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산업혁명에 따른 급격한 사회변동과 이에 따른 급속한 도시화의 진보, 공장지대를 둘러싼 노동자들의 빈곤, 비위생적인 주거환경과 증가하는 사회범죄 등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이를 규명하여 해결책을 모색해야 하는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13. 사회조사의 발달동향 대표적인 학자들로 영국의 John Howard, 프랑스의 Frederic Le Play, 영국의 Charles Booth, 미국의 Paul Kellog 등 -John Howard : 영국 형무소의 실태와 유럽의 여러 나라 형무소의 실태를 비교·연구하고 그 결과를 영국하원에 보고함으로써 형무소의 개선을 위한 법률안을 통과시키는데 기여. 현지관찰 및 상세한 기록, 여러 형무소 실정에 대한 계속적인 지표의 수집, 수집된 자료의 표준화(standardization), 조사표(questionnair)의 사용, 통계표의 체계적 작성과 동일 형식을 통한 비교연구(comparative study)의 가능성 입증 등 조사방법론상의 중요한 문제 제기
-영국의 Charles Booth 회사경영에 사용되는 새롭고 조직적인 통계학 기법을 응용, 조사비용을 모두 자신이 부담, 총비용은 33,ooo파운드, 그의 일을 도운 자원봉사보조원이 사촌 여동생 Beatrice Potter(후에 Sidney Webb과 Beatrice Webb), 본부는 토인비 홀에 설치했고, 깃발을 꽂아 조사대상지역을 표시한 빈곤지도를 만들었다. 교육청관료들로부터 학생들의 결석 사유에 관한 정보수집·검토, 런던 시민을 8계급으로 분류.
범주 A. 부랑자, 주정뱅이, 준범죄자 0.9% B. 호구지책을 위한 입시적 일자리를 가진 사람 7.5% C. 계절적 또는 일시적인 정규 노동 D. 정규 노동자이지만 가난한 사람 C+D 22.3% E. 상당한 임금을 받는 정규 노동 F. 노동자 상층 E+F 51.5% G. 중하계급 H. 중상계급 G+H 17.8% 런던 시민의 3할이 빈민이고 저임금과 불안정한 일자리가 빈곤의 주된 원인으로 드러났다.
라운트리의 요크시 빈민조사 식품영양학자 초콜릿 회사운영 종업원 2천 명 고용, 퀘이커 교도인 라운트리는 사회문제에 관심, 맨체스터의 오웬대학에서 식품화학 전공, 부스와 서신교환, 자신이 사는 요크시를 대상으로 부스가 한 것과 같은 조사를 해보기로 작정. 빈곤을 1차 반곤(primary poverty)과 2차 빈곤(secondary poverty)으로 구분 1차빈곤이란 가족의 소득이 생물학적 효율성을 유지하기에도 부족한 수준, 즉 네 가지 기초 생필품(음식, 연료, 거처, 피복 등)을 구입할 능력도 안되는 수준들 의미. 2차 빈곤이란 네 가지 생필품을 구입할 능력은 있지만 소득의 일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도덕적으로 나쁘게 슨다는 뜻이 아니라 소득을 잘못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와 주거이전, 노조 조합비, 통근비, 경조비 등 불가피한 경우).
14. 사회과학의 한계성 1) 연구대상. 자연과학은 자연현상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반면 사회과학은 인간과 관련된 사회현상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2) 윤리성 인간은 무생물, 식물, 동물과 같이 실험적 처리를 할 수 없으므로 윤리성(Ethics)문제가 중요한 사항이 된다.
3) 통제·조작의 한계성 통제와 조작이 어렵다. 인간의 행동은 연구자의 의도를 뛰어넘을 수도 있고 실험대상임을 알았을 경우 다른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많아 통제나 조작 실험적 결과의 타당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많다.
4) 접근방법 자연과학이 외부로 나타나는 현상을 통해서 또는, 현상과 현상의 관계를 통해 문제의 본질에 접근한다면, 사회과학은 현상과 인간의 내면세계 사회문화적 구조 등에 대한 종합적 접근을 필요로 한다.
5) 사회문화적·시간적 요인 사회적 현상은 연구자의 사회문화적 혹은 시간적 요인에 의해 상당히 달라질 수 있다. 사회와 시대에 따라 자녀 양육과 이혼에 대한 태도, 결혼에 대한 태도, 노인에 대한 태도, 교육, 직업 등에 대한 태도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15. 사회조사의 윤리성 1. 연구내용 및 주제 2. 연구대상 및 과정 3. 연구대상자의 승낙 4. 연구결과와 관련한 문제 인간에게 해를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는 안 된다. 국가의 이해관계에 따라 연구를 제한해서는 안 된다. 조선시대의 계급제도, 현대의 국가보안법 2. 연구대상 및 과정 연구대상을 수단으로 이용하는 문제(나치정부와 일본의 군국주의시기 인간에 대한 생체실험) 연구대상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물질적, 법적 피해를 주는 연구 3. 연구대상자의 승낙 4. 연구결과와 관련한 문제 조사대상자의 익명성 보장 자료원(data source)에 대한 비밀보장 연구결과의 사용 권한 : 표절의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