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태양계 행성들의 특징. 수성 (Mercury) 첫번째 행성 지구의 1/3 크기 수성의 1 년 - 88 일 하루 - 59 일 수많은 분화구로 덮여있음 밤낮의 기온차 큼.
Advertisements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I-2. 우주의 진화 1. 별의 진화와 원소의 생성. 자연계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원소 별이 진화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별의 진화 과정에서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I-2. 우주의 진화.
1. 2. C ontents Science curriculum ▶ 국가 경쟁력의 원천으로 창의적 인재 육성 방안 모색 - 수학, 과학 교육 강화를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 ▶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09.12)의 취지에 부합하는 창의 · 인성 중심의.
Ⅰ. 우주의 기원과 진화 3. 원자의 형성 원자의 구성 - 원자핵 (+) 와 전자 (-) - 전기적 중성 - 원소의 종류마다 원자핵의 질량과 전자의 개수가 다름.
- 인류의 역사와 환경 및 기후변화. 인류의 역사 지구 기후 시스템과 주요 메커니즘 산업혁명 전 ∙ 후 지구환경 및 기후변화 주요 원인.
Ⅳ. 소화, 순환, 호흡, 배설 3. 혈액이 빙글빙글 돌아요 !. 학습 목표 온몸 순환과 폐순환의 경로 및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혈액 순환 과정에서 물질의 이동 방향을 설명할 수 있다. Page_2.
1 지구상의 물 분포 2 염류의 근원 : 바닷물은 왜 짤까요? 3 염분비 일정의 법칙 4 염분의 정의 및 발전과정 5 표층해수의 염분 분포.
한국지리 Ⅱ. 국토의 자연환경. `1. 기후와 생활 기후요소 기후인자 기후구분 국지기후 식생과 토양의 분포.
해양 오염과 대책 난 깨끗한 것이 좋아.. 학습 목표 해양 오염의 원인과 그 대책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생태학개론 제 2 주제 : 조직의 계층구조. 1. 계층구조 계층구조 (hierarchy) - 구분된 요소들이 정돈되어 있는 일련의 계열 - 인간사회와 마찬가지로 생태계도 계층구조가 존재 - 생태계의 계층구조를 이해 → 유기체적 작용 ( 움직임 ) 을 이해.
Ⅱ. 태양계와 지구 Ⅱ-2. 지구 구성 원소와 지구계 2. 지구의 진화.
II. 생동하는 지구 2. 유체 지구의변화 2-1 기압과 날씨(1).
2. 잎까지 운반된 물은 어떻게 될까? 학습목표: 증산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9 Part.3 지구의 형성과 진화.
세계의 날씨 Weather of the world.
지구의 형성, 지구계의 진화, 지구의 층상 구조와 원소 분포, 지구 자기장
신기술 세미나 제안서 발표 신원호.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I-2. 우주의 진화 1. 별의 진화와 원소의 생성.
II. 지구계와 지권의 변화 1. 지구계 2. 지구계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
과목명 : 과학 1학년 1학기 지구의 구조 > 대기권 [3/8] 대기권의 각 층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
4-3. 풍화, 침식, 운반 및 퇴적 풍화(weathering)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Ch.2. 토양(Soil): 여러 권역이 공존 상호 작용하는 곳 (다른 권역 간 계면의 존재)
12장 화학반응의 반응열의 종류 화학 년 1학기.
3-4. 지열 에너지(geothermal energy)
4. 화석 연료의 사용과 지구 온난화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온실 기체와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
Ch.4. 화석 연료와 환경 문제 화석 연료(Fossil Fuel)? 환경 문제 석유 천연가스 석탄
1-3. 지구의 탄생과 진화(2)
1-3. 지구의 탄생과 진화(1)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Dokdo abyssal current 4조
어떻게 지구를 연구하는가? 과학으로써의 지질학 관찰(Observation) 가설(Hypothesis):
전류에 의한 자기장 B < B’ 자기장(magnetic field)
체 세 포 분 열 배 수 경 중3 과학.
01 대기 오염 02 수질 오염 03 토양 오염 04 해양 오염 05 우주 쓰레기 06 환경 위기 극복을 위한 노력
지구 환경은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가? 8조 노 범 식 이 승 용.
5-5.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일반적 의미: 지구가 따뜻해지는 것
 과학  1학년  Ⅳ.생명>1-3.광합성과 호흡(1/5) 광합성 수업계획 수업활동.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별의 일생(Star Lives) 발표조: 9조.
극지해양학 발표논문 Antarctic circumpolar current's role in the Antarctic ice system: An overview 이 종석.
지구온난화 보고서.
유기지구화학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자원과 환경: 지구의 선물, 그 빛과 그림자 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유재영.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4.4-3 대기 대순환 학습목표 1. 대기 대순환의 원인과 순환세포를 설명할 수 있다.
중2 사회 Ⅴ.자연재해와 인간생활.
영양소 섭취와 에너지 소비 -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Cause and Evidence Group 10.
1-5 용해도.
산성비가 자연에 미치는 영향 화학과 4학년 김민기.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물의 순환 돌고 도는 물 대기 중의 수증기 물의 순환.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II. 생동하는 지구 1. 고체 지구의변화 1-3 판의 운동과 변동대(2).
6-3. 지질시대의 구분.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지구화학 및 실험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토양의 화학적 성질 토양미생물학 교재: 토양생물학, 이민웅 3장
Ice Flow of the Antarctic Ice Sheet
광물과 광물학.
걸리버의 첫 번째 지도 S T E A M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TEAM 연구회-
지구과학교육  VI. 지 구  일기와 기후 끝.
대기오염 지구온난화 한지우.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CHAPTER 1 미생물과 미생물학.
5-3. 화석 연료의 형성과 개발 화석 연료: 과거 생물의 유체가 지층 중에 묻혀 연료 화 된 것 석유 석탄 천연가스.
Ⅳ. 광합성 4. 식물도 동물처럼 호흡할까?.
Presentation transcript: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지난 시간에는... 1.원시지구의 성장  

지난 시간에는... 2.지권, 수권, 기권의 형성 지권의 형성 수권의 형성 기권의 형성

지난 시간에는... ② 대기 조성 변화

3. 생물권의 형성

학 습 목 표 - 지구계의 에너지원을 이해한다. - 물,탄소의 순환을 설명할 수 있다. 지구계의 상호작용의 예를 설명할 학 습 목 표 - 지구계의 에너지원을 이해한다. - 물,탄소의 순환을 설명할 수 있다. 지구계의 상호작용의 예를 설명할 수 있다.

1.지구계의 에너지원 태양 에너지 수소 핵융합 반응 - 지구 환경의 에너지원 중에서 가장 큰 비중 (태양E>>지구 내부 E>조력에너지) 지구에 사는 생명체의 근원적인 에너지 지구의 외적 변화 과정 (식물의 광합성, 대기와 해수의 순환, 지권의 풍화와 침식)

1.지구계의 에너지원 (2) 지구 내부 에너지 열에너지(고온의 핵) + 방사성 원소의 붕괴 - 지권에서 일어나는 모든 에너지의 근원 지구 내적 변화 (조산운동, 화산 활동, 지진, 판의 운동 )

1. 지구계의 에너지원 (3) 조력 에너지 - 달과 태양의 인력 - 조석(밀물과 썰물)→ 해수면을 변화→ 해안 부근의 생태계와 지형 변화에 영향

1.지구계의 에너지원  

2.에너지의 순환 (1) 위도별 에너지 불균형 ① 원인

2.에너지의 순환 ② 대기와 해수의 순환 에너지 평형 저위도의 과잉된 에너지 → 대기와 해수 의 순환→고위도로 이동 ② 대기와 해수의 순환 에너지 평형 저위도의 과잉된 에너지 → 대기와 해수 의 순환→고위도로 이동 - 전체적인 에너지 평형

3.물의 순환

3.물의 순환 (1) 주요 에너지원 : 태양 복사 에너지 (2) 물의 순환 과정 : 물의 증발->수증기->구름의생성->강수->유수의 이동->바다로 유입->물의 증발 (3) 잠열의 출입 → 에너지의 이동 강수나 유수의 이동→지표의 변화

4. 탄소의 순환 : 지구상에서 탄소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면서 기권, 수권, 지권, 생물권을 순환한다. (1) 탄소의 존재 형태 : 탄소는 기권에서는 이산화탄소(CO2),일산화탄소(CO),탄화수소류 등의 형태로, 수권에서는 탄산 이온(CO32-), 탄산수소 이온(HCO3-)등의 형태로, 지권에서는 (석회암), 석탄, 석유 등의 형태로,생물권에서는 유기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4. 탄소의 순환 (2) 탄소의 이동

4. 탄소의 순환 (3) 탄소의 분포 : 지구상에 분포하는 탄소의 약 99.9%는 지권에 포함되어 있고, 약 0.1%는 기권과 수권, 생물권에 분포한다. 구분 대기 생물 해양 화석연료 퇴적암(석회암) 탄소의 양 (×1012kg) 750 2000 39120 4000 80000000

5. 지구계의 상호작용 기권 수권 지권 생물권 기단끼리의 상호작용 바람에 의한 해파, 해류 발생 바람에 의한 풍화, 침식작용 영향 근원 기권 수권 지권 생물권 기단끼리의 상호작용 바람에 의한 해파, 해류 발생 바람에 의한 풍화, 침식작용 호흡, 광합성에 의한 가스 이동 수권의 수증기가 기권으로 유입 해수의 혼합, 심층 해수의 순환 물과 빙하의 침식, 운반, 퇴적 작용 세포 내 물 공급, 수중생물의 서식처 화산 가스 분출 지권의 물질이 용해되어 유입 대륙의 이동에 의한 조산운동 생물 서식처 제공, 영양분 공급 호흡, 광합성에 의해 기체 이동 생물체에 의한 용해 생물에 의한 풍화작용, 토양의 생성 먹이 사슬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