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C거더의 시공 및 유의사항.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적화, 적과를 할 때 액화, 액과 따기의 중요성 前 이바라기현 과수협회장 구로다 야스마사.
Advertisements

3M 8802-TLC/3 현장조립광커넥터 한국쓰리엠. SC 하우징 커넥터 몸체 부트 접속버튼.
KAIST Concrete Lab 철근콘크리트 구조 설계 김진근 교수 건설 및 환경공학과 KAIST 2012 가을학기.
1장 서 론1장 서 론 1 제 1 장 서 론 1.1 콘크리트 개요 ○ Concrete ? : Concretus or Concrescere ⇒ means to grow together : 골재 ( 잔골재 + 굵은골재 ) 를 결합재로 결합시킨 결합체 - Lime Mortar:
96 Cavity 열 해석 평가 96Cavity 에 적용된 HRS 온도 분포 상태 검토 Thermal Analysis Objective Analysis Type Temp. ( ℃)
타워크레인 사고사례 및 안전대책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33 경 2 명이 사망하고, 1 명이 경상.
안전펜스 제품설명 제품설명 제품설명 안전펜스는 위험지역, 구동설비시설 주위의 접근금지 및 출입통제를 목적으로
제9장 콘크리트 배합 소정의 성능을 가진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한 배합설계에는 구성재료의
Model : CHEVI-SPARK PAPER VERSION 1.0
제 4장 교실환경 4. 교실의 실제 신영섭.
ROLL COATER 제작 사양서 FOUR TECHNOLOGY 초 정밀 가공기술 정밀 제어기술 신기술의 핵심기술
설비기기의 소음, 진동 대책.
시 공 계 획 서 현장명 : 서울대학교 신양학술정보관3 공 종 : 노출콘크리트공사 금 웅 건 설 주 식 회 사.
양천길 개착구에 매설된 지하지장물(상수도, 전력구 등)의
2장.
실험 8. 연산증폭기 특성 목적 연산증폭기의 개관, 특성 및 사용법 이해 입력저항, 개루프 이득, 출력저항, 슬루레이트 등
SONUDPROOF SMART RACK P-707Series SOUNDPROOF SMART RACK.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TARGET 운반 CASE 제품 소개서 OSUNG METAL
센서 9. Force Sensor 안동대학교 물리학과 윤석수.
엔드밀 포장설비 제안서 자동화 사업부 ( ).
4. 결합용 기계요소 - 리벳 리벳 이음은 결합하려는 강판에 미리 구멍을 뚫고 리벳을 끼워 머리를 만들어 결합시키는 이음으로 철골구조물, 경합금 구조물(항공기의 기체)에 이용되고 있다. 용접이음과는 달리 응력에 의한 잔류변형이 생기지 않으므로 취성 파괴가 일어나지 않고.
무대장치 SD-301 system(특허 ) 1. 유일성 : 기존의 목재및 철재 구조틀로 무대를 설치하는것을 조림 시스템(이동가능)으로 조립하는 공법으로 체육관, 대강당 시공시 무대에서 체육관 마루까지 조립 시스템으로 완벽한 마루틀을 형성할 수 있다.
PSC 교량 작업안전 1 PSC교량 거더 제작 및 운반 PSC교량 거더 인양 및 거치 건설분야–교육자료
浩山 엔지니어링주식회사 ENGINEERING & MANUFACTURE
RENO Detector Design meeting
압축력 흡수재를 이용한 외부포스트텐션보강공법(BOW)
GSS-1122 (Ⅱ)자동폐쇄장치 설치 시방서 ※ 구성품 및 명칭 ※ 상세 설명 제어부 슬리브 메인암 폐쇄부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 수진이에게 무슨 말을 해줄 수 있을까요? 자전거 사고를 경험한 적이 있나요?
덤프트럭 작업시 장비 안전기준 작업시 유의사항
3. 재료역학 개요 3.1 응력과 변형률 (1) 하중 1) 하중의 개요 ; 모든 기계나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 즉 외력을 받고 있다. 따라서 기계나 구조물의 각 부분은 이들 외력에 견디고 변형도 일으키지 않으면서 충분히 그 기능을 발휘하여야.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반 : 4 번호 : 1 성명 : 권채윤 건설 시공 과정.
장비별 공통 안전수칙10계명 굴삭기 •버켓 탈락방지용 안전핀 설치 •비탈면 전도방지 위한 작업경로 확보
제5장 하수 관로 시설 (3) 관중심 접합 접속하는 관거의 내면 중심부가 일치되도록 접속 시키는 방법. 수위접합과
고체역학 2 - 기말고사 1. 단면이 정사각형이고 한번의 길이가 a 일 때, 최대굽힘응력과 최대전단응력의 비를 구하라(10).
3장 휨거동 3.1 개 요 3.2 휨압축에 대한 응력-변형률 관계 3.3 휨에 대한 거동 3.4 휨모멘트에 대한 선형탄성 해석
항온 항습기 실외기 이전설치 계획 10RT 실외기 제원 제조사: 씨지아이 품명 : RC100A 압축기 동력: 7.5kw
기계식철근이음 ㈜대도산업 영업부/차장 김 종 웅 hp:
철근 커플러 성능 및 품질관리 기준 ㈜윈윈개발 기술팀.
2012 가을학기 철근콘크리트 구조 설계 김진근 교수 건설 및 환경공학과 KAIST.
낙 하 물 방 지 공 직 접 시 공 브램프 / BRAMP ( / 브램프 공법) 건설 신기술 제408호
2011 봄학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탄성 해석 김진근 교수 건설 및 환경공학과 KAIST.
제5장 하수 관로 시설 3-6 받이 각 가정, 공장 등의 하수를 각각 배수설비를 통하여 집수 하는 것으로, 배수설비와 연결
제품 문제시 해결방안 설치 배관도 YSS-511 DISCAL 증 상 원 인 조치 사항 배 출 이 되지 않는다 이물질에 의해
1. TOP-DOWN 공법이란? TOP-DOWN 공법은 단어의 사전적 의미와 같이 구조물 시공시 위에서 아래로 진행하는 공법
1. TR&T 공 법 개요 TR&T 공법은 가. 지하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대구경 강관을 압입하고 나.강관내부를 굴착한 다음
압축력 흡수재를 이용한 외부포스트텐션보강공법(BOW)
4장.
4.7 보 설계 보 설계과정 (a) 재료강도 결정 (b) 보 단면 산정 (c) 철근량 산정 (d) 최소 및 최대 철근비 확인
<건축재료학> -콘크리트- (Concrete)
.
교실용 SD-101 system (특허 ) 장선: 30x70x0.8t 지주: 주 장선 간격 : 900mm
홍수추적 담당교수명 : 서 영 민 연 락 처 :
& 네이버 “철골난간대” 검색 철골공사 안전대부착설비의 문제점 & 네이버 “철골난간대” 검색.
콘크리트 배합설계 콘크리트 실험실.
가을에 만날 수 있는 곤충.
국내 중대재해.
교량공학 목차 1.서론 2.하중 3.구조해석 4.콘크리트바닥판 5.강합성교 설계 6.판형교 설계 7. 하부구조 설계
P707 내진랙 Series.
Map Designer Solution 소개자료
6장 압축재 C T.
대 한 방 교 한방생명자원센터 ~ 교구제작관 연결교량 조원: 이두찬 김윤규 오태경 이치영 손수진.
압출 개요 압출 작업 압출하중의 근사계산 압출 공정변수 하중 근사식 모델재료의 이용 전방압출의 해석
컴퓨터공학과 손민정 Computer Graphics Lab 이승용 교수님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시료채취장치, 조립 및 취급.
세포는 어떻게 분열할까? 학습 주제 <들어가기> 양파를 물이 담긴 유리컵에 기르면 뿌리가
콘크리트(산업)기사 실기 작업형 시험 대비 동영상포함
소화용수설비 김 종 희
Presentation transcript:

IPC거더의 시공 및 유의사항

목 차 1. IPC거더의 원리 2. IPC거더교 연속지점부의 구조적 특징 3. 시공 개요도 4. 공종별 시공사진 목 차 1. IPC거더의 원리 2. IPC거더교 연속지점부의 구조적 특징 3. 시공 개요도 4. 공종별 시공사진 5. IPC거더 적용범위 6. 시공중 유의사항

1. IPC거더의 원리 1) 기존 PSC빔의 설계원리 2) IPC 거더의의 설계원리

3) 단계적 긴장의 적용사례

4) PSC빔과 IPC거더의 비교 (L = 30M, DB-24기준)

2.연속지점부의 구조적 특징 기존 PSC 빔 연속지점부 IPC 거더 연속지점부 1) 연속지점부 거더간 철근강결 2) 2차강선을 이용한 긴장력 도입 (1) 연속지점부 거더의 상부플랜지를 통과하는 연속강선을 설치하여 긴장력을 도입함으로써     연속구조계 형성 후 작용하는 단면력(부모멘트)에 저항 (2) 바닥판 상면의 인장균열 발생을 억제하여 내구성 향상

3) 연속지점부 시공사진

3. 시공 개요도 1) 단순교 시공순서도 ⇒ 바닥판 철근 조립

2) 연속교 시공순서도 ⇒ 2차 강선 삽입 및 바닥판 철근 조립

4. 공종별 시공사진

5. IPC거더 적용범위 및 형고 1) IPC 거더 적용범위(도로교) 1) 형하 여유고 확보에 제약을 받는 경간장 20 ~ 35M의 단순교 및 연속교    - PSC 빔보다 형고가 70cm 작아 형하 여유고 확보에 유리 2) 도로 종단선형 고려시 성토고를 낮출수 있는 경간장 30 ~ 35m의 단순교 및 연속교    - PSC 빔보다 형고가 낮아 도로 종단 높이를 낮추는데 유리 3) 경간장 40 ~ 50M의 단순교 및 연속교    - 경간장이 길어 기존 PSC빔 적용 불가 지간, 강교, Pre-flex빔교 대안 형식

경 간 장 형 고 타 공 법 공 법 형 고 L = 20m 0.9m 중공슬래브 1.0m (+0.1) L = 25m 1.1m 도로교 1등급(DB-24) 지간별 형고 거더간격 2.5m, 콘크리트설계강도 fck=400kg/cm2 기준 경 간 장 형 고 타 공 법 공 법 형 고 L = 20m 0.9m 중공슬래브 1.0m (+0.1) L = 25m 1.1m PSC BEAM 1.75m (+0.65) L = 30m 1.3m 2.0m (+0.7) L = 35m 1.6m 2.2m (+0.6) L = 40m 1.9m ST-BOX 2.0m (+0.1) L = 45m 2.3m 2.2m (-0.1) L = 50m 2.7m 2.5m (-0.2)

교량형식별 공사비 비교 형식 L=30m L=45m L=120m L=450m 상부 하부 계 PSCI 4.5억 5.5억 10.0억 - 17.9억 20.6억 38.5억 67.0억 76.0억 143.0억 137만/㎡   132만/㎡ 131만/㎡ IPC 5.3억 10.8억 8.8억 14.3억 22.3억 15.6억 37.9억 86.6억 50.9억 137.5억 148만/㎡ 130만/㎡ 126만/㎡ PF 9.3억 14.8억 15.7억 21.2억 39.9억 55.5억 155.6억 206.5억 203만/㎡ 194만/㎡ 190만/㎡ 189만/㎡ SBG 18.9억 24.4억 47.5억 63.1억 185.5억 45.8억 231.3억 223만/㎡ 216만/㎡ 211만/㎡

6. 시공중 유의사항 재료의 시험 및 검사 잔골재 - 입도범위 굵은골재 - 최대입경은 19mm 이하 - 입도범위 10mm #4 체 번 호 10mm #4 #8 #16 #30 #50 #100 통과중량백분율(%) 100 90~100 80~100 50~85 25~60 10~30 2~10 굵은골재 - 최대입경은 19mm 이하 - 입도범위 체 번 호 25mm 19mm 13mm 10mm #4 #8 통과중량백분율(%) 100 90~100 - 20~55 0~10 0~5

쉬스관 및 강선 배치 P.S STRAND를 배치시 쉬스관이나 정착장치에 흠이 생기지 않도록 콘크리트 블록, 강재 등으로 견고하게 지지 P.S STRAND 및 쉬스관 배치 후 반드시 검사하여 파손, 위치변동을 수정 쉬스관 배치시 매 1m 마다 결속선으로 견고히 철근에 결속 정착장치 조립 및 배치 정착장치의 지압면은 P.S STRAND와 직각이 되도록 설치 정착장치 배치 후 파선 및 위치 변동된 사항을 바르게 수정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프리스트레싱 직후 최대 압축응력의 1.7배 이상이 될때 1차 인장작업시 유의사항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시기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프리스트레싱 직후 최대 압축응력의 1.7배 이상이 될때 보통 부재의 양생조건이 동일한 상태에서 양생시킨 공시체에 대한 압축강도가 320kgf/cm2 이 될 때까지 콘크리트에 힘을 가해서는 않됨 정착이 끝난 P.S STRAND는 정착구로부터 15~20mm정도 남기고 절단 인장작업 시행전 인장장비에 대한 검교정 실시 인장은 1단인장 후 타단 확인인장으로 하여 인장관리 수행 인장시 인장잭 뒷부분에서 작업을 피하고 옆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안전조치 잭을 정착구에 설치후 매 100kgf/cm2 마다 잭의 램길이를 측정

그라우팅 작업시 유의사항 그라우팅 실시전 덕트상태(HDPE이음부, 그라우팅 Hole)등을 점검 그라우팅은 가능한한 텐던을 인장하고 8시간후, 7일이내에 실시 그라우트 전에 블록아웃을 몰탈로 마감 그라우트 작업은 잔류수나 공기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계속한 후 그라우트 벤트호스를 막아야 한다. 주입압력은 10kg/cm2 이하로 한다. 주입시 작업중단시간은 30분 이하로 하여 초기응결이 안되도록 한다. 출구에서의 Grout는 균등질이어야 하고 주입완료시 출구를 막고 여압을 가한다.

운반 및 보관시 유의사항 가설시 유의사항 기 제작된 부재를 저장, 인상, 취급시 균열이나 파손을 입지 않도록 주의 거더 받침대는 견고히 하여 부등침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설치 바람 등에 전도되지 않도록 횡방향 지지대를 설치 직사광선을 피하고 방풍이 잘 되도록 해야 하며, Cross-Beam의 노출철근이 녹슬지 않도록 보호 가설시 유의사항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의 온도가 가설시 +5℃ 이하이거나 +15 ℃ 이상 일 경우 지압판이 변화될 수 있으므로 거더를 가설하기전 충분한 조치 필요 거더를 가설한 후 슈고정용 볼트는 반드시 체결

2차 인장 작업시 유의사항 2차 인장은 1단인장 후 타단 확인인장을 수행 인장작업 시행전 인장장비에 대한 calibration을 실시하여 공인기관의 검사를 득한 후 사용 정착단부 주변을 깨끗이 손질하여 이물질이 없도록 하고 강선의 배열을 꼬이지 않게 정리 반드시 비부착 강연선의 피복을 절단후 HEAD를 끼우고 지압판에 밀착시킨 후 정착쐐기(WEDGE)를 1차 정착 인장관리는 인장관리도상의 하중지시계와 늘음량과의 관계로 관리하며 이의 관계가 직선임을 확인 잭을 정착구에 설치후 매 100kgf/cm2 마다 잭의 램길이를 측정 2차 인장작업이 완료된 후 보호캡을 설치하고 그라우팅 작업을 실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