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U.S.STUDENT Goodwill Ambassador 한미친선 대학생 홍보대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수출 ( 이전기업 ), 용역수출 ( 외국인면세점 ) 도 포함하는 광의 개 념 수출 ( 이전기업.
Advertisement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20722 이유라 5.18 민주화 운동의 의미 배경 : 1979 년 12 월 12 일 쿠데타 원인 : 사태 (1979) - 박정희 대통령 죽음, 국가 혼란 - 전두환은 군대를 동원, 정권강탈 - 전국적 시위 발생 5.18 민주화 운동 발생.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 전기생산을 위해 공장마다 자가발전기를 구축하는 대신 발전소에서 전기를 받아 이용하는 것처럼, 클라우드는 IT·SW자원을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이용하는 방식.
법조분야의 국제화와 전문화 국내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법률서비스 제공 일부 국내 대기업들은 국내 기업들이 아니다 (?) [ 삼성전자, 현대 자동차, LG 전자 등 ]
2) 북한의 통일 정책 2) 북한의 통일 정책 A) 북한의 통일정책 기본구조 주체와 주체와 방법 방법 한반도 전체의 공산화 북한 노동당규약 전문 : ‘ 온 사회의 공산주의 사회 건설 ’ 명시 주체 : 공산당에 찬성하는 집단이나 개인 방법 : ‘ 인민 민주주의 혁명 노선.
문화수업 청와대 사랑채 림유 한나 마이. 전화번호 : 이용시간 : 9 시부터 6 시까지 정기휴관 매주 월요일 표값 : 무료.
[ 공무국외여행 경과보고 ] “ 한미 생물방어훈련 (Able Response 13)” 중간계획회의 (MPC) 참석 보고 생물테러대응과 병원체방어연구과.
중국 정치경제 이슈 시진핑시대 분석 년 11 월 : 공산당 제 18 차 전국대표대회 ( 당대회 ) 와 제 18 기 1 중전회 ( 제 18 기 중앙위 원회 제 1 차 전체회의 ) 에서 총서기와 중앙군 사위원회 주석 년 3.
상업경제 1 학년 2 학기 지역별 경제통합체 Ⅴ. 국제 경영과 국제경제 >3. 국제 경제 환경 >14/19.
2. 민주주의의 시련과 경제 개발 경제 개발 계획의 추진 과정과 그 성과는 ? Ⅹ. 대한민국의 발전.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연구위원 간담회 2013 년 6 월 13 일 사 ) 대한민국 공군발전협회 1. 연구위원 간담회 10:00 연구위원 도착 10:00 연구위원 도착 10:10 간담회 시작 10:10 간담회 시작 - 10:10 “LIG 참석자 소개 ” - 10:10 “LIG 참석자 소개 ”
WTO & Doha Development Agenda 민경태 민경태.
환 태평양경제동 반 자 협 정(TPP) Trans-Pacific Partnership 박 소 영 이 문서는 나눔글꼴로 작성되었습니다. 설치하기설치하기.
No More 5번 국도?.
Ⅱ 삼국의 성립과 발전 2. 삼국의 발전과 가야 01 고구려가 동북아시아의 강자로 성장하다.
2010 국제 패션아트 비엔날레 in Seoul A. 국제 패션아트전 B. 국제 패션아트 퍼포먼스 C. 국제 패션아트 세미나
Trend Watching 과정 (주) 미래인재개발원 변화의 시대를 읽자!
[ 이순신포럼 CEO 아카데미 제7기 주요 내용 ]
03 공동체 발전을 위한 제도와 사회 참여 방법은?.
(Technical Barriers to Trade)
신기술 세미나 제안서 발표 신원호.
4. 금융의 국제화 가.국제화와 세계경제 (1)국제화와 세계경제의 변화
과거와 현재의 한미 동맹과 미래전 홍우현 김홍빈 강승민 이장희 임현철
개요 2006년 230여개 골프장 -- 2010년 400여개 이상의 골프장 운영 예정
일본의 독도 침탈과정의 불법성을 알고 일본의 잘못된 주장을 반박하기.
김 병 구 글로벌 매너(5) 무역과 교통 김 병 구
수업명 또는 그 외 PPT 주제를 넣으세요 PPT주제를 영어로.
한명숙씨와 파이팅 포즈, 리더십 간단 테스트.
1 Point! 2 Points! 3 Points! 4 Points! 5 Points!!
독도의 지명과 고지도.
중국 조선업의 몰락 경영학과 윤동현.
/foreign/others/newsview ?newsid= 보도 : 미국 뉴욕타임스(NYT)
UNISDR ONEA-GETI 안내.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외래종 확산과 과제: 다 없애는 것이 좋은가?
국제관계의 이해(1) 코스 소개 및 Orientation
도라도라 작전 국제관계학과 정민화.
고등학교에서 고등교육기관으로 진학하는 비율 (진학률, %)
우리는 왜 급식을 직접 만들어야 하는가? 꿈틀자유학교 교육사랑방
3.4 WELLBEINGSALT식품안전경영시스템
경영학부 교육특성화 계획 정경대학 경영학부 정경대학 경영학부 1.
FTA - 한미 FTA.
Forum with Russian Ambassador to Korea
3-2학기 종료 동계방학 시점에서 취업준비 정보통신공학부 안병철 교수.
제4장 세계화 이슈 제1절 세계화와 빈곤 제2절 세계화와 환경 제3절 세계화와 노동 제4절 세계화와 지역화 논쟁.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엔프라넷.
부분균형과 무역.
안녕하세요!.
여행용 자동통역서비스를 위한 서버형 한국어 대화체 음성인식 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한국의 물류현황 분석 한국 통운㈜ 김대현.
비무장지대(DMZ).
동아시아의 이해 제8강. 동아시아의 국제관계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 가?.
위험도 인식 Munch - The scream.
한 국 식 품 산 업 협 회 귀 중 한국농식품 판매 플랫폼 구축 사업 참가신청서
SaeManGeum Korea.
도움이 되었다 61.2 % 별도움이 되지 않었다 38.8% 한미 FTA 가 미국 수출에 한미 FTA 이행의 어려움 1 2 3
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과 국가의 형성 1 1. 우리가 사는 동아시아 2 3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활 양식
I. SciVal: 연구성과 분석 솔루션 1. 연세대학교 의학분야 연구성과와 역량 분석
중국과 미국의 관계.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Signal vs. Noise 차 영 주 와이즈경제연구소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내가 만든 인천의 상징 고돌이와 고순이 코리아 모둠 기획: 신수현 자료 수집: 전재우 김준영
Presentation transcript:

Korea-U.S.STUDENT Goodwill Ambassador 한미친선 대학생 홍보대사 A Stepping Stone to True Alliance

목차 한미관계의 역사 한미경제와 FTA 3. 한미친선 홍보대사 활동 - Online - Offline 3. Quiz Time 4. Q&A

PART 1 시대별로 보는 한미관계의 역사

시대별로 보는 한미관계의 역사 1950년, 한미관계의 시작 1953 ‘한미상호방위조약’ -남한의 방위를 위하여 외국과 맺은 군사동맹으로서, 지금까지 유일한 동맹 조약 - 한미 양국이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상황에 공동대처하기 위함 ① 당사국 중 일국의 정치적 독립 또는 안전이 외부의 무력공격에 의하여 위협받고 있다고 인정될 경우 언제든지 양국은 서로 협의한다. ② 각 당사국은 상대 당사국에 대한 무력공격을 자국의 평화와 안전을 위태롭게 하는 것이라고 인정하고, 공동의 위험에 대처하기 위하여 각자의 헌법상의 절차에 따라 행동한다. ③ 이에 따라 미국은 자국의 육·해·공군을 대한민국 영토 내와 그 부근에 배비(配備)할 수 있는 권리를 갖고 대한민국은 이를 허락한다. ④ 이 조약은 어느 한 당사국이 상대 당사국에게 1년 전에 미리 폐기 통고하기 이전까지 무기한 유효하다.

1960년, 한미동맹의 발전 1965년 베트남 파병 1970년, 호혜적 경제 파트너 -미국의 요구에 의해, 의료지원단 및 전투부대를 연 5만 명 이상 파병 - ‘브라운 각서'체결: 한국군의 현대화와 군사원조 획득 1970년, 호혜적 경제 파트너 -기존 수원국-공여국 관계 -> 호혜적 경제 파트너로 성장 -한편,1971년 닉슨대통령의 주한 미군 7사단 철수방침, 1976년 지미 카터 정부가 독재와 인권 탄압에 대한 압박으로 박 정희 정부와 갈등을 빚기도 하였음.

1980년, 안보협력의 증대 1990년, 자유민주주의&시장경제 가치를 공유 -한국 국력신장에 따른 안보역할의 증대 -대미 수출의 급증에 따른 미국의 시장개방 요구 -미국의 ‘로널드 레어건’ 행정부가 소련에 대한 전력적 우위 확보 를 위한 한미 안보협력 강화 1990년, 자유민주주의&시장경제 가치를 공유 -한국의 민주주의 정착에 따른 한미동맹의 성숙한 발전 -냉전시대 종결 -1994 북핵 위기 및 제네바 협정

현재 21세기, 전략적 동맹 관계 보편적 가치 (민주주의, 시장경제) 전략적 목표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 및 번영 )

PART 2 한미경제와 FTA

미국 일본 중국 수출 3위(7%) 수출 2위(11%) 수입 2위(12%) 수입 3위(8%) 수출 1위(25%) 여기서 간단히 퀴즈 형식으로 진행 우리나라의 수출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나라는?? 1위 중국, 2위 미국, 3위 일본 우리나라의 수입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나라는?? 1위 중국, 2위 일본, 3위 미국 미국은 수출과 수입 규모로 봤을 때 전 세계에서 Top 3에 드는 국가임. 즉!! 한국과 경제적으로 중요한 관계에 있음. 2012년 기준 대미 수출입 규모 1018억불 수출 1위(25%) 수입 1위(16%) 자료 : 한국무역협회

현재 러시아와 사전준비, SACU 사전준비

KORUS FTA 양국 교역 확대 및 경제 발전 '13. 3. 15 한미 FTA 발효 FTA란? 국가간의 협정으로 관세 및 무역장벽을 없애 상품무역뿐 아니라 투자, 상호인증, 경제협력, 무역구제조치, 지적재산권, 정부조달 등 포괄적인 방향으로 체결 '13. 3. 15 한미 FTA 발효 FTA란? 의의 설명 FTA를 통해 세계 최대의 경제 규모, 수입 시장인 미국과의 교역 증가 효과 실제로 한미 FTA 발표 1주년 평가 자료에 따르면 대미 수출이 증가하였으며 일부 품목의 경우 FTA 발효 직후부터 수출이 급증(기어박스, 에어박스 등 자동차 부품) 양국 교역 확대 및 경제 발전

KORUS FTA

FTA, 오해와 진실 위 사진들은 한미 FTA 발효에 반대하는 2011년, 2012년의 시위 사진들 입니다. 당시 반대 근거로 향간에 떠돌았던 소문들은 실제 한미 FTA와는 무관합니다. 발표 2주년이 다 되어가는 지금, 한미 FTA에 대한 오해와 진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No! 투자자-국가간 분쟁해결(ISD) 절차는 주권상실 초래, 미국만 혜택? 한미 FTA 오해와 진실 ISD(Investor-State Dispute) - 투자자가 상대 국가의 법령, 정책 등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을 경우 국제 중재를 통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조항 - 글로벌 스탠다드! 투자자 보호 목적으로 전세계에서 널리 사용 ‘01~’11 ‘68~’11 한국→미국 투자(억 달러) 456.8 577.8 미국→한국 투자(억 달러) 282.2 461.5

No! 2. 민영화로 인해 국민들이 피해를 본다!! 한미 FTA 오해와 진실 - 공기업 민영화, 외국계 영리병원의 설립으로 인한 공공재 요금과 의료비 인상할 것이라는 주장 실제로 공공정책(공교육, 의료, 수도, 전기, 환경 등) 분야는 적용되지 않음. 실제로 2012년 발효 이후 한미 FTA 영향을 분석해보면 발효 전 주장된 오해와 같은 경우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대미 수출이 증가하여 국익에 도움이 되었음. -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의료 민영화는 FTA와 무관한 문제

관련 기관 AMCHAM(주한 미국 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주한 미 대사관 및 주정부 한국 사무소 한국과 미국의 경제 협력 관련 업무를 누가? 그리고 어떻게 처리하는지 소개할게요~~~~~~~

한미 FTA를 자세히 알고 싶다면! 한미 FTA www.fta.go.kr/korus

Part 3 한미친선홍보대사 활동소개

KOREA-U.S. Student Goodwill Ambassadors Since 2012 1~ 3rd Class

2. 한미친선대학생 홍보대사란? 젊은 세대에 한미관계의 중요성과 그에 대한 올바른 인식 확산을 돕기 위한 차세대 글로벌 리더로서의 대학생들의 모임

Online Activities

Tistory Blog & Facebook page

Weekly Article

우리가 몰랐던 Korea-U.S. History 미국 도시에 게양된 조선의 국기(태극기)

영화 속 대사로 배우는 English

Offline Activities

오프라인 활동 INTERVIEWS 미국 주 정부 한국사무소 인터뷰 (오레곤 주정부) 미국 주 정부 한국사무소 인터뷰 (펜실베니아 주정부) 기업탐방 에델만 코리아 미국 최초 한인 하원의원 박병진 의원님 센프란시스코 총영사관 이광호 영사님

NETWORKING 미8군 미대사관 외교부 KITA/KASC 대학생과의 합동 포럼 개최

CULTURE

홍보활동

Quiz TIME!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