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Quality Management Certification (DQMC)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신도초 5 학년 4 반 김정수 지도교사 전혜원 선생님.  산출물 주제를 정하다가 문득 낮보다 왜 밤이 더 소리가 잘 들리는지 궁금해서 결정했다. 처음에 는 물질의 종류에 따른 소리의 크기로 하려 그랬 지만 실험이 너무 간단한 것 같아서 재료를 늘리 거나 온도를 높이려고.
Advertisements

수시 합 / 불 사례 사례는 사례일 뿐 평균적인 합격 가능성을 중시하라.. 대학입시의 주요 전형 유형 및 요소 학생부논술특기 ( 실기 ) 수시 정시 수능 전형유형 주요전형요소 교과 종합 ( 교과 + 비교과 ) 논술 수능 구분 대학자인합 서울 연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임은희 ) 양서원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장 노년기 제 8 장 노년기.
- 1/26 - ㈜ 참교육연구소 ㈜ 케이수학 자기 주도형 수학 교육 - 별무리학교 프로그램 ㈜ 참교육연구소 & ㈜ 케이수학.
주사위를 이용한 땅 따먹기 청솔초 영재학급 4 학년 장 택 민 목차 1. 제작 동기와 원리 2. 필요한 도구 3. 게임규칙 설명 4. 게임 분석 및 전략 1. 제작 동기와 원리 2. 필요한 도구 3. 게임규칙 설명 4. 게임 분석 및 전략.
의료자원 규제현황과 개선방향 자원평가실. 의료자원 관리 개요 규제개혁 토론과제.
책과 교육이 함께하는 더난출판 2 Information  회사개요  연혁  조직구성  비전 / 미션  경쟁력 포인트  Why 더난출판 ?  컨텐츠 소개.
대구지역 FTA 활용지원센터 2014 년 주요사업 Ⅰ 우리나라의 FTA 체결현황 Ⅱ FTA 와 기업경영 Ⅲ FTA 활용지원업무 목 차.
경영학과, 황은혜. 1. 노사협력이란 ? 2.LG CNS 선정이유 3.LG CNS 는 어떤 기업 ? 4.LG CNS 의 성공적인 노사협력 요인 4-1. 시스템 투입부분 4-2. 시스템 과정부분 4-3. 시스템 산출부분.
여성을 性으로 지배하려는 남성권력 정유아 양수희 배민지 황윤희
학기 연합교양대학 오리엔테이션 (화) / 3.9(수).
주제탐구학습발표대회 고구마를 어떻게 하면 잘 키울 수 있을까? 구름산초등학교 5학년 박희수.
병원의 CRM사례 디지털샵마스터과 이하영.
FRONTIER 회칙 변경 & 활동보고 발표자 : 배수영.
“내 소득 만족” 10명중 1명뿐 우리나라 국민 가운데 현재 소득 수준에 만족하는 사람은 10명 가운데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10명 중 6명 정도는 앞으로 소득이 지금보다 더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60세 이상 노인 10명 중 6명은 자녀와 같이.
DAEGU METROPOLITAN CITY
우리나라 암발생률 보 건 복 지 부 중앙암등록본부 지역암등록본부
연 합 남 전 도 회 월 례 회 1부 예배- 찬 송 장 다같이 2011년 1월 2일 1부 예배- 찬 송 장 다같이 기 도
금속의 종류와 액체의 성질에 따른 금속의 부식 창의적 산출물 연구 보고서 부명 초등 학교 임재윤 지도교사 노지은선생님
上海華東師大 연수설명회.
사 업 계 획 2011년 제1호 - 2월 1일 2011 주 안에서 소통하며 화합하고 참여하며 헌신하는 남신도회
Smart-phone 액정교체 비용 40만 원 2013년 model 12.0만 원 엣지model 30만 원 20만 원
정보체계론 행정학과 정철현 교수.
2012 한국 고객센터 기술경영컨퍼런스 & 전시회 2012 Korea Customercenter Management & Technology Conference & Exhibition 일시 : (수) 09:00 ~ 18:00 장소 : 서울 홍은동.
6σ 연계 TPM 추진 안내서 TPM컨설턴트/공학박사/품질기술사 권오운 6σ 연계 TPM 추진 안내서 전체편 6 σ T P M
4장 CRM 방법론.
Strictly Confidential
유대력과 성서력 유대 절기.
대웅 제약 영업 촉진 자동화 시스템
ISO / KS A 9001:2000 전환을 위한 지침.
목 차 Ⅰ 회사소개 Ⅱ CIP 소개 Ⅲ TPM 추진현황 Ⅳ 활동 성과 및 향후 계획.
신년워크숍-전략경영본부 (월), 09:30~13:30, 본관 교육장.
㈜맑은물E&F의 지속성장발전을 위한 전략체계도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 Construction 김건웅.
Unified Communications Cisco Korea
제약산업특성화 대학원오리엔테이션
현업에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실무형 국제자격증 품질 기법 운용사 국제자격 과정 * 귀사만의 독자적인 진행도 가능합니다!!*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제11장 채권포트폴리오의 관리.
자동차부품 취급설명서 Volkswagen Korea는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50조 1항에 근거하여 자기인증제 대상품목에 대한 안전성을 보증하며, 자기인증제 해당 부품에 대한 취급설명서를 소비자분들께 공지해 드립니다. 헤드램프 안전벨트 브레이크호스 후부반사기 창유리 안전삼각대.
-공인노무사 김 완 식 -외식업중앙교육원 노무관리 교수 -열린인사 노무법인 대표 노무사 (열린 세무 회계 고문)
영원한 복음.
사회과학/예술학부 특수대학원 문화융합대학원 신입생 학사안내.
사업/성과관리시스템(SMART) 전산접수 매뉴얼 (수행기관용) 2013년 정보서비스팀.
인사만 잘해도 성공할 수 있다!.
물류단지 총량제 폐지 이후 물류시설 공급정책 방향 국 토 교 통 부.
□ 출장검사 □ 수입검사 □ 공정Issue ■ 고객Issue □ 기타 ( )
TPM 과 6σ 의 비교 구 분 TPM 6 시그마 추진방식 사 상 활동 단위 강 점 범 위 Level up 기 법 활동단계
경상남도 해외마케팅 사업지원 시스템 사용자 매뉴얼.
IPP사업단 Vs 듀얼공동훈련센터 강원대학교.
소프트웨어와 소프트웨어 개발 - Software Engineering -.
Online Debate Competence Certification System : ODCCS
인생이모작을 위한 지자체의 지원 방안 : 울산 북구청 사례 울산북구인생이모작이음센터
SQL INJECTION MADE BY 김 현중.
환경관리 규정 - 목 차 – 1.적 용 범 위 9.환경관리 교육 2.목 적 10.환경 점검
Outsourcing도입전략방식의 연구
간호학과 보건교사 교직과정 OT 일시 : 오후 1시 장소 : 본관307호 스마트강의실
차량 관제시스템 제안서 신흥콘트롤㈜ 031 / 705 / 6923(代).
공무원 합격 단계적 전략.
제안 목적 고객성향 분석으로 매출 증대 유사업체 분석으로 신상품 홍보 원가요소 분석 및 피드백으로 원가율 관리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2 옥정달.
식물의 성장조건 만 든 이 : 김지혁 지도교사 : 김경순선생님.
2015 공용차량 자율주행 콘테스트 인식 미션 (목).
스포츠성공학 이광우 교수님 중등특수교육과 박수현.
ER-관계 사상에 의한 관계 데이터베이스 설계
▶서류관리 프로그램 1. 로그인….2 2. 서류등록 … 서류도착 서류스티커발행
2019년도 운영 일반고 특화 심사 설명회 직업능력심사평가원 집체훈련심사센터.
희망사다리Ⅰ 지급안내 자료
관광산업에서의 e-CRM 활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Presentation transcript:

Data Quality Management Certification (DQMC)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소개 2006년 10월 17일

1. 인증 사업 소개 1 2 3 인증 사업 소개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절차 및 방법 1.1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1.2 품질평가 사업 소개 1.3 데이터 품질관련 제도 필요성 1.4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센터 1.5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도입 기대효과 2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 3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절차 및 방법

1. 인증 사업 소개 1.1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KDPC)는 데이터베이스 산업을 지원/육성함으로써 일반 국민의 정보이용 활성화 촉진을 도모하고 정보사회의 조기 실현에 기여하기 위해 1993년 설립된 정통부 산하 기관 DB산업 성장과 발전을 통한 u-Korea 선도, 21세기 데이터베이스 중추기관 도약

1. 인증 사업 소개 1.2 품질평가 사업 소개 DB품질평가 (2003년~) 경 험 다수의 공공/민간 DB 대상 평가 품질관리 교육과정 (관리자/실무자/정규) 경 험 품질관리 교육 강화 DB 품질평가 및 교육 데이터베이스 그랜드 컨퍼런스 개최 DB 품질대상 시상 데이터 품질관리 포럼 운영 홍 보 품질관리 확산 품질관리 홍보 및 확산 방법론 및 지침 개발 DB 품질 평가 모델 개발 데이터 품질관리 방법론 개발 데이터 품질관리 지침 개발 방 법 론 국내DB품질 관리체계 정착

1. 인증 사업 소개 경 변 환 화 1.3 데이터 품질관련 제도의 필요성 국내 DB 담당자 대상 조사 품질관리 수행 여부 품질관련 제도 필요성 급속한 환경변화에 의한 신속/정확한 데이터 요구 증대 - 2005.09. DPC - 2005.09. DPC 필요 82.6% 기업간 데이터 인터페이스 증가 수행 30% 미수행 70% 불필요 17.4% 데이터의 전략적 활용성 증대 데이터 종류 및 양 증대

1. 인증 사업 소개 1.4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센터 효율적인 데이터 품질관리체계 확산을 위해 2006년 4월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부설로 설립된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전담조직 인증 심사원 인증 심사원 자격 제도 도입 심사원 유지 관리 내부 품질전문가 양성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국내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의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 수준을 심사하여 인증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심사원 및 기업에 인증서, 인증마크 발급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심사원과 기업 관리 감독 및 준수사항 모니터링 데이터 품질관리 교육 인증 심사원 양성 담당자 역량 강화 품질관리 방법론

Data Quality Management Certification 1. 인증 사업 소개 1.5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도입 기대효과 정보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오류 데이터의 원인을 추적하고 체계적인 품질 개선 방안을 마련 Data 조직 구성원의 데이터 품질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IT와 현업간 협업 체계 마련 Quality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심사과정을 통해 내부 데이터 품질 전문가 육성 및 중장기 데이터 품질관리 전략 수립 Management Certification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획득 결과를 홍보함으로써 품질 경영 선도 기업으로서의 대외 이미지 제고

2.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 1 2 3 인증 사업 소개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절차 및 방법 2.1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 개요 2.3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의 특징 3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절차 및 방법

2.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 2.1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 개요 - Why Maturity Model ? 구분 Pass & Fail Model Maturity Model 모형 형태 1 2 3 4 5 정체 영역 Pass 기준 Fail 현재수준 특징 목표에 대한 성공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순차적이 아닌 급진적 개선이 이루어져 내재화 하기 어렵고, Pass후에는 유지관리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정체영역에 머무를 수 있다. 목표에 대한 단계적 접근으로 목표에 도달 하더라도 상위 목표를 제시함으로써 점진적인 발전이 가능하며, 순차적으로 최적화까지 도달 할 수 있다.

2.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 2.2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의 특징 (1/5) -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 구성 요소 데이터 품질 기준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수준

2.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 2.2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의 특징 (2/5) -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품질관리 프로세스 프로세스 연관도 요구사항 관리 데이터 활용 (모니터링) 요구사항 (기능적) 데이터 구조 데이터 표준 데이터 구조 관리 데이터 흐름 관리 사용자 뷰 데이터 데이터베이스(성능) 요구사항 (비기능적) 데이터베이스 관리 데이터베이스(보안) 데이터 활용 관리 데이터 활용 (업무 규칙) 데이터 오너십 데이터 표준 관리 데이터 오너십 관리 데이터 흐름 사용자 뷰 관리

2.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 2.2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의 특징 (3/5) - 데이터 품질기준 정 확 성 일 관 성 유 정확성 보안성 데이터 품질 기준 실 세계에 존재하는 객체(사건, 사물, 개념 등)의 값이 오류 없이 저장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외부 및 내부 요인으로부터 데이터를 적절히 보호하고 있는지 여부를 의미한다. 유효성 활용성 정 확 성 일 관 성 유 용 성 접 근 성 적 시 성 보 안 성 사실성, 적합성, 필수성, 연관성 보호성, 책임성, 안정성 일관성 유용성 접근성 적시성 정보시스템 내의 동일한 데이터 간에 불일치가 발생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조직이 요구하는 데이터의 범위와 상세화 정도를 충족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응답시간과 같은 비기능적 요구사항 그리고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와 같은 품질 요건에 얼마나 잘 대처하고 있는지를 의미한다. 정합성, 일치성, 무결성 충분성, 유연성, 사용성, 추적성 접근성 적시성

Maturity 2.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 2.2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의 특징 (4/5) -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수준 최적화 데이터 품질관리 개선에 필요한 요소를 지속적으로 도출하고 적용하는 단계 5 Maturity 정량화 정량적인 측정 방법을 통해 데이터 품질관리가 수행되는 단계 4 통합화 전사적인 연계통합 관점에서 일관성 있는 데이터의 품질관리가 수행되는 단계 3 정형화 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제반 프로세스가 정형화된 단계 2 도입 데이터 품질관리의 문제점과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고, 부분적인 데이터 품질관리 활동을 시행하는 단계 1

2.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 데이터 품질 기준 유효성 활용성 2.2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의 특징 (5/5) -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수준 단계 정의 데이터 품질 기준 유효성 활용성 정확성 Level 5 일관성 Level 5 유용성 Level 5 접근성 Level 5 적시성 Level 5 보안성 Level 5 정확성 Level 4 일관성 Level 4 유용성 Level 4 접근성 Level 4 적시성 Level 4 보안성 Level 4 정확성 Level 3 일관성 Level 3 유용성 Level 3 접근성 Level 3 적시성 Level 3 보안성 Level 3 정확성 Level 2 일관성 Level 2 유용성 Level 2 접근성 Level 2 적시성 Level 2 보안성 Level 2 정확성 Level 1 일관성 Level 1 유용성 Level 1 접근성 Level 1 적시성 Level 1 보안성 Level 1

3.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절차 및 방법 1 2 3 인증 사업 소개 데이터 품질관리 개요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절차 및 방법 3.1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절차 3.2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신청 방법

3.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수행 내용 절차 피인증기관 협조사항 3.1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절차 상담 및 제안요청 범위 및 기간 산정을 위한 정보 제공 심사원에게 심사 제안요청 및 제안서 검토 상담 및 제안요청 심사정보 습득 범위, 기간 제안검토 심사원 제안사항에 대해 확정 심사 신청 구비 서류 (인증 심사 신청서 1부, 사업자 등록증 사본 1부, 심사 계획서 1부) 신청 및 계약 심사 신청 심사 계약 체결 내부심사원 심사 교육 인증 심사 실시 내부심사원 대상으로 인증심사 교육 실시 인증 심사에 필요한 요청사항 제공 및 협조 심사교육 및 심사 심사검증시 필요한 요청사항 제공 및 협조 검증심사시 필요한 요청사항 제공 및 협조 결과 심의 심사검증 필요시 검증심사 인증서 수령 및 매체를 통해 인증 홍보 인증서 및 인증마크 홍보에 대한 준수사항 준수 인증서 발급 인증서 획득 결과 공고 품질관리 개선 상위 인증 준비 내부심사원 중심의 지속적 데이터 품질관리 개선 노력 상위 인증 획득을 위한 준비 유지 및 개선

3.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3.2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신청 방법 www.dbq.or.kr 접속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안내 화면 전담 심사원 배정 인증 상담 범위 확인 기간 산정 심사팀 구성 내부심사원 교육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신청 신청서 작성 및 제출 서류 구비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신청서 다운로드

감사합니다. - Contact Info - 데이터품질관리인증센터 : 전화/팩스 : 홈페이지 : 김선영 팀장(kimsy@dpc.or.kr), 김인창 선임(inchang75@dpc.or.kr) 02)3708-5411~5 / 02)318-5040~1 www.dbq.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