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게차 사고사례 2007. 1. 30(월) 총무부 김 재 영.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선박건조 및 수리업의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중대재해 사례에서의 교훈 부산지역본부 조선업재해예방팀.
Advertisements

최근 울산지역 중대재해사례. 재해개요 2010 년 1 월 16 일 토요일 10:00 경 울산시 소재 ○○ ( 주 ) 트럭 기사가 경사진 위치에 정차된 화물트럭 적재함에서 프레스필터 ( 약 300 ㎏, 2 개 ) 를 하차하기 위하여 프레스필터를 고정시킨 안전바 ( 섬유벨트.
타워크레인 사고사례 및 안전대책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33 경 2 명이 사망하고, 1 명이 경상.
사고사망재해 감소 70 일 특별대책 (10.21~12.29) 기초교육기관용 추진배경 최근 건설업 사고사망재해가 7 월 이후 급속히 증가하여 8 월에는 전년 동기대비 25 명 (9.5%↑) 이 증가함에 따라, - 사고사망재해 증가추세 반전 및 감소목표 5%
안전 보건 교육 노동부지정건설재해예방전문지도기관 ㈜미래건설안전컨설팅. 노동부지정건설재해예방전문지도기관 ㈜미래건설안전컨설팅 토목공사의 안전보건 I I 충돌 · 협착 재해 예방조치 II 붕괴 · 도괴 재해 예방조치 III 안전사고 예방방법 IV 차 례 차 례 맺음말 V V.
건설분야–교육자료 미디어개발 중대재해사례[건설] 천공작업 중 항타기해머 낙하.
자동창고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2. 어떤 재해가 발생하였는가? 중대재해 사례.
감전재해사례 및 사고예방대책.
기계안전 지게차 작업안전 안전분야–교육자료 미디어개발
하절기 질식재해 발생위험 경보 Alert 최근 하절기 질식재해 사례
질식재해 발생위험 경보 증가하고 있습니다. O 밀폐공간작업 재해의 발생원인
재난 종합상황보고 66초 마다 1건 접수 119신고접수 현황 총 건 수 1,306건 현장출동 502건 (38.4%) 의료상담
천장크레인-본체 재해예방대책 한국산업안전공단.
개요 2006년 230여개 골프장 -- 2010년 400여개 이상의 골프장 운영 예정
(압력용기-비래) 용기 기밀시험 중 볼트 파단으로 뚜껑 비래.
SAP GUI 설치 가이드 프로세스 혁신 TFT.
E1CT 이용 시 안전수칙 준수 관련 운송사 안내 자료
TARGET 운반 CASE 제품 소개서 OSUNG METAL
크레인(Crane) 작업 장비 안전기준 작업시 유의사항 1. 작업 반경 내 사람의 접근금지 조치
Awning 구조해석 결과 보고서 (사) 전북대 TIC R&D사업단 선행기술팀
PSC 교량 작업안전 1 PSC교량 거더 제작 및 운반 PSC교량 거더 인양 및 거치 건설분야–교육자료
기계안전 지게차 작업안전 안전분야–교육자료 미디어개발
산업안전일반 중량물 취급 작업안전 안전분야–교육자료 미디어개발
로울러기 안전화 대책 한국산업안전공단.
(Wire & Wireless Anemometer)
건설분야–교육자료 교육미디어 포장, 포설 및 다짐 작업안전 포장 장비 반입 포장 시공 포설 및 다짐.
크레인 작업 특별안전보건교육.
안전규정 협력업체 및 방문자용 안전환경팀 2014.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 수진이에게 무슨 말을 해줄 수 있을까요? 자전거 사고를 경험한 적이 있나요?
안전교육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
덤프트럭 작업시 장비 안전기준 작업시 유의사항
나를 지키고, 침착하게 대처하려면, 반드시 익혀야 하는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반 : 4 번호 : 1 성명 : 권채윤 건설 시공 과정.
장비별 공통 안전수칙10계명 굴삭기 •버켓 탈락방지용 안전핀 설치 •비탈면 전도방지 위한 작업경로 확보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생각열기) 소음을 줄이는 방법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먼저 본사의 잘못으로 귀사에 피해를 드린 부분에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전합니다.
2 자동화와 로봇 2 기계 운동의 원리 기계의 이해 기계요소 기계의 동력 전달 과정 금성출판사.
또 한 번의 인재(人災)! 지하철 공사장 사고 직업안전.
고소작업대 & 이동식크레인.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학습 주제 p 운동 에너지란 무엇일까?(2).
전동 운반 카트 Battery Powered Traction Drive Cart
특별안전교육 지게차 안전실천 행동으로 안전의식 마음으로.
덕신산업 (제7,000호 인정) 『CLEAN 사업』추진현황 한국산업안전공단 광주지역본부.
수율관리를 위한 POP시스템 목적과 용도 시스템과 구성 POP의 효과
교실용 SD-101 system (특허 ) 장선: 30x70x0.8t 지주: 주 장선 간격 : 900mm
차동 기어 장치 굽은 길을 돌 때 좌우 구동 바퀴가 회전하는 속도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장치.
선회하는 지게차와 NC밀링기 사이에 협착되어 사망
& 네이버 “철골난간대” 검색 철골공사 안전대부착설비의 문제점 & 네이버 “철골난간대” 검색.
컴퓨터 구성요소와 사용 컴퓨터 문서 작업 인터넷 활용
자동차의 정의 및 제원 자동차의 정의 치수에 의한 제원
서비스 작업 안전 수칙 윌로펌프㈜ 서비스팀 1.일반 안전 수칙 2.차량 안전 수칙 3.전기 안전 수칙 4.기타 안전 수칙
Ⅰ 줄걸이작업 안전기준 아차사고 사례 전파 빔클램프(안전학카) 사용기준 와이어로프 사용기준 와이어로프 단말가공법
비무장지대(DMZ).
국내 중대재해.
• 사업주는 아래의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함
안전분야–교육자료 미디어개발 제조분야 중대재해사례 지게차 헤드가드와 마스트 사이에 협착 사망.
신소재 장비개발 [공기충전기] 하안119안전센터.
3. 자동차의 관리 (2) 자동차의 구조 교144쪽.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3. 굴착 작업 오른손 조종 : 붐과 버킷 작동 ㄱ) 붐 하강 : 앞으로 민다. ㄴ) 붐 상승 : 뒤로 당긴다.
2. 굴착기 코스운전 1. 코스 운전 조건 : S 자 코스를 출발하여 반곡점 정지선 안에서 정지 하였다가 정지선 넘은 다음 후진하여 제자리 출발선 까지 4분 이내 완료 한다. 후진 정지선 시간 측정 정차 출발 도착 4분.
“국내 발명특허 설계 제작된 BL 전자테크” 태양광 안전 경고등
8월 정기교육.
콘크리트(산업)기사 실기 작업형 시험 대비 동영상포함
[첨부#2] 검토일: 년 월 일  구 분 내 용 공 사 명 업 체 명 공사예정 기간 견적안내부서 확 인 사 항 견적부서(견적)
제동 장치 주행 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낮추거나 자동차를 정지시키는 장치.
Presentation transcript:

지게차 사고사례 2007. 1. 30(월) 총무부 김 재 영

사고사례

사고사례 1 철판코일의 결속강철띠 파단 -> 경비원 충돌사망 양하한 열간압연철판 1개를 지게차로 적치하기 위하여 경비원인 재해자의 신호하에 받침목상에 적치중, 코일 결속 강철띠가 파단되면서 재해자와 충돌하여 사망

원인 대책 3. 비작업원인 경비원의 신호하에 지게차 독단작업을 수행 4. 개인보호구 미착용 1. 안전담당자 주의 의무 미준수 2. 작업원의 신호작업 3. 비작업원인 경비원의 신호하에 지게차 독단작업을 수행 4. 개인보호구 미착용 대책 1. 안전담당자 주의 의무 준수 2. 작업전 포장의 안전성을 안전담당자가 사전 점검한 후 안전작업을 지시 3. 비 작업원의 신호작업 금지 4. 코일등 구름화물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5. 작업유도자의 신호 및 받침목 작업을 수행 6. 안전모 등 개인보호구 착용 코일의 결속상태 재해현장

사고사례 2 로우더 후진 -> 파지선별공 충돌사망 후진하는 로우더가 파지 정리 작업을 하던 파지 선별공의 가슴, 다리부분에 충돌하여 저혈량성 쇼크로 사망

대책 2. 사이드 밀러 파손상태 방치 3. 후면의 재해자를 발견하지 못함 4. 무면허자가 로우더(12.6t)를 운전 원인 1. 안전조치 미비 2. 사이드 밀러 파손상태 방치 3. 후면의 재해자를 발견하지 못함 4. 무면허자가 로우더(12.6t)를 운전 대책 1. 차량계 건설기계 사용 사업장에서의 접촉방지 조치 준수 2. 작업유도자 배치 또는 근로자 출입금지 조치 3. 작업시작전 점검 실시 및 조치 철저 4. 브레이크, 클러치, 사이드 밀러, 룸밀러, 후조등, 방향지시등 점검 및 수리조치 5. 관리감독 철처 재해자가 충돌한 로우더 후면 파손된 사이드 밀러

사고사례 3 지게차 전도 -> 운전자 협착사망 지게차를 무면허상태에서 조작 하던 중 비료 출고를 위해 경사로 (20˚~30˚)를 후진으로 내려가다 급격한 조작 및 회전으로 지게차가 전도되면서 헤드가이드에 머리가 협착, 두개골이 함몰되어 사망

대책 원인 2. 전도방지를 위한 유도자 미 배치 2. 유도자 배치등 전도방지대책 마련 3. 경사면을 회전방향으로 후진, 1. 지게차 무면허 운전 2. 전도방지를 위한 유도자 미 배치 3. 경사면을 회전방향으로 후진, 급선회를 하여 지게차 주행시의 좌우 안정도를 벗어남 대책 1. 면허소지자가 조작하고, 시동키는 별도 보관 조치 2. 유도자 배치등 전도방지대책 마련 3. 경사로 주행시 안전주행방법 준수 4. 횡방향 주행, 급격한 방향선회 금지 5. 경사면을 내려갈 경우 후진운전을 하고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 지게차 재해 발생 지하 통로

사고사례 4 경사진 노면에 지게차 방치로 인한 협착사고 2003년 1월 ○일 09:00분 경 부산광역시 금정구 소재 ○○실업 소속 재해자가 공장 내에서 지게차로 생산 제품인 고압나선호스를 화물트럭에 상차한 후 적재한 제품 고정작업을 하던 중 5m후방 경사진 노면에 세워 두었던 지게차가 내려와 트럭 적재함과 지게차 사이에 협착되어 사망한 재해임.

재해발생 원인 가. 운전위치 이탈 시 안전조치 미흡 ○ 지게차 운전자는 운전위치 이탈 시 주차 브레이크를 확실히 걸고 경사면에 주차하지 말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경사면에 주차하였음. (불가피한 경사면 주차시에는 고임목 등을 이용하여 조치) 나. 무면허자가 지게차 운전 ○ 건설기계관리법에서 정한 지게차 운전면허자가 운반작업을 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무면허자가 지게차를 운전하였음. 다. 작업지휘자 미 배치 ○ 지게차등의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에는 작업지휘자를 지정하여 작업계획에 따라 지휘하도록 하는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하나 작업지휘자를 지정·배치하지 않았음.

사고사례 5 지게차 과속 운행으로 인한 전도사고 2002년 7월 ○일 16:15분경 광주광역시 남구소재 (주)○○○정비사업소에서 경사면을 지게차로 과속으로 내려와 좌회전하는 순간 지게차가 전도되면서 운전자가 헤드가드에 협착 되어 사망한 재해임.

재해발생 원인 가. 지게차 과속운전 o 경사면을 과속으로 내려와 방향전환을 하여 전도의 위험이 있었음. 나. 지게차 운전자 안전벨트 미 설치 o 지게차 전도시 운전자가 밖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벨트를 설치하지 않았음. 다. 작업계획서 미작성 o 지게차등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할 경우에는 작업장소의 넓이 및 지형, 당해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의 종류 및 능력, 화물의 종류 및 형상에 상응하는 작업계획서를 미작성 하였고 당해 근로자에게 그 내용을 주지시키지 않았음.

사고사례 6 지게차로 합판 운반작업중 붕괴사고 2002년 6월 ○일 10:30분경 경기도 포천군 소재 (주)○○○사업장 창고에 적재되어 있는 MDF합판 묶음을 창고에서 지게차로 꺼내는 작업을 하기 위해 MDF 합판묶음 2단과 3단 사이에 포크를 넣고 들어올린 후 후진하는 순간 최상단의 합판묶음이 다른 합판 모서리에 걸려 붕괴되면서 운전석으로 떨어져 사망한 재해임.

재해발생 원인 가. 무면허자가 지게차 운전 o 건설기계관리법에서 정한 지게차 운전자격자가 운반작업을 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무면허자가 지게차를 운전하였음. 나. 지게차 헤드가아드 강도불량 o 4톤 이상 지게차의 헤드가아드는 4톤의 등 분포 정 하중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의 구조이어야 하나 합판묶음 1개(1.5톤)도 견딜 수 없는 강도였음. 다. 합판묶음 적재방법 불량 o MDF합판묶음이 5단으로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게차 구조상 3단 높이부터 들어올릴 수밖에 없어 최 상단의 합판을 꺼내려면 3단 이상의 합판묶음을 한꺼번에 들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붕괴의 위험이 있었음. 라. 작업계획서 미작성 o 지게차등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할 경우에는 작업장소의 넓이 및 지형, 당해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의 종류 및 능력, 화물의 종류 , 형상에 상응하는 작업계획서를 미작성 하였고 당해 근로자에게 그 내용을 주지시키지 않았음.

사고사례 7 지게차로 중량물 운반 중 낙하 2000년 11월 ○일 13:15분경 경남 소재 (주)○○내 야적장에서 지게차 운전 기사가 6단으로 야적된 건축 가설기자재 다발을 지게차를 사용하여 6단의 적재물을 들어올릴때 5단의 적재물이 같이 걸려 나오자 지게차에서 내려 상태를 확인하던 중 5단의 적재물이 낙하하여 협착·사망한 재해임

재해발생 원인 가. 작업방법 부적절 6단의 호리빔을 들어올릴 때 아래 5단의 호리빔이 걸리지 않도록 수직 방향으로 올린 뒤 수평으로 빼내야 하나 포오크를 밀어 넣은 뒤 바로 수평으로 빼내다 5단의 호리빔이 같이 걸려 나와 재해를 유발함 나. 위험구역 내 접근 지게차의 포크 아래쪽에 중량물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중량물의 낙하위험 구역인 지게차 포오크 아래에 들어가 점검 중 재해가 발생함 다. 운전위치 이탈시 조치 미준수 운전자가 운전위치를 이탈할 때에는 엔진을 정지시키지 않고 사이드 브레이크를 걸지 않아 지게차의 진동에 의해 불안전하게 걸려 있던 중량물이 낙하함

지게차 좌석 안전띠 착용의무 개정규정 시행안내 1.도입배경 가. 지게차 전복재해로 인한 사망사고 다발 - 지게차 좌석안전띠 미착용 상태로 작업 중 전복되어 사망재해 지속적 발생 * 안전띠 미착용 관련 사망자수 03년 19명, 04년 26명, 05년 28명 급선회하던 중 전복하여 협착으로 사망 급선회하던 중 전복 하여 협착 사망

2.법 개정 내용 및 위반시 벌칙 가. 법 개정내용 -사업주: 사업주는 좌석안전띠 설치상태 확인 및 좌석안전띠 착용 주지 -근로자: 지게차 운전 시 좌석안전띠 착용 나. 위반 시 벌칙 -안전상의 조치(법 제23조) : 위반 시 5년 이하의 징역, 5천만원 이하의 벌금 -근로자 준수사항(법 제 25조) : 위반자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사업장에서의 조치사항 2003년~2005년 3년간 93명의 근로자, 지게차 사고로 사망 가. 지게차 좌석안전띠 설치상태 확인 -사업장에서는 지게차의 좌석안전띠 설치 및 정상적인 기능 유지하도록 조치 나. 지게차 운전자에 대한 교육실시 - 사업주는 지게차 운전자를 대상으로 법 조항 신설 배경, 근로자의 의무 등 교육 2003년~2005년 3년간 93명의 근로자, 지게차 사고로 사망 그 중 73명은 지게차 좌석안전띠 미착용 관련으로 협착사망

지게차 작업 안전수칙 작업계획서 작성및 작업지휘자 배치 지게차 운행 제한속도 유지 지게차 운전면허를 가진 자가 운전 좌석안전띠 반드시 착용 운전석 전방 눈높이 이하로 적재 허용 적재하중을 초과하는 화물적재 금지 급주행, 급브레이크, 급선회 금지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