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이란? 박 민 철 2018년 제12회 신세계 임상의학 파워특강 -정신의학과적 임상에서의 대처방법-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대한노인정신의학회 인증의 시험안내 대한노인정신의학회.  2008 년 2 월 24 일 ( 일 )  노인정신건강 인증의 시험 시행  2008 년 2 월 28 일 ( 목 )  합격자 발표.
Advertisements

인권교육 정신보건법 전부개정 법률안 삼성서울병원 홍 진 표.
정신건강 관련이론.
제7장 노년기와 정신건강.
Internet Addiction Disorder

3장 정신보건정책과 전달체계의 현황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이해.
성적장애의 진단분류 및 기준 Classification and Ctiteria
제 1절 적응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신경증적 장애 사회복지학과 김규희
나주교육지원청 Wee센터 전문상담교사 김 우 영 (금)
정신건강론 제 5장 적응문제와 정신건강.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전반적 이해, 선별, 진단, 중재법
정신건강의학 총론 박 민 철 (신세계병원) 2016년 제10회 신세계 임상의학 파워특강 일시: (목)
퇴행성 신경질환.
조울증(양극성 장애)의 진단 및 선별에 관한 고려사항 신 세 계 병 원 임 은 성.
Chapter 9. 정서적 인지변화와 건강관리 신한대학교 한미순.
정신질환 분류 박 민 철 (신세계효병원) 2017년 제11회 신세계 임상의학 파워특강 일시: (목)
조울병(양극성 장애)의 진단 및 선별에 관한 고려사항 신 세 계 병 원 임 은 성.
이상심리 고 영 희.
이상심리학 위드병원 임상심리과 백소진.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제 8 장 정신질환.
노이로제 (신경증).
절주프로그램 1조 ⓒ 간호와 건강증진.
정신질환 약물치료 박 민 철 (신세계효병원) 2017 가족과 함께 하는 교육 프로그램 Family Link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7장 정신분열증.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 및 노인 병동 프로그램 사례
요양병원에서는 도대체 무슨 일이? (금) 국회의원 김 용 익.
사회복지개론 변동철 교수.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제 1장 아동정신건강의 소개 최진령(대동대학).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4장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 2009년 2학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상심리.
인지재활 Cognitive Rehabilitation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정 신 건 강 론 정신병리.
Habit and Impulse Control Disorder
이 상 행 동과 심리치료.
제 8 장 정신질환.
인생과 신앙을 푸는 열쇠 “EQ” - Emotional Intelligence
Chapter 5 청소년과 약물남용.
뚜렛 증후군 증후 치료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강박적 행동 적대적 반한
정신건강의 이해 강의안 CHAPTER 5 정신장애2.
학습목표 약물중독의 원인을 안다. 2. 마약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3. 마약의 부작용을 안다.
체크포인트 안전과 사고의 일반적인 지식을 통해 안전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마음과 몸이 편안한 상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 안전과 생활 | 사고 예방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제 8장 내면화 장애 중등특수교육과 강혜경.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유아/아동기의 정신행동.
유아 건강 ★ 해피 트리 ★.
마음이 아프세요? 무엇이 왜 우리 마음을 아프고 병들게 할까요?.
정신질환의 이해 박 민 철 (신세계효병원) 가족교육 일시: (수) 11:00 장소: 신세계병원 회의실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Stress와 적응 Stress의 원인 Stress의 주요 유형 Stress 평가 요인 Stress에 대한 반응
제15장 이상행동의 심리학 도서출판 학지사 ⓒ 2004.
스트레스와 건강.
CHAPTER 2 정신보건서비스의 필요성과 전문직
제1장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해의 기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강의안.
의학전문대학원 신경생물학교실 원무호.
성의 발달과 젠더 탐색 성과 인간관계.
제12주 노인기의 제 문제들 32강. 노인과 정신건강 남경인 교수의 노인복지론.
노년기의 정신과적 특징 신세계병원 정신과 조 광 현.
보건복지부 공식템플릿 정신건강증진시설 인권교육 강사양성과정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민승철 주무관.
정신보건센터.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 마음의 근육을 키워라!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정신건강간호의 이해 정신간호학 Ⅰ.
6장 가족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가족복지론 최진령.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2학년 교과목 송하연 유미소 양혜성 오소정 신인서 심민정.
Presentation transcript:

정신질환이란? 박 민 철 2018년 제12회 신세계 임상의학 파워특강 -정신의학과적 임상에서의 대처방법- 일시: 2018.6.7.(목) 장소: 신세계병원 지석기념관 지석홀 박 민 철 신세계효병원, 원광의대 명예교수 mcpaul@wku.ac.kr, 010-3682-1505

학습내용 정신질환이란? 정신질환 진단 치료 정신건강복지법 https://youtu.be/1d9GaNXYG9Y Mental Illness What You See What You Don't See] https://youtu.be/1d9GaNXYG9Y 정신질환 진단 치료 정신건강복지법

정신질환 생각나는 것? 마음, 뇌 정신병, 치매 우울증, 자살, 하루 36명, 40분 중독/ 술, 게임, 인터넷, 약물 재난/ 외상, 충격,, 세월호, 붕괴, 전쟁 사회적 문제/ 경제 위기 경쟁, 범죄 편견, 차별/ 마음 약해, 하기 나름, 화병 F code, 외로움

정신질환 정의 정신질환, 정신장애(精神疾患, 精神障碍mental disorder, mental illness, psychiatric disorder) vs 신체질환 사고, 감정, 행동, 인지 등에 영향을 미치는 뇌 기능(정신 기능) 이상 질환. disease(감염, 신체) vs disorder(기능, 정신) vs illness(주관, 기간), sickness(일)

링컨, 처칠, 나이팅게일, 뉴톤, 다윈, 아인슈타인

정신질환 원인 정신생물학적 취약성 vulnerability 사회환경적 스트레스 stress

https://youtu.be/arc-dXJR0mE A Beautiful Mind https://youtu.be/arc-dXJR0mE 2001, 프린스턴대학, 내쉬균형이론

정신장애: 진단 및 분류 원인 vs 증상에 따른 분류 면담 + 가족 제보, 검사 국제 질병 분류 ICD 10 -> 11 001-999(290-319) 미국 분류 DSM IV -> DSM-5 A00-Z99(F00-F99)

정신(건강의학과)질환 장애 신경증적 장애: 불안, 공포, 강박, PTSD, 적응 정신병적 장애: 조현병, 망상성 정동(기분)장애: 우울증, 양극성, 갱년기 정신신체장애: 두통, 위궤양, 과민성대장 인격장애: 의존적, 강박적, 히트레리적 중독: 알코올, 약물, 인터넷, 도박 기질성 정신장애; 치매, 섬망, 기억 노인성, 소아청소년, 성기능, 수면 평생 유병율 26.6%(1년 12.8%), 서비스 이용/ 전문가와 상의 9.6%, 우울증 5%, 불안장애 9.3%, 조현병 0.5% 11.3만(조현병 증상 1.8% 71만), 알코올 12.2% 139만, 담배 6%,

ICD-10 정신 및 행태장애, 1992 F00-09 증상성을 포함한 기질성 정신장애

DSM-5 분류, 2013 294 신경인지장애, 317 신경발달장애, 295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296 양극성 및 관련 장애, 우울장애 300 불안장애, 강박장애, 외상 및 스트레스장애, 해리장애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301 성격장애,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 302 성기능부전, 성별 불쾌감, 변태성욕장애 305 물질관련 및 중독장애, 기타 정신질환 307 수면-각성장애, 급식 및 섭식 장애, 배설장애 332 약물치료 부작용, 임상적 주의 및 초점 상태

정신장애: 기능성 vs 기질성 기질성 organic: 뇌 기능 부전 확인 기능성 functional 구별이 확실하지 않다. Vital sign, 의식상태, 지각상태 인지기능: 생각하고 말하고 기억하고 판단실행하는 모든 능력(기억력, 집중력, 추상력, 언어력, 수행능력, 판단력 등)

정신장애: 신경증 vs 정신병 현실감 sense of reality 인격의 변화: 양적, 질적 인격의 변화: 양적, 질적 증상의 차이: 사고, 감정, 행동, 지각 망상, 환각, 무감정, 이상한 행동 이차이득 병식 insight

정신질환 인식개선 https://youtu.be/79PLCXjwWF4 정신질환 인식개선 https://youtu.be/79PLCXjwWF4 Time to change, 편견 차별

16년도 정신질환 역학조사(보복 2017) 17개 질환, 18세이상 5102명 대상 평생유병율 25.4%(1년 11.9% 470만), 기분장애 5.3% 1년 1.9% 75만, 불안장애 9.3%, 조현병 0.5% 1년 0.2% 6만+입원=11.3만 (평생 조현병 증상 1.8% 71만), 알코올 12.2% 1년 3.5% 139만, 담배 6%,

15.3 22.2

정신건강복지법 정신질환자 정의 16.5.30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정신건강복지법), 2016 제3조 1. 망상, 환각, 사고나 기분의 장애 등으로 인하여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중대한 제약이 있는 사람 (생각, 감정, 행동, 지각, 인지 등의 장애) 정신병(기질적 정신병 포함)·인격장애·알코올 및 약물중독, 기타 비정신병적 정신장애를 가진 자를 말한다.

정신질환자 정의 (시행령) 1. 기질성 정신장애 2. 알코올 또는 약물중독에 따른 정신장애 3. 조현병 또는 망상장애 시행령 제2조(정신재활시설 이용자 범위) 법 제3조제7호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1. 기질성 정신장애 2. 알코올 또는 약물중독에 따른 정신장애 3. 조현병 또는 망상장애 4. 기분장애 5. 정서장애, 불안장애 또는 강박장애 6. 그 밖에 위의 장애에 준하는 장애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장애

정신건강복지법 입원 형태 41조 자의입원 42조 동의입원 43조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보호) 입원 기준: 치료 필요성 + 자타해 위험 44조 특별자치시장, 도지사, 시장, 군수에 의한 입원(행정) 50조 응급

자·타해 위험 위험시행규칙 제34조 제2항 본인 또는 타인의 건강 또는 안전에 중대하거나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는 경우, 위해를 가할 개연성 높다고 인정되는 경우 상습적인 위해를 가하는 경우 본인의 건강이나 안전에 중대하거나 급박한 위험이 있는 경우, 위험의 개연성이 높다고 인정되는 경우

자·타해 위험 시행규칙 제34조 제2항 임박하거나 잠재적인 자살 또는 자해 위험, 증상의 악화나 중독성 약물의 남용으로 인한 건강의 중대하거나 급박한 위험 및 그 개연성이 높은 경우, 타인에 대한 신체적 가해행위나 그 위협행위, 성적 문제행동, 방화, 기물파손, 공격적 언행 등 타인의 건강 또는 안전에 중대하거나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거나 그 개연성이 높은 경우 등을 모두 포괄

톨스토이, 울프, 헤밍웨이, 부룩 쉴즈, 마를린 먼로, 펠프스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정신분석 이론/ 정신분석, 정신치료 학습 이론/ 인지행동치료 약물치료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정신분석 이론/ 정신분석, 정신치료 학습 이론/ 인지행동치료 약물치료 기타 : EST, 정신외과수술, 광치료 생체 되먹임, r-TMS 등

정신치료 정의 수련: 이론, 경험(교육분석), 실제 환자를 이해하고, 이해한 환자의 모습을 환자에게 돌려 주어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치료

경청 공감 이해 상대방의 입장에서 경험 환자 치료자 관계, 설명 聖

존경 정성 친절 환대

정신약물 분류/마약류 관리법 마약: (모르핀, 코카인, 대마초, 암페타민) 향정신성의약품: 항불안제, 최면진정제(수면제), 중추신경흥분제 항우울제 항정신병약물, 신경이완제 항조증약물: 항경련제 인지기능개선제

Be Happy!! We are the one!!! 有志竟成 Make Dreams Come True!! Family,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