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성 마 비 환 자 의 평 가 교 수 : 성 치 도 신성대학 물 리 치 료 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VDT 증후군. VDT (Visual Display Terminals) 증후군은 비디오 영상장치 단말기 증후군, 컴퓨터 단말기 증후군이라고도 하는데 TV, 비디오 게임기, 컴퓨터 등을 장기간 사용 후에 생길 수 있는 여러 증상의 복합적 증후 군을 말한다.
Advertisements

디지털카메라 1.  카메라가 촬영한 결과물을 디지털 신호로 저장  필름이 있어야 할 곳에 대신 CCD( 잠자리 눈과 같은 모양으로 빛을 감지하는 센서가 바둑판 같이 배열돼 있는 구조 ) 라는 반 도체 부품이 빛을 받아들여 화상을 만든다. 2.
4. 우리들의 영양문제  기술ㆍ가정 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 1. 청소년의 영양 > 4. 우리들의 영양문제.
서원대학교 2014 청년취업아카데미 u&e-learning Course. Contents 청년취업아카데미란 ? 한국 HRD 기업협회는 ? u&e-learning Course 무엇이 어떻게 좋을까 ? 지원방법 및 FAQ.
SOAP 김근환 이다혜 김슬기 이석훈 김지윤 신경계환자 평가 제가 합니다 ~ 황성수 교수님의 제자.
학생의 건강문제와 건강관리 김미애 박경순 심지연 이은주 이지혜 정형범 황보섭 황지영.
Case Study 과 목 명 : 임상생체역학실습 담 당 교 수 : 황 성 수 교수님 발 표 일 : 발 표 자 : 김 건 욱.
Brachial Plexus Injury
감각운동 접근법 (Sensorimotor Approach)신경발달치료(NDT)
상지보조기 (Upper limb orthoses)
강직성 척추염 운동 한양의대 재활의학교실 이 규 훈.
4장. 생체역학적 원리 Kinesiology for musculoskeletal system ch4 근골격계 작업치료
비전과 가치: 문명사적 대전환기, 미국의 선택과 미래
과 목 : 임상생체역학 담당교수 : 황성수 교수님 발 표 자 : PT 오 희 주 발 표 일 :
과목명 : 임상생체역학실습 교수명 : 황 성 수 교수님 발표일 : 발표자 : 허 성 범
라포르시안 뉴스레터 e마케팅 소개서 ㈜올댓닥터스
제출일: 과목명: 임상생체역학실습 지도 교수님: 황 성수 교수님 발표자: 김 진
과목명: 임상생체역학실습 교수명: 황성수 교수님 발표일: 발표자: 임 미 경
제 5장 운동조절에서의 제약 : 신경학적 손상의 개요
이소연 이화정 정세나 정한나 최아현 조민규 장 건 정진희
- Digital Single Lens Reflex -
성장발달 1 1.
Developmente of hand skill & hand problem
체육사 상지대학교 담당교수 이 문 성.
제 14장 산전태아안녕검사 설현주.
Chap 2. 신경학적 검사.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2007년 1학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습과제 분석
관절염(arthritis).
카메라의 구조와 종류.
Cerebral Palsy.
“뇌의 혈관(Willis circle) 및 병변 부위에 따른 뇌졸중의 증상”
과목명 : 임상생체역학실습 교수명 : 황 성 수 교수님 발표일 : 발표자 : 박 용 신
Chapter 6 Chemical Equilibrium
뇌혈관질환 (cerebrovascular disease:CVD)
발달장애의 행동문제 신세계 효병원 윤길상.
Positioning Mobility Guideline & consideration practice
과목명 : 임상생체역학실습 교수명 : 황성수 교수님 발표일 : 발표자 : 정 종 호
-학교, 지역사회를 품다! 지역사회 교육인프라 박람회 사 전 협 의 회
~ 안셀름 그륀의 글 참조, 임가롤로 보로메오 그림, ppt.
Chapter 3 WRIST.
경건의 시간 (QT) 한남 큰모임.
심리학의 생물적 기초 생리심리학이란? 생리심리학(physiological psychology)은 신경생물학적 수준에서 인간의 마음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인간의 마음과 뇌의 신경생리학적 구조와 기능의 관계를 분석하여 마음에 대한 이해를 추구한다.(뇌와 발달, 뇌와.
전기진단검사 II.
건강사정실습 Practice of Health Assessment.
2014년 권역외상센터 선정 지원 사업 진료실적 작성지침
2. 인지발달이론 4. 학습이론 1)Piaget의 인지발달이론 2) 정보처리이론 3) Vygotsky의 사회문화적인지 이론
마 루 운 동 ( ).
성장과 발달의 개요 반사의 종류 및 기능 By KEUMSUN Hwang
QUEST (Quality of Upper Extremity Skills Test) 박은지 배정화
인지발달과 운동수행 강의 5.
기술적 분석.
거래의 의의와 종류 거래의 종류 손익의 발생 현금의 수지 거래발생장소 발생 시기 인하호텔& 리조트 거래라!
Trajectory Optimization for Full-Body Movements with Complex Contacts
아동기 발달과 사회복지.
뉴미디어 이용과 뇌 구조의 변화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양의 중세문학 07 안혜진 08 신승훈 08 이경철.
Lect21:Pumping and Gain In equilibrium
반사운동의 발달 강의 7.
8. 평균류와 에디 - 에너지의 위도적 분포와 각 항의 기여도 이해 - 열의 평균류와 에디 수송의 이해
교육 안내문 부하해석 및 모터시스템 선정.
연하 곤란 김 외 숙.
8강 1. 활성화 에너지(activation energy).
제7장. 작업관리.
운동치료학 제 3-2강.
일상생활 속 바른 자세 - 물리치료실
아동간호학 2. 발달단계별 건강관리 허 창 주 경산1대학교
13. 词的来源 1. 基本词 2. 来源分类 2.1. 传承词 2.2. 古语词 2.3. 方言词 2.4. 外来词 2.5. 新词.
목재 공예 이치훈 주성우.
노인의 건강증진 김해중앙병원 간호처장 김해대학 사회복지과 겸임교수 배 영 희.
Presentation transcript:

뇌 성 마 비 환 자 의 평 가 교 수 : 성 치 도 신성대학 물 리 치 료 과

● 근원반사(Rooting Reflex) 1) 촉각자극에 대한 반사로 입주위를 자극하므로써 혀나 입, 머리의 움직임을 일으키게 된다. 2) 아기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입으로 엄마의 젖꼭지나 우유병의 꼭지를 찾아서 물 수 있도록 자극하는 반사이다. 3) 이 반사로 머리 돌리기가 일어나고 이로 인해 목정 위 반응 (neck righting reaction)이 나타나게 되며 또한 머리 흔들기, 끄덕거림, 웃는 상태로의 표현 발달도 촉진 된다.

● 빨기-삼키기 반사 (Sucking-Swallowing Reflex) 아동의 입에 젖꼭지나 음식물이 닿으면 자동적으로 입이 음식물이나 젖꼭지 가까이로 움직이며 입이 닿게 되면 빨고 삼키는 반응이 나타나게 됨. 2) 이 반사는 음식물을 얻는 것이 목적이다.

● 모로 반사 (Moro – Reflex) 이 반사는 신생아에서 현저하게 나타나는 몸 전체의 굴곡 자세를 깨뜨리며 아동의 몸통과 사지에 신전을 경험하게 한다. 2) 모로반사가 없어지면서 란다우반응(landau), 보호신전반사 (protective extension), 평형반응(equilibrium reaction)과 같은 고위반응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써 한층 발달된 동작으로 진전 될 것이다.

● 견인 반사 (Traction Reflex) 이 반사는 순간적으로 물건이나 딸랑이 등을 손으로 잡도록 허락한다. 2) 이 반사가 조정되어져 감에 따라 아동의 손바닥 접촉에 의해서 굴곡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 교차성 신전반사 (Crossed Extension Reflex) 이 반사는 양성지지 반응(positive supporting reaction)과 함께 한쪽 다리로 서 있을 때 균형을 유지하는데 사용되어 진다.

● 굴절 회피반사 (Flexor Withdrawal Reflex) 해로운 자극에 대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 회피 반사이다.

● 족저 파악반사 (Plantar Grasp Reflex) 이 반사는 발가락에 어떤 자극이나 물건이 닿으면 발가락으로 잡는 현상 이 나타나는 것으로 발의지지 기능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없어진다.

● 갈란트 반사 (Galant Reflex) 1. 이 반사가 나타난다는 것은 몸통이 불안정한 상태이며 머리조절과 체간의 굴곡신전의 부재와 밀접한 관계를 갖게 한다. 2. 그래서 이 반사는 머리조절이 증가되고 엎드린 자세에서 몸통의 신전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면서 없어지게 된다.

(Neonatal Neck and Body Righting Reflex) ● 신생아의 목과 몸통정위 반사 (Neonatal Neck and Body Righting Reflex) 이 반사는 신생아에게 누워있는 자세에서, 옆으로 누운 자세로 몸통을 회전하게 된다.

(Proprioceptive Placing – L/E) ● 고유수용성 위치 반사 – 하지 (Proprioceptive Placing – L/E) 이 반사와 자발적인 보행(spontaneous stepping)은 서로 관련이 있으며 어떤 물건이나 자극이 닿았을 때 그것을 피하여 발에 체중지지를 하게 된다.

(Neonatal Positive Supporting Reflex) ● 신생아 양성 지지반사 (Neonatal Positive Supporting Reflex) 서는 자세의 원시반사로 나중에 아동 스스로 바닥에 발을 지지하거나 체중지지를 하게 한다. ※ 참고 : 이 반사는 자동보행(spontaneous stepping) 반사를 검사하기 전 단계에서 나타난다.

● 자동보행 반사 (Spontaneous Stepping Reflex) 정상적 보행이 일어나기 전에 원시적인 형태로 보행하는 것이 나타난다.

● 긴장성 미로반사(Tonic Labyrinthine Reflex) 공간에서 머리자세의 변화에 따라 유발되는 반사로 이 반사가 통합되면서 공간에서 머리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

(Proprioceptive Placing-U/E) ● 고유 수용성 위치반사-상지 (Proprioceptive Placing-U/E) 어떤 물건이나 자극이 손에 닿았을 때 그 것을 피하여 팔꿈치나 손바닥으로 체중지지를 하게 한다.

(Symmetrical Tonic Neck Reflex) ● 대칭성 긴장성 경반사 (Symmetrical Tonic Neck Reflex) 1. 이 반사는 목의 굴곡이나 신전에 의해 유발되는 고유수용성 반응이다. 2. 아동이나 정상 어른에서 머리의 굴곡시 상지에서 현저한 굴곡자세와 하지에서 신전자세를 그리고 머리의 신전시 상지에서 신전자세를 하지에서는 굴곡자세를 쉽게 취하게 된다.

● 손바닥 쥐기 반사 (Palmar Grasp Reflex) 손바닥 쥐기와 함께 장난감이나 물건 잡는 것을 허락케 한다.

● 연합 움직임 (Associated Movements) 연합움직임이란 반대 사지에서 자의적인 운동행위가 일어날 때 쉬고 있는 쪽 사지에서 불수의적인 움직임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이 움직임을 과잉 움직임이라 말한다. 이것은 많은 노력을 기울여서 어떤 일을 할 때나 새로운 기술을 익힐 때 흔히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