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원 : 성신여자대학교 경영학 박사학위 논문 인사고과 방법의 효율성 비교 자료원 : 성신여자대학교 경영학 박사학위 논문
가. 실험대상 및 실험일정 ● 실험대상 : S전자 인사팀 임직원 45명 ● 실험일정 : 2000년 9월 29일 ~ 11월 1일 ; 10일 간격으로 평정척도법(Rating scale), 행위기준 평정척도법(BARS), 디지털 체크리스트법 을 이용하여 차례로 평가
나. 실험도구 도 구 내 용 평정척도법 (Rating Scale) 행위기준 평정척도법 (BARS) 디지털체 크리스트법 내 용 평정척도법 (Rating Scale) 현재 S전자에서 사용하는 고과 방법으로, 구성원의 특성 혹은 업적을 평가하기 위해 평가항목을 선정해 놓고, 구성원이 어느 정도 이 평가항목을 소유 혹은 발휘하였는 가를 각 평가항목의 척도상에 네 등급으로 우열을 표시하는 방법 행위기준 평정척도법 (BARS) 직무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행동(Expexted Job Behavior)을 평가항목으로 한 다음 항목별로 행동내용을 네 가지의 평가 요소로 척도화한 표준 평정척도의 한 변화형으로 구체적인 행동요소를 척도화 하고 이를 표준화한 방법 디지털체 크리스트법 (Digital Checklist) 박준성 교수가 개발한 평가 방법으로 직종 및 직급별 업무수행과 밀접히 관련되는 행동사례를 개발하여 평가하는 방식으로, 행동사례는 업무수행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바람직한, 혹은 바람직하지 않은 주요사건으로 기술되어 해당행위를 하고 있는지 예(Y)혹은 아니오(N)로 표기하여 판정하도록 하는 평가방법
다.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Framework 신뢰성 타당성 척도의 신뢰성 고과자의신뢰성 내용 타당성 문항 예측력 (검 증 내 용) 척도는 잘 만들어 졌는가? 평가자는 공정하게 평가하였는가? 평가내용의 구성은 타당한 것인가? 어떤 항목의 점수가 등급결정에 영향을 주는가? (검 증 도 구) Reliability test (Cronbach’s α coefficient) Distribution traits (Skewness, Kurtosis) Factor analysis (Eigen value, Cum. Pct) Regression analysis (R2, Beta, p)
크론바하의 알파계수(Cronbach’s α ) 1. 평가척도의 신뢰성 검증결과 크론바하의 알파계수(Cronbach’s α ) 평가방법 평정척도법 행위기준 평정척도법 디지털 체크리스트법 평가자 본인평가 0.57 0.64 0.78 상사평가 0.66 0.63 0.81 동료평가 0.81 0.73 0.82 부하평가 0.86 0.82 0.91 ● 신뢰도는 안정성(stability), 일관성(Consistency), 예측가능성(Predictability)과 관련된 개념으로 신뢰도 계수(Cronbach’s αCoefficient)가 0.7이상이면 신뢰성이 있다고 볼 수 있음. 다른 평가방법과 비교하여 볼 때 디지털 체크리스트법이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2.고과자의 신뢰성 분석 결과 (평정척도법)
(행위기준평정척도법)
(디지털체크리스트법)
문항대비 관대화 항목비율 46% 54% 54% 46% 50% 46% 42% 50% 54% 46% 54% 54% 평정척도법 평가방법 평정척도법 행위기준 평정척도법 디지털 체크리스트법 평가자 본인평가 46% 54% 54% 상사평가 46% 50% 46% 동료평가 42% 50% 54% 부하평가 46% 54% 54%
문항대비 중심화 항목비율 0% 0% 0% 0% 13% 0% 0% 0% 0% 0% 4% 0% 평정척도법 행위기준 평정척도법 평가방법 평정척도법 행위기준 평정척도법 디지털 체크리스트법 평가자 본인평가 0% 0% 0% 상사평가 0% 13% 0% 동료평가 0% 0% 0% 부하평가 0% 4% 0%
● 고과자의 관대화 경향을 측정하는 Skewness 값과 고과자의 중심화 경향을 측정하는 Kurtosis 값을 살펴보면 다른 평가방법에 비해 디지털 체크리스트법이 상대적으로 관대화(a3<0) 와 중심화(a4>3) 경향이 낮음을 볼 수 있다.
3. 구성타당성 검증결과 평정척도법 (%) 행위기준 평정척도법 (%) 디지털 체크리스트법 (%) 평가방법 평가자 본인평가 82.58 72.49 85.56 상사평가 70.98 63.69 84.52 동료평가 56.61 78.79 87.53 부하평가 72.02 69.01 81.07 ● 타당도(Validity)는 평가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 및 속성을 정확히 측정하는가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실험결과 디지털 체크리스트 법의 평가항목의 누적변량 비율이 본인, 상사, 동료, 부하평가 모두에서 80% 이상의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