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인재 유출입 현황 및 특성분석 발 표 자: 류장수(부경대 교수/부산고용포럼 공동대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Book Review 작지만강한기업에 투자하라 - 랄프 웬저. 목차 1.- 랄프웬저에 대하여 2. 심리에대하여 3. 어떤기업에 투자할것인가 ? - 합리적인 주가의 성장주, - 작은기업 - 작지만 강한기업의 3 가지 지지대 4. 종목발굴의 아이디어 - 테마 - 나쁜뉴스.
Advertisements

작품을 통해 살펴본 전통사회와 현대사회의 갈등 인문학부 손명학 공학계열 김능배 사회체육 김영수 현대사회와 사회학.
폭력. 폭력이란 무엇인가 우상의 눈물 물리적인 폭력 ( 최기표 ) VS 지능적인 폭력 ( 임형우, 담임선생님 )
사랑드림장학금 신청하기 : 사랑드림장학금 ( 신규 ) 신청자격 확인하기 2 ○ 고객 상담센터 : ○ 사랑드림장학금은 신청 자격을 확인하여 기부처별 1 개만 신청 지원 유형기부처자격 상세 생활비지원 대한 LPG 협회 ∙ 국내 4 년제 및 전문 대학교 재학생으로.
사회복지시설의 예산·회계에 대한 이해 태화복지재단 사 무 총 장 유 영 덕. Ⅰ. 회계의 의의.
간호학과 개설대학 현황 ( 총 111 개 대학 ) 지역대학명 (2014 학년도 선발 인원 ) 서울 (11 개 ) 가톨릭대 ( 인문 :40, 자연 :40), 경희대 ( 전년기준 :85), 고려대 ( 전년기준 :60), 서울대 ( 전년기준 :63), 삼육대 (55), 성신여대.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 소 전화번호 휴대폰 사진사진 군필여부 병역 군 별계 급복무기간면제사유 - 1 지망 업무 : 공정 / 장비 2 지망 기간 (YYYYMM) 학교명 전공 졸업여부 본교 / 분교
시장 세분화 담당교수 : 김종일 교수님 소 속 : 나노공학부 K 조 조 원 : 박민하 박보영 박지은 박진희 이수현 발 표 일 : 2014 년 6 월 2 일.
1 박 2 일 !!! 인천마장초등학교 유수아. 1 박 2 일 멤버 인기순 위 1 위 이승기 2 위 엄태웅 3 위 은지원 4 위 김종민, 이수근 ※인터넷에서 본것이기 때문에 사람에따라 서 다를 수 있다. ※
당신의 조직에 ‘이기는 습관’을 심어라! 동사형 조직 프로 지독한 사관학교 프로세스 마케팅적 집요한 사고 실행력 규범이 있는
경상대학교 TOEIC 접수 매뉴얼 경상대학교 접수페이지 페이지 설명
석관중앙교회 5남전도회 석 관 중 앙 교 회 회원 소식 통권 05-04호 발행일 : 2005년 04월 회 장 : 장진호 집사
한국경제교육협회 일반인 표준 경제 개념 9. 인플레이션과 실업
지역사회복지론 1조. 요양보호시설에 대해서 황성국 임재형 이동영
- 예∙결산 및 기본재산 운영 신뢰도 제고를 위한 실태점검, 결산지원사업 -
시장수급 ( 코스피 ) 6월 15일 ~ 24일 6월 25일 ~ 7월 1일 개인 + 2조 457 억 - 1조 1623 억 기관
LG엔시스 추천자 신청서 휴대폰 직무 이름 성별 학교 1지망 2지망 전공 학점 (4.5만점) 어학 1전공 2전공 TOEIC
좋은 강의 국제관계학과 정연식.
박근혜 2년? 행복하셨습니까? 박근혜 2년은 이다 살의를 느끼게 한 세월 멈춰버린 대한민국 답답한 이년.
TOEIC 강좌 안내 2학기 교내 영어특강 대 림 대 학 사 회 교 육 원 영 어 강 좌 실
두원중공업과 두원전자는 두원기술연구소에서 차세대 자동차 에어컨용 압축기 개발을 위하여 미래와 꿈을 그려 나아갈
LG Display 입사지원서 지원일자: ▶인사기본사항 ▶희망직무 ▶학력사항 성명 사 진 주민등록번호 주 소
건양대학교 군사학과 Konyang University Department of Military Science 건양대 군사학과
학교교육제도 이해하기 천안청룡초등학교 교사 임 병 현.
2014학년도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시 유의사항 울산광역시교육청 교육과정운영과 한 상 철.
14주차 1교시 강화계획 [학습목표] 1. 강화계획의 정의를 안다 [학습내용] 1. 단순한 강화계획 2. 간헐적 강화 3. 복합 계획 4. 선택과 대응법칙 [사전학습] 강화계획이 일어날 수 있는 사례를 생각해본다.
연장근로와 야간·휴일근로 김영호 노무사 나눔 노사관계연구소 소장 연세대 일반대학원 박사 수료 고려사이버대 법학과 외래교수
I 문학의 개념과 역할 1. 문학의 개념 (1) 언어 예술로서의 문학 (2) 소통 활동으로서의 문학
학교폭력과 청소년 - 영원히 씻을 수 없는 상처가 된다.
4. 목적론적 윤리와 의무론적 윤리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2. 결과론적 윤리와 공리주의
2008년 역량 개발 계획서 작성자 소속 인재육성그룹 직급 B3 사번 성명 홍 길 동 확인자 소속 인재육성그룹
2012학년도 무주고등학교 입시 설명회 본교 방문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2012 한양사이버대학교 체육대회 1) 블루라이온스컵 4강전 4팀 팀 구성
with 신 동 면 교수님 임지영 장영태 조재영 황선희 황예빈
대제목 -소제목 ?.
대학의 교육 공연의상학과 김연미 김은정 임귀란 최유리
개항기 조선과 동아시아 박 범 한국역사입문Ⅱ.
壽齊天.
교육학 개론(1조) introduct to education
입 사 지 원 서 (필히 사진 첨부) 지원 분야 경력/신입 신입 / 경력 성 명 성 별 남 / 여 생년월일
TOEIC& TOEIC Speaking 강좌
팬인가? 제자인가? 3장 로마 바울참수교회 입구 참수당하는 사도 바울.
대구의 부도심 대구의 주요축 동대구 부도심 4조 강민석 / 박성균 / 최은지/ 황재현/김예지.
제2편 수사의 과정 제1장 수사의 진행 절차 제2장 수사의 진행 방법.
기업회생 절차.
2. 윤리학의 원리와 적용 가. 상대주의와 절대주의.
Ⅲ. 세계의 자연환경 -열대기후와 주민생활.
팬인가? 제자인가? 3장 로마 바울참수교회 입구 참수당하는 사도 바울.
5강 북한사회의 실상.
강의 프레젠테이션 현대 사회와 미디어 12강. 미디어 문화.
기술 진화와 진보.
사도행전 13장 22절 말씀 –아멘 다 윗 을 왕 으 로 세 우 시 고 증 언 하 여 이 르 시 되 내 가 이 새 의 아 들
공학교육인증제 설명회 전북대학교 전자공학프로그램.
평생 저축해도 강남 아파트 못산다 학 과 : 회계학과 1학년 B반 과 목 : 회계학원론 담당교수: 박성환 교수님
북스타트.
경찰행정과 세미나 결과를 공개해야한다. VS 비공개로 해야한다. 경찰의 근무성적평정 제도.
에듀팟-자기소개서작성.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와 지역 센터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승보.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20 년 월 일 입사지원자 : (인)(또는 서명)
근골격계 질환 어떻게 싸울 것인가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준) 동아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김 윤 규.
목포대학교 기계공학심화트랙 교과목 이수체계 (2016학년도)
영상으로 읽는 한국사 02 삼국은 서로를 한 ‘민족’으로 생각했나? - 삼국통일의 의미-.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의사소통.
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의무 사회(일반사회) 중학교 2학년 2학기 Ⅶ. 사회생활과 법규범
호기심 천국으로~~ 긴 장화 속에는 무엇이 숨어있을까? 노을 모둠.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20 년 월 일 입사지원자 : (인)(또는 서명)
'18년 하반기 포스코대우 신입사원 모집 □ 회사소개 □ 근무조건 □ 모집부문 및 지원자격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20 년 월 일 입사지원자 : (인)(또는 서명)
인하대학교 평생교육사 6기 A반 2조 : 김은주,김지연,김혜원 박경애,박광숙,여혜정
Presentation transcript:

동남권 인재 유출입 현황 및 특성분석 2012. 9. 발 표 자: 류장수(부경대 교수/부산고용포럼 공동대표) 2012. 9. 발 표 자: 류장수(부경대 교수/부산고용포럼 공동대표) 공동연구진: 박성익(경성대 교수) 김종한(경성대 교수) 조장식(경성대 교수) 곽소희(부산인적자원개발원 책임연구원)

목 차 Ⅰ 서론 Ⅱ 연구내용 및 방법 Ⅲ 대학소재지 기준 졸업자 특성 Ⅳ 4 1차 유출입(고교⇒대학) 현황 Ⅴ 목 차 Ⅰ 서론 Ⅱ 연구내용 및 방법 Ⅲ 대학소재지 기준 졸업자 특성 Ⅳ 4 1차 유출입(고교⇒대학) 현황 Ⅴ 2차 유출입(대학⇒취업) 현황 Ⅵ 5 인력유출입수지 Ⅶ 결과 요약 및 향후 과제

Ⅰ서론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우수 인재들이 지역에 정주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만, 우리의 현실은 지역의 우수 인재들이 수도권으로 유출되고 있어 지역발전에 큰 질곡으로 작동하고 있는 상황 동남권(부울경) 청년층의 역외유출 현황 파악 시급 동남권 지역 우수한 고교 졸업생이 수도권 대학으로 진학하는 현상(1차 유출) 이 두드러짐 괜찮은 일자리의 부족으로 인하여 동남권 지역의 대학 졸업생이 수도권으로 취 업하는 현상(2차유출)이 발생함 그러나 현재는 1차 유출과 2차 유출의 현황 파악 자체가 되지 못한 상황 동남권 청년층의 역외유출 방지방안 수립(현재 연구 중) 1차 유출과 2차 유출의 현황 파악 및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동 남권 청년층의 역외유출 방지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Ⅱ. 연구내용 및 방법 연구내용: 동남권 청년층의 역외유출 현황 연구방법: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활용 동남권 고교 졸업자의 1차 유출 및 대학 졸업자의 취업으로 인한 2차 유출 현황 파악 동남권 체류자 및 타지역 유출자의 특성 파악 및 비교분석 1차 및 2차의 인력 유출입 수지분석 연구방법: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활용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는 전문대학 이상의 졸업자를 모집단으로 하여, 매년 1만 8천명 이상의 표본을 조사 교육과정, 구직활동, 일자리 정보, 개인정보 및 가계 배경 등을 조사 특히 고교소재지, 대학소재지 및 직장소재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청년층의 지역 간 이동을 분석하는데 유용 한계는 전문대 및 대학에 진학하지 않는 고졸의 경우 분석이 불가능하다는 점 ※이 글은 2009 GOMS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함(2008년 8월과 2009년 2월 졸업자 대상임)

Ⅲ. 대학소재지 기준 졸업자 특성 부산지역 대학 졸업자의 비중은 8.5%, 울산과 경남은 각각 1.3%와 5.0%임. 수도 권의 비중이 39.3%를 차지함 대학입학 당시 부모소득을 보면, 월 5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가 수도권에서 많은 것을 알 수 있음. 부의 학력도 수도권이 부울경 지역보다 전체적으로 높음 ※ 졸업자의 인적 특성(다음페이지 참조)

Ⅲ. 대학소재지 기준 졸업자 특성 <표 1> 졸업자 인적특성(대학소재지 기준) 단위: %, 명 부산 울산 경남 수도권 기타 전체 지역별 합계 8.5 1.3 5.0 39.3 45.9 480,192 성 남성 46.6 48.6 47.2 47.3 50.6 245,973 여성 53.4 51.4 52.8 52.7 49.4 234,219 학력 전문대졸 34.7 50.3 52.9 43.1 39.2 197,623 대졸 65.3 49.7 47.1 56.9 60.8 282,571 대학 입학 당시 부모 소득 없음 5.4 6.6 8.0 10.3 8.2 41,904 100만미만 1.4 0.3 2.6 2.8 5.1 17,819 100~200만 12.2 13.6 11.9 15.6 65,438 200~300만 26.1 34.2 27.2 21.8 31.0 128,876 300~500만 45.5 43.9 37.0 32.7 174,535 500만이상 7.6 4.6 16.3 7.4 51,620 부의 고졸이하 65.9 74.1 75.6 62.9 73.4 330,139 전문대졸 이하 12.0 13.7 10.2 5.2 28,310 대졸이하 20.3 11.1 13.1 25.9 18.5 101,806 대학원이상 1.8 1.1 2.9 19,935

Ⅲ. 대학소재지 기준 졸업자 특성 <표 2> 졸업자 소재지 특성 단위: %, 명 부산 울산 경남 수도권 기타 전체 지역별 합계 8.5 1.3 5.0 39.3 45.9 480,192 출생지 2.9 3.1 2.5 71.3 18.8 176,844 충청권 1.0 1.9 0.4 5.6 17.1 48,775 전라권 1.2 2.6 2.0 7.6 26.4 73,525 대구경북 4.5 3.3 3.0 5.2 20.8 58,316 69.9 18.9 21.2 3.9 49,255 3.6 62.5 2.1 0.8 11,524 16.1 68.5 2.4 3.5 35,444 강원·제주권 0.3 8.1 24,233 고교 소재지 1.4 3.8 1.6 79.5 17.8 188,936 0.6 0.0 0.1 4.3 19.3 50,566 0.7 1.1 5.1 26.5 68,444 2.7 21.5 56,052 75.9 13.6 16.9 45,235 3.4 69.5 1.8 11,453 14.9 8.8 75.5 3.2 34,951 0.9 0.2 7.9 22,243 취업 지역 12.2 6.8 9.6 93.2 28.2 181,807 2.3 18.2 33,840 23.1 40,013 2.8 18.0 32,209 63.0 13.5 10.8 0.5 23,678 64.6 1.7 7,875 9.2 73.9 22,973 7.3 13,255 <표 2> 졸업자 소재지 특성 단위: %, 명

Ⅳ. 1차 유출입(고교⇒대학)현황 1. 인력 유출입 현황(고교⇒ 대학) 부산지역 고교 졸업자 중 부산의 대학으로 진학하는 학생의 비중은 68.8%, 수도권으로 진학하는 학생의 비중은 10.7%에 달함 울산과 경남지역 고교 졸업자 중 해당 지역 대학으로 진학하는 학생의 비중은 37.4%, 51.5%. 수도권 진학 비중은 울산과 경남 각각 9.7%, 9.6%. 울산 및 경남지역 고교 졸업자 중 부산의 대학으로 진학하는 학생의 비중은 각각 12.1%, 17.4% <표 3> 1차 인력(고교⇒전문대 및 4년제 대학) 유출입 현황 대학교 소재지 전체 부산 울산 경남 수도권 기타 고교 소재지 % 68.6 1.9 8.9 10.7 9.9 100.0 12.1 37.4 5.7 9.7 35.1 17.4 1.5 51.5 9.6 20.0 0.3 0.1 0.2 78.7 20.7 0.9 0.4 14.8 83.8 8.6 1.3 5.0 39.2 46.0

Ⅳ. 1차 유출입(고교⇒대학)현황 4년제 대학으로 진학하는 학생만 살펴보면, 동남권 지역 고교 졸업자 중 수도권으로 진학하는 학생의 비중은 부산, 울산, 경남 각각 13.7% 14.2%, 13.2%에 달함 ⇒ 전문대보다 4년제 대학의 진학으로 인한 학생 유출이 더 심각 <표 4 > 1차 인력(고교⇒4년제 대학) 유출입 현황 (단위: %, 명) 대학교 소재지 전체 부산 울산 경남 수도권 기타 고교 소재지 빈도 19,697 207 2,491 3,990 2,776 29,161 % 67.5 0.7 8.5 13.7 9.5 100 971 2,285 324 1,059 2,827 7,466 13.0 30.6 4.3 14.2 37.9 4,082 235 7,763 2,508 4,402 18,990 21.5 1.2 40.9 13.2 23.2 450 136 154 77,676 28,031 106,447 0.4 0.1 73.0 26.3 1,470 203 517 21,240 95,698 119,128 0.2 17.8 80.3 26,670 3,066 11,249 106,473 133,734 281,192 1.1 4.0 47.6

Ⅳ. 1차 유출입(고교⇒대학)현황 2. 체류 및 유출자 특성분석 – 부산지역 고교졸업자 대상 울산 경남 수도권 기타 지역 소계 대학입학당시부모 소득 없음 5.6 6.9 8.6 8.3 8.7 2,936 100만미만 1.5 0.0 3.3 5.9 885 100~200만 11.9 21.6 14.4 6.2 13.9 5378 200~300만 25.4 20.9 28.3 16.3 22.7 11,020 300~500만 47.2 50.7 44.4 42.4 34.8 20,466 500만이상 8.4 4.2 23.5 4550 부모의 학력 고졸이하 65.6 84.7 77.3 51.7 61.9 29,459 전문대졸 이하 12.5 5.8 7.8 4.5 15.3 5,155 대졸이하 20.0 9.4 14.1 34.5 20.3 9,448 대학원이상 1.9 0.8 9.3 2.6 1,174 부모소득이 월 300만원 이상인 사람의 비중이 부산 진학자는 55.6%, 울산과 경남 진 학자는 각각 50.7%, 48.6% 인데 비하여, 수도권 진학자는 65.9%임 부모의 학력 대졸이상인 사람의 비중이 부산 진학자는 21.9%, 울산과 경남 진학자는 9.4%, 14.9% 인데 비하여, 수도권 진학자는 43.8%임 ⇒고소득자 및 고학력의 가정에서 동남권보다 수도권에 더 많이 진학을 시키고 있음 <표 5> 부산지역 고교졸업자의 대학진학 지역별 인적특성 (단위: %, 명)

Ⅳ. 1차 유출입(고교⇒대학)현황 TOEIC 700이상인 사람의 비중이 부산 진학자는 17.1%, 울산과 경남 진학자는 5.1%, 21.5% 인데 비하여, 수도권 진학자는 39.7%임 동남권 대학 진학자는 수도권 진학자에 비하여 전체적인 대학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남 ⇒ 동남권 대학 진학자가 수도권 진학자보다 대학 만족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어학성적도 더 낮음

Ⅳ. 1차 유출입(고교⇒대학)현황 <표 6> 부산지역 고교졸업자의 대학진학 지역별 대학 관련 (단위: %, 명) 울산 경남 수도권 기타지역 소계 영어성적 (TOEIC 환산점수) 850이상 7.0 0.0 3.5 18.6 4.4 3,417 700~850 10.1 5.1 18.0 21.1 9.0 5,314 600~700 5.3 6.5 4.6 2,459 500~600 2.0 1.5 0.3 0.6 717 500미만 1.0 0.5 2.7 461 모름/없음 74.6 94.9 70.5 55.0 76.4 32,868 대학교육 만족도 교육지원시설 3.25 3.36 3.23 3.45 3.19 3.27 학생복지시설 3.20 3.30 3.17 3.21 학생지원제도 3.35 3.28 3.33 3.16 3.24 진로상담 3.11 전공 교육과정 3.22 3.68 3.49 3.26 교수진 3.47 3.32 3.64 3.37 수업방식 및 질 3.56 3.34 전공 만족수준 3.48 3.57 3.50 3.66 학교 만족수준 3.41 3.70 3.46 3.42 어학 연수 경험 12.8 12.3 23.9 10.0 6143

Ⅳ. 1차 유출입(고교⇒대학)현황 부산지역 고교 졸업자의 취업률은 부산 진학자와 수도권 진학자가 각각 70.3%와 69.4%로 큰 차이가 없으며, 울산.경남 진학자가 73.9%로 상대적으로 높음 부산지역 고교 졸업자 중 부산 진학자가 취업한 기업의 규모는 수도권 진학자에 비하여 작은 것으로 나타남(예: 1,000명 이상의 경우 부산 23.9% vs. 수도권 45.4%) 부산지역 고교 졸업자 중 부산지역 대학 졸업자의 10.4%가 수도권에 취업하고, 수도권 대학 졸업자의 8.9%가 부산에 취업하는 데 비해 81.6%가 수도권에 취업함 ⇒ 부산지역 고교를 졸업한 후 수도권 대학으로 진학하여 졸업한 청년들의 대부분이 부 산으로 회귀하지 않고 수도권에 거주함. 그런 점에서 부산 인재를 부산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부터 부산지역 대학으로 진학하도록 유인하는 정책이 필요함

Ⅳ. 1차 유출입(고교⇒대학)현황 <표 7> 부산지역 고교 졸업자의 대학진학 지역별 취업성과 (단위: %, 명) <표 7> 부산지역 고교 졸업자의 대학진학 지역별 취업성과 (단위: %, 명) 부산 울산 경남 수도권 기타지역 소계 취업 70.3 78.2 73.0 69.4 78.0 32272 직장 규모 1~4 10.5 9.5 7.1 6.2 15.9 3324 5~9 9.3 13.3 12.3 5.0 15.6 3189 10~99 34.7 18.6 39.3 22.1 30.9 10655 100~499 16.5 11.4 7.4 16.6 11.8 4873 500~999 5.1 4.4 1.9 4.8 2.3 1448 1000이상 23.9 42.8 32.0 45.4 23.6 8782 현직장 소재지 10.4 0.0 11.9 81.6 21.0 6050 충청권 0.6 3.9 2.5 9.8 659 전라권 0.3 1.6 1.0 10.3 506 대구경북 1.4 1.2 0.9 13.2 834 75.5 51.8 46.9 8.9 28.4 19425 1.7 41.0 4.5 956 10.1 7.2 28.5 2.0 6.6 3,373 강원·제주권 2.1 336

Ⅳ. 1차 유출입(고교⇒대학)현황 부산지역 대학 진학자의 현직장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 이상이 52.7%인데 비하여, 수도권 대학 진학자는 62.4%임 부산지역 대학 진학자의 주업무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 이상이 53.0%인데 비하여, 수도권 대학 진학자는 64.9%임 ⇒ 부산 진학자가 수도권 진학자보다 현직장 및 주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더 낮음 <표 8> 부산지역 고교졸업자의 대학 진학 지역별 취업성과(2/3) (단위: %, 명) 부산 울산 경남 수도권 기타 지역 소계 현 직장 만족도 매우 불만족 0.3 0.0 1.2 91 불만족 4.5 6.1 4.3 5.0 1482 보통 42.5 22.9 32.2 33.3 38.7 12852 만족 48.8 72.0 57.7 47.3 51.8 16212 매우 만족 3.9 5.2 2.8 15.1 1633 주 업무 0.4 145 3.5 4.0 4.1 1.8 1088 43.0 35.9 30.6 36.0 12880 49.3 54.2 52.3 57.5 16588 3.7 4.7 12.6 1573

Ⅳ. 1차 유출입(고교⇒대학)현황 부산 울산 경남 수도권 기타 지역 소계 합계 68.6 1.9 8.9 10.7 9.9 45234 월평균 급여 없음 30.2 21.8 27.0 31.9 22.8 13208 100만미만 3.9 0.0 5.6 4.9 1736 100~200만 38.8 33.6 41.2 23.7 38.6 16846 200~300만 20.9 34.2 24.5 26.5 10001 300~500만 5.1 3.5 17.0 6.8 2895 500만이상 1.1 6.9 1.0 0.5 549 만족도 임금 3.34 3.87 3.25 3.45 3.24 3.35 고용의 안정성 3.50 3.65 3.29 3.76 3.57 3.52 직무내용 3.56 3.70 3.58 3.72 3.60 근무환경 3.54 3.80 3.49 근무시간 3.43 3.68 3.47 3.53 3.46 발전가능성 3.40 3.32 3.64 인간관계 3.63 3.59 3.69 복리후생 3.88 3.41 3.44 3.38 인사체계 3.19 사회적 평판 3.48 3.85 3.51 자율성과 권한 3.75 3.55 부산지역 대학 진학자의 월평균 급여는 200만원 이상이 27.1%인데 비하여, 수도권 대학 진학자는 42.5%임 부산지역 대학 진학자는 수도권 진학자에 비하여 전체적인 직업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남(예: 임금의 경우 부산 3.3 vs. 수도권 3.5) ⇒부산 진학자가 수도권 진학자보다 월평균 급여가 낮을 뿐만 아니라, 만족도도 더 낮음 <표 9> 부산지역 고교졸업자의 대학 진학 지역별 취업성과(3/3) (단위: %, 명)

Ⅴ. 2차 유출입(대학⇒취업)현황 1. 인력 유출입 현황 부산지역 대학 졸업자 중 부산에 취업하는 졸업생의 비중은 63.0%, 울산과 경남 취업비중은 각각 3.5%와 17.1%임. 수도권으로 취업하는 졸업생의 비중은 12.2%에 달함 ⇒ 수도권 및 경남으로 상당수의 졸업생이 유출되고 있음 울산 및 경남지역 대학 졸업자 중 해당 지역으로 취업하는 졸업생의 비중은 각각 64.6%, 73.9%. 수도권으로 취업하는 졸업생 비중은 울산과 경남 각각 6.8%, 9.6% <표 10> 2차 인력 유출입(전문대 및 4년제 대학⇒취업) 현황 (단위: %, 명) 현 직장 소재지 전체 부산 울산 경남 수도권 기타 대학 소재지 63.0 3.5 17.1 12.2 4.2 100.0 13.5 64.6 9.2 6.8 5.9 10.8 2.3 73.9 9.6 0.5 0.4 1.0 93.2 5.0 1.4 1.7 2.0 28.2 66.7 6.7 2.2 6.5 51.1 33.5

Ⅴ. 2차 유출입(대학⇒취업)현황 4년제 대학 졸업자만 살펴보면, 동남권 대학 졸업자 중 해당 지역에 취업하는 졸업생 비중은 부울경 각각 57.8%, 63.6%, 64.9%임. 수도권에 취업하는 졸업생 비중은 16.0%, 13.3%, 13.7%에 달해, 4년제 대학 졸업생의 수도권 유출이 더 심각 <표 11> 2차 인력 유출입(4년제 대학⇒취업) 유출입 현황 (단위: %, 명) 현 직장 소재지 전체 부산 울산 경남 수도권 기타 대학 소재지 빈도 10935 761 3159 3031 1049 18935 % 57.8 4.0 16.7 16.0 5.5 100.0 92 1310 197 274 187 2060 4.5 63.6 9.6 13.3 9.1 1142 90 4769 1005 338 7344 15.6 1.2 64.9 13.7 4.6 481 548 1045 69575 5193 76842 0.6 0.7 1.4 90.5 6.8 1259 1844 2001 33751 59214 98069 1.3 1.9 2.0 34.4 60.4 13909 4553 11171 107636 65981 203250 2.2 53.0 32.5

Ⅴ. 2차 유출입(대학⇒취업)현황 2. 체류 및 유출자 특성 분석 – 부산지역 대학졸업자 대상 부산 취업자 중 대졸이상은 59.9%인데 비하여, 수도권 취업자 중 대졸이상은 85.8%임 ⇒ 고학력자가 수도권으로 더 많이 유출됨 200만원 이상 월급자의 비중이 부산 취업자는 32.4%인데 비하여, 수도권 취업자는 52.5%임⇒ 수도권 취업자가 더 많은 소득을 얻고 있음 <표 12> 부산지역 대학졸업자의 취업 지역별 특성 (단위: %) 부산 울산 경남 수도권 기타 지역 소계 성 남성 48.1 52.2 52.1 50.8 66.4 14487 여성 51.9 47.8 47.9 49.2 33.6 14493 학력 전문대졸 40.1 24.7 36.2 14.2 10044 대졸 59.9 75.3 63.8 85.8 18936 소득 없음 0.6 0.0 0.7 2.1 219 100만미만 5.7 6.7 3.0 1506 100~200만 61.4 54.3 53.8 42.4 35.1 16342 200~300만 25.9 37.0 24.3 42.7 39.1 8290 300~500만 4.6 8.7 14.6 9.8 23.6 2279 500만이상 1.9 344

Ⅴ. 2차 유출입(대학⇒취업)현황 부산 울산 경남 수도권 기타지역 소계 영어성적 (TOEIC 환산점수) 850이상 5.1 21.2 6.3 6.8 18.4 1,934 700~850 7.7 8.8 9.6 14.7 19.3 2,721 600~700 5.2 10.3 6.1 4.6 3.6 1,566 500~600 1.8 3.5 2.3 0.9 0.0 515 500미만 0.7 3.3 202 없음 79.4 53.0 74.9 72.9 58.6 22,043 대학교육 만족도 교육지원시설 3.26 3.32 3.31 3.08 3.44 학생복지시설 3.18 3.38 3.07 3.34 3.21 학생지원제도 3.23 3.30 3.04 3.36 진로상담 3.19 3.24 3.29 2.97 전공 교육과정 3.22 3.28 3.12 3.27 교수진 3.33 3.45 수업방식 및 질 3.48 3.46 3.35 전공 만족수준 3.68 3.49 3.40 3.47 학교 만족수준 3.42 3.63 3.52 3.41 어학 연수 함 12.7 21.9 9.8 22.4 4,051 부산지역 취업자 중 TOEIC 700이상자의 비중은 12.8%인데 비하여, 수도권지역 취업자의 비중은 21.5%임 ⇒ 부산 취업자가 수도권 취업자보다 어학성적이 더 낮음 수도권 지역 취업자가 부산지역 취업자에 비하여 전체적인 대학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남(예: 대학 지원시설의 경우 부산 3.3 vs. 수도권 3.1) ← 이것은 동일한 지역의 대학을 다녔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취업자의 성취동기가 강하여 상대적으로 부산지역 대학에 만족하지 못하는 졸업자의 비중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됨 <표 13> 부산지역 대학졸업자의 취업지역별 대학관련

Ⅴ. 2차 유출입(대학⇒취업)현황 동남권 취업자의 기업 규모는 수도권 취업자의 기업 규모에 비하여 작은 것으로 나타남(예: 1,000명 이상의 경우 부산 20.4%, 울산 21.5%, 경남 26.0%, 수도권 29.1%) <표 14> 부산지역 대학졸업자의 취업지역별 취업성과(1/3) (단위: %, 명) 부산 울산 경남 수도권 기타 지역 소계 직장 규모 1~4 11.6 2.8 7.9 5.8 12.9 2895 5~9 10.6 11.5 8.9 7.1 3.7 2788 10~99 37.1 32.1 34.0 35.0 28.9 10379 100~499 15.7 17.4 9.9 4792 500~999 4.5 0.0 5.9 5.5 9.2 1428 1000이상 20.4 21.5 26.0 29.1 35.5 6698

Ⅴ. 2차 유출입(대학⇒취업)현황 동남권 취업자의 현직장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 이상이 부산 51.8%, 울산 62.3%, 경남 52.2%인데 비하여, 수도권 취업자는 67.3%임 동남권 취업자의 주업무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 이상이 부산 51.5%, 울산 58.7%, 경남 52.6%인데 비하여, 수도권 취업자는 61.0%임 ⇒ 동남권 취업자가 수도권 취업자보다 현직장 및 주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더 낮음 <표 15> 부산지역 대학졸업자의 취업지역별 취업성과(2/3) (단위: %, 명) 부산 울산 경남 수도권 기타 지역 소계 현직장 만족도 매우 불만족 0.3 0.0 0.8 95 불만족 5.3 2.8 2.3 3.0 3.4 1256 보통 42.6 34.9 43.6 39.7 29.0 12047 만족 48.4 59.1 49.5 45.2 59.0 14219 매우 만족 3.2 3.7 12.1 8.5 1364 주업무 0.4 2.1 143 3.9 2.9 7.9 996 44.2 38.6 44.5 36.6 21.3 12219 48.2 55.5 48.8 49.9 66.9 14356 3.3 3.8 11.1 1267

Ⅴ. 2차 유출입(대학⇒취업)현황 부산 울산 경남 수도권 기타 지역 소계 합계 63.0 3.5 17.1 12.1 4.2 28917 월평균 급여 없음 0.6 0.0 0.7 2.1 219 100만미만 5.7 6.7 3.0 1506 100~200만 61.4 54.3 53.8 42.4 35.1 16342 200~300만 25.9 37.0 24.3 42.7 39.1 8290 300~500만 4.6 8.7 14.6 9.8 23.6 2279 500만이상 1.9 344 만족도 임금 3.30 3.63 3.36 3.44 3.72 고용의 안정성 3.47 3.50 3.48 3.70 3.84 3.52 직무내용 3.55 3.67 3.65 3.76 3.60 근무환경 3.62 3.51 3.77 3.93 3.56 근무시간 3.42 3.43 3.54 3.45 발전가능성 3.37 3.46 3.59 3.73 인간관계 3.94 복리후생 3.33 3.53 3.69 3.39 인사체계 3.15 3.24 3.29 3.57 3.21 사회적 평판 자율성과 권한 3.41 3.64 부산지역 취업자의 월평균 급여는 200만원 이상이 32.4%인데 비하여, 수도권 취업자는 52.5%임 부산지역 취업자는 수도권 취업자에 비하여 전체적인 직업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남(예: 임금의 경우 부산 3.3 vs. 수도권 3.4) ⇒ 부산 취업자가 수도권 취업자보다 월평균 급여가 낮을 뿐만 아니라, 만족도도 더 낮음 <표 16> 부산지역 대학졸업자의 취업지역별 취업성과(3/3)

Ⅵ. 인력유출입(고교-대학-취업) 수지 1차(고교⇒대학) 유출입 수지에 의하면, 경남은 부산(-2,052명), 수도권(-2,973명), 기타 지역(-3,775명)에 대해서 적자임. 즉 경남의 고교 졸업자가 부산, 수도권, 기타 지역으로 순유출되고 있음. 다만 울산(110명)에 대해서만 흑자임 ⇒ 동남권 1차 유출입 수지 -20,738명(부산 -4,361명,울산 -5,289명,경남 -11,088명) <표 17> 1차 인력(고교⇒전문대 및 4년제 대학) 유출입 수지 (단위: 명) 대학교 소재지 전체 부산 울산 경남 수도권 기타 고교소재지 544 2,052 -4,306 -2,651 -4,361 -544 -110 -880 -3,755 -5,289 -2,052 110 -2,973 -6,173 -11,088 4,306 880 2,973 -9,893 -1,734 2,651 3,755 6,173 9,893 22,472

Ⅵ. 인력유출입(고교-대학-취업) 수지 2차(대학⇒취업) 유출입 수지에 의하면, 경남은 수도권(-347명)에 대해서는 적자임. 부산(3,069명), 울산(29명), 기타 지역(2,699)에 대해서는 흑자임. 즉, 이 지역 대학 졸업생이 경남으로 순유입되고 있음 ⇒ 동남권 2차 유출입 수지 3,348명(부산 -5,302명,울산 3,200명,경남 5,450명) <표 18> 2차 인력 유출입(전문대 및 4년제 대학 ⇒ 취업) 수지 (단위: 명) 현 직장 소재지 전체 부산 울산 경남 수도권 기타 대학 소재지 -381 -3,069 -2,890 1,038 -5302 381 -29 275 2,573 3200 3,069 29 -347 2,699 5450 2,890 -275 347 39,789 42751 -1,038 -2,573 -2,699 -39,789 -46099

Ⅵ. 인력유출입(고교-대학-취업) 수지 1차와 2차 유출입 수지를 더하면, 고교졸업 이후부터 현 직장까지의 유출입 수지를 구할 수 있음 경남은 수도권(-3,320명) 및 기타 지역(-3,474명)에 대해서는 적자임. 즉 경남지역 ‘고교 졸업생+대학 졸업생’이 이들 지역으로 순유출되고 있음 ⇒ 동남권 1차+2차 유출입 수지는 -17,390명(부산-9,663명,울산-2,089명,경남-5,638명) <표 19> 1·2차 통합 유출입 수지 (단위: 명) 현 직장 소재지 전체 부산 울산 경남 수도권 기타 고교 소재지 163 -1017 -7196 -1613 -9663 -163 -139 -605 -1182 -2089 1017 139 -3320 -3474 -5638 7196 605 3320 29896 41017 1613 1182 3474 -29896 -23627

Ⅵ. 인력유출입(고교-대학-취업) 수지 고교소재지 대학소재지 직장소재지 부 산 부 산 부 산 울 산 울 산 울 산 경 남 부 산 울 산 경 남 수도권 기타지역 68.6 부 산 울 산 경 남 수도권 기타지역 63.0 부 산 울 산 경 남 수도권 기타지역 8.9 1.9 3.5 17.1 9.9 10.7 4.2 12.2 12.1 13.5 37.4 64.6 5.7 9.2 35.1 9.7 5.90 6.8 17.4 1.5 10.8 51.5 2.3 9.6 73.9 3.5 20.0 9.6 0.3 0.1 0.2 0.5 0.4 1.0 78.7 93.2 20.7 5.0 0.1 0.4 1.7 0.9 1.4 2.0 14.8 28.2 83.8 66.7 주: 단위는 % 임

Ⅶ. 결과요약 및 향후 과제 고교 졸업 이후 취업에 이르기까지, 동남권의 많은 인재가 수도권 지역으로 순유출되고 있음 고교 졸업자 중 수도권으로 많은 학생이 유출되고 있으며, 울산과 경남에서는 부산으로 상당수의 학생이 유입 -부산의 상당수 대학 졸업생이 수도권 및 경남으로 유출되고 있음 -1차 및 2차 유출의 결과, 동남권은 -17,390명(부산-9,663명,울산-2,089명,경남-5,638 명)의 인력 유출입 수지 적자를 기록 수도권으로 유출되는 졸업생은 전반적으로 동남권에 체류하는 졸업생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됨 고소득자 및 고학력의 가정에서 수도권 대학에 더 많이 진학을 시키고 있음. 수도권 대 학에 진학하는 고교 졸업생의 어학성적과 취업성과 등이 동남권 대학 진학자보다 전반 적으로 더 우수함 대학졸업자 중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국공립 졸업자가 수도권으로 더 많이 취업함. 수 도권에 취업한 대학 졸업생의 어학성적과 취업성과 등이 동남권에 취업한 대학 졸업자 보다 전반적으로 더 우수함

Ⅶ. 결과요약 및 향후 연구과제 동남권 고교 졸업한 후 수도권 대학에서 졸업한 자의 매우 일부(부산의 경우 8.9%)만 고향에 취업하고 대부분(부산의 경우 81.6%)은 수도권에 취업함 즉 동남권 지역 고교를 졸업한 후 수도권 대학으로 진학하여 졸업한 청년들의 대부분이 고향으로 회귀하지 않고 수도권에 거주함 -그런 점에서 지역 인재를 지역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부터 해당 지역 대학으로 진학하도록 유인하는 정책이 필요함 향후 과제: 지역인재의 유출 방지 방안 마련 -기본 전제 .지방대 출신자에 대한 좋은 일자리 제공 .문화시설을 포함하여 지방에 우수 인재가 정주하도록 하는 종합적 방법으로 접근 -현재 잠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방안(예시) .동남권 우수 인재 양성 및 확보 방안 마련을 위한 부울경 거버넌스 연계 구축 .지방대 졸업생에 대한 공무원, 공공기관, 공기업 채용할당제 실시 .지방국립대를 중심으로 한 획기적인 지방대학 발전전략 실시 등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