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장 오류 검출 및 오류 정정 9.1 오류 종류 9.2 검출 9.3 오류 정정 9.4 요약.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문자코드 1 박 2 일 (4 조 ) 이경도 이준집 이수연 엄태규. 문자코드란 ? 문자나 기호를 컴퓨터로 다루기 위하여, 문자나 기호 하나하나에 할당 시키는 고유의 숫자를 말하는 것이다.
Advertisements

Hamming Code 이근용. 2 Error Control Error Detection Parity Check CRC Check Error Correction Hamming Code.
Prof. Seewhy Lee Presents
16장 X.25 패킷 교환망 16.1 X.25 계층 구조 16.2 패킷 계층 프로토콜 16.3 요약.
6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Communications 제 10 장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
10장 오류 검출과 오류 정정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Ch.07-5 xml-rpc 사용하기 김상엽.
3 장 OSI 기본 참조 모델 OSI : Open System Interconnection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연결리스트(linked list).
제4장 조합논리회로 내용 4.1 조합논리회로 설계 과정 4.2 산술회로 : 가산기(adder)/ 감산기(subtractor)
20장 SONET/SDH 20.1 동기 전송 신호 20.2 물리적인 구성 20.3 SONET 계층 20.4 SONET 프레임
18장 SONET/SDH 18.1 동기 전송 신호 18.2 물리적 구성 18.3 SONET 계층 18.4 SONET 프레임
24 장 TCP/IP 24.1 개요 24.2 네트워크층 24.3 주소 지정 24.4 서브넷팅틍
Chapter 11 Data Link Control.
Chapter 5 링크 계층.
제 17 장 TCP : 전송 제어 프로토콜 정보통신연구실.
Data Communications 제 10 장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
07 그룹 함수 그룹 함수의 개념 그룹 함수의 종류 데이터 그룹 생성 HAVING 절.
11 장 LAN 기본 개념과 Ethernet LAN
23 장 OSI 상위계층 23.1 세션(session)층 23.2 표현(presentation)층
2장. 데이터의 표현 Lecture #2.
4. 디지털 코드 디지털 코드의 종류와 의미를 알고, 이를 표현할 수 있다. BCD 코드로 표현한 자료끼리 연산할 수 있다.
11장. 포인터 01_ 포인터의 기본 02_ 포인터와 Const.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10 장 오류 검출 및 수정 10.1 오류 종류 10.2 검출 10.3 오류 정정 10.4 요약.
제 19 장 TFTP 19.1 메시지 19.2 연결 19.3 데이터 전송 19.4 UTP 포트 19.5 TFTP 예제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Chapter 03 디지털 코드.
컴퓨터의 코드 시스템.
11장. 1차원 배열.
17장 X.25 패킷 교환망 17.1 X.25 계층 17.2 X.25와 관련된 기타 프로토콜 17.3 요약.
어서와 C언어는 처음이지 제14장.
U D P 전공 : 정보보호 학번 : 이름 : 배 지 태.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TFTP)
27장. 모듈화 프로그래밍.
3장. LAN (Local Area Network)
22 장 전송층(Transport Layer)
21 장 전송층(Transport Layer)
6 데이터 링크 계층 학습 목표 오류 제어, 흐름 제어의 원리와 동작 방식을 이해한다.
논리회로 설계 및 실험 5주차.
9 TCP의 이해 학습 목표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 제공하는 기능을 이해한다.
Chapter 01. OSI 계층 모델.
2장. 변수와 타입.
Young-Tae Han 오류 검출과 오류 정정 Young-Tae Han
1차시: 낮과 밤이 생기는 원리 지구과학
Choi Seong Yun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초 #06 : 반복문 Choi Seong Yun
20 장 네트워킹과 인터네트워킹 장치 20.1 리피터(Repeaters) 20.2 브리지(Bridges)
1. 2진 시스템.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2 네트워크 모델 학습 목표 모듈 개념을 알아보고 계층 구조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6.2.3 OSI 계층화의 개념 학습내용 (N) 접속(connection) 데이터단위(Data Unit)
3 디지털 코드.
계산기.
Chapter 26 IP over ATM.
4장. 데이터 표현 방식의 이해. 4장. 데이터 표현 방식의 이해 4-1 컴퓨터의 데이터 표현 진법에 대한 이해 n 진수 표현 방식 : n개의 문자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표현 그림 4-1.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SPL3D Printer If 조건문.
시리얼 UART 정리 정보통신•컴퓨터 공학부 송명규
제10강 PC정비사 1급(필기) Lee Hoon Copyright(c) 2008 LeeHoon All rights reserved.
10장 오류 검출과 오류 교정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제 4 장 Record.
4. IP 데이터그램과 라우팅 (6장. 인터넷과 IP) IP 데이터그램 : 특정 물리망에 종속되지 않은 가상의 패킷 형식.
교량 구조물의 개념 설계 및 프로토타입 제작 과정
Computer System Architecture
Network Lab. Young-Chul Hwang
컴퓨터는 어떻게 덧셈, 뺄셈을 할까? 2011년 10월 5일 정동욱.
6 객체.
Presentation transcript:

9 장 오류 검출 및 오류 정정 9.1 오류 종류 9.2 검출 9.3 오류 정정 9.4 요약

오류 검출 및 오류 정정 데이터는 전송 중에 손상될 수 있다.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을 위해서 오류를 검출, 수정해야 한다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층 또는 전송 층에서 수행

9.1 오류의 종류

오류의 종류(계속) 단일-비트 에러(Single-Bit Error) 데이터 부분의 한 비트만 변경 (예 : ASCII STX - ASCII LF)

오류의 종류(계속) 다중-비트 에러(Multiple-Bit Error) 데이터 부분의 2개 또는 그 이상의 비연속적인 비트가 변경(예 : ASCII B - ASCII LF)

오류의 종류(계속) 집단 오류(Burst Error) 데이터 부분의 2개 또는 그 이상의 연속적인 비트가 변경

9.2 검출 오류 검출은 목적지에서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서 여분의 비트를 추가하는 중복(잉여) 개념을 이용

검출(계속) 중복(redundancy)

검출(계속) 검출 방법 VRC(Vertical Redundancy Check) LRC(Longitudinal Redundancy) CRC(Cyclical redundancy Check) Checksum

검출(계속) VRC(Vertical Redundancy Check) 각 데이터 단위에 패리티 비트가 추가되는데, 이 패리티 비트는 전체 데이터 단위에서 1의 개수가 홀수 또는 짝수가 되게 한다

검출(계속) 짝수 패리티 VRC(Vertical Redundancy Check)

검출(계속) LRC(Longitudinal Redundancy) 모든 바이트의 짝수 패리티를 모아서 데이터 단위로 만들어서 데이터 블럭의 맨 뒤에 추가

검출(계속) 순환 중복 검사(CRC: Cyclic Redundancy Check) 2진 나눗셈을 이용

검출(계속) CRC 발생기 모듈러-2 나눗셈을 이용 2진 나눗셈

검출(계속) 다항식 CRC 발생기는 1과 0의 스트링 보다는 대수식으로 표현

검출(계속) 하나의 다항식은 하나의 젯수를 표현

검출(계속) 표준 다항식

검출(계속) 검사합(Checksum)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서 사용 중복(VRC, LRC, CRC ….)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

검출(계속) 검사합(Checksum) 생성기

검출(계속) 검사합을 생성하기 위해 송신자는 다음을 수행한다 단위를 길이가 n 비트인 K 섹션으로 나눈다 섹션 1과 2를 1의 보수를 이용하여 더한다 앞의 결과를 섹션 3과 더한다 앞의 결과를 섹션 4와 더한다 이 과정을 섹션 K까지 반복한다 최종 결과는 검사합을 만들기 위해 보수를 취한다

검출(계속) 데이터 단위와 검사합

9.3 오류 정정 두 가지 방법으로 처리한다 수신자가 송신자에게 전체 데이터 재전송 요구 수신자가 오류 교정 코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행

오류 정정(계속) 단일 비트 오류 교정 패리티 비트 오류 교정의 비밀은 잘못된 비트의 위치를 알아내는 것 ASCII 코드는 3-비트 잉여코드가 필요하다(000-111) 7비트-8가지 경우

오류 정정(계속) 중복 비트 주어진 데이터 비트의 수(m)를 정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중복비트 수(r)을 계산하기 위해 m과 r의 관계를 알아야 한다

오류 정정(계속) 전송할 수 있는 비트의 전체 수가 m + r이면 r은 적어도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2r  m + r + 1 예) 7 비트(ASCII) m에 대해 가장 적은 r의 값은 4이다24  7 + 4 + 1

Number of Redundancy Bits 오류 정정(계속) 데이터와 중복 비트간의 관계 Number of Data Bits (m) Number of Redundancy Bits (r) Total Bits (m+r) 1 2 3 4 5 6 7 2 3 4 3 5 6 7 9 10 11

오류 정정(계속) 해밍 코드 R.W. Hamming에 의해 개발 Hamming 코드에서 중복 비트의 위치

오류 정정(계속) 각 비트는 데이터 비트의 조합을 위한 VRC 비트이다 r1 = bits 1, 3, 5, 7, 9, 11

오류 정정(계속) 중복 비트 계산

오류 정정(계속) 값 계산 1이 들어간 비트 11번째 비트:1011 7번째 비트: 0111 6번째 비트: 0110 7번째 비트: 0111 6번째 비트: 0110 3번째 비트: 0011 1001

오류 정정(계속) 오류 발견과 교정

오류 정정(계속) Hamming 코드를 이용한 오류발견

오류 정정(계속) 다중-비트 오류 교정 데이터 비트의 집합을 중복하여 계산되는 중복 비트는 다중 비트 오류를 정정하는 데로 사용할 수 있다

9.4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