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영훈1), 한향선1),2), 이훈열1) 1)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2) 울산과학기술대학교 도시환경공학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목성에 대해서 서동우 박민수. 목성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지구의 약 11 배 크기이며, 지름이 약 14 만 3,000km 이다.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Advertisements

출석수업 과제 – 총 5문제, 10월 25일 제출 정보통계학과 장영재 교수.
재료수치해석 HW # 박재혁.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Kompsat-1 EOC 영상을 이용한 남극의 SSM/I와 AMSR-E 해빙 면적비 비교 분석
작도에 대하여 조사자 : 이준호 담당선생님 : 박문열 선생님.
물리 현상으로 본 지구 - 지구물리학 년 2학기 일반지구과학및실험 II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이훈열 교수
의사 결정 트리(decision tree)
북극과 남극의 SSM/I Sea Ice Concentration과 Kompsat-1 EOC 영상의 비교
Terra MODIS를 이용한 Landsat 해수면 온도 보정
3일차 - 가설검정.
“주파수가 인덕턴스에 미치는 영향”실험에 관련하여 실험결과가 다르게 나온 이유?
원자 스펙트럼 1조 서우석 김도현 김종태.
공차 및 끼워맞춤.
수치해석 6장 예제문제 환경공학과 천대길.
부산대학교 복합원격탐사 실험실 저고도 원격탐사를 이용한 해양 환경 관측
1-1 일과 일률.
10장 랜덤 디지털 신호처리 1.
컴퓨터 계측 및 실습 D/A-converter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이훈열 참고: PG Steamer User’s Guide
Fluorescence Correlation Spectroscopy
컴퓨터 계측 및 실습 D/A-converter
602 LAB FDTD 를 이용한 Acoustic Simulation 지도: 이형원 교수님 차진형.
대기굴절률을 이용한 Arc-SAR 시스템의 위상보정
99mTc-DMSA신장검사에서 ROI 설정 방법에 따른 정량분석 차이에 관한 연구
물리 현상으로 본 지구 - 지구물리학 - 교재 관련부분: 2장, 9장, 11장, 16장, 17장, 21장 등.
Progress Seminar 선석규.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무게중심으로 최적의 안정적인 팽이를 찾아라 03김동균, 04김문성, 09박 홍, 10서영우.
실험4. 키르히호프의 법칙 실험5. 전압분배회로 실험6. 전지의 내부저항
10강. JSP 본격적으로 살펴보기-II 스크립트릿, 선언, 표현식 지시자 주석 Lecturer Kim Myoung-Ho
JA A V W. 03.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MCL을 이용한 이동로봇 위치추정의 구현 ( Mobile robot localization using monte carlo localization ) 한양대학교 전자전기전공 이용학.
원격탐사의 활용 - Mapping -.
극지해양학 발표논문 Antarctic circumpolar current's role in the Antarctic ice system: An overview 이 종석.
고체역학 2 - 기말고사 1. 단면이 정사각형이고 한번의 길이가 a 일 때, 최대굽힘응력과 최대전단응력의 비를 구하라(10).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CAD 실습 2013년 2학기.
태풍과 토네이도 물리현상의 원리 제5조.
18강. 인터페이스 – II - 인터페이스와 다중상속 - 인터페이스를 통한 로봇 장남감 만들기 프로그래밍
QR Code 김정민 김준보.
4.4-3 대기 대순환 학습목표 1. 대기 대순환의 원인과 순환세포를 설명할 수 있다.
중2 사회 Ⅴ.자연재해와 인간생활.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효과적인 미디어 트랜스코딩 부하분산 정책
종이비행기가 잘 날기 위한 조건 만든이:김윤성.
물리 현상의 원리 TIME MACHINE.
매물개요 엘림공인중개사 토지현황 상세설명 구분 내 용 소재지 광주시 퇴촌면 오리 136외4 대지면적 건축면적 용도지역 주용도
4장. 데이터 표현 방식의 이해. 4장. 데이터 표현 방식의 이해 4-1 컴퓨터의 데이터 표현 진법에 대한 이해 n 진수 표현 방식 : n개의 문자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표현 그림 4-1.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덴마크의 Herrzsprung과 Russell에 의해 고안된 태양 부근 별들의 표면온도와 절대등급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별들이 몇개의 무리로 분류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후에 이것이 그들의 이름자를 딴 H-R도가 되었으며, 별의 분류와 그 특징을 알아보는 중요한.
사회 1학년 2학기 4. 북부 지방의 생활>1. 대륙의 관문(3/9) 춥고 비가 적은 기후.
ㆍ풍량 계산 1. 덕트내 반송속도 : 15~19m/s 2. 단면적 : (π×0.075²)÷4 = ㎡
서론 연구지역 및 연구자료 연구방법 연구결과 및 토의 결론 정착빙과 유빙 분류 정착빙 면적 추출 정착빙 검출
3-2. 지구의 크기.
시계열적 Landsat 영상에 의한 호수의 표면수온과 계절적 수직 온도구배 현상 분석
3-7. 별의 밝기와 등급(1).
MotionSolve Contact 해석을 위해 Mesh를 조밀하게 짜서 해석하였지만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상관계수.
Ice Flow of the Antarctic Ice Sheet
통계학 R을 이용한 분석 제 2 장 자료의 정리.
정삼각형을 정사각형으로 바꾸는 원리 탐구 하귀초등학교 6학년 고지상.
GB-SAR의 간섭기법을 이용한 산란체 변위 및 고도 측정
워드프로세서 실기 10일차 강 사 : 박영민.
8장 표면거칠기 1. 표면 거칠기의 종류 - KS의 가공 표면의 거칠기(요철현상)를 지시하는 방법 최대높이 거 칠기(Ry), 10점 평균 거칠기(Rz), 산술(중심선) 평균 거칠기(Ra), 요철의 평균 간격(Sm), 국부 산봉우리의 평균 간격(S), 부하 길이 율(tp)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전류의 세기와 거리에 따른 도선 주변 자기장 세기 변화에 대한 실험적 고찰
Power Point 예제 디자인 적용 (서식) - (디자인적용) - (원하는 디자인 선택)
문제의 답안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Presentation transcript:

지영훈1), 한향선1),2), 이훈열1) 1)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2) 울산과학기술대학교 도시환경공학부 시계열적 COSMO-SkyMed one-day tandem 간섭영상을 이용한 동남극 Terra Nova Bay 주변의 지표 특성 분석 지영훈1), 한향선1),2), 이훈열1) 1)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2) 울산과학기술대학교 도시환경공학부 제목과 자기소개

발표 순서 서론 연구지역 및 자료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 순서 설명

서 론 극지방의 지표특성은 전 지구적 기후 및 환경변화의 지시자 역할을 하므로 매우 정밀하게 분석되어야 함 SAR 영상은 태양고도와 기상조건에 관계없이 고품질의 지표정보를 제공 특히 Interferometric SAR (InSAR)는 정밀한 지표변위와 지형고도 정보를 제공하여 지표면의 물리적 특성 분석에 유용함 그러나 단일 InSAR 영상에서는 미세한 지표변위를 분석하는데 제한적 이 연구에서는 시계열적으로 획득된 13 개의 COSMO-SkyMed one-day tandem InSAR 영상을 이용하여 Terra Nova Bay 주변지역의 지표특성을 분석하였음 극지의 지표특성은 전 지구적 기후 및 환경변화의 지시자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매우 정밀하게 분석되어야 합니다. 특히 InSAR 기술은 태양고도와 대기조건과 관계 없이 지표변위와 지형고도를 정밀하게 측정 가능하기 때문에 극지의 지표특성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시간적 기선거리가 작은 InSAR 영상은 시간에 따른 변화가 큰 대상체, 예를 들어 빠르게 유동하는 빙하나 지진과 같은 급작스런 지표변위 등에 대하여 분석하기에 용이합니다.

연구지역 및 자료 지표특성 분석은 적색 사각형 지역에서 수행되었음 적색 사각형 지역에는 산악지역, 분지지역 그리고 빙하지역 등이 포함 2010년 12월 부터 2012년 1월 사이에 총 13개의 COSMO-SkyMed one-day tandem InSAR 영상을 사용 Campbell Glacier Priestly Glacier Jangbogo Station Zucchelli Station 이 영상은 연구지역인 테라노바베이의 SAR영상입니다. 테라노바베이는 빠르게 유동하고있는 프리슬리 빙하와 캠벨 빙하가 있으며, 장보고기지와 주캘리 기지가 위치해있습니다. 지표특성 분석은 그림의 적색 사각형 지역에서 수행되었으며, 이 지역에는 빙하와 분지, 산악 지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2010년 12월 25일부터 2012년 1월 14일 사이에 총 13개의 InSAR 영상을 사용하였습니다. 모든 영상의 시간적 기선거리는 1일 입니다. 2011년 3월 31일에 촬영된 SAR 영상

연구방법 1 2 3 4 5 시계열적 one-day InSAR 영상을 제작 각각의 InSAR pair에 대한 긴밀도 지도를 제작 절대위상복원(Unwrapping)을 수행한 InSAR 영상에서 지형고도 지도를 제작 시계열적으로 측정된 지형고도를 평균해서 표준편차 지도를 제작 1 2 좌측은 실제 자료처리순서를 나타낸 도표입니다. 먼저 원본데이터를 획득 한 후 co-registration을 이용하여 영상의 궤도오차에 따른 위치오차를 보정합니다. 그 후 시계열적 InSAR 영상을 제작하였고, 긴밀도 지도를 제작하였습니다. 절대위상복원을 한 후 지형고도 지도를 제작하였고 시계열적 지형고도 지도를 평균하여 표준편차 지도를 제작하였습니다. 이렇게 제작된 영상과 지도들을 비교, 분석하고 지표특성에 따라서 산악지역, 빙하지역, 분지지역 으로 구분하였습니다. 3 4 5

빙하지역인 A, B 지점에서 지형고도의 오차가 큼 연구방법 Range Azimuth 왼쪽 그림은 COSMO-SkyMed 로 촬영된 연구지역의 SAR영상입니다. 지표특성의 분석은 레인지-에지머스 좌표로 수행되었습니다. 오른쪽 그림은 왼쪽 영상에서 노란색 선 부분에서의 시계열적 지표고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입니다. 가로축은 에지머스 방향의 거리, 세로축은 높이입니다. 그림에서 A 부분은 부메랑 빙하 지역이고, B 부분은 프리슬리 빙하 부분입니다. 빙하 부분에서 큰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시계열적 고도변화 그레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빙하지역인 A, B 지점에서 지형고도의 오차가 큼

연구방법 시계열적 지형고도 지도 표준편차 지도 Calculate STD 시계열적 지형고도 지도 표준편차 지도 표준편차 지도를 이용하면 단일 InSAR 영상에서는 감지 불가능했던 미세한 변화까지 분석 가능

연구결과 InSAR 영상에서 분지지역은 한 개 미만의 간섭띠가 나타나 해석이 어려움 Range Basin area meter Degree Azimuth InSAR 영상에서 분지지역은 한 개 미만의 간섭띠가 나타나 해석이 어려움 산악지역과 빙하지역, 분지지역의 긴밀도는 0.4~0.6으로 큰 차이가 없음 지형고도 지도에서 Priestly 빙하는 큰 음의 고도값으로 나타나지만 Boomerang 빙하에서는 오차로 나타나지 않음 단일 InSAR 영상만으로는 지표특성을 정확하게 분류할 수 없음 Mountain area Boomerang Glacier 먼저 단일 InSAR 영상으로 지표특성을 분류하고자 하였습니다. InSAR 영상에서 나타나는 간섭띠가 산악지역의 지표고도변화나 빙하의 변위 등과 같은 지표특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만 분지지역의 경우는 간섭띠가 나타나지 않아 지표특성을 분류하기에는 제한적이었습니다. 또한 긴밀도 지도에서도 산악지역과 빙하지역, 분지지역의 긴밀도가 서로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InSAR에서 제작되는 지형고도 지도의 경우지표고도를 정밀하게 알려주어 지형적인 구별이 가능했습니다. 또한 프리슬리 빙하에서 매우 작은 음의 값으로 인해 지형고도에 오차가 존재하며, 이는 빙하의 움직임에 의한 것임을 알았습니다. 하지만 부메랑빙하의 경우는 단일 지형고도 지도에서는 오차로 판단되지 않는 지형고도 값이 나타나 한계점을 보였습니다. Mountain area Priestly Glacier

연구결과 산악지역의 표준편차는 1~16 m, 빙하지역의 표준편차 값은 60 m 이상의 값을 가짐 Range Azimuth 산악지역의 표준편차는 1~16 m, 빙하지역의 표준편차 값은 60 m 이상의 값을 가짐 분지지역의 표준편차 값은 약 30 m로 산악지역, 빙하지역과는 다른 값을 보임 눈으로 피복된 분지지역에 기상효과에 의해 snow cover의 미세한 표면변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 Degree meter 그러나 표준편차 지도에서는 단일 SAR 영상으로는 분석하지 못했던 지표특성들을 분석할 수 있다. 표준편차 지도에서 산악지역의 표준편차는 1~16 미터, 빙하지역의 표준편차 값은 60 미터 이상으로 명확한 차이를 보여줍니다. 또한 계곡에 위치해있던 부메랑 빙하 외에도 작은 빙하들의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분지지역의 표준편차 값은 약 30 미터로 산악지역과 빙하지역의 사이값을 보여줍니다. 이는 눈으로 피복된 분지지역에서 적설이나 바람 및 기온의 변화 등의 기상효과로 인해 미세한 표면변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결 론 동남극 Terra Nova Bay 주변 지역에 대해 시계열적으로 획득된 COSMO-SkyMed one-day tandem InSAR 영상을 이용하여 지표특성을 분석함 단일 InSAR 영상을 이용한 지표특성 분석은 여러 가지 한계점을 나타냈음 시계열적 InSAR 자료로부터 제작된 표준편차 지도를 이용한 지표특성 분석은 매우 효과적, 단일 InSAR 영상에서 나타나는 한계점을 보완해 줄 것으로 기대됨 향후 표준편차 값에서 정량적인 변위를 계산하는 연구가 필요함 결론입니다. 이 연구에서는 동남극 테라노바베이 주변지역에 대해 시계열적으로 획득된 코스모 스카이메드 원데이 인사 영상을 이용하여 지표특성을 분석하였습니다. 시계열적 인사 자료로부터 제작된 표준편차 지도를 이용한 지표특성 분석은 매우 효과적이였으며 단일 인사 영상에서 나타나는 한계점을 보완해 줄 것으로 기대되었습니다. 향후 표준편차 지도에서 정량적인 변위를 계산하는 연구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