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8 PROJECT SCHEDULING.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 전기회로의 기초 기초전자회로 PPT. ○ 생체의공학과 송지훈 35%
Advertisements

WEEK 1 DAY 1 COURSE INTRODUCTION
프로젝트관리.
Copyright © 2012 Pearson Education, Inc. Publishing as Prentice Hall
운동화 전문 매장 관리 시스템 - 시스템 개발 계획안 - 소프트웨어공학 4조 ‘04 조수민 ‘04 이준희 ‘04 최재원
Chapter 9. 컴퓨터설계기초 9-1 머리말 9-2 데이터 처리장치 (Datapath)
Chapter 2 정보시스템 아키텍처 (IS Architecture)
Sequence Control -Introduction-
프로젝트 관리.
Sources of the Magnetic Field
Chapter 7 ARP and RARP.
Evaluation of Green roofs from the Water-Energy-Food Nexus perspective
제11장 공정관리와 프로젝트 관리 마스터 제목 스타일 편집 공업경영과 경제 마스터 텍스트 스타일을 편집합니다 둘째 수준
Internet Computing KUT Youn-Hee Han
Internet Protocol Version4
Chapter 3 데이터와 신호 (Data and Signals).
SAP QUERY SAP R/3 4.6C.
Chapter 6. 프로젝트 시간관리 (Project Time Management)
1. 회사 소개 인사말 재무 계획 3 예상 소요 비용 인력 운용 계획 예상 매출 예상 손익계산서 수익성 분석 자금 조달 계획.
English Communication 2
프로젝트 계획과 관리 1.
소프트웨어 공학 (Software Engineering)
민 · 군 합동조사단 C I V – M I L J I G.
EARNED VALUE MANAGEMENT
건설관리학 강의슬라이드 6장. 원가관리.
Chapter 2 OSI 모델과 TCP/IP 프로토콜.
EVMS운용기법.
On the computation of multidimensional Aggregates
제 4 장 팀 행동과 도구.
Chapter 8 교환 (Switching).
Chapter 8 교환 (Switching).
Ch. 5 : Analog Transmission
제 5장. Context-Free Languages
Carlos Guimar˜aes1, Daniel Corujo2, Rui L. Aguiar3
Dynamic Programming.
좋은 공학논문 작성을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Chapter 2. Finite Automata Exercises
숭실대학교 마이닝연구실 김완섭 2009년 2월 8일 아이디어  - 상관분석에 대한 연구
강관말뚝 기둥 일체형 교각 개발 한 희 수 교 수.
6 주차 건설금융 및 공정관리.
CHAPTER 6 그래프.
스케줄링 (Scheduling) 시스템 내부시간(time in the system): 스케줄링 문제
제4장 프로젝트관리모형 (PERT/CPM) 네트워크 작성과 주공정 분석 자원배정계획 PERT에서의 확률분석
Lecture #2 공정계획 및 관리.
Introduction to Programming Language
공정표 작성 이 승 현, Ph. D. 공정관리.
배수공법 6조 김은아 김해김씨 목경파 박성진 무안박씨 노성파
XML-II (eXtensible Markup Language) DTD/DOM
Bio의 시대 조동성 국립 인천대학교 총장.
Chapter 13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Outline 13.1 소프트웨어의 재사용과 독립성
IBM Corporation {haoxing, eleve, kravets,
스케줄링 (Scheduling) 시스템 내부시간(time in the system): 스케줄링 문제
창 병 모 숙명여대 전산학과 자바 언어를 위한 CFA 창 병 모 숙명여대 전산학과
1. 관계 데이터 모델 (1) 관계 데이터 모델 정의 ① 논리적인 데이터 모델에서 데이터간의 관계를 기본키(primary key) 와 이를 참조하는 외래키(foreign key)로 표현하는 데이터 모델 ② 개체 집합에 대한 속성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개체를 테이블(table)
이산수학(Discrete Mathematics)
CHAPTER 18 COST CONTROL.
The R&D Boundaries of the Firm: An Empirical Analysis
Bizforms PowerPoint 파워포인트배경(혼합도시배경,건설업) 원본 PPT 바로가기 >
CHAPTER 17 ESTIMATING PROCESS.
CHAPTER 7 PROJECT PLANNING.
RESOURCE-RELATED AND ADVANCED LINEAR SCHEDULING TECHNIQUES
PMBOK 9개 지식 영역 프로세스 요약 통합 범위 일정 원가 품질 인적자원 의사소통 위험 조달
CHAPTER 9 SCHEDULING: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CHAPTER 12 PROJECT CASH FLOW.
Peer-to-Peer SIP Network Using Distributed Hash Table
[CPA340] Algorithms and Practice Youn-Hee Han
제 8 장 프로젝트 일정계획.
Chapter 2. Coulomb’s Law & Electric Field Intensity
Chapter 4. Energy and Potential
Chapter 7: Deadlocks.
Presentation transcript:

CHAPTER 8 PROJECT SCHEDULING

8.1 Introduction A project’s work breakdown structure (WBS) defines work packages that can be sequenced (scheduled) to coordinate the project construction.작업 분류 체계  작업 순서 결정 A project schedule is developed in the following order: Breaking down the scope of the work into manageable portions, namely its activities. 관리 가능한 크기인 액티비티 단위로 분해 Estimating each activity’s duration. 액티비티 공기 결정 Establishing sequence relationships among activities. 액티비티 간 선후행관계 정의 Finding the earliest and latest possible times for the execution of each activity. 가능한 한 가장 빠른/느린 작업 시작/종료 시간 계산 Calculating the project’s critical sequence of activities and the leeway (여유가 있는 액티비티) that activities not included in this sequence can have. 주/부공정 결정 Reviewing, optimizing, communicating, updating, and in general, using the schedule. 일정계획 검토 및 수정보완  최적화

8.2 Estimating Activity Durations The duration of any activity is largely determined by: 액티비티 공기 결정 요인 The nature of the work that the activity entails. A concrete pour in the 50th floor vs. 2nd floor. 액티비티의 속성. 50층 vs 2층 콘크리트 공사 The quantities of the work. 6,000 square feet of formwork vs. 3,000 square feet. 작업의 양 The technique used for the task. A concrete pour using a tower and buggies (수레를 끌어서) vs. concrete pump. 사용 기술 The resources used to perform the work. Twenty masons (석공) vs. 15 masons. 사용 자재(자원) The working hours for the resources. 10-hour shifts vs. 8-hour shifts. 근무시간 부하 균형화: 토공장비 1대의 작업량을 트럭 5대가 커버한다면, 트럭의 대수를 7대로 늘려도 생산용량 향상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음.

8.3 Using Historic Productivity Data Productivity data can be obtained in publications such as R. S. Means Building Construction Costs. 일감 : 6,000 SFCA(Square Feet of Contact Area) 3개의 거푸집을 사용하는 경우 하루 작업량 : 470 SFCA/인일 인부 1명 고용 시 공기 : 6,000 / 470 = 12.76일 인부 2명 고용 시 공기 : 12.76일 /2 = 6.39일  7일 예측 오차는 서로 상쇄되는 경향이 있음 FIGURE 8.1 Productivity data

8.3 Using Historic Productivity Data 일위대가: 특정 공종에 대한 단가 산출 근거 호 표 품 명 규 격 수 량 단위 합 계 재료비 노무비 경 비 비 고 단 가 금 액 제1호표 합판거푸집 1회(제물치장) ㎡ 85,129 26,215 58,914 1회재료비 1 24,641 24,641. 0. 일위7참조 소모자재(박리재등) 주재료비의 4 % 985.6 형틀목공 0.23 인 189,303 43,539.6 보통인부 0.14 109,819 15,374.6 공구손료 및 경장비의 기계경비 노무비의 589.1 품셈제도 : 품셈, 자재단가(19,345품목), 노임단가(307품목), 기계경비(968품목)  단가산출(1,182품목)  일위대가(1,113호표) 품셈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재단가 가격정보 : 2018년 2월조사(조달청 나라장터) 물가자료 : 2018년 2월호(사단법인 한국물가협회) 유통물가 : 2018년 2월호(사단법인 한국응용통계연구원) 물가정보 : 2018년 2월호(사단법인 한국물가정보) 거래가격 : 2018년 2월호(대한건설협회) 노임단가 건설업 노임 : 대한건설협회 제조업 노임 : 중소기업중앙회 엔지니어링기술자 노임 : 한국엔지니어링협회 측량기술자 노임 : 공간정보산업협회 건설사업관리기술자 노임 : 한국건설기술관리협회 소프트웨어기술자 노임 :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기계경비: 환율, 휘발유 가격, 경유 가격, 중유 가격 표준시장단가제도(2,759품목) 토목, 건축, 기계설비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어항 및 항만공사 : 한국항만협회

FIGURE 8.2 Bar chart model: (a) plan focus; (b) work focus 8.4 Bar Charts Time scaled bar, the bar chart acts both as a planning–scheduling model and as a reporting–control model. The length of the bar has two different meanings: The planned duration of the work item & The percentage complete. 계획 공기 준공률 FIGURE 8.2 Bar chart model: (a) plan focus; (b) work focus

8.4 Bar Charts By using different shading patterns, the bar chart can indicate monthly progress toward physical completion of the activities. 2nd Month 3rd Month 진도 느림 진도 적절 진도 느림 FIGURE 8.3 Bar chart project model: (a) bar chart schedule (plan focus); (b) Bar chart updating

8.4 Bar Charts Establishing the exact sequence between activities: using directional links or arrows connecting the bars: Bar-net. 화살표를 이용하여 선후행관계를 명확하게 표시 FIGURE 8.4 Preliminary connected bar chart schedule for small gas station

8.5 Scheduling Logic Consider a simple pier (부두) made up of two lines of piles with connecting headers and simply supported deck slabs. An exploded view of the pier shows each physical component individually separated. 부두 = 파일(6개) + 헤더(3개) + 상판(2개) FIGURE 8.5 Simple schematic model (Antill and Woodhead, 1982): (a) schematic view of pier; (b) exploded view of pier

FIGURE 8.6 Conceptual model of pier components 8.5 Scheduling Logic Now suppose that each component or element is represented by a labeled circle (or node). 파일, 헤더, 상판 등 각 부위를 원으로 표시 Figure 8.6 gives a plan view of the pier components shown in Figure 8.5. DS1 DS2 FIGURE 8.6 Conceptual model of pier components

8.5 Scheduling Logic Graph structure portraying the physical component adjacency or contact (인접 또는 접해 있는) nature of the pier. Not in contact, a directional arrow such as that shown in Figure 8.7(c) may be necessary. 화살표 : 선후행관계 표시 : 파일  헤더 FIGURE 8.7 Logical modeling rationales: (a) adjacency (인접) of contact modeling; (b) physical structure order modeling; (c) physical construction order modeling

8.5 Scheduling Logic Adjacency or contact (인접 또는 접해 있는) nature of the pier. Header 1 (H1) can only appear (i.e., be built) after piles 1 and 2 (i.e., P1, P2) appear; in fact, H1 is built around, on top of, and therefore in contact with P1 and P2. 화살표 : 선후행관계 표시 : 파일  헤더  상판 FIGURE 8.8 Conceptual model of pier component relationships

8.5 Scheduling Logic Not in contact, a directional arrow 왼쪽 작업 후 오른쪽을 작업 왼쪽, 오른쪽을 번갈아 작업 P2: 두 번 작업 (재작업) 파일 간 작업 순서 미표시 FIGURE 8.9 Construction sequence and activity modeling (Antill and Woodhead,1982): (a) alternate row pile driving; (b) sequential row pile driving; (c) field mishap alteration to pile-driving sequence; (d) bar chart model of pile-driving operation

FIGURE 8.10 Precedence notation scheduling network 8.6 Scheduling Networks A scheduling network consists of nodes and links, in which the nodes represent activities and each link indicates the two activities are related in their mutual sequencing: Activity On Node (AON) diagrams, precedence diagrams. 이름 공기 Node Link Activity FIGURE 8.10 Precedence notation scheduling network

8.7 The Critical Path Method The critical path method (CPM) is widely used for project scheduling including for projects not related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CPM was developed in the late 1950s by James Kelley and Morgan Walker (DuPont Corporation). Specifically, the objectives of analyzing a project network are to: 분석 목적 Find the set of critical activities that establishes the longest path and defines the minimum duration of the project. 가장 긴 공기를 갖는 주공정 파악  프로젝트 공기 산정 Calculate the Earliest Start Times (EST) for each activity. 작업을 가장 빨리 시작할 수 있는 시작 시간 파악 Calculate the Latest Start Times (LST) for each activity. 작업을 가장 늦게 시작할 수 있는 시작 시간 파악 Calculate the float or time available for delay for each activity. 작업 별 여유 시간 파악

FIGURE 8.11 Calculation of EST(J) 8.8 Forward Pass 가장 빠른 시작 시간 가장 빠른 종료 시간 EST + 공기 = EFT Calculate the earliest start times (earliest finish times; EFT) for each activity. 선행 작업의 가장 빠른 종료 시간들 중 최대치 EFT = EST + Duration 이름 공기 FIGURE 8.11 Calculation of EST(J)

FIGURE 8.12 Calculation of EST and EFT 8.8 Forward Pass 가장 빠른 시작 시간 가장 빠른 종료 시간 2 MAX{12, 9} MAX{6, 7} FIGURE 8.12 Calculation of EST and EFT

FIGURE 8.13 Calculation of LFT(I) 8.9 Backward Pass LST = LFT - 공기 Calculate the latest start times (latest finish times; LFT) for each activity. 후행 작업의 가장 늦은 시작 시간들 중 최소치 LST = LFT - Duration LFT 가장 늦은 시작 시간 가장 늦은 종료 시간 23 FIGURE 8.13 Calculation of LFT(I)

FIGURE 8.14 EST, EFT, LST, LFT results 8.9 Backward Pass Min{6, 10} 주공정은 여유시간이 0 : 가장 빠른 시간 = 가장 늦은 시간 Min{2, 5} FIGURE 8.14 EST, EFT, LST, LFT results

FIGURE 8.15 Four types of activity float 8.10 Activity Floats 총 여유시간 주공정은 총 여유시간이 0 : 가장 빠른 시간 = 가장 늦은 시간 자유 여유시간 후속작업의 EST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여유시간 간섭 여유시간 = 총 여유시간 – 자유 여유시간 후속작업의 EST를 LST로 미루는 경우의 여유시간 독립 여유시간 선행: 최대한 늦게 LFT에 종료하는 경우의 여유시간 후행: 최대한 빠르게 EST에 시작하는 경우의 여유시간 FIGURE 8.15 Four types of activity float

8.11 Working to Calendar Dates Working days versus calendar days. 공사 기간 : 13일 vs 12월 23일 ~ 1월 12일 The calendar for a project with a start date of December 23. Its contractor has chosen not to work on Saturdays and Sundays, as well as on December 25 and January 1.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제외 FIGURE 8.16 Project calendar with working days

8.11 Working to Calendar Dates

8.12 Example: Scheduling the Small Gas Station FIGURE 8.18 Expanded network schedule for small gas station

8.12 Example: Scheduling the Small Gas Station

8.13 Summary Summarizing the discussion to this point, such schedule will provide: 공정계획 A clear definition of the work to be performed, divided into the assignable segments, constituted by the project activities. 프로젝트 액티비티 단위로 분해 A precedence diagram showing assumptions and strategic decisions about the sequence of activities. CPM 다이어그램은 액티비티 간의 선후행관계 표시 Start and finish dates for each activity. 액티비티의 시작과 종료 시간을 결정 The number of days that each activity can be delayed before resulting in a delay in the overall project: 주공정 결정 : 부공정  여유시간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