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증평가 교육 - 규정 교육 - 인증 전담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호스피스완화의료팀원 간의 소통을 위한 전산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Hospice Flow- 부산지역암센터 완화의료센터 팀장 김대숙
Advertisements

정선병원 간호팀 1 의사 order 시행지침 정선병원 2 병동 수간호사 송 만 자. 정선병원 간호팀 2 차례 1. 목적 2. 정의 3. 구두지시 적용 기준 4. 구두지시 수행 기준.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2010 년 06 월 01 일.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1. PC 무선랜 카드 활성화 및 체크 1 단계 : 시작 -> 설정 -> 네트워크 설정 2 단계 : 무선 네트워크 설정 선택 -> 마우스 버튼 오른쪽 클릭 -> 사용.
영남대학교의료원 기획조정실 의료정보팀 ( 금 ) 기획조정실 의료정보팀 장 준 이.
모성간호학 실습 공지 사항 2013 년 3 학년 임상강사 : 박서윤 선생 ( ), 전임교원 : 신혜숙 교수 ( )
감열지 전면 디자인. 57mm 70mm 1. CI 삽입 감열지 배면 디자인 1. 이용안내 및 주의사항 이용안내 및 주의사항 1. 도어를 닫을 시 잠길 때까지 2 초 이상 문을 밀어주신 후 꼭 잠김 확인을 하세요. 2. 도어가 자연스럽게 닫힐 정도 크기의 물품만 보관하세요.
1 넷스팟 MAC ID 설정 방법 ( 서울캠퍼스 기준 ) 각종 스마트폰의 WiFi 를 이용시 각종 스마트폰의 WiFi 를 이용시 MAC ID 설정을 하는 방법 입니다. 아이폰의 경우는 별도의 설정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하오니, 사용이 어려울 경우, 고객센터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가입 신청서 * 병원명 * 대표 원장명 * 병원주소 * 홈페이지 * 병원 연락처 * 예약담당자 * 예약담당자 * 예약담당자 전화번호 * 진료시간 * 사업자등록번호 * 병원로고 파일 첨부 [ 일러스트 (ai), 포토샵.
( 첨부 1) 국립중앙박물관문화재단 편의점 선정입찰 참가 제안서 ( 작성예시 ) - 제안서 작성은 자유양식으로 하되, 작성예시에 명시된 항목은 반드시 포함하여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 PT 심사시에 본 제안서를 심사지표로 활용하게 되오니 신중히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보보안 담당자 교육 자료 일시 : (금) 장소 : 광주교육정보원 대강당 발표자 : 백창범.
KPC 자격 강원지역센터 사업계획서 OO. OO. 제안사 명칭.
“위임장” 작성 요령 ▣ 복수 아이디 신청 시 ▣ 대표 관리자 변경 요청 시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동봉
중증 환자를 전원 시킬 준비가 되었습니까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과.
재난 종합상황보고 66초 마다 1건 접수 119신고접수 현황 총 건 수 1,306건 현장출동 502건 (38.4%) 의료상담
낙 상 지 표 정 의 서 지 표 명 낙상 후 손상발생률 지표정의 낙상발생 건수 중 손상이 있는 건의 비율 분자정의
1) 인터넷주소(강남구보건소)로 접속해주세요.
2주기 의료기관 평가 대비 점검 교육 진료 교수 QI 실장 상재홍.
임플란트 환자의 효과적인 상담기법.
Failure Mode & Effect Analysis
허가사항 초과 약제 비급여 사용 승인 근거 : 보건복지가족부 고시 제 호 ( )
Ⅰ 프로그램 소개 프로그램 설치 방법 Ⅱ Ⅲ 로그인 방법 결과조회 방법 Ⅳ Ⅰ. 프로그램 소개 전자의무기록 조회 프로그램
수술 환자의 안전사고 예방활동 수술전 점검표 개선과 수술부위의 확인체계 수립 수술환자 안전사고 예방팀: 예경아
2018 YTN ∙ HUFS 학생영어토론대회 - 대회규정 준수 및 심사결과 동의서
안전규정 협력업체 및 방문자용 안전환경팀 2014.
공인인증서 신청 및 발급 제일 먼저 은행에 직접 방문하여 인터넷뱅킹 신청.
1. 이의신청 등록 화면으로 이동하기 마이페이지 ▶계약이행능력평가 ▶이의신청관리 ▶물품분류명 ▶신청 No
면책 동의서 보호자 동의서 (탑승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유-헬스케어 U-Health Care.
피 난 안 내 도 (예시) 업소명쓰세요 현위치 비상구 피난동선 소화기 화재시 대피방법 소화기 사용방법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강릉원주대학교 전임교원대상 온라인 교수법 특강
부서 QI 및 지표 담당자 모임 2012년 8월 2차 QI 활동 방법 지표 관리 회의록 작성법
Patient Safety & Risk Management ( ) 영동세브란스병원 송말순 간호국장.
맞춤형복지 사용자 시스템 매뉴얼 공무원연금공단 맞춤형복지부 문의사항:
외과병동에서 시행되는 Wound dressing시 처치/재료 입력 누락방지를 위한 개선활동
전자 계약서 등록(갱신) 매뉴얼
워드프로세서 실기 강 사 : 박영민.
피``난``안``내``도` 2 층 관 람 동 선 대형 메인 수조 기 프 트 샾 현위치 비상구 피난동선 소화기 화재시 대피방법
Refer system 사용 안내 고려대학교 진료협력센터.
평생교육실습 신청서 작성하기.
Ⅰ 프로그램 소개 프로그램 설치 방법 Ⅱ Ⅲ 로그인 방법 결과조회 방법 Ⅳ Ⅰ. 프로그램 소개 전자의무기록 조회 프로그램
Ⅰ 프로그램 소개 프로그램 설치 방법 Ⅱ Ⅲ 로그인 방법 결과조회 방법 Ⅳ Ⅰ. 프로그램 소개 전자의무기록 조회 프로그램
피 난 안 내 도 (예시) 업소명쓰세요 현위치 비상구 피난동선 소화기 완강기 화재시 대피방법 소화기 사용방법
I-PIN 그리고 My-PIN 김가영 김경보 윤재호 이주헌
추가 개선 요청사항 ▣ 조치내역 항목 상세 입력 요망 (항목별 별도 시트 작성 후 첨부)
피 난 안 내 도 (예시) 업소명쓰세요 현위치 비상구 피난동선 소화기 완강기 화재시 대피방법 소화기 사용방법
의무기록학 제1장. 의무기록/정보와 보건정보관리자.
3장, 마케팅조사의 일번적 절차 마케팅 조사원론.
의료급여 정신과 수가체계 개선 보건복지가족부 기초의료보장과.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시스템』 안전관리자 등록·승인 매뉴얼
성인 심폐소생술 의식확인 방법 119신고 및 도움요청 환자가 반응이 없고, 비정상인 호흡 또는 호흡이 없으면
2010년 609병동 QI 환자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한 낙상 예방활동.
피 난 안 내 도 화재가 발생하면 소화기 사용방법 ① ‘불이야’라고 크게 외치세요. ② 화재경보 비상벨을 누르세요.
공인인증로그인 매뉴얼.
나를 지키고, 침착하게 대처하려면, 반드시 익혀야 하는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공인인증로그인 매뉴얼.
TrustNet 전자 협조전 사용설명서 목 차 작성,수정,삭제 결재함 처리현황 발송대장,접수대장
2008년도 CS 업무 계획 7 병 동.
2017년도 대동철학회 연구윤리교육 (연구윤리위원회).
2019 환자안전 예방지도사 자격과정 ■ 주 관 |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 프로그램 일정 |
의학정보실 홈페이지 이용방법 안내
공인인증로그인 매뉴얼.
차세대 종합정보시스템 인트라넷 학생서비스 (기숙사) 사용자매뉴얼.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2주전 계획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노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AEP 어지럼증 한양대
[첨부#2] 검토일: 년 월 일  구 분 내 용 공 사 명 업 체 명 공사예정 기간 견적안내부서 확 인 사 항 견적부서(견적)
척추,관절,재활전문 보강병원 환자 만족도 지표관리 결과 보고서.
요양병원 입원료 차등제 산정현황 통보서 인터넷 포탈 제출방법 (프로그램 변경 안내)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안전교육 이수방법 사무국 시설과.
Presentation transcript:

인증평가 교육 - 규정 교육 - 인증 전담팀

인증평가 조사기준 3개 영역 12개 장 36개 범주 66개 기준 308개 조사항목

인증평가 조사 준비 인증준비단계에서 가장 중요 ! 인증 평가 규정 제정 규정대로수행

1. 안전보장 활동 1.1.1 안전한 처방을 위한 규정 1.1.2 수술•시술의 정확한 수행 규정 1.1.3 낙상 예방활동 규정 1. 안전보장 활동 1.1.1 안전한 처방을 위한 규정 1.1.2 수술•시술의 정확한 수행 규정 1.1.3 낙상 예방활동 규정 1.3.1 화재안전 관리활동 규정 1.3.2 의료기기 안전관리 규정

환자에게 모든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확인 ! 1.1.1 환자확인 환자확인을 시행하는 경우 환자에게 모든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확인 ! 환자확인 방법 2가지 정보로 확인 1. 이름 : 성함이 어떻게 되십니까? 2. 등록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 앞자리 원무과 : 이름, 주민등록번호 앞자리 입원 환자 외래 환자 환자 팔찌 진료영수증/ 처방전

1.1.1 구두/전화 처방 구두/전화 처방이 가능한 상황 구두/전화 처방 절차 전산 입력할 수 없는 경우에만 허용 1.1.1 구두/전화 처방 구두/전화 처방이 가능한 상황 응급 상황, 수술이나 무균적 시술 중, 외부에 있어 처방을 전산 입력할 수 없는 경우에만 허용 구두/전화 처방 절차 24시간 이내 처방 입력 Write down Read back Confirm 구두/ 전화 처방을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1.1 구두/전화 처방 구두/전화 처방전 전달받은 내용을 구두/전 화 처방전에 기록 (2장) 1.1.1 구두/전화 처방 구두/전화 처방전 전달받은 내용을 구두/전 화 처방전에 기록 (2장) 처방전 중 1장을 약국에 내려 처방된 약을 받음 처방 입력 확인 후 폐기

1.1.1 필요 시(PRN) 처방 필요 시(PRN) 처방 - PRN 처방은 약사위원회에서 선정 예: 통증이 VAS 5 이상인 경우 - 투여 횟수는 1회 가능 (추가 투여 필요 시 의사에게 보고) - 처방에 명시된 기준이 불명확하거나 의문사항 발생 시 의사에게 확인 필요 시(PRN) 처방

1.1.1 필요 시(PRN) 처방 투여 실시 조건 기재

1.1.1 혼동하기 쉬운 부정확한 처방 의심나는 점이 있을 때 반드 시 의사와 확인한다. 혼동하기 쉬운 부정확한 처방 1.1.1 혼동하기 쉬운 부정확한 처방 혼동하기 쉬운 부정확한 처방 • 처방의 의미가 불명확하거나 의심나는 점이 있을 때 반드 시 의사와 확인한다. • 유사코드나 유사이름으로 처방 오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약물 은 EMR 처방 시 약품명 앞에 별 모양(★)으로 표시됨

1.1.2 수술•시술의 정확한 수행 규정

1.1.2 수술•시술의 정확한 수행 규정

1.1.3 낙상 예방활동 규정 낙상 위험도 평가도구 : Morse Fall Scale 평가주기 • 초기평가 : 입원 시 1.1.3 낙상 예방활동 규정 낙상 위험도 평가도구 : Morse Fall Scale 평가주기 • 초기평가 : 입원 시 • 정기 재평가 : 주 1회 • 비 정기 재평가 - 전동 시 (전입 병동) - 환자 상태 변화 시 ( 낙상 발생 시, 고 위험 약물 주사 시)

1.1.3 낙상 예방활동 규정 낙상 고위험환자 분류기준 - Morse Fall scale : 51점 이상 환자 1.1.3 낙상 예방활동 규정 낙상 고위험환자 분류기준 - Morse Fall scale : 51점 이상 환자 - 5세 미만의 소아환자 - 70세 이상의 환자

1.1.3 낙상 예방활동 규정 낙상 예방활동 낙상 고 위험환자 정보공유 - 환자 팔찌에 낙상주의스티커 부착 1.1.3 낙상 예방활동 규정 낙상 고 위험환자 정보공유 - 환자 팔찌에 낙상주의스티커 부착 - EMR 에 낙상 고위험군 표시 (실시 예정) 낙상 예방 간호중재 - 입원 시 환자 및 보호자에게 낙상 예방 교육 실시 - 고 위험환자에 대한 낙상 예방 간호중재 환경 및 시설물 관리 - 침상, 휠체어, 폴대 등 낙상주의 표지판 부착 - 침대 및 휠체어 바퀴 및 고정 장치 점검 등 낙상 예방활동

1.3.1 화재안전 관리활동 규정 1. 신고체계 1. 최초 목격자는“불이야”라고 큰소리로 외쳐 주위에 알린다. 1.3.1 화재안전 관리활동 규정 1. 신고체계 1. 최초 목격자는“불이야”라고 큰소리로 외쳐 주위에 알린다. 2. 경보발령 (코드 레드, 화재경보발신기 작동), 소방서 신고 3. 주간 - 교환실(☎ 140), 야간 – 야간수납(☎ 108) 2. 업무분담 내용 통보 연락팀 (고연차) : 상황을 전파하고 교환실, 시설과, 소방서 신고 소화팀 (중간연차) : 소화기 및 소화전을 사용하여 초기진화 활동 피난유도팀 (그 외 부서원) : 환자 대피유도, 주요문서 및 물품 반출

1.3.1 화재안전 관리활동 규정 3. 피난계획 피난시설의 위치 – “화재 시 대피 안내도” 숙지 1.3.1 화재안전 관리활동 규정 3. 피난계획 피난시설의 위치 – “화재 시 대피 안내도” 숙지 피난층 – 지상으로 바로 나갈 수 있는 층 안전구조대 - 본관 : 5,6,7 층 각 2개, 8층(직원식당) - 별관 : 3,4,5 층 각 1개 완강기 – 별관 6층 전산실 4. 소화기 사용방법 바람을 등지고 소화기의 안전핀 링에 손가락을 걸고 안전핀을 뽑는다. 노즐호스는 화점을 향하고 상•하 레버를 강하게 누른다. 좌에서 우로 비를 쓸듯이 골고루 방사한다.

1.3.1 화재안전 관리활동 규정 소화전함을 열어 관창(노즐)을 잡고 호스를 꺼낸다. 1.3.1 화재안전 관리활동 규정 5. 소화전 사용방법 소화전함을 열어 관창(노즐)을 잡고 호스를 꺼낸다. 호스가 꼬이지 않게 하고, 함 내 밸브를 좌측으로 돌려서 개방시킨다. 화재진화를 마치면 소화전 밸브를 잠근다. 소방안전 교육 받으셨습니까? (2월, 9월) 어떤 내용을 교육 받으셨습니까? 화재 시 맡은 임무는? 화재 시 대피로는? 소화기, 소화전 사용방법 시연

1.3.1 금연 규정 금연 구역 : 병원 건물 전체 병원 내 흡연자 발견 시 즉각 흡연행위를 중지시 키고 흡연구역(시설과 앞 파고라)으로 안내 병원 내 담배꽁초 절대 발견되면 안됨 병원 내 담배냄새 절대 나면 안됨

1.3.2 의료기기 안전관리 규정 예방점검대상 의료기기 • 고 위험 의료기기 • 일반 의료기기 1.3.2 의료기기 안전관리 규정 예방점검대상 의료기기 • 고 위험 의료기기 - 수술용 마취기, 전기 소작기, 제세동기 • 일반 의료기기 • 연 1회 시행 (고 위험 및 일반 의료기기) - 관리과 • 일일 점검 (고 위험 ), 월 1회 점검 (일반 의료기기) - 사용부서에서 시행 예방점검 후 점검필증 부착 - 고 위험 의료기기(노란색), 일반 의료기기(하늘색) 예방점검 수행

2. 지속적인 질 향상 2.2 부서 질 향상 활동 규정 2.3 환자안전보고체계 규정 2.4.3 환자만족도 관리 규정

2.2 부서 질 향상 활동 규정

2012년 QI Project 선정 주제 QI 활동 7개 부서 지표관리 7개 부서

2.2 부서 질 향상 활동 규정 QI 정보 공유 방법은? - 홈페이지 내 QI 게시판 - 부서 QI 및 지표 담당자 모임 2.2 부서 질 향상 활동 규정 QI 정보 공유 방법은? - 홈페이지 내 QI 게시판 - 부서 QI 및 지표 담당자 모임 - QI 경진대회 (2013. 4월 개최 예정)

2.3 환자안전보고체계 규정 - 질병의 자연경과와 관계 없이 발생한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사고 2.3 환자안전보고체계 규정 환자안전사고 - 질병의 자연경과와 관계 없이 발생한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사고 - 잘못된 부위 수술, 투약오류, 자살, 낙상, 수혈 관련 오류 등 - 위중도에 따라 적신호 사건, 위해 사건, 근접 오류로 나뉨 환자안전 보고체계 익명으로 제출 가능 고객 소리함을 통해서도 제출 가능

2.3 환자안전보고체계 규정

2.4.3 환자만족도 관리 규정 환자만족도 조사 : 2012년 인증평가 필수지표로 선정 연 1회 정기적으로 실시 2.4.3 환자만족도 관리 규정 환자만족도 조사 : 2012년 인증평가 필수지표로 선정 연 1회 정기적으로 실시 환자만족도 결과는 홈페이지 내 QI 게시판을 통해 공유 2013년 1월 초 환자만족도 결과 공지 예정임

3. 진료전달체계와 평가 3.1.1 입원수속절차 규정 3.1.2 외래 및 응급환자 등록 절차 규정 3.1.3 전과/전동 규정 3.1.1 입원수속절차 규정 3.1.2 외래 및 응급환자 등록 절차 규정 3.1.3 전과/전동 규정 3.1.5 퇴원 및 전원 절차 규정 3.2.2 입원환자 초기평가 규정 3.2.3 응급환자 초기평가 규정

3.1.1 입원수속 절차 규정 입원 시 정보제공 환자의 권리와 책임, 면회시간, 주치의 회진시간, 진료 비용에 대한 정보 3.1.1 입원수속 절차 규정 진료 비용에 대한 정보 : 선택 진료비, 상급 병실료 등 사생활 보호 요청 확인 입원생활 안내 책자 제공 환자의 권리와 책임, 면회시간, 주치의 회진시간, 응급 시 호출방법, 화재 시 주의사항, 식사시간, 편의시설, 불만 및 고충처리 안내 등이 포함 입원 시 정보제공

3.1.2 외래환자 등록절차 규정 진료 예약 방법 방문예약 : 원무과 접수창구, 외래 간호사실 및 해당 진료과 3.1.2 외래환자 등록절차 규정 진료 예약 방법 방문예약 : 원무과 접수창구, 외래 간호사실 및 해당 진료과 전화예약 : 전화 (☎ 053-641-9200) 인터넷 예약 • 홈페이지(www.bogang.co.kr) -> 진료예약 -> 증상 및 진료 예정일 등을 작성 예약 신청 • 익일 인터넷예약담당자(☎053-630-6005)와 유선통화 후 진료 예약 4. 예약정보는 진료예약일 1일전 SMS 문자를 전송한다.

3.1.3 전과/전동 규정 전과 시 의사소통 1. 환자 전과 시 의료진 간의 정보공유를 위해 협진/전과 기 록지를 작성한다. 2. 협진/전과 기록지에 포함된 내용 1) 환자의 기본정보 2) 전과 사유 3) 전과 시 환자 상태 등 3. 경과기록지에 기록 (환자의 치료계획 및 상태변화) 1) 전출기록 : 환자상태, 전출 사유 등 2) 전입기록 : 환자상태 파악, 향후 치료계획 등

3.1.5 퇴원 및 전원 절차 규정 퇴원 절차 1. 의사는 입원초기평가 시 퇴원계획을 수립한다. 2. 환자 또는 보호자를 퇴원 결정과정에 참여 - 퇴원예정일, 퇴원 준비사항 및 퇴원 후 거주 장소 등 확인 3. 의사는 가능한 퇴원 1일 전에 퇴원을 미리 고지한다. 4. 퇴원 시 의사는 추후관리 정보를 제공한다. 5. 퇴원 시 간호사는 퇴원간호 요약지를 이용하여 퇴원 교육 실시한다. - 외래 방문 일시 및 방문 시 시행할 검사 - 퇴원 후 복약지도, 건강관리, 주의사항 등 - 퇴원 후 병원에 문의를 요하는 사항, 부서 전화번호 등

3.1.5 퇴원 및 전원 절차 규정 전원 절차 1. 환자 전원 시 의사는 사전에 환자 및 보호자에게 전원에 대한 설명 후 동의를 얻어 전원기관을 선정 2. 전원기관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환자의 의학적 상태 - 전원 대상병원의 진료능력 - 환자 거주지와의 거리 - 환자의 선호도 3. 필요 시 진료의뢰서 또는 소견서, 검사결과지 등 제공 4. 필요 시 의료장비, 인력, 이송수단 제공

3.2.2 입원환자 초기평가 규정 입원환자 초기평가 • 의학적 초기평가 - 환자가 입원 후 24시간 이내 수행/기록 3.2.2 입원환자 초기평가 규정 입원환자 초기평가 • 의학적 초기평가 - 환자가 입원 후 24시간 이내 수행/기록 - 입원 당시 의사가 시행한 환자평가 -> 입원기록지에 작성 - 평가내용 : 입원 시 주호소, 현재 및 과거병력, 신체검진 추정진단, 치료계획, 퇴원계획 • 간호 초기평가 - 입원 후 24시간 이내 수행/기록 - 입원 당시 간호사가 시행한 환자평가 -> 간호력에 작성 • 영양 초기평가 - 영양사는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영양불량검색 -> 영양고위험환자에 대한 영양초기평가를 실시

3.2.3 응급환자 초기평가 규정 1. 응급환자 분류체계 (Triage) 3.2.3 응급환자 초기평가 규정 1. 응급환자 분류체계 (Triage) - 긴급환자는 A, 응급환자는 B, 비 응급환자는 C로 의무기록지에 기록

5. 수술 및 마취진정 관리 5.1.1 수술 관련 기록 규정

5.1.1 수술 관련 기록 규정 - 수술 전에 치료계획 수립 지에 기록 지에 기록한다. 수술 전 기록 5.1.1 수술 관련 기록 규정 - 수술 전 진단명 : 반드시 수술실 입실 전에 기록 - 수술 전에 치료계획 수립 - 회복실 퇴실 전 수술명과 수술 중 특이사항을 수술기록 지에 기록 - 수술 후 환자상태 기록은 수술 후 24시간 이내 경과기록 지에 기록한다. 수술 전 기록 수술 기록 수술 후 기록

6. 약물관리 6.2.2 약물 보관 규정 - 고주의 약물관리 지침 6.4.1 약물투여 규정 - 고위험 약물관리 지침 6.4.1 약물투여 규정 - 고위험 약물관리 지침 - 지참약 관리 지침

6.2.2 고주의 약물관리 지침 고주의 약물 목록 - 유사외관, 유사발음, 유사코드 약물 6.2.2 고주의 약물관리 지침 고주의 약물 목록 - 유사외관, 유사발음, 유사코드 약물 고주의 약물은 약품명 앞(★)모양 표시 고주의 약물은 약품장에 “고주의 약물” 스티커 부착

6.4.1 약물투여 규정 투약 설명 - 복약지도서로 설명 - 투약 설명서로 설명 : 항응고제, 항혈전제

6.4.1 고위험 약물관리 지침 고위험 약물 : 오 투약 시 환자에게 치명적인 위해를 줄 수 있는 약품 종류 6.4.1 고위험 약물관리 지침 고위험 약물 : 오 투약 시 환자에게 치명적인 위해를 줄 수 있는 약품 종류 - 고농축 전해질 (Nacl, Kcl) - 항응고제 (헤파린) 보관 및 라벨링 (고위험 라벨 부착) 고농축 전해질 (Nacl, Kcl) 항응고제 (헤파린) 반드시 희석 후 사용 – 라벨 부착 (사용 후 즉시 폐기) 개봉 전 밀봉 상태로 실온(1~30℃) 보관 개봉 후 개봉일자 표기 후 냉장보관 개봉 후 1개월 내 사용

6.4.1 지참약 관리 지침 지참약 : 입원 시 환자가 가지고 온 의약품 지참약 확인 - 입원 시 지참약 안내문 배부 6.4.1 지참약 관리 지침 지참약 : 입원 시 환자가 가지고 온 의약품 지참약 확인 - 입원 시 지참약 안내문 배부 - 지참약 있는 경우 : 약품 식별 의뢰 (약제실) 지참약 투여 - 주치의가 지참약을 허용 - 주치의는 지참약 처방 : “Self 약제”check 후 처방 - 간호사는 “Self 약제”처방 약을 지참약으로 투약

6.4.1 지참약 관리 지침 지참약 처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