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관리 가톨릭관동대 경영학과 2017년 가을학기 강의 : 김을진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016 년 봄학기 동북아문화론 Lesson 7 동북아경제의 현황 년 봄학기 동북아문화론 Lesson 7 동북아경제의 현황 토의 주제: 동북아와 한국경제 한국경제는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도약할 수 있을 것인가? QR코드 6-1(한국경제.
Advertisements

Certified Management Accountant [ 국제공인 관리회계사 ] ( 토 ) ~ ( 토 ) 년 제 6 기.
1 ◆ 목차 1. 재무제표 분석의 필요성과 유의점 2. 재무제표 분석기법 3. 재무비율 분석 제 13 장 재무제표의 활용.
- 비스트 김무환 -. - 주요경력 - 대한 경제 교육 개발원 주식아카데미 전임강사 주식 경력 10 년 / 전업투자 7 년 “Sky” Investment 수석연구원 3 년 다음 카페 부자만들기 운영진 ( 회원수 60 만명 ) 前 )
- Middle and Long Term Strategic Management -
Risk Management 경영4 공현창 경영4 윤민수 경영4 정광연
Theory of Financial Structure
11장 여신결정 : 신용위험분석과 신용위험평가모형.
발표자 소개 정 도 영 Educational Background Job Experience 한양대학교 경제학과 학사·석사
T&B컨설팅 (Technology & Business)
경영의사결정은 왜 중요한가 관리회계의 의의와 역할 관리회계 시스템의 일반적 특성
금융부문의 중요성 (Importance of Financial Institutions)
IV부 금융기관 IV부에서는 은행을 중심으로 금융기관에 대해 논의 12장 은행의 활동과 경영관리 13장 은행산업의 변화와 발전
제 6 장 자본예산의 기초개념.
2014년 전남농협 연합사업 추진전략 전남농협지역본부.
기술경영 재무관리 회계기초.
제14장 재무제표 분석.
파생상품의 개념과 활용방안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겸임교수 이창복 CFO Academy CFO Academy
Chap 12 developing pricing strategies and programs
Chapter 5 이자율과 채권의 가치평가 McGraw-Hill/Irwin
제14장 재무제표 학습내용 : 제1절 개괄 제2절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 제3절 영문 재무제표의 예시
영업양수, 인수/합병실무 (가치평가, 회계 및 세무).
기업가치평가 개요 KMA 강 영 수 교수.
채권과 주식의 가치평가 위덕대학교 경영학과.
채 권 투 자 노 트 김 형 호, CFA (T ) 아이투신 채권본부장.
자본예산(1) : 현금흐름의 추정 위덕대학교 경영학과.
6장 경영프로젝트의 경제성 평가 6.1 경제성 평가의 기본개념 6.2 평가기법의 내용
제6장 기업목표 수립과 사업단위의 평가 및 선택 E. Jerome McCarthy
제 2 편 재무관리의 기초, 투자결정 제2장 화폐의 시간가치 제3장 개별자산의 투자결정 제4장 포트폴리오 투자결정.
출석수업 강의교안 경영분석.
제4장 이자율에 대한 이해.
쉬운 Business Finance 강의 노트.
제5장 현금흐름분석.
제 8 장 화폐의 시간가치.
제8장 채권가격과 수익률.
재 무 회 계 KMA 강 영 수 교수.
기업경영분석기법.
CEO가 당신이 알고 있길 원하는 것들.
Chapter 11 – Cost-Benefit Analysis
프로젝트의 관리 및 평가 1. 프로젝트의 관리 2. 프로젝트의 경제성 평가의 개요 2. 평가기법의 모형.
원가분석과 가격결정 스킬 (가격의 결정과 관리) 경영학박사/ 경영지도사 (我盛) 이 한 일.
제5장 효율적 분산투자.
제7장 금융상품 (1) 제1절 금융상품의 의의 및 분류 1. 금융상품의 의의 2. 금융상품의 분류 제2절 금융자산의 측정
자본예산.
자본예산편성 Capital Budgeting.
Contents 이자율위험과 듀레이션 12.1 소극적 투자관리 12.2 적극적 투자관리 12.3.
손익분기분석과 돈의 가치 에드윈 랜드, 폴라로이드사의 창업주 자기 일을 잘 수행하기만 하면 돈에 대해서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
13 현금흐름표 Chapter 제1절 현금흐름표의 의의 제2절 현금흐름표의 내용 1. 현금의 범위 및 현금흐름의 구분
목차 제1절 재무제표분석의 의의 제2절 재무비율분석 1. 재무정보의 원천 2. 재무비율의 종류 3. 재무비율분석의 보완
제Ⅰ부 재무관리의 기초 재무관리 : 기업의 재무활동을 관리(계획·실행·평가)하는 의사결정과정, 즉 기업재무와 관련된 의사결정
제1장 증권투자의 기초개념.
제 2장 재무제표 분석.
제6장 기본적 분석.
목차 제1절 자산평가와 이익측정 1. 자산 ∙ 부채의 평가와 이익측정의 관련성 2. 자산 ∙ 부채의 측정기준 3. 자본유지개념
재무제표를 통한 경영분석.
기업경영분석과 응용.
통화제도.
Lecture 10 중간시험 : 4월 22일(금) 오전 9:00-10:30 (시험범위 : 4월 15일 강의 까지)
Absolute ) 펀드 absolute )
제 3 장 재무관리 환경.
Ⅶ. 평면도형 2. 부채꼴 [8/15] (2)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넓이.
강재신 워렌 버핏과 가치투자 포브스 선정 세계 1위 부자 워렌 버핏의 투자 철학.
2011년 1학기 < 강의자료 > [ 부동산 투자론] 강사 : 구 효서 부동산 컨설팅학과 동 원 대 학 교.
창업 경영 관리 제12장 재무관리.
제 7장 자본예산.
Contents 7.1 채권의 기초 7.2 T-bond 선물 7.3 우리나라의 채권선물 7.4 채권선물을 이용한 위험관리
(제작자: 임현수)모둠:임현수,유시연,유한민
축구공으로 알아보는 공정무역 공정무역 실천단 2기 -박현숙(서울생협).
제 1 장 재무관리란 무엇인가?.
11장. 창업자금조달과 투자실무.
Presentation transcript:

재무관리 가톨릭관동대 경영학과 2017년 가을학기 강의 : 김을진 재무관리 가톨릭관동대 경영학과 2017년 가을학기 강의 : 김을진 제1강 : 재무관리란 무엇인가? 2017-09-06

목차 재무관리의 의의 재무관리의 목적과 대리인문제 투자결정 자금조달결정 자산운용결정 재무관리의 핵심개념 2017-09-06

학습목표 재무관리의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기업의 목표와 재무관리의 목표를 이해한다. 투자결정, 자금조달결정 및 자산운용결정을 이해한다. 재무관리의 핵심개념인 위험과 수익, 화폐의 시간가치가 왜 중 요한지 설명할 수 있다. 현재가치와 미래가치, 위험을 감안한 미래 기대수익 및 그 현재 가치를 계산할 수 있다. 2017-09-06

재무관리란 무엇인가? (에센스 재무관리) 기업의 자금조달과 운용을 다루는 학문으로서 그 궁극적 목표는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있다. - 재무관리자의 역할과 재무관리의 목표는 무엇인가? (재무관리, Brealey & Myers) 기업의 재무적 의사결정에 관한 사항들을 다루는 학문이며, 재무관리에 있어 성공의 비결은 가치 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 어떤 투자를 할 것인가? 필요한 자금을 어떻게 조달할 것인가? (LSE Lecture Note) 재무관리자에게는 3개의 핵심 과업이 부여 된다. - 투자결정, 자금조달결정, 배당결정 (MIT Lecture Note) 자금을 어디에 사용할 것인가(투자결정), 어 떻게 조달할 것인가(자금조달결정), 여유자금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배당결정) 2017-09-06

재무관리란 무엇인가? (재무관리, Van Horne & Wachowicz) 재무관리는 특정 목적을 염두에 둔 기업의 인수, 자금조달, 자산관리 활동들과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재무관리는 투자결정, 자금조달결정 및 자산관리결정으로 분해할 수 있다. 재무관리가 무엇인지에 대한 다양한 해석, 의견이 존재할 수 있으나, 공통적으로 주장하는 것은 (1) 어디에 투자할 것인가? (2) 어떻게 조달할 것인가? (3) 여유 금융자산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를 다룬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2017-09-06

재무관리와 연관된 문제들 (왜?) 재무관리의 목적 - 이익극대화? 기업가치의 극대화? 주주의 재산 극대화? - 기업의 목적과 재무관리의 목적은 일치하는가? 대리인 문제 (무엇을?) 재무관리의 기능 또는 역할 - 투자결정, 자금조달결정, 자산운용결정(또는 배당결정) (어떻게?) 재무관리의 핵심 개념 - 위험과 수익(risk and return) - 화폐의 시간가치(time value of money) 2017-09-06

재무관리의 목적 (이익극대화, profit maximization) 주식을 발행하여 조달한 자 금을 단순히국채에 투자하는 것이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음 (수입극대화, maximizing earnings per share) 수입이 발생하 는 기간과 시점을 특정하지 못함. 투자위험을 고려하지 못함. 배 당은 하지 않는 것이 절대적으로 유리 (시장가치극대화, maximizing market price per share) 주가는 시장에서 결정되며, 현재 수입과 미래 기대수입, 수입발생 기간 및 시점, 수입과 관련된 위험, 배당정책 및 기타 시장가치를 결정 짓는 모든 요인들이 모두 반영 (왜 필요한가?) 재무적 의사결정이 옳았는지? 효율적이었는지? 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2017-09-06

대리인문제 (대리인문제) 대리인(agent)이 주인(principal)을 대신하여 의사결정을 내릴 경우 대리인은 주인의 이익보다 자신의 이익을 우선 고려할 수 있음 (발생원인) 재무관리자가 기업의 목표와 일치하지 않는 의사결정 -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어 대리인이 기업을 통제, 관리할 권한을 가짐 - 대리인이 추구하는 목표가 주주의 목표와 다름 - 주주는 대리인 또는 시장으로부터 충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없음 (해결방안) 기업지배구조(corporate governance) - 기업이 운영되고 통제되는 시스템 - 주주, 이사회, 관리자간 책임과 의무 명확화 - 스톡옵션 등 인센티브 구조 2017-09-06

투자결정 (투자기회, investment projects)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새로운 실물자산을 취득할 수 있는 기회 - 동물적 감각, 기업가 정신, 단순 확장, 재투자 등등 (제약, constraints) 투자를 실행하는 데 기술적, 예산적 제약이 수반됨 - 가능한 투자기회의 집합을 구성 (우선순위) 수익성 등 다양한 기준으로 투자순서를 정할 수 있음 - 가장 효율적 투자기회의 집합 = 생산가능곡선 (production opportunity frontier) (자금조달과 관계) 이론적으로 또는 교과서에서는 자금조달의 문 제가 무시되나, 현실적으로 자금조달, 즉 예산제약에 크게 좌우 2017-09-06

자금조달결정 (투자 재원의 마련) 투자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는 방법으로 신주발행(자본증가), 차입(부채증가) 또는 이익금의 사 내유보 확대(배당감소) 등 (자본과 부채) 자본과 부채간 조합(레버리지비율)에 따라 자기자 본 수익률, 신용(credit), 세금 등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 (산업특성) 부채비중이 높은 산업 또는 낮은 산업이 존재 (금융시장) 자본시장(주식시장), 채권시장, 단기금융시장 (금융회사) 은행, 투자금융회사 2017-09-06

자산운용결정 (고정자산과 유동자산) 투자결정을 실행하기 위해 조달한 자금은 실물자산 등 고정자산을 취득하거나 현금, 예금 등 유동자산으로 존재 - 배당되지 않은 이익금이 증가하면 그에 상응하여 자산이 증가 (유동자산은 재무관리의 대상) 유동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재무관리자의 주요한 책임중 하나 - 주주의 요구, 기업의 시장가치 등을 고려 적정 배당수준 결정 2017-09-06

핵심개념 – 위험과 수익 (high risk, high return) 주식 등 위험자산(risky assets)의 장 기평균수익률은 국채 등 안전자산(safe assets)의 장기평균 수 익률에 비해 2~3배 수준인 것으로 알려짐 - 중소기업 > 대기업 - 장기채권 > 단기채권 (위험에 대한 보상) 높은 위험에 대한 투자는 반드시 높은 기대 수익으로 보상되어야 함 - 동일한 수익이라면 낮은 위험을 선택 - 동일한 위험이라면 높은 수익을 선택 (위험의 측정) 일반적으로 기대수익(expected return)의 분산을 위험의 크기로 정의 (왜 핵심개념인가?) 위험과 기대수익간 관계 2017-09-06

핵심개념 – 시간가치 (현재소비와 미래소비) 100원을 현재 소비하는 것과 10% 금리의 1년 만기 정기예금을 하여 1년후 110원을 소비하는 것이 동등한 소비자 - 1년후 110원의 현재가치는 100원 - 2년후 121원의 현재가치는 100원 (현재가치(PV)와 미래가치(FV)) - 𝑭𝑽 𝒕 =𝑷𝑽 (𝟏+𝒓) 𝒕 , r : 이자율, t : 기간 - 𝑷𝑽= 𝑭𝑽 𝒕 (𝟏+𝒓) 𝒕 , 여기서 𝟏 (𝟏+𝒓) 𝒕 : 기간할인율(t-period discount factor) (왜 핵심개념인가?) 서로 다른 투자기회, 비용 등에 따라 미래에 발생 할 현금 수입과 지출(cash flows) 등을 서로 비교할 기준 2017-09-06

연습문제 1000원을 복리 5%로 예금할 경우 10년후의 미래가치는? (과제1) 2년후 12500원을 받는 예금을 연율 2%의 할인율을 적용할 경 우 현재가치는? (풀이과정을 모두 기재할 것, 제출기한 2017.9.13.) 어떤 1년 만기 변동금리 채권은 30% 확률로 5%의 금리, 50% 확률로 10%의 금리, 20%의 확률로 30%의 금리를 준다고 한다. 이 채권에 여 10000원을 투자했을 때 1년후 기대 금액은 얼마인가? (과제2) 연율 10%의 시간할인율을 적용할 경우 위 3번 채권의 현재가치 는? (풀이과정을 모두 기재할 것, 제출기한 2017.9.13.) 2017-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