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LG CNS 박상범 부장입니다 최고의 전문성으로 국민의 의료질 향상을 위해 헌신하고 계시는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진료비청구포털서비스 요양기관 안내사항 2011 년 5 월. 1. 가입신청 절차 2. 예상 질문 및 답변 요양기관 안내사항 - 1 -
Advertisements

제 3 장 수출입 거래 외화획득용 원료 · 기재의 수입과 구매 등 ( 법 제 16 조 ~ 제 18 조 ) 대외무역법.
GB 마스터 사업 설명회 Ⅰ. GB 마스터 제도 변경 취지 년도 하반기 현금영수증 제도 개선 ① 현금영수증 발급 금액 하향 조정 : 현행 5,000 원  3,000 원으로 하향 조정 ② 포상금 제도 도입 : 발급거부 신고 때 건당.
미디어 생태계 파괴자, 종편. 요구내용 관련 법안 의사결정구조현재진행상황 KBS 수신료 인상 ( 광고 폐지 ) 방송법 - KBS 이사회 의결 - 방통위 의결 - 국회 승인 방통위 의결 임박 채널 재배치 - 없음 - 방통위 정책 결정 및 PP, SO 사업자간 계약 - 사업.
대표자명 / 연락처 / 이메일 ( 기 창업인 경우 회사 명칭 ) 지원하려는 사업 명칭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KPC 자격 강원지역센터 사업계획서 OO. OO. 제안사 명칭.
확장바코드(GS1-128) Q&A.
COMAR사업_3차년도 국가표준물질 수요조사 (화) 김윤배.
★생활관 식당 조식/석식 할인 이용 관련 안내★
2015년도 신기술 공공서비스 사업 통합 설명회 개최 안내 설명회개요 세부 일정 오시는 길
지원자를 위한 인턴 사원 채용 FAQ.
개인정보 수집·이용 및 제공에 대한 안내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안내 ■ 고유식별정보의 수집 및 이용 안내
매출확인 스마트폰 어플 37. 본인이 자기매출을 볼 수 있는 매출확인 스마트폰 어플 입니다.

한국제약산업 현황
영업부-마케팅부 주간 회의 2010년 11월 22일(月).
KN A (Rev.1.0) BIXOLON MOBILE PRINTER
의약품 바코드 표시 및 RFID tag 부착 관리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
허가사항 초과 약제 비급여 사용 승인 근거 : 보건복지가족부 고시 제 호 ( )
제1장 병원 경영의 이해 및 병원 환경의 변화.
이의신청 급여기준 안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광주지원.
1. 가입절차 2. 상품 등록 방법 3. 배송 절차 및 관세 4. 회원 판매대금 정산 안내 5. FAQs
스타일등록 및 상품등록(Barcode)생성 방법
안녕하십니까? LG CNS 박상범 부장입니다 최고의 전문성으로 국민의 의료질 향상을 위해 헌신하고 계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
간지 Ⅰ. 시스템소개 Autoway Groupware User Manual Ⅰ. 시스템 소개 | 시스템 소개.
케이블TV 선로 점검 및 방문 점검 안내 동부고객센터 팀장: 해운대기장방송
단체명 요청팀수 행사일자 희망시간 1지망: 2지망: 예약자명 연 락 처 직장: 자택: 휴대: FAX: 신청자명 회원유무
원가 관리 규칙 개정이력 개정일자 개정번호 ㈜합동전자 페 이 지 HDC /3 개정번호 개정일자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추진방안
[ ] RFID/2D시스템 화면 기능 목록 루텍 황어진 안녕하십니까?
AISII [ 에이랜드 통합관리 시스템 II ] 할인 정책 등록 Manual
1. 일반판매 등록 승인 출고 2. 직원가 판매 3. 샘플출고 4. 기타판매 지티엘 샘플출고, 직원가구매 프로세스 정의
중고부품 특약 적용 시행(안) 「보험개발원 , 국내 全 손보사 」 서비스담당 / 부품기술팀.
Java의 정석 제 5 장 배 열 Java 정석 남궁성 강의 의
면책 동의서 보호자 동의서 (탑승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요양병원에서는 도대체 무슨 일이? (금) 국회의원 김 용 익.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 현금영수증가맹점 가입절차 >
Nano Convergence Conference 2019 객실 신청서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강릉원주대학교 전임교원대상 온라인 교수법 특강
THE FACE SHOP (더 페이스 샵) ♡최희주♡.
맞춤형복지 사용자 시스템 매뉴얼 공무원연금공단 맞춤형복지부 문의사항:
전자 계약서 등록(갱신) 매뉴얼
2013년 3월 2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
발표평가 자료 작성 유의사항 각 페이지의 작성 TIP을 참고하여 내용 기재 (총 20페이지 이내, 발표시간 약 10~15분)
임 시 주 주 총 회 ㈜ 아이엠넷피아.
추가 개선 요청사항 ▣ 조치내역 항목 상세 입력 요망 (항목별 별도 시트 작성 후 첨부)
기획재정부 국고보조금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추진단
Kyani 디스트리뷰터 등록 안내 온라인 등록 (
입사지원자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서 ▣ 개인정보 수집 ∙이용에 대한 동의 정보제공목적 달성 후 및 관련법령에 따름
에너지관리공단 효율기술실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 신고방법 시험기관 안내용.
의약품 유통구조의 난맥상과 의약품 가격 (금) 국회의원 김 용 익.
(Earthquake geology and tectonic geomorphology)
휴면보험금 모바일 접수시스템 매뉴얼(외부고객용) di.hrdkorea.or.kr 외국인력국 외국인력총괄팀.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국민 의식의 변화 사회 환경의 변화 업무 효율성 제고 행정수요의 증가 다양한 정보 요구 신속한 정보 요구 국민 의식의 변화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정부 구현 정보화사회 도래 도면관리의 비효율 수작업 도면관리.
‘17년 협력 업체 등급 평가 제도 운영안 2017년 01월 18일.
리더 : 이동주 스토리 : 김현 그래픽 : 최혁진 코딩 : 최재근
< 대면평가 자료 작성요령 > 안녕하십니까! 창업진흥원 창업인프라팀입니다.
주문자상표부착(OEM) 수입식품 위생점검 서비스
MIS 플2 회계- 마감후이월(2007).
2017년도 대동철학회 연구윤리교육 (연구윤리위원회).
WISE DQ.
Gallery JAC Gallery JAC
NEW요양기관정보마당 당뇨 웹EDI 사용자 매뉴얼 급여관리실.
모유착유기 구성품 허가ㆍ관리 방안
보건의료정보학 - 가습기살균제 사건으로 바라본 의료정보관리의 사례 및 중요성 -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전자 계약서 등록(갱신) 및 인플루엔자 사업 참여 매뉴얼
1. 중요불량 개선대책 현황 품확 방안 고객 불량율 감소 방안 순 발생처 현상 / 원인 개선대책 일정 비고 1 2
Presentation transcript:

안녕하십니까? LG CNS 박상범 부장입니다 최고의 전문성으로 국민의 의료질 향상을 위해 헌신하고 계시는 심평원 및 관계기관의 모든 분들께 저희 lg cns를 대표하여 감사의 말씀을 드리면서 제안설명회를 시작 하도록 하겠습니다. 1

말씀드릴 순서 Ⅱ 국제표준 의약품 코드 Ⅰ 의약품 정보센터 개요 1 설립 근거 2 주요 기능 1 의약품 표준코드 Ⅱ 국제표준 의약품 코드 Ⅰ 의약품 정보센터 개요 2 주요 기능 1 의약품 표준코드 2 의약품 바코드 3 코드 일원화 4 FAQ 1 설립 근거 발표 드릴 순서는 사업의 이해로 부터 사업관리방안 순으로 진행 하겠습니다. 2

Ⅰ 의약품 정보센터 개요 1 설립 근거 2 주요 기능 발표 드릴 순서는 Ⅰ 의약품 정보센터 개요 1 설립 근거 2 주요 기능 발표 드릴 순서는 사업의 이해로 부터 사업관리방안 순으로 진행 하겠습니다. 3

- 설립근거 : 약사법 제47조의2(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의 지정 ·운영 등)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www.kpis.or.kr) Korea Pharmaceutical Information Service - 설립근거 : 약사법 제47조의2(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의 지정 ·운영 등)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 의약품의 생산·수입·공급 및 사용내역 등 의약품유통정보의 수집·조사·가공·이용 및 제공을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관계 전문기관 또는 단체를 의약품 유통정보 관리기관(의약품정보센터)으로 지정하여 그 업무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www.kpis.or.kr) 약사법 시행령 제32조의2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의 지정)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 법 제47조의2제1항에 따라 『국민건강보험법』 제55조에 따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을 의약품 유통정보관리기관 (이하”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라 한다)으로 지정한다.

주요 업무 약사법 시행령 제32조의3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의 운영 등) 의약품 유통정보화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 및 시행 의약품유통정보의 수집·조사·가공·이용 및 제공 의약품 유통정보화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 및 시행 의약품유통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운영 의약품 표준코드의 공고 및 바코드, 전자태그(RFID tag)의 관리 의약품유통정보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의 개발·보급 등 의약품 유통정보화의 지원 그 밖에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의약품바코드 표시 및 관리요령 (복지부 고시 제2008- 1호, ’08.1.15) 의약품 표준코드(KD 코드, Korea Drug Code) 정의 및 구성체계 - 13자리(국가코드 3, 업체코드 4, 품목코드 5, 검증번호 1) 국내에서 제조되거나 수입되어 국내에 유통되는 모든 의약품에 표준코드를 이용한 바코드 표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은 표준코드를 공고하고 의약품 바코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야 한다.

Ⅱ 국제표준 의약품 코드 1 의약품 표준코드 2 의약품 바코드 3 코드 일원화 4 FAQ 발표 드릴 순서는 Ⅱ 국제표준 의약품 코드 1 의약품 표준코드 2 의약품 바코드 3 코드 일원화 4 FAQ 발표 드릴 순서는 사업의 이해로 부터 사업관리방안 순으로 진행 하겠습니다. 8

의약품 표준코드 그간의 의약품 관련 코드 종류 (자리수) 관리 기관 사용정보 Coverage 표시 한계 국제 기준 비고 품목기준코드 (16⇒9자리) 식약청 무의미한 연도별 일련번호 9자리 모든 의약품 (미 생산품목 포함) 규격/포장 단위 미 구분 미부합 숫자 구 바코드 (13자리) 복지부 (진흥원) 국가코드, 업체코드, 품목코드, 검증번호 유통되는 (소형 제외) 낱알 미구분 (규격/포장단위 구분) 부합 EDI코드 (9자리) 심사 평가원 제조/수입, 업체번호, 품목번호, 규격단위 보험급여 의약품 낱알단위 /포장단위 문자

의약품 표준코드 추진배경(1) 의약품 관련 정보화시스템이 기관마다 개별적으로 추진되면서 의약품 표준코드 수립 및 정보공유 필요성 대두 ▷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 구축 (의약품 유통정보 통합·분석) ▷ 보건소 연계 정보화 사업 (전자의무기록 상 의약품 표준코드) ▷ 보건의료정보 표준화 연구 지식기반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해 의약품 코드 통합 필요성 제기

의약품 표준코드 추진배경 (2) 의약품바코드 제도의 전면 개선 필요성 대두 ▷ 의약품 유통개혁의 일환으로 바코드 표시 의무화 (’00.7.1) - 바코드 활용율 저조 ’03년 감사원 감사 시 바코드 미표시, 제조번호, 유효기간 미기재 등의 문제점 지적 - 오류발생 등 사후관리 미흡 ’06. 5월 실태조사 결과, 646개 제품 / 오류율 19.5%

의약품 표준코드 추진경과 ‘05. 10월 :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소 위원회 산하 『e-Health 전문위원회』에서 보건의료정보 표준화 논의 태동 ‘06 ~ ’07년 : 의약품 특별관심그룹(SIG)7회 운영 및 지속적 협의 ‘07. 5. 19. : 의약품 표준코드 체계 확정 ‘07. 5 ~ 11월 : 정책설명회 및 실무협의, 제조·수입사 의견수렵 ‘08. 1. 15. : 『의약품바코드 표시 및 관리요령』고시 개정 ‘08. 1. 22.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의약품바코드 업무 이관

의약품 개개의 포장단위 별 바코드로 적용하여 표시 의약품 표준코드란? 개개의 의약품을 식별하기 위하여 고유하게 설정된 번호로서 국가코드, 제조업체코드, 품목코드 및 검증번호를 포함한 13자리 숫자 - 의약품 유통코드(바코드)와 보험코드(EDI코드)의 통합 < 의약품 표준코드 구성체계 > 자리수 3 4 5 1 내  용 국가코드 업체코드 품목코드 검증번호 부여예 880 6400-6999 함량 포함한 포장단위 0-9 0001-9999 0: 대표코드 1-9 : 포장단위 의약품 개개의 포장단위 별 바코드로 적용하여 표시 EDI코드로 활용(‘10년 1월 1일 진료분 부터)

의약품 표준코드 의약품 표준코드 부여(예시 1) ※ ’10년1월1일 진료분부터 의약품 대표코드를 EDI 코드로 사용 상품명 규격 제형 수량 포장형태 대표코드 표준코드 바이엘 아스피린 100mg 정 30 PTP 8806411000606 8806411000613 100 8806411000620 1,000 8806411000637 500mg 200 8806411000705 8806411000712 20 8806411000729

⇒ 의약품 표준코드 의약품 표준코드 부여(예시 2) 제약사명 의약품명 현, EDI 코드(9자리) 유한양행 코푸시럽 F00200011 ⇒ 표준코드(대표코드) 8806421022803 표준코드(포장단위별) 8806421022810 바코드(13자리) 보험청구코드(9자리) 642102280

의약품 표준코드 의약품 공고 현황 (’09년 10월 12일 기준) - 의약품 표준코드의 품목수는 식약청 허가가 생략된 희귀의약품, 체외진단용 의약품에도 표준코드를 부여하고 있고, 식약청 허가코드는 패키지 허가이나 의약품 표준코드는 규격, 포장형태에 따라 부여되기 때문에 식약청 품목수보다 더 많음. (품목 당 평균 표준코드 수 : 2.4개) 제조·수입 사 품목 수 표준코드 수 531 개소 50,880 개 121,648 개

표준코드 관리절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품목기준코드(식약청 허가·신고) 의약품 표준코드(공고) EDI 청구코드(고시) 식품의약품안전청 표준코드 부여 및 공고(10일 이내)  제품정보 DB구축 및 공개 품목허가일부터 30일 이내에 제품정보 포털 등록 의약품 정보연계 (On-line 연계) 폼목허가신청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 업체코드부여 허가, 수리 제조업자 ㆍ 수입자 품목기준코드(식약청 허가·신고) 의약품 표준코드(공고) EDI 청구코드(고시)

의약품 바코드 : 의약품 표준코드 숫자정보를 심벌로 표현 의약품 바코드 : 의약품 표준코드 숫자정보를 심벌로 표현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 의약품에 적용된 예시 >

의약품 바코드 단계별 추진 일정 2008년 1월 1일 부터 모든 의약품에 표준코드 부여 후 유통정보 2008년 1월 1일 부터 모든 의약품에 표준코드 부여 후 유통정보 실적보고와 의약품 바코드에 표시 2009년 1월 1일 부터 의약품 표준코드에 따라 바코드 표시 의무화 2010년 1월 1일 부터 15ml(g)이하 단품에 바코드 표시 의무화 2012년 1월 1일 부터 지정의약품에 유통기한, 로트번호 사용의무화 2013년 1월 1일 부터 전문의약품에 유통기한, 로트번호 사용의무화

의약품 바코드 의약품 바코드 실태조사 : 매년 반기별로 실시 ※ 복지부, 식약청, 유통물류진흥원과 합동조사 수행 ’09. 8월 처음으로 미부착 7개 제품에 대하여 식약청에 처분 의뢰 2008 년 2009 년 상반기(‘08.3월) 하반기(‘08.11월) 상반기(‘09.6월) 조사 품목수   오류 오류율(%) 1,714 723 42.2% 2,403 424 17.6 % 12,292 343 2.7%

▶ 바코드 위반 시 행정처분 (약사법 시행규칙[별표 8]) 의약품 바코드 ▶ 바코드 위반 시 행정처분 (약사법 시행규칙[별표 8]) 위반사항 근거법령 행정처분 1차 2차 3차 4차 바코드 미부착 바코드 오류 (오부착,리더기 미인식) 시행규칙 제75조 시행규칙 제77조 해당 품목 판매 업무 정지 15일 1개월 해당 품목 판매 업무 정지 3개월 6개월

코드 일원화 2010년 1월 1일 진료분 부터 시행 그간의 추진경과 ’09.2월 ~ 4월 : 심평원 내부 관련부서의 실무협의 및 토론 ’09.2월 ~ 4월 : 의약단체, 청구 SW업체 간담회 실시 및 의견수렴 ☞ 의약단체 : 일원화 추진합의, 청구SW : 비용부가 면제합의 등 ’09. 4. 13 : 의약품 코드 일원화 추진계획 수립 및 복지부 보고 ’09. 8. 1 : 요양급여비용 청구방법, 심사청구서·명세서서식 및 작성요령 개정고시 (의약품 표준코드 중 일부를 사용) ’09. 8. 14 : 약제급여목록 및 급여상한금액표 개정고시 (부여방법)

코드 일원화 코드 매핑 현황 : 총 27,903 코드 2010년 1월 1일 진료분부터 의약품 대표코드로 청구 이전 진료분은 기존의 EDI 코드로 청구 가능 보험급여 의약품 (16,583) 비급여 등 전환 의약품 (11,320) 보험등재 의약품 총 15,293 코드 (8월 말) ※’09.9월 신규등재: 102 코드 한약제제 총 1,290 코드 5년간 청구실적이 있는 의약품 총 11,055 코드 청구는 없었던 의약품이지만 보험청구기 간을 감안, 그간 생산·수입 실적이 있는 의약품 총 265 코드

매핑 제외 의약품 코드 일원화 지난 5년간 청구실적이 없는 EDI 코드 ☞ 의약품 표준코드가 없는 미생산·미수입 의약품으로 다시 생산되더라도 유통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의약품 표준코드를 의무적으로 부여 받고 의약품 바코드를 표시하여야 하므로 청구와 관련된 문제 발생 소지 없음

코드 일원화 기본 매핑 기준 EDI 코드의 제품명, 식약청 제품명, 표준코드 상품명 등을 건마다 확인 및 상호 교차점검을 통해 1 : 1 로 매핑 < 예시 > 제품코드 제품명 규격 단위 매핑 대표코드 A09300701 겔포스 20 g/포 641900010

코드 일원화 예외적 매핑기준 (1) 동일 품목의 포장형태에 따라 수가적용이 다른 경우 [예 : 트리악손주사 1G] ☞ 타입2, 타입3의 경우 의약품의 대표코드(끝자리 “0”)로 적용하지 않고, 포장단위 별 의약품 표준코드를 적용하여 1 : 1 매핑 제품코드 제품명 매핑 코드 A21401511 트리악손 주사(기본 바이알) 643503030(대표코드) A21452282 트리악손 주사 (타입2, 생리식염수 및 주사침 포함) 643503033(포장단위별 표준코드) A21452283 트리악손 주사 (타입3, 주사침 포함 ) 643503034(포장단위별 표준코드)

코드 일원화 예외적 매핑기준 (2) 동일품목의 포장단위별로 각각의 제품으로 보는 경우 [예 : 샌다맨주 250ml] ☞ 포장형태별로 각각의 다른 제품으로 복제약 가격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EDI 코드별로 대표코드(끝자리 “0”)로 적용하지 않고, 포장단위 별 의약품 표준코드를 적용하여 1 : 1 매핑 제품코드 제품명 규격 단위 의약품 대표코드 매핑코드 A02106482 샌다맨주 250 ml/병 8806449011605 644901161 A02156482 ml/백 644901162

코드 일원화 예외적 매핑기준 (3) 동일 품목의 적용단가가 약제급여기준에 따라 다른 경우 (* 3년 이후에는 환자가 전액본인부담 : 헵세라 10mg) ☞ 준용코드인 경우에는 의약품 대표코드 끝자리 “0”을 “J”로 적용 제품코드 제품명 규격 단위 매핑 코드 E00891091 헵세라정 10mg 1 650001560(대표코드) J00890901 헵세라 10mg (3년이후 100/100) 65000156J(준용코드)

코드 일원화 향후 추진일정 교 육 매핑 테이블 배포 및 고시 9월 22일 : 콜센터 교육 9월 ~ 11월 ※ 지원 별로 요양기관 및 관련 의약단체 간담회 등을 통해 전달 교육 및 홍보 교 육 매핑 테이블 배포 및 고시 9월 22일 : 콜센터 교육 9월 ~ 11월 · 내부직원 및 외부기관에 대한 집체 및 전달교육, 간담회 · 지원은 10월 말경 순회교육 9월~10월 : 약제급여목록표 변경고시 10월 : 매핑테이블 배포 10월~12월 : 시스템 변경지원 10월~12월 : 심사시스템 보완 * 전문가 점검, 접수증 안내 프로그램 등

FAQ 1 의약품 코드 일원화는 왜 하는 것인가요? 정부는 의약품 정보의 공동활용과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국가 의약품 코드(표준코드)”를 제정하였고, 동 코드를 국내에 유통되는 모든 완제의약품(비급여의약품 포함)에 부여하여 의약품 생산에서부터 유통, 사용까지의 모든 과정을 하나의 코드로 통합·관리하는 목적으로 코드 일원화를 추진한 것입니다.

FAQ 2 새로 변경되는 코드는 자릿수가 13자리 인데, 현행 EDI 코드 9자리와 자릿수가 달라 요양기관에서 적용이 어렵습니다. 어떻게 하여야 하나요? 코드 자릿수의 변동은 없습니다. 새로 변경되는 코드는 의약품 표준코드의 13자리 중 가운데 9자리를 활용하여 EDI 코드로 대체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코드 자릿수와 관련하여 프로그램을 수정하실 부분은 없습니다.

FAQ 3 2010년 1월 1일부터는 새로운 의약품 표준코드로 청구 하도록 규정이 개정되었습니다. 2010년 이전 진료분도 새로운 코드로 청구하여야 하나요? 보험등재약은 2010년 1월 1일 진료분 부터 의약품 표준코드로 청구하도록 고시가 개정된 바, 이전 진료분은 적용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2010년 1월 1일 이전 진료분은 종전과 같이 EDI 코드로 청구하여야 합니다.

FAQ 4 요양기관은 실거래가로 의약품 구입내역을 심평원에 신고하고 있습니다. 2010년 1월 1일 부로 새로 의약품 코드가 변경됨으로 인해 기존에 신고되었던 구입내역을 다시 재 신고 하여야 하는지요? 기존에 신고되었던 구입내역은 심평원에서 요양기관의 불편과 불이익이 없도록 일괄 조치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2010년 1월 1일 이후 구입 의약품에 대한 실거래가 내역은 새로운 의약품 코드로 신고하여야 합니다.

FAQ 5 코드매핑 테이블은 언제 배포되나요? 약제급여목록표가 복지부에서 변경 고시되는 시점에 맞추어 최대한 빨리 배포할 예정입니다. 예상 배포월은 10월이며, 우리원 홈페이지(www.hira.or.kr)와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www.kpis.or.kr)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될 것입니다.

코드 일원화와 관련된 문의사항은 어디로 하여야 하나요? FAQ 6 코드 일원화와 관련된 문의사항은 어디로 하여야 하나요? 코드 일원화 관련 추진 총괄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內 의약품정보센터에서 맡고 있습니다. 질의내용에 따라 아래의 전화번호로 문의하여 주십시오. 의약품정보센터 정보운영팀(☏ 705-9919,22,23) : 코드매핑 및 의약품 표준코드에 대한 사항 의약품정보센터 정보분석팀(☏ 705-9884,5) : 시스템 지원 약제관리실 약제등재부(☏ 705-6233,6441) : 고시항목 관련 고객센터(☏ 1644-2000) : 코드 일원화 관련 기본사항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