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IM Health informatics & information management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016 년도 1 학기 정보보호관리체계 (ISMS) 인증 이 강 신
Advertisements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컴퓨터는 미래 지식 사회의 핵심 요인  지식 사회의 도래 : 매 50 년 마다 큰 기술, 사회적 변화 발생.
컴퓨터공학특강 P yhton for Bioinformatics 2010//3/15 김진.
Information 지도 교수 : 김 주 한 교수 특성화 기간 : – 실습 기관명 : 서울의대 정보의학실 시스템 바이오 정보의학 국가핵심연구센터 특성화 기간 : – 이름.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 2003 IBM Corporation PLM Definition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노인병 진료분야 현황 전남의대 박 종 춘. 노인병 진료분야 현황 내용 노인인구 노인병 실태 노인병 진료분야 노인복지시설 요양병원의 현황 노인의학 교육.
2012 Knowledge Service Engineering Knowledge Service Engineering.
인공지능 소개 부산대학교 인공지능연구실. 인공 + 지능 인공지능이란 ? 2.
1. IT 환경 변화 Ⅳ. 프로젝트 추진방안 기업이 당면한 다양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IT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기업 내 데이터 발생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IT 환경 변화는 단순 데이터가 아닌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급격하게.
School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화) 나로고등학교 미래 과학 기술 전망과 이공계 진로 선택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환경교육과 교수 강형일.
환경교육 학교숲 활동가 박지나 안녕하세요. 대구생명의숲 활동가 박지나입니다.
목차 국가 R&D 기획ㆍ조정ㆍ평가 체계 국가 R&D 사업의 조사ㆍ분석 국가 R&D 예산 조정ㆍ배분 국가 R&D사업의 평가
Uracle의 U-Health 플랫폼 구축 현황 및
바이오산업 Back on the Radar Screen
요양기관 정보화 현황 및 발전방향 연구책임자 채영문 대한의료정보학회.
직무가치중심인사시스템 2004년 5월 발표자 : 오 영환(경영학박사) 한국능률협회컨설턴트.
IT집중교육1 (Mobile Multimedia Service & System Design)
노인병 진료분야 현황 전남의대 박 종 춘.
HR Strategy의 전체상 3. 인적자원관리 전략과 기능 1) 인적자원관리 전략과 정책 Unchangeable
한국중독정신의학회 중독치료지침서 개발위원회 보건복지부 알코올사업지원단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정부성모병원 정신과 이해국
매경KAIST K-CEO과정 LG전자 지식 경영 실천 사례.
4. ITIL 개요 * ICT :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nternet Computing KUT Youn-Hee Han
응급환자 및 응급의료체계 혜천대학 사회복지과 김 대 경 교 수.
Importing GEO data into MIAME format-based information System
DynaMed-What is EBM -What is Evidence-Based Medicine ?-
실시간 DW를 위한 엔터프라이즈 플랫폼 SYBASE KOREA October, 2010.
14,000.
Institute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
BPMS의 이해 (Business Process Management System)
Open Access 정보자원의 장기보존 전략
장학생 자격기준 ※ 공통 자격기준 - 언어영억, 수리영역, 외국어영역이 각각 4등급 이내 등급 자격기준 장학금
품질경영(ISO/FDIS 9001:2008) 개정규격 핵심내용 설명
재활공학의 이해와 발전방향 정동훈(나사렛대학교 재활공학과).
Cognitive radio Either a network or a wireless node changes its transmission or reception parameters to communicate efficiently avoiding interference with.
KMS 구현 및 활용사례 경쟁력 강화를 위한 2002년 5월 28일(화) 김 연 홍 상무 / 기술사
제 1 장 소 개 시스템 분석 및 설계 허철회 2006학년도 2학기 상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윤리연구관련 ELSI 제도 - 운영경험을 중심으로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Open Lab Day
강의 구성 제 1부 기업과 경영 및 환경 제 2부 경영의 관리기능 제 3부 경영의 업무기능 제 4부 경영의 신조류 및 기법
제 10 장 의사결정이란.
Department of AD & PR, Youngsan University
바이오 보건산업 활성화를 위한 조직은행 추진방안
서울대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서울의대 보라매병원 흉부외과
Course Guide - Algorithms and Practice -
Bioinformatics and Biomedical Imagining 연구회
Introduction to Computers
김경식 연세의대 외과학교실 간담췌외과 및 의학교육학과
Department of clinical pharmacology
지능형 생물정보처리 시스템 제1회 수퍼지능칩 및 응용기술 워크샵 장 병 탁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Global Nursing 환자안전과 의료분쟁 학생들에게 보여주는 슬라이드 지도교수 : 박 신 애.
시스템 분석 및 설계 글로컬 IT 학과 김정기.
의료관리 연구방법론 강의 소개 - 지역보건 기획과 평가
성공적인 웹사이트 구축 (2) 변화 발전하는 Site의 미래를 예측 반영해야 함.
Data Analytics for Healthcare
정신보건 사회복지 사회복지학과 은종숙.
제1장 인적자원관리의 의의 노무관리, 인사관리, 인적자원관리란?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란? 인적자원관리의 발전 추이는?
소프트웨어 종합설계 (Software Capstone Design)
The R&D Boundaries of the Firm: An Empirical Analysis
제6강 임상진료지침과 진료계획표.
Introduction to Computer System Spring, 2019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ife in 2030
COS Scholar Universe “Find Scholarly Experts on any Topic”
Ⅳ. 기술과 발명 Ⅰ. 청소년의 이해.
발표제목 Department of Nanoenergy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MIS 팀 프로젝트] 위치기반서비스 LBS 영어교육과 조용태 영어교육과 곽성현.
When Will AI Exceed Human Performance?
삼일회계법인 Assurance Specialist 공채 (Risk Assurance, K SOX팀)
CAJ – KNS55 (China Academic Journals)
Presentation transcript:

HIIM Health informatics & information management

AHIMA에서 제시하는 국제교육표준안

보건정보전문가의 영역* 보건정보관리(HIM) 보건정보과학(Health Informatics) 보건정보통신기술(HICT) 의료의 질, 환자안전, 보안, 효율성을 위해 필요한 보건정보를 획득, 분석, 보호 의료기관에서 임상, 경영, 행정 기능의 중개자 보건정보과학(Health Informatics) 의료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정보, 시스템, 기술 정보기술 기반의 혁신을 주도하는 설계, 개발, 적용, 연구, 분석, 구현 보건정보통신기술(HICT) 환자데이터를 관리/저장하는 S/W, H/W 등 정보시스템 관리 보건정보의 개발. 관리, 보안을 위한 인프라, 기술, 도구 정보 거버넌스(Information Governance) 전략적 자산으로서의 정보(the 8 Formal IG principles) 지배구조, 이사회, 경영진, (정보)관리자가 추진하는 조직 기능, (배경-이사회/최고 경 영층과 관리자 사이의 괴리, 기업전략과의 연계 미약)[위키백과]

의료정보학의 영역과 정의

Informatics 정보학 데이터와 정보를 관리하고 의사결정을 지원하는데 컴퓨터를 이용 Information과 Computer를 포함 Science of computer information systems 과학, 기술, 공학의 제반 영역을 포괄하는 학문 the practice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engineering of information systems Structure, algorithms, behaviour, and interactions of natural and artificial systems which store, process, access, and communicate information. Source: wikipedia

Health Informatics 유사용어 Health care/healthcare informatics Medical/Biomedical informatics Clinical informatics Nursing informatics Translational Bioinformatics (중개 의료정보학) 중개/질병 이행성 연구: 기초연구와 임상연구를 연계  유전체정보 맞춤의학 Molecular bioinformatics and clinical informatics Source: Wikipedia (retrieved 2011-08-20)

Health Informatics Tools Computers Clinical guidelines 임상지침 Formal medical terminologies 의료용어체계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정보통신시스템 UK Council of Health Informatics Professions

Health Informatics의 정의* Discipline at the intersection of information science, computer science, and health care. Deals with Resources자원, Devices장비, and Methods방법론 required to optimize the acquisition, storage, retrieval, and use of information in health and biomedicine. [wikipedia] The field concerned with the management and use of information in health care Hersh WR. Medical informatics: improving health care through information, JAMA, 2002, 288:1955-1958 Medical informatics is the rapidly developing scientific field that deals with resources, devices and formalized methods for optimizing the storage, retrieval and management of biomedical information for problem solving and decision making [Edward Shortliffe, 1995].

The scientific field that deals with biomedical information, data, and knowledge - their storage, retrieval, and optimal use for problem solving and decision-making. Shortliffe EH, Perreault LE. (eds) Medical Informatics: Computer Applications in Health Care and Biomedicine. New York: Springer- Verlag, 2000.

환자의 진료, 의학교육, 의학연구 및 의료 경영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효율 적으로 체계화하여 관리하는 학문 의료정보학은 근대의학의 이해를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과목 미국의과대학협회 (AAMC,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질병에 대한 서지학적 data에서부터 의무기록, 영상의학자료, 처방 및 치료와 관련된 보험정보 등 의학과 병원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의학영역에서 생성되 는 모든 data가 연구의 대상인 학문 대한의료정보학회

의료정보학의 필요성

Health care is an information-based science. Much of clinical practice involves gathering, synthesizing, and acting on information 임상 실습의 대부분은 정보 수집, 합성 및 행동을 포함합니다. - Hersh, 2002

왜 의료정보학이 필요한가?* Medicine is fundamentally an information science Clinicians and researchers spend a great deal of time acquiring and analyzing it There is evidence it is not used optimally e.g., misuse of services, medical errors, etc. There are scientific ways to determine how to use information better

의료정보학의 기본정리 * Fundamental Theorem of Medical Informatics, Friedman(2009) such that an intelligent person (practitioner) working in combination with information resources/technology is “better” than the person without such support.  Creating an environment of “supported practice” Adapted from Hersh WR. Health/Medical/Biomedical Informatics: A general Introduction. 2003

Medical Injuries As many as 48,000 to 98,000 Americans die each year from medical errors More people die from medical injuries than from breast cancer or AIDS or motor vehicle accidents Direct health care costs totaling $9 - 15 billion per year A systems approach utilizing information technology is needed 90-150억달러 = 약 9-15조원 매년 48,000 ~ 98,000 명의 미국인이 의료 사고로 사망합니다. 유방암이나 에이즈, 자동차 사고보다 의료 사고로 사망하는 사람이 더 많습니다. 1 년에 총 9 억 -150 억 달러의 직접 의료 비용 정보 기술을 이용한 시스템 접근이 필요합니다. http://www.nap.edu/catalog/9728.html

의료정보학의 범주

Informatician 정보사 Informatician: 아직 미확립된 용어 (25년 이상 소요?) Graduate ‘Titles’ do matter in health care Medicine – biomedical/medical informaticians Nursing – nursing informatics specialist HIM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professionals/professions The 3,500 or 4,000 biomedical and health informaticians are essentially ‘hybrid experts’ bridging a clinical discipline with knowledge and skills in ICT applied to health. 관련 대학 University of Utah 의료정보학과 (1968, Homer R. Warner) American College of Medical Informatics Abdelhak M, Grostick S, Hanken MA, Jacobs E.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of a strategic resource. Third edition. Philadelphia: Saunders; 2007, p.686-688.

정보의학 인증의 (한국) CPBMI (Certified Physician in BioMedical Informatics) 대한의료정보학회/한국정보의학인증의관리위원회 의료시스템의 정보화와 바이오-유전체 데이터의 급증으로 급변하는 진료와 연구 환경에 대응하고 환자중심, 데이터기반 맞춤형 의료시스템을 선도 핵심내용 의료정보학 개론 초급, 고급 초급 프로그래밍, 의학 알고리즘(Python) 자료처리론, 중급 통계학(R) 의생명정보학과 유전체 데이터분석 의료시스템, 보건의료정책, 의료경영, 리더십, 유헬스 바이오 유전체 정보학

보건의료정보관리사 (한국)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5099

Eight Key Constituencies within the domain - UK Council of Health Informatics Professions (UKCHIP) Information management Knowledge management Portfolio/programme/project management ICT Education and research Clinical informatics Health records (service and business-related) Health informatics service management 도메인 내의 8 개 핵심 구성 요소 - 영국 건강 정보 학회 (UKCHIP) 정보 관리 지식 관리 포트폴리오 / 프로그램 / 프로젝트 관리 ICT 교육 및 연구 임상 정보학 건강 기록 (서비스 및 비즈니스 관련) 건강 정보 서비스 관리

학문적 범위 의학적 자료/지식의 해석, 의학적 의사결정학, 의학 지식공학 등 을 망라 “지식에 관한 지식(knowledge about knowledge)"을 다루며, 미 시와 거시, 기초 의과학과 임상의학, 그리고 개별 환자의 임상 진료에서 공중보건학의 제 분야에 이르는 의학의 전반적인 영 역과 관련됨 대한의료정보학회

A Larger View of Medical Informatics (Shortleliffe, 2006; Hersh, 2003; Kukafka, 2001) Social Medical Informatics Bio- informatics Imaging Clinical Informatics Public Health Chemical Applied Science from Shortliffe in Kukafka et al., JPHPM, 2001  Hersh Population Cell and biomolecules Organ People Basic Science = Core Themes Standards and vocabulary  Decision-making Usability 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dapted from Hersh WR. Health/Medical/Biomedical Informatics A general Introduction. 2003)

의료정보학의 분류* 생명정보학 (Bioinformatics) 영상정보학 (Imaging informatics) 의생명과학 연구 도구로서의 의료정보학 주로 인간과 인간의 질병 및 치료를 주된 연구대상으로 함 생명현상(유전체 정보, 가계분석)을 정보학적 현상으로 파악 영상정보학 (Imaging informatics) 의학에 사용하는 영상에 관한 학문 X-ray, CT, MRI, Scan, 병리검사 등 임상정보학 (Clinical informatics) 임상과정에 초점을 맞춘 분야로서, 대중적으로 흔히 “의료정보학” 으로 불려지는 분야 임상진료의 제 과정에 정보공학적 방법론을 적용하는 제반 분야 보건정보학 (Public health informatics) 공중보건학적 관점에서 정보기술을 활용 보건 사업 수행, 보고체계, 정책 수립 등

의료정보학의 범주 - 대한의료정보학회 의료정보학은 DNA, RNA 염기 레벨의 정보, 단백질, 효소, 호르 몬에 이르는 폭넓은 미시 영역에서 생성되는 모든 data를 연구 대상으로 컴퓨터 기반 정보 시스템을 통한 데이터 마이닝과 확 률, 통계 등 다양한 정보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해 연구하는 생명 정보학(Bioinformatics)을 포괄함과 동시에 임상 진료의 제 과정을 정보공학적 방법을 통해 향상시키기 위한 응 용분야 전반을 포괄하는 임상의료정보학 (Clinical Informatics) 을 포함

의료용 데이터베이스, 전자의무기록, 병원정보시스템, 의료정보경영(관리)시스 템, 의료활동의 모니터링과 정도관리, 지역사회 보건의료정보망, 의학 멀티미디 어 (영상 및 신호처리), 의학정보의 보안과 사적 비밀보장과 사생활보호 등의 실 제적 응용을 갖는 제 분야와 그 관련 기술에 대한 폭넓은 교육 및 연구가 포함되 며, 최근 급속히 발달하고 있는 소비자의료정호학(consumer health informatics), 보 건의료정보학 (health informatics), 간호정보학 (nursing informatics) 등도 넓 은 의미에서 임상의료정보학 관련분야로 생각 할 수 있고, 각 임상과별 의료정보학들(psychiatric informatics, dental informatics, emergency healthcare informatics 등)도 임상의료정보학의 제 분야로 이해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 18세기 후반 1970년대 초반 20세기 초반

ICT 융합 의료산업 모바일 IoT 4차 산업혁명 빅데이터 인공지능 정밀의료* 재생의료

환자/병원 인구집단 ICT, 보건의료 패러다임의 변화를 견인 환자진료 의학교육 의학연구 의료경영 건강관리 질병예방 질병예측 보건정책

디지털 헬스케어

출처: 최윤섭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정밀의료, Precision Medicine 개인의 유전체정보, 의료정보, 환경 및 습관 정보 등을 ICT를 통 해 연계‧분석하여 환자 개인별로 최적의 맞춤 의료(예방‧진단‧ 치료)를 제공하는 미래의료 분야 인간의 유전자(genome), 환경(environment), 생활습관(lifestyle) 등의 개인간 차이를 고려하여 질병의 예방과 진단, 치료에 이르 기까지의 모든 단계를 개인 유전체 및 의료 정보의 통합 분석 등 새로운 의료적 접근법을 통해 최적의 치료법을 도출 (National Academy of Science, 2011) 2015년 오바마, 정밀의학 추진 계획(Precision Medicine Initiative)을 선언

OMICS 데이터 표현형: 유전자와 환경의 영향에 의해 형성된 생물의 형질 일일 운동량, 체중, 날씨, 기온

건강정보 HEALTH DATA, INFROMATION

김주한(2013).

보건데이터의 확장 먼미래 ? 인간 GIS EHR/PHR의 완성 현재 과거 Lab-on-a-chip 휴대용 스캔 의무기록 전자의무기록(EMR) 현재 보건정보 EHR/PHR IoT, 웨어러블 디바이스, 환자유래데이터 ? Lab-on-a-chip 휴대용 스캔 OMICS 데이터 먼미래 인간 GIS EHR/PHR의 완성

구텐베르크 인쇄술, 모바일 환경 202 휴대용 초음파장치를 이용해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은 1816년 이후로 의료의 상징이라 여겨왔던 고전적 청진기를 확실하게 뛰어넘는 것이다 “Stop listening and look!” 미네소타의 한 의료시스템(병원)에서는 일차 진료의를 대상으로 휴대용 장치를 이용해서 머리부터 발끝까지 초음파 신체검사를 할 수 있게 교육하는 훈련을 최근 완성했다.

인간 GIS = Omics +Prewomb to tomb 형질체 – 키, 체중, 눈동자색, 피부색 등 한 개인이 나타내는 모든 표현형 특성 생리체 – 심박동수, 혈압 등 개인의 모든 생리적 지표의 결합 해부체 – 개별해부학 유전체 – 개인의 DNA 염기서열을 구성하는 60억 개의 글자 전사체 – 개인에게 발현된 RNA의 총합 단백질체 – 개인의 모든 단백질 대사체 – 개인의 모든 대사산물 미생물체 – 개인의 몸에서 함께 살고 있는 미생물 후성유전체 – 특정 유전자들은 세대간 상이하게 발현 환경노출체 – 개인 환경, 개인이 노출되는 모든 것

Microbiome ※ 사람의 세포수 약 30조 << 인체내 미생물 수 약 100조, 유전자 개수는 인간의 150배 인간장내미생물프로젝트(Human Microbiome Project, 미국 2007) (제프리 고든)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연구 앞장 제약, 오바마 마지막 프로젝트 '장내미생물'에 주목 '장내 미생물'‥전세계가 주목하는 치료제 되기까지 내 안에 있는 이 작은 거인들은 과연 누구인가

인간 GIS 랩온어칩 랩인더바디 모바일스캔 스마트약상자 OMICS 착용형-바이오센서 Whole Genome Sequencing Virtual Health Assistants Bloodstream embedded biosensor Retail Clinic DIY Care X-ray USG MRI Health Span Genomics

THE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