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부전증.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Ⅳ. 소화, 순환, 호흡, 배설 3. 혈액이 빙글빙글 돌아요 !. 학습 목표 온몸 순환과 폐순환의 경로 및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혈액 순환 과정에서 물질의 이동 방향을 설명할 수 있다. Page_2.
Advertisements

만성폐쇄성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폐기능장애 및 폐기능검사 김 원 동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항공생리학 (aviation physiology) 항공기를 타고 비행하거나 우주여행에 따르 는 제반 생리학적 과제를 다루는 학문 저산소증 (hypoxia), 기압 변화, 가속도 (acceleration) 고지대의 생활.
산업보건위생 인공호흡 및 기도폐쇄 시 처치 안전분야–교육자료 미디어개발
Mechanical Ventilation
요세관 질환 (Tubular disorder)
소금의 긍정적/부정적 측면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장내과 박정환.
Chapter 22 내분비 장애 대상자 간호 -당질 대사장애 : 당뇨병
Ventilator Department of Pediatrics Chosun University Hospital Min Seon Choi, M.D.
7장 폐와 호흡의 물리 8장 심혈관계의 물리.
NPPV ( 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
혈중산소 포화도 측정기 김영중 김상희.
운동시 순환기 적응.
호흡기계 질환 및 산소요법, 분무 요법 가톨릭 대학교 부천 성모 병원 9층 서병동 최은경.
[ C O P D ].
Ventilator외 기타 Equipment
Sleep Apnea Syndrome 중앙대학교 흉부외과 인턴 한대훈.
뇌졸중 (stroke)의 영상적 접근 건국대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영칠.
복강 내압 (Intraabdominal pressure) 측정법
증 례 59세 남자환자 비소세포 폐암으로 좌측 폐 전 절제술 (Left pneumonectomy) 받고, 경과 관찰 중 호흡곤란 및 발열 발생하여 중환자실 입원함.
뇌신경계 뇌혈류검사[Brain Perfusion SPECT]
퇴행성 신경질환.
인공호흡기 간호 II 기관내 삽관과 흡인간호.
제 1 장 호흡기 장애.
ARDS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기계적 환기 Mechanical Ventilation
Nitric Oxide(NO) Inhalation Therapy
내 과 계 응 급 (Medical Emergency)
만성폐쇄성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COPD)
Intermittent Positive-Pressure Breathing (간헐적 양압 호흡)
진폐환자 치료적간호 신규간호사 Orientation 수간호사 박혜숙.
콜린효능차단약(Cholinergic blocking agents)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순환기계 TI-201 Myocardium SPECT 99mTc-MIBI 심근 검사 (99mTc-MIBI)
내분비계 99mTcO4- 갑상선 검사[Thyroid scan] 부갑상선 검사 요오드전신 검사
증 례 56세 남자환자 내원 6개월전에 골수 이형성 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진단후 항암화학치료 받았으나 급성 골수구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으로 진행하여 입원.
절주프로그램 1조 ⓒ 간호와 건강증진.
운동 중 호흡조절.
자가 호기말 양압(auto PEEP) 측정.
담배! 그 정체를 알자.
ECG (ElectroCardioGram)
Chapter 3 Cells and their function -2
과탄산성 호흡부전(Hypercapnic respiratory failure) 에서 비침습성 양압환기(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적용전후 의 PaCO2 변화 양상.
생체전기 방사선과 2학년 김경대.
호흡부전증 강원의대 내과.
(생각열기) 혈액의 순환 경로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알칼리증(alkalosis)및 저혈당이 유산증(lactic acidosis)을 유발한 증례
Pulmonary function I 이현숙교수님 김천동 PFT II.
PULMONARY FUNCTION2 한방의료공학과 김희주.
99mTc-MAA를 이용한 간세포암의 간동맥 관류 스캔의 유용성
비침습성양압환기(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하는 환자에게서 호기 기도 양압 올리는 경우 공기 삼킴증 (Aerophagia) 에 의한 횡격막 기능 부전위험성 있다.
흡 인(Suction).
Hemodynamic Monitroing
심부전 원리와 증상을 중심으로 월례 조회 내과 정홍명.
화상.
요독성 뇌병증(uremic encephalopathy)에 의한 발작후 저환기 (postictal hypoventilation)
제17장 호흡역학; 환기(ventilation)가 일어나는 모든 메커니즘 흡식(inspiration);공기가 폐로 이동하는 현상 호식(expiration);공기가 폐에서 나가는 현상.
17. 응고억제 * 정의– 혈장내에서 응고인자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인자
Automatic nerve system
운 동 과 고 혈 압 Exercise and Hypertension
호흡생리 백지원 송아정.
15. 지 혈 * 지혈이란? - 출혈로 인한 혈액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혈관을 막는 것 인위적인 지혈(동맥, 큰 혈관)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Fentanyl 사용시 보이는 이상 호흡 양상 (abnormal respiratory pattern)
급, 만성 신부전 환자 관리 김현정.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기도압이완환기법 (APRV - Airway pressure release ventilation) 의 설정법
Presentation transcript:

호흡부전증

호흡부전증 정의 동맥혈 산소분압이 정상치 이하이거나, 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이 정상보다 높은 상태 1) PaO2 < 50 mmHg or PaCO2 > 50 mmHg 2) PaO2 decrease > 10-15 mmHg, pH < 7.30 due to PaCO2 increase 특정 질병이 아니고 기능장애를 칭한다. Type I (Oxygenation failure) - PaCO2가 정상 또는 감소 Type II (Ventilatory failure) - PaCO2 증가 급성 호흡부전 만성 호흡부전

Acceptable Range

hypoventilation plus another mechanism Hypoxemia 감별 예 hypoventilation 아니오 PaCO2 증가? A-aDO2 증가? A-aDO2 증가? 예 아니오 예 아니오 산소공급으로 저산소혈증 교정되나? 예 아니오 흡입 PO2 감소 hypoventilation hypoventilation plus another mechanism shunt V/Q mismatch

Alveolo-arterial Oxygen Difference 폐가 산소 교환 잘 하나? A-aDO2 = PAO2 – PaO2 150 – (PaCO2/0.8)

혈액의 산소 운반 혈액의 O2 content = 1.34 × Hb × SaO2 + 0.0031 × PaO2 Oxygen delivery = Cardiac output x Oxygen content

호흡부전의 원인 (1) 연수 호흡중추의 이상 폐포성 저환기(alveolar hypoventilation), 약물중독, 연수형 소아마비(bulbar polio) (2) Chest bellow의 이상 Neuromuscular connection - Guillain-Barre syndrome, Myasthenia gravis, 소아마비, 파상풍 Bony bellows - 척추후측 만곡증, 비만증, 동요흉곽(flail chest) Pleura - 흉수, 늑막섬유증 (3) 상,하기도 질환 만성 폐색성폐질환, 기관지 천식, 크루프, 낭종성 섬유증(cystic fibrosis) (4) 폐포질환 소아 호흡부전 증후군, 성인 호흡부전 증후군, 폐부종, 중증폐렴

급성호흡부전의 치료 기도확보 산소공급 폐포환기유지 원인질환의 치료

기도 확보 (1) 인공기도 Oropharyngeal airway, Nasopharyngeal airway Endotracheal tube Tracheostomy (2) 기관내삽관(Endotracheal tube intubation)의 적응증 FiO2가 0.5 이상 필요할 때 호흡성산증이 치료되지 않고 저환기가 진행될 때 무호흡일 때 기도방어기전이 심히 약하거나 없을 때 분비물제거가 불가능할 때 호흡의 인위적 조절이 필요할 때 급성상기도폐쇄의 교정, 예방 및 폐흡인방지

산소 공급 PaO2를 60-80 mmHg, SaO2 > 90% 로 유지하도록 함 Nasal cannulas or prongs Venturi mask Facial mask with reservoir bag 기계호흡(Mechanical ventilator) - increase PaO2, decrease PaCO2, decrease work of breathing

O2 Therapy 목표 저산소혈증 교정 호흡일, 심근일 증가를 교정  PaO2 60mmHg이상 SaO2 90%이상 실제적인 접근(9) O2 Therapy 목표 저산소혈증 교정 호흡일, 심근일 증가를 교정  PaO2 60mmHg이상 SaO2 90%이상

Nasal Prong Flow rate of 100% O2  1~5 L/min FiO2  0.24~0.40 1L/min 실제적인 접근(10) Nasal Prong Flow rate of 100% O2  1~5 L/min FiO2  0.24~0.40 1L/min 0.04

Mask with Reservoir Bag 실제적인 접근(11) Mask with Reservoir Bag Flow rate of 100% O2  6~10 L/min FiO2  0.60~0.80이상 주의 : bag collapse 금기 : 낮은 유속의 산소

폐포환기 유지 (1) 기계호흡 - 인공호흡기의 사용 인공호흡기 적응증 - 분당호흡수 > 35회 폐활량 < 15cc/kg 흡기음압 < -20cmH2O 분당환기량 > 10L/min PaCO2 > 55mmHg 산소공급에도 PaO2 < 70mmHg (2) 호흡기말양압(PEEP : 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 increase FRC, decrease shunt, increase diffusing capacity increase compliance, maintain FiO2 < 0.6

만성폐질환에 동반된 급성호흡부전 만성폐질환의 원인질환 - 폐기종, 만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폐결핵, 기관지확장증, 미만성간질성폐질환 급성악화요인 - 분비물과다, 감염, 가역성 기도폐색, 안정제 복용, 심부전, 불규칙적 투약, 호흡근 약화, 폐색전증, 기흉

만성폐질환에 동반된 급성호흡부전의 치료 (1) 산소요법 PaO2를 50-60 mmHg로 유지하여 환기억제를 예방한다. 산소를 nasal cannula 1-3L/min로 투여하고 15-30분후 동맥혈 가스분석을 실시하여 투여량을 조절한다. 기관내 삽관은 가능하면 피하도록 한다. 고농도산소 투여시 환기억제발생 가능 (2) 기관지확장제 A. Aminophylline 제제 노인층, 심부전, 간질환 등이 병발했을 때는 용량감소, 흡연자는 용량증가 B. 교감신경 흥분제(selective β2 sympathomimetics) (3) 부신피질 호르몬제 (4) 항생제 Streptococcus pneumoniae, Hemophilus influenzae (5) 기도분비물 제거 Mucolytic agent, 습도유지, Nasotracheal suction, Physical therapy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급성으로 시작하여 폐혈관 투과성의 증가로 양측성 미만성 폐침윤이 발생하고 폐탄성이 감소하여 폐혈관 단락의 증가로 인한 저산소증이 발생하는 증후군 Recommended Criteria onset Oxygenation CXR PCWP ALI acute onset PaO2/FiO2<300 bilateral infiltration <18mmH2O PCWP ARDS acute onset PaO2/FiO2<200 bilateral infiltration <18mmH2O PCWP

병태생리 폐혈관 투과성의 증가로 혈관외액이 증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1) 폐포 모세혈관막의 손상기전 저혈압에 의한 혈류속도 감소 → formed element의 aggregation에 의한 폐모세혈관의 폐쇄 → 폐모세혈관막 장애 Airborn injury → 제2형 폐포세포 손상 → 내막세포 손상 2) 생리적 변화 (1) 폐탄성과 폐용적감소 초기에는 혈관외액이 간질조직에 축적되어 간질성 폐부종 발생 → 폐탄성 감소와 호흡곤란 더 진행시에는 혈관외액의 폐포내 축적으로 폐포 표면장력 감소로 인해 microatelectasis 발생 → 폐탄성 감소와 폐용적 감소 FRC의 감소로 세소기도 폐쇄발생 (2) 가스교환의 이상 Perfusion of underventilated alveoli (V/Q mismatch) Perfusion of non-ventilated alveoli (true shunt) - hallmark of ARDS, 60-70%까지 증가가능 Impaired diffusion : 폐포 모세혈관막의 증식, 폐모세혈량 감소, transit time 저하 (3) Work of breathing의 증가 호흡사강의 증가, 폐탄성의 감소

ARDS의 경과 Phase I - Injury and resuscitation 호흡부전 증상 없고 chest X-ray는 정상 통증으로 인한 과호흡으로 호흡성 알칼리혈증 가능 Phase II - Circulatory stabilization 대개 24-72시간이나 5-7일 정도 계속될 수 있음 과호흡과 (A-a)DO2증가, PaO2의 경미한 감소, 폐혈관단락 증가 Phase III - Progressive pulmonary insufficiency 빈맥, 저산소증의 악화, 저탄산혈증, 폐탄성 감소 chesy X-ray상 폐부종 양상 Phase IV - Terminal hypoxia and hemodynamic decompensation 폐혈관 단락의 증가, 과탄산혈증, 대사성 산혈증, 혼수, 비가역적 심근부전

치료 1) 산소요법 산소요법의 일반원칙 낮은 FiO2 유지, O2 운반의 최적화, O2 소모의 증가억제 FiO2 0.5로 PO2 50 mmHg를 유지할 수 없으면 인공호흡기를 사용한다. (1) 인공호흡기 목적 - 호흡성 산혈증의 교정, Work of breathing의 감소, 산소공급의 향상 적절한 PO2를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FiO2를 투여한다. FiO2가 0.4이하가 되도록 유지 (2) PEEP(positive end expiratory pressure) 목적 - FiO2를 0.6 이하로 유지함, PaO2를 60-80 torr로 유지함 효과 - FRC 증가, 단락의 감소 Best PEEP - maximum O2 transport 가능한 level로 compliance와 잘 연관됨 2) 수액요법 Pulmonary capillary wedge pressure(PCWP)를 측정하여 hypovolemia교정을 위한 충분한 양의 수액을 공급, 사용수액은 crystalloid로 충분하며 colloid는 거의 필요치 않음 3) Corticosteroid (1) Rationale - reduce inflammation, alter intravascular coagulation or microembolism, increase pul. blood flow, enhance alveolar epithelial cell function, prevent fibrosis (2) 사용량 - methylprednisolone 30 mg/kg/day 4) 항생제 : 예방적 항생제 투여는 효과가 없음 5) Nutrition

예후 사망율은 40-60%이며 그람음성균 패혈증에 의한 경우는 80-90% 주요 예후 판정인자 : (A-a)DO2, compliance, PEEP의 responsiveness 생존자의 40%는 폐기능의 이상을 보임(주로 제한성 질환 형태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호전)

급성호흡부전의 합병증 1) 폐 폐렴, 폐색전증, 폐섬유화증, barotrauma 기관내삽관, Swan-Ganz catheter 등과 연관된 iatrogenic 2) 위장관계 위장관출혈, pneumoperitoneum 3) 신장 신부전, 부종, 저나트륨혈증 4) 심혈관계 부정맥, 저혈압, 심박출량 감소 5) 감염 패혈증(septicemia), 원내감염(nosocomial infection) 6) 혈액계 빈혈, 혈소판감소증, DIC 7) 기타 정신신경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