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물여덟 자를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만드니 사람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3. 메소드와 변수 SCJP 자격증 프로젝트 발표자 : 최선웅. 1. 메 소 드 개 념 2. 메 소 드 양 식 3. 메 소 드 변 수 4. 메 소 드 예 제 5. 참 고 문 헌 / 자 료 목 차.
Advertisements

변수와 조건문 빛나리 36 호 박승운. 파이썬 쉽게 사용하기 Python IDLE 사용 FILE - New File 로 파일 만들기 Run – Run Module 로 실행하기.
나이세기 한 살한 살 두 살두 살 세 살세 살 네 살네 살 다섯 살 여섯 살 일곱 살 여덟 살 아홉 살 열 살열 살 나이세기I나이세기I.
사랑 손님과 어머니. [발단] 옥희네 가족 및 생활 형편 소개 / 낯선 손님이 사랑방에 하숙하게 됨 [전개] 아저씨와 어머니가 서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아빠였으면 좋겠다는 옥희의 말에 아저씨는 당황함 [위기] 아저씨와 어머니가 예배당에서 서로 의식 하여 부끄러워하고,
1. 2 차원 배열  배열은 동일한 데이터 유형으로 여러 개의 변수를 사용할 경우 같은 이 름으로 지정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앞에서 1 차원 배열을 공부하였습니다.  2 차원 배열은 바둑판을 생각하면 되며, 1 차원 배열에서 사용하는 첨자를 2.
주 음성 외에는 참 기쁨 없도다 날 사랑하신 주 늘 계시옵소서 기쁘고 기쁘도다 항상 기쁘도다 나 주께 왔사오니 복 주옵소서 주 음성 외에는.
그 사랑 아버지 사랑 내가 노래해 아버지 은혜 내가 노래해. 그 사랑 변함 없으신 거짓 없으신 성실하신 그 사랑.
훈민정음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역사적 가치, 만들어진 시대, 훈민정음의 분류의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訓(가르칠 훈) 民(백성 민) 正(바를 정) 音(소리 음) 백성에게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
제 3 장 고문 제 1절 옛말의 표현.
☆훈민정음을 만든 사람 ☆훈민정음을 반포한 날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훈민정음의 원리
93. 새해(1).
Project Management(인력관리)
성 시 교 독 76. 요한복음 1장.
99. 나라 사랑 1.
128. 사순절 5.
세계여러나라 만나면 반갑게 인사해요.
(생각열기)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와 모즐리의 주기율표 에서 원소를 나열하는 기준은? ( )
86. 요한계시록 14장.
성 시 교 독 79. 요한복음 15장.
RS 및 D 플립플롭 RS Flip Flop 래치는 어떤 입력 레벨에 의해서 제어되는 데 플립플롭은 클록 입력이라고
교 독 문 48. 고린도전서13장.
JA A V W. 03.
사도신경.
101. 나라 사랑 3.
52. 시편 119편.
5. 설명의 방법 설화 속의 호랑이.
자녀들아 모든 일에 부모에게 순종하라 이는 주 안에서 기쁘게 하는 것이니라 골로새서 3장 20절 말씀 -아멘-
91. 성찬 1.
일의 결국을 다 들었으니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의 명령들을 지킬지어다 이것이 모든 사람의 본분이니라
48. 시편 106편.
Chapter 4 Unit 10 관사(a/an, the) 명사와 관사.
성 시 교 독 69. 이사야 40장(2).
102. 나라 사랑 4.
중국의 명절, 춘 절. 신문방송학과 윤소혜.
89. 세례(침례) 2.
4. 시편 8편.
126. 사순절 3.
다양한 국가의 인사말과 인사법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십자가의 도가 멸망하는 자들에게는 미련한 것이요 구원을 받는 우리에게는 구원을 받는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능력이라
균형이진탐색트리 이진 탐색(binary search)과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와의 차이점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바 벨 론 메대 바사 헬 라 로 마 열 국 단2장 단7장 단8장. 바 벨 론 메대 바사 헬 라 로 마 열 국 단2장 단7장 단8장.
초기화면 미 술 5학년 10.판본체 궁체로 쓰기(3/8) 판본체와 궁체의 모양을 비교해 봅시다.
원고지 사용법.
가인을 사랑한 하나님.
SNS 광고 시안 [Facebook – 이미지 제작]
교 독 문 68. 국가기념주일.
죽임 당하신 어린양- 모든 족속 과 방언 백성과 나라 가운데서- 우리를 피로 사서 1. 죽임 당하신 어린양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하나님의 말씀 이 백성은 내가 나를 위하여 지었나니 나를 찬송하게 하려 함이니라 이사야 43장 21절 말씀 -아멘-
한글날 │ 572돌 스물여덟 자를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만드니 사람마다 나라의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의자 만들기 6-3 현승규 지도교사: 김윤수.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교독문 134번 부활절(2).
꼭 양에게 필요한 존재가 있어요 양에게 꼭 필요한 존재는 목자입니다 목자.
(생각열기)별의 색깔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 답 : 별의 표면 온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8. 시편 14편.
정삼각형을 정사각형으로 바꾸는 원리 탐구 하귀초등학교 6학년 고지상.
(생각열기) 운동 선수들이 땀을 많이 흘린 후 빠른 수분 보충을 위해 마시는 음료를 무엇이라 하는가? ( )
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으니 요한복음 1장 12절 말씀 -아멘-
바벨탑을 만드는 사람들.
교독문 71번 - 어린이 주일 - 신앙고백.
16. 시편 28편.
8장 표면거칠기 1. 표면 거칠기의 종류 - KS의 가공 표면의 거칠기(요철현상)를 지시하는 방법 최대높이 거 칠기(Ry), 10점 평균 거칠기(Rz), 산술(중심선) 평균 거칠기(Ra), 요철의 평균 간격(Sm), 국부 산봉우리의 평균 간격(S), 부하 길이 율(tp)
제7차시/서서하는 인사 경 례:목례와 거수경례 예절지도사 OOO선생님 유아 전통예절 교육단.
7월 고등부 공과설교 나는 누구인가요? 민수기 14:1-10.
친구야 너무 염려 말게나 친구여 너무 염려 말게나 폭풍도 잠시면 지나가고 밝은 빛이 보일거라네 저기 희미하게 등대불이 보이지 않는가.
8월 고등부 공과설교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 창세기 1:31.
Presentation transcript:

스물여덟 자를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만드니 사람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어금니와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이런 까닭으로 어리 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불쌍하게 생각하여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ㄱ은 어금니 소리이니 ‘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糾’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ㅋ은 어금니 소리이니 ‘快’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어금니 소리이니 ‘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ㄷ은 헛소리이니 ‘斗’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覃’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ㅌ은 헛소리이니 ‘呑’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ㄴ은 헛소리이니 ‘郎’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ㅂ은 입술소리이니 ‘彆’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步’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ㅍ은 입술소리이니 ‘標’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ㅁ은 입술소리이니 ‘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ㅈ은 잇소리이니 ‘卽’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慈’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ㅊ은 잇소리이니 ‘侵’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ㅅ은 잇소리이니 ‘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ㆆ은 목구멍소리이니 ‘挹’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ㅎ은 목구멍소리이니 ‘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목구멍소리 이니 ‘欲’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ㄹ은 반혓소리이니 ‘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ㅿ는 반잇소리이니 ‘穰’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ㆍ는 ‘呑’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ㅡ는 ‘卽’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ㅣ는 ‘侵 ’ 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ㅗ는 ‘洪’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ㅏ는 ‘覃’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ㅜ는 ‘君’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ㅓ는 ‘業’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ㅛ는 ‘欲’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ㅑ는 ‘穰’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ㅠ는 ‘戌’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ㅕ는 ‘彆’의 가운데 소리 같다. 나중의 소리는 다시 첫소리를 쓴다. ㅐ를 입술소리 아래에 이어 쓰면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된다. 첫소리를 합하여 쓸것 이라면 나란히 쓴다. 끝소리도 마찬 가지이다. ㆍ와 ㅡ와 ㅗ와 ㅜ와 ㅛ와 ㅠ는 첫소리 아래에 붙여서 쓰고, ㅣ와 ㅏ와 ㅓ와 ㅑ와 ㅕ는 오른쪽에 붙여 쓴다. 무릇 글자가 모름지기 어울려야 소리가 이루어지나니 왼녘에 한 점을 더하면 가장 높은 소리오, 점이 둘이면 상성이오, 점이 없으면 평성이다. 입성은 점을 더하는 것은 마찬가지 이지만 빠르다. 중 국 소리의 잇소리는 치두와 정 치를 분별하는 것이 있 으니 소리의 글자는 혀와 입술과 목 중국 소리에 통용 하여 쓴다.

스물여덟 자를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만드니 사람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어금니와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이런 까닭으로 어리 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불쌍하게 생각하여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ㄱ은 어금니 소리이니 ‘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糾’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ㅋ은 어금니 소리이니 ‘快’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어금니 소리이니 ‘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ㄷ은 헛소리이니 ‘斗’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覃’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ㅌ은 헛소리이니 ‘呑’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ㄴ은 헛소리이니 ‘郎’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ㅂ은 입술소리이니 ‘彆’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步’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ㅍ은 입술소리이니 ‘標’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ㅁ은 입술소리이니 ‘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ㅈ은 잇소리이니 ‘卽’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慈’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ㅊ은 잇소리이니 ‘侵’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ㅅ은 잇소리이니 ‘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ㆆ은 목구멍소리이니 ‘挹’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ㅎ은 목구멍소리이니 ‘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목구멍소리 이니 ‘欲’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ㄹ은 반혓소리이니 ‘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ㅿ는 반잇소리이니 ‘穰’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ㆍ는 ‘呑’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ㅡ는 ‘卽’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ㅣ는 ‘侵 ’ 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ㅗ는 ‘洪’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ㅏ는 ‘覃’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ㅜ는 ‘君’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ㅓ는 ‘業’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ㅛ는 ‘欲’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ㅑ는 ‘穰’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ㅠ는 ‘戌’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ㅕ는 ‘彆’의 가운데 소리 같다. 나중의 소리는 다시 첫소리를 쓴다. ㅐ를 입술소리 아래에 이어 쓰면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된다. 첫소리를 합하여 쓸것 이라면 나란히 쓴다. 끝소리도 마찬 가지이다. ㆍ와 ㅡ와 ㅗ와 ㅜ와 ㅛ와 ㅠ는 첫소리 아래에 붙여서 쓰고, ㅣ와 ㅏ와 ㅓ와 ㅑ와 ㅕ는 오른쪽에 붙여 쓴다. 무릇 글자가 모름지기 어울려야 소리가 이루어지나니 왼녘에 한 점을 더하면 가장 높은 소리오, 점이 둘이면 상성이오, 점이 없으면 평성이다. 입성은 점을 더하는 것은 마찬가지 이지만 빠르다. 중 국 소리의 잇소리는 치두와 정 치를 분별하는 것이 있 으니 소리의 글자는 혀와 입술과 목 중국 소리에 통용 하여 쓴다.

스물여덟 자를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만드니 사람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어금니와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이런 까닭으로 어리 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불쌍하게 생각하여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ㄱ은 어금니 소리이니 ‘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糾’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ㅋ은 어금니 소리이니 ‘快’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어금니 소리이니 ‘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ㄷ은 헛소리이니 ‘斗’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覃’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ㅌ은 헛소리이니 ‘呑’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ㄴ은 헛소리이니 ‘郎’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ㅂ은 입술소리이니 ‘彆’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步’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ㅍ은 입술소리이니 ‘標’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ㅁ은 입술소리이니 ‘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ㅈ은 잇소리이니 ‘卽’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慈’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ㅊ은 잇소리이니 ‘侵’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ㅅ은 잇소리이니 ‘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ㆆ은 목구멍소리이니 ‘挹’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ㅎ은 목구멍소리이니 ‘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목구멍소리 이니 ‘欲’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ㄹ은 반혓소리이니 ‘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ㅿ는 반잇소리이니 ‘穰’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ㆍ는 ‘呑’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ㅡ는 ‘卽’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ㅣ는 ‘侵 ’ 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ㅗ는 ‘洪’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ㅏ는 ‘覃’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ㅜ는 ‘君’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ㅓ는 ‘業’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ㅛ는 ‘欲’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ㅑ는 ‘穰’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ㅠ는 ‘戌’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ㅕ는 ‘彆’의 가운데 소리 같다. 나중의 소리는 다시 첫소리를 쓴다. ㅐ를 입술소리 아래에 이어 쓰면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된다. 첫소리를 합하여 쓸것 이라면 나란히 쓴다. 끝소리도 마찬 가지이다. ㆍ와 ㅡ와 ㅗ와 ㅜ와 ㅛ와 ㅠ는 첫소리 아래에 붙여서 쓰고, ㅣ와 ㅏ와 ㅓ와 ㅑ와 ㅕ는 오른쪽에 붙여 쓴다. 무릇 글자가 모름지기 어울려야 소리가 이루어지나니 왼녘에 한 점을 더하면 가장 높은 소리오, 점이 둘이면 상성이오, 점이 없으면 평성이다. 입성은 점을 더하는 것은 마찬가지 이지만 빠르다. 중 국 소리의 잇소리는 치두와 정 치를 분별하는 것이 있 으니 소리의 글자는 혀와 입술과 목 중국 소리에 통용 하여 쓴다.

스물여덟 자를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만드니 사람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어금니와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이런 까닭으로 어리 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불쌍하게 생각하여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ㄱ은 어금니 소리이니 ‘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糾’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ㅋ은 어금니 소리이니 ‘快’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어금니 소리이니 ‘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ㄷ은 헛소리이니 ‘斗’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覃’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ㅌ은 헛소리이니 ‘呑’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ㄴ은 헛소리이니 ‘郎’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ㅂ은 입술소리이니 ‘彆’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步’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ㅍ은 입술소리이니 ‘標’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ㅁ은 입술소리이니 ‘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ㅈ은 잇소리이니 ‘卽’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慈’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ㅊ은 잇소리이니 ‘侵’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ㅅ은 잇소리이니 ‘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ㆆ은 목구멍소리이니 ‘挹’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ㅎ은 목구멍소리이니 ‘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목구멍소리 이니 ‘欲’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ㄹ은 반혓소리이니 ‘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ㅿ는 반잇소리이니 ‘穰’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ㆍ는 ‘呑’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ㅡ는 ‘卽’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ㅣ는 ‘侵 ’ 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ㅗ는 ‘洪’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ㅏ는 ‘覃’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ㅜ는 ‘君’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ㅓ는 ‘業’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ㅛ는 ‘欲’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ㅑ는 ‘穰’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ㅠ는 ‘戌’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ㅕ는 ‘彆’의 가운데 소리 같다. 나중의 소리는 다시 첫소리를 쓴다. ㅐ를 입술소리 아래에 이어 쓰면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된다. 첫소리를 합하여 쓸것 이라면 나란히 쓴다. 끝소리도 마찬 가지이다. ㆍ와 ㅡ와 ㅗ와 ㅜ와 ㅛ와 ㅠ는 첫소리 아래에 붙여서 쓰고, ㅣ와 ㅏ와 ㅓ와 ㅑ와 ㅕ는 오른쪽에 붙여 쓴다. 무릇 글자가 모름지기 어울려야 소리가 이루어지나니 왼녘에 한 점을 더하면 가장 높은 소리오, 점이 둘이면 상성이오, 점이 없으면 평성이다. 입성은 점을 더하는 것은 마찬가지 이지만 빠르다. 중 국 소리의 잇소리는 치두와 정 치를 분별하는 것이 있 으니 글자는 중국 소리에 혀와 입술과 목소리 통용하여 쓴다 .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불쌍하게 생각하여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ㄱ은 어금니 소리이니 ‘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糾’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ㅋ은 어금니 소리이니 ‘快’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어금니 소리이니 ‘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ㄷ은 헛소리이니 ‘斗’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覃’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ㅌ은 헛소리이니 ‘呑’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ㄴ은 헛소리이니 ‘郎’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ㅂ은 입술소리이니 ‘彆’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步’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ㅍ은 입술소리이니 ‘標’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ㅁ은 입술소리이니 ‘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ㅈ은 잇소리이니 ‘卽’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慈’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ㅊ은 잇소리이니 ‘侵’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ㅅ은 잇소리이니 ‘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ㆆ은 목구멍소리이니 ‘挹’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ㅎ은 목구멍소리이니 ‘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목구멍소리이니 ‘欲’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ㄹ은 반혓소리이니 ‘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ㅿ는 반잇소리이니 ‘穰’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ㆍ는 ‘呑’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ㅡ는 ‘卽’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ㅣ는 ‘侵’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ㅗ는 ‘洪’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ㅏ는 ‘覃’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ㅜ는 ‘君’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ㅓ는 ‘業’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ㅛ는 ‘欲’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ㅑ는 ‘穰’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ㅠ는 ‘戌’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ㅕ는 ‘彆’의 가운데 소리 같다. 나중의 소리는 다시 첫소리를 쓴다. ㅐ를 입술소리 아래에 이어 쓰면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된다. 첫소리를 합하여 쓸 것이라면 나란히 쓴다. 끝소리도 마찬가지이다. ㆍ와 ㅡ와 ㅗ와 ㅜ와 ㅛ와 ㅠ는 첫소리 아래에 붙여서 쓰고, ㅣ와 ㅏ와 ㅓ와 ㅑ와 ㅕ는 오른쪽에 붙여 쓴다. 무릇 글자가 모름지기 어울려야 소리가 이루어지나니 왼녘에 한 점을 더하면 가장 높은 소리오, 점이 둘이면 상성이오, 점이 없으면 평성이다. 입성은 점을 더하는 것은 마찬가지이지만 빠르다. 중국 소리의 잇소리는 치두와 정치를 분별하는 것이 있으니 어금니와 혀와 입술과 목소리의 글자는 중국 소리에 통용하여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