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8장 가상 기억장치의 구성과 관리 200512016장태양.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 Lotte EDI 환경 설정 매뉴얼 LLTTTTEE Always with You OO.
Advertisements

1 넷스팟 MAC ID 설정 방법 ( 서울캠퍼스 기준 ) 각종 스마트폰의 WiFi 를 이용시 각종 스마트폰의 WiFi 를 이용시 MAC ID 설정을 하는 방법 입니다. 아이폰의 경우는 별도의 설정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하오니, 사용이 어려울 경우, 고객센터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제 8 장 메모리 관리전략. 개요 2 기억장치 관리의 발전 개요 SSD(Solid State Drive) – 반도체 메모리 내장함, 처리속도 빠르고 소음이 없고 전력소모량이 적은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모델 주소 바인딩 (address binding) – 정의 논리적.
제 9 장 가상기억장치 (Virtual Memory)
8 가상 메모리.
컴퓨터와 인터넷.
UNIX 운영 체제의 설계 - Chapter 4. 파일의 내부 표현
적외선으로 감지하는 추적 카메라 조원 : 최승호, 백진영, 이현지.
재료수치해석 HW # 박재혁.
연결리스트(linked list).
Report #2 - Solution 문제 #1: 다음과 같이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초 [Final] 기말고사
운영체제 4장 요약정리(CPU 스케줄링) 2A 박훈.
가상 기억장치 (Virtual Memory)
가상 기억장치 (Virtual Memory)
Windows Server 장. 사고를 대비한 데이터 백업.
Linux서버를 이용한 채팅프로그램 지도 교수님 : 이형원 교수님 이 름 : 이 은 영 학 번 :
07.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초기화와 종료 김진홍
8장. 원격지 시스템 관리하기.
Chapter 06 프로세스와 예약작업 관리 Solaris 1. 프로세스 관리
Chapter 21 Network Layer: ARP, ICMP (IGMP).
11장. 포인터 01_ 포인터의 기본 02_ 포인터와 Const.
기억 장치 관리 (Memory Management)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DK-128 실습 EEPROM 제어 아이티즌 기술연구소
Sungkyunkwan University OS Project Dongkun Shin
운영체제 (Operating Systems)
보조저장장치 구조(Secondary Storage Structure)
제 22 장 TCP Persist Timer.
2주차 운영체제-프로세스 2-B 장정훈.
UNIT 07 Memory Map 로봇 SW 교육원 조용수.
메모리 관리 & 동적 할당.
멀티미디어시스템 제 6 장. 운영체제 IT응용시스템공학과 김 형 진 교수.
제 8장 가상 기억장치 구성 A 박남규.
Quiz #7 다음 수들을 합병 정렬과 퀵 정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름 차순으로 정렬하였을 때, 데이터 이동 회수를 각각 구하라. 여러분은 정렬 과정을 단계별로 보이면서 이동 회수를 추적해야 한다. 단, 퀵 정렬시에 피봇으로 배열의 왼쪽 첫 번째 원소를 선택한다. 5.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2012 R2
컴퓨터시스템 구조 Computer System Architecture.
제9장 가상 기억 장치(Virtual Memory)
2.1 개요 ★TIP 프로세스란? 부팅 실행중인 프로그램, 비동기적 행위 등
27강 JAVA Collections - II - Map계열 컬렉션 클래스 살펴보기 - Set계열 컬렉션 클래스 살펴보기
7장 주기억장치 관리 A박도하.
논리회로 설계 및 실험 5주차.
(개정판) 뇌를 자극하는 Red Hat Fedora 리눅스 서버 & 네트워크
DK-128 실습 내부 EEPROM 제어 아이티즌 기술연구소 김태성 연구원
컴퓨터 시스템 하드웨어 컴퓨터 시스템 소프트웨어 C P U Control Unit 입 력 장 치 출 력 장 치 ALU
ARM Development Suite v1.2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보고서 #7 (기한: 6/2) 2개의 스택, stk1, stk2를 이용하여 큐를 구현하라.
15강. 폼 데이터 값 검증 Validator를 이용한 검증 ValidationUtils 클래스
4장 가상 기억장치 관리 4.1 가상 기억 장치의 개요 4.2 주소사상 기법 4.3 블록 사상(block mapping)
제 6 장 가상 기억 장치의 구성 Section 1 개 요 Section 2 페이징 기법 Section 3 세그먼테이션 기법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효과적인 미디어 트랜스코딩 부하분산 정책
가상 기억 장치(Virtual Memory)
8 가상 메모리.
AT MEGA 128 기초와 응용 I 기본적인 구조.
8장 가상 기억장치의 구성 C반 권예용.
UNIT 25 SPI 로봇 SW 교육원 조용수.
3장 JSP프로그래밍의 개요 이장에서 배울 내용 : JSP페이지의 기본적인 개요설명과 JSP페이지의 처리과정 그리고 웹 어플리케이션의 구조에 대해서 학습한다.
5.2.3 교환방식의 비교 학습내용 교환방식의 비교.
System Security Operating System.
9 브라우저 객체 모델.
가상 기억 장치(Virtual Memory)
제 4 장 Record.
Homework #3 - 페이지 모듈화 및 로그인처리 -
과 목 명 : 운영체제 담당교수 : 박 승 기 학 과 : 컴퓨터 소프트웨어 학 번 : 이 름 : 최 현 식
개정판 누구나 즐기는 C언어 콘서트 제13장 동적 메모리 출처: pixabay.
교착 상태 해결 : 교착 상태 탐지 교착 상태 탐지(Deadlock Detection)
2. 프로세스 B 안우진 - 운영체제 -.
ARP.
Presentation transcript:

제 8장 가상 기억장치의 구성과 관리 200512016장태양

페이지 반입 정책(1) : 요구, 예상 요구 페이징(demand paging) 기법 수행중인 프로세스에 의해 호출된 페이지만 실 기억장치로 적재 실 기억장치로 적재된 페이지은, 프로세스에 의해 실제로 참조되고 있는 페 이지들만 모두 들어 있다는 장점을 가짐 즉, 짐작(예상)에 의해 페이지들을 실 기억장치에 적재 시킬 때 발생할 수 있 는 각종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음 문제점 새로운 페이지가 필요할 때마다, 그 페이지를 적재시켜 주는 시간이 필요 이 때, 해당 프로세스가 그 동안 아무런 일도 하지 않고 대기 대기하는 동안, 역시 이 프로세스에게 할당되어 있는 페이지 프레임들도 유휴 상태 예상 페이징(prepaging)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페이지들을 운영 체제가 미리 예상하여, 사용 가 능한 실기억 장치에 미리 적재시켜 주는 방법 예상이 완전히 맞았을 경우, 요구 페이징에 비해 실행 시간이 크게 단축

페이지 대치 알고리즘 개념 페이지 부재(page fault) 접근 타당/비타당 비트 실 기억장치의 모든 프레임이 Full일 때, 실 기억장치에 새롭게 적재할 페이지가 있을 때, 실 기억장치 내의 어떤 페이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페이지를 대치시켜 넣을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 페이지 부재(page fault) 주기억 공간 내에 적재되지 않은 페이지에 대한 접근 요구시에 일어나며, 운영체제에게 페이 지 부재 인터럽트를 발생시킴 페이지 부재 인터럽트 시의 처리의 내용 가상 기억 공간에 있는 해당 페이지를 실기억 공간으로 적재 실기억 공간의 페이지 프레임 상태를 확인(비어있는 프레임이 있는가?) 사용가능 페이지 프레임(available page frame)이 하나도 없을 때 페이지 대치 알고리즘 수행 접근 타당/비타당 비트 주기억 공간 또는 가상기억 공간에 적재된 페이지인지 구분키 위함 PMT내의 한 항목

요구 페이징의 처리 과정 주소 참조를 요구(demand page)하면, 해당 PCB 검사, 접근 유효성 확인 유효하지 않은 참조일 때는 프로세스를 중단, 유효한 참조일 때에는, 가상 주소에 있는 페이지 번호를 이용하여 PMT를 검사 PMT의 접근 타당 / 비타당 비트가 타당일 때(R = 1) PMT 내에 있는 실기억 장치상의 페이지 프레임 번호와 가상 주소 내에 있는 페이지 변위를 이용하여 동적 주소 변환 수행 접근 타당/비타당 비트가 비타당일 때(R = 0) 부당한 주소 참조에 의한 페이지 부재(page fault) 인터럽트가 발생 페이지 부재가 일어나면 사용가능 페이지 프레임 리스트가 검사됨 사용가능 프레임이 있으면, 하나의 페이지 프레임을 선택한 후, 요구된 페이지를 실기억 공간내의 사 용가능 페이지 프레임에 할당하기 위해 디스크 조작 수행 요구된 페이지가 실기억 공간의 페이지 프레임에 할당된 후에는 PMT와 프로세스 제어 블럭(PCB)의 내용을 갱신하고 R = 1로 변경 페이지 부재 인터럽트에 의해 잠시 저장(보관)되었던 프로세스 상태를 복귀시켜 중단되었던 프로세스를 계속 시행 사용가능 페이지 프레임이 없으면, 페이지 대치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사 용가능 페이지 프레임을 만든 후, ⑤로 이동.

페이지 할당 알고리즘 전역 할당(global allocation) 지역 할당(local allocation) 하나의 프로세스가 차지할 수 있는 페이지 프레임의 대상을 주기억 공간상의 전체 페이지 프 레임으로 하는 방법 지역 할당(local allocation) 자신의 프로세스에게 할당된 페이지 프레임 개수만으로 할당하는 방법 지역 할당시의 고려 사항 : 하나의 프로세스에게 최소 몇 개의 페이지 프레임을 할당할 것인 가를 결정해야 함

빈번한 페이지 대치(교환)의 문제 프로세스가 어떤 페이지를 요구했을 때, 페이지 부재의 발생으로 인하여 해당 페이지가 실기억 공간에 적재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최소로 줄 여주는 방법 페이지 교환 시간이 프로그램 수행 시간보다 많이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

페이지 대치 알고리즘 요구 페이징의 성능과 페이지 대치 개념 일반적으로, 요구 페이징의 성능은 페이지 부재율과 관련 있음 Page Fault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요구된 페이지에 대한 유효 접근 시간 = 기억장치 접근 시간 Page Fault가 발생하였을 때, 페이지 부재를 처리하기 위한 많은 시간이 필요 요구 페이지 부재 발생시의 처리 과정 OS에게 페이지 부재 인터럽트 통보 사용가능 P/F 존재 검사(미 존재이면 페이지 대치 작업 수행) 있을 때, 어떤 P/F를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 가상기억공간에 있는 페이지를 P/F로 읽어 들임 디스크에 대한 입력 요구가 즉각 행해지지 않을 때에는 대기시간 필요 디스크 구동 시간과 빈 프레임으로의 전송 시간 필요 디스크 입출력이 끝났다는 인터럽트를 보냄(요구된 페이지가 P/F로 적재됨) 현재 CPU를 할당받고 있는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PSW 등) 보관(OLD 로..) 프로세스 제어 블럭(PCB)의 내용 갱신 페이지 부재 인터럽트에 의해 잠시 저장(보관)되었던 프로세스 상태를 모두 복귀시키고, 중단 되었던 프로세스를 재 시행

따라서, page fault 시, 페이지 부재 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 또한 처리시, 페이지 부재율(page fault rate)을 최소화 하는 것이 관건 페이지에 대한 유효 접근 시간 주기억 장치 접근시간: MAt , 페이지 부재율: P, 페이지 부재 처리시간: PFt 원하는 페이지에 대한 유효 접근 시간은? 페이지 부재가 없을 때 : Mat (10 – 200 ㎲) 페이지 부재가 있을 때 : (0 ≤ P ≤ 1) : 일반적으로 P는 거의 0에 가까움 (1-P) * MAt + (P * PFt) 예) 주기억 장치에 대한 접근 시간( Mat ) : 1 ㎲, (microsecond) 페이지 부재를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 PFt ) : 10㎳ 유효 접근 시간 계산? (1 - P) * MAt + (P * PFt) = (1 - P) * (1 ㎲) + (P * 10 ㎳) = (1 - P) * (1 ㎲) + (P * 10,000 ㎲) = (1 ㎲ - P ㎲) + 10,000 P ㎲ = 1 ㎲ + 9999 P ㎲

따라서, 원하는 페이지에 대한 유효 접근 시간은 페이지 부재율 P에 비례 = 1 ㎲ + (9999 / 1000) ㎲ = 10.9 ㎲ (약 11 ㎲ ) 즉, 1000개의 페이지 요구 중, 단 1개의 페이지 부재가 있더라도, 페이지 부재가 전혀 없을 때 (P = 0)의 접근 시간 (1 ㎲) 보다 11배 정도 느리게 처리됨을 알 수 있음 위 상황에서 P=0일 때보다 10% 정도만 느리게 처리되기 위한 페이지 부재율 계산 1 + 9999 P < 1.10 9999 P < 0.10 P < 0.00001 즉, 100,000번의 페이지 요구 중, 1회 이하의 페이지 부재가 일어나야만, 페이지 부재가 전혀 없을 때의 접근 시간보다, 10%이하의 감속을 기대할 수 있음 따라서, 요구 페이징 기법은 페이지 부재율을 가능한 한 낮게 한다는 것이 매우 중요 이를 위한 각종 알고리즘과 정책이 필요

페이지 대치 요구 페이징에서는 사용자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동안, 페이지 부재(page fault)가 수 시로 발생 페이지 부재 인터럽트가 일어나면 사용가능 페이지 프레임이 있는가를 검사하여, 이때 실 기억 공간 내에 사용 가능한 페이지 프레임이 하나도 없을 때에 페이지 대치 (page replacement)작업을 행하게 됨 페이지 프레임 내의 페이지 중에서 특정 페이지를 희생자로 선정하여 예비 기억 공간으로 내 보내고, 새롭게 요구된 페이지를 그 프레임에 대치시켜 넣는 작업 페이지 대치 과정 사용가능 페이지 프레임이 없을 때 실시 희생자 프레임을 선정하는 페이지 대치 알고리즘 적용 희생자로 선정된 페이지를 보조 기억장치로 이동하고, 해당 PMT를 변경 요구된 페이지를 비워진 페이지 프레임으로 읽어 들이고, 해당 PMT를 변경 페이지 부재 인터럽트에 의해 잠시 보관 되었던 프로세스 상태를 모두 복귀시키고, 중단되었 던 프로세스를 재 시행

페이지 대치과정에서 중요사항 희생자 프레임 선정 과정인 ②번에서, 페이지 부재율이 가능한 한 낮은 알고리즘이 적 용되어야 한다는 것 예) 지금 요구된 페이지에 바로 이어서 요구될 페이지를 희생자로 선정, 대치시키게 되면, 연 속으로 페이지 부재가 일어나, 페이지 부재율을 높임 희생 페이지를 예비 기억장치로 이동하는 ③번 과정에서, 주기억 장치 내에 적재된 후의 내용 변경 유무 비트인 'M'을 참조하면, 예비 기억 장치로의 출력 시간을 줄일 수 있음 즉, M = 0이면, 변경사항이 없었으므로, 예비 기억 장치 내에 들어 있는 해당 페이지의 원본 이 지워져 있지 않는 한 예비 기억 장치로 다시 출력시킬 필요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