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에 대한 개요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돈과 빈곤. 가난은 장애다 “ 이발소 건물 주인 아저씨는 휠체어를 타고 다녔어. 장애인이었지. 하지만 아버지 앞에서 는 늘 당당했어. 아버지하고 얘기를 나눌 때 면 아버지는 늘 무릎을 꿇으셨지. 눈을 맞춰 야 하니까. 위에서 내려다볼 수는 없잖아, 건 물 주인을. 그.
Advertisements

조문수 최성현 정장일 최봉건 청소년 성착취.
비즈쿨 - 정 성 욱 - - 금오공고 비즈쿨 - 정 성 욱 1. 나는 각 단원들의 활동들에 성실하게 참여 하겠습니다. 우리의 다짐 2. 나는 나와 전체의 발전을 위해 각 멘토들의 지도에 순종하겠습니다. 3. 나는 각 단원들을 숙지함으로써 비즈니스 마인드를 함양하고 자신의.
노인복지론 담당교수 : 최 병태 교수님 학과 : 보건복지경영학과 학번 : 이름 : 김 태인 날짜 :
리더십 - 이론과 실제 제5장 리더의 권한과 부하의 참여 1. 부하의 의사결정 참여 (1) 어느 정도 참여시킬 것인가? (2) 누구를 참여시킬 것인가? 2. 부하참여의 좋은 점과 문제점 (1) 참여로 인한 혜택 (2) 의사결정 참여의 불리한 점 (3) 참여대상자에 따른.
LEGAL RISK for DOCTORS 기업분쟁연구소 소장 조우성 변호사 MANAGEMENT 법무법인 한중 파트너 변호사.
Certified Management Accountant [ 국제공인 관리회계사 ] ( 토 ) ~ ( 토 ) 년 제 6 기.
부산지방노동청양산지청. 클린웨이브 클린웨이브 대한민국을 맑게 하는 청렴물결 청렴도평가로 대표되는 대한민국 반부패ㆍ청렴정책의 대표 브랜드 청렴도평가의 도입으로 공공분야 전반 ( 제도ㆍ문화ㆍ시스템 등 ) 에 퍼져 나가는 잔잔하면서도 그 파급효과가 큰 청렴물결을 형상화 청렴도평가의.
목 차 1 Ⅰ. Ⅰ. 공무원 윤리  복무제도 Ⅱ. 공무원 근무제도 Ⅲ. 공무원 복무제도 Ⅳ. 새로이 도입된 공직 윤리 · 복무 제도.
2014년도 주요법령 개정사항 (월) ~ (금) 대한전문건설협회 강원도회.
컨설테크인터내셔날 (주)컨설테크인터내셔날 대표이사 현 승 협 (직인생략) 다 음 CTi : 2015-A-0901
미디어와 CSR TESOL 박아현.
알기쉬운 경영학 Ch.3 윤리경영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10October YES 영도어학원 안내문 10월 학기 재등록 일정 도곡캠퍼스 02) 환절기 건강조심 추석
미국경제의 신용위기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해외전자정보서비스이용교육 PAO KERIS Collection ProQuest 한국지사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재)청주복지재단 상임이사 김 영 석.
2017 북부문화사업단 공모지원사업 교부·정산 설명회.
스포츠 철학 한양대학교 사회교육원 체육학과 김권택 교수.
목표 구성 의료분야에서 사용되는 운영관리 개념과 계량적 분석기법 이해
생물교과 연구 및 지도법 2009 V-diagram 수업방략 생명과학과 4학년 최 린 지.
Korea University SJ Campus.
군대윤리 군대윤리 교육목적(敎育目的).
프리젠테이션 활용 및 데이터활용 Chapter 6 인쇄 미리 보기와 인쇄 김 정 석
경로 관리 / 경로갈등 장 흥 섭 1.
의약품 급여 및 가격 결정과 경제성 평가의 활용 이태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제 1 장 경영과학의 기초 경영과학의 개념 발달과정 경영과학의 특성 적용절차와 적용분야 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제 3 강. 소 비 자 행 동 1 과목명 : 마케팅 원론.
마 케 팅 Marketing 관리적 접근 제 3판 제2부 마케팅 환경분석 제3장 소비자 행동분석
정보자원의 분류 분류실습(3) – 듀이십진분류법의 이해 담당교수: 박지영 이번 강의는 실습 3번째입니다.
D I조 조직 인간행위론 및 조직문화 교육학과 일반사회교육과 최지우 이서정
학교는 왜 철학을 가르치지 않을까? 김용택의 참교육이야기
경로 관리/경로 갈등/VMS 장 흥 섭 1.
인사, 조직, 전략 연구의 분화와 통합 송 계 충 (충남대학교 경영학부) 년 8월21일 도입사례 (3분)
흑석 뉴타운 답사 행복한 부자교실 12기 5조
정 책 결 정 론 제8장 의사결정론 정책결정론.
                                                                                                                                                                                                        
과학기술 발전이 선진국을 만드는가? 아니면 선진국이 과학기술발전을 이루는가?
제1부 사회복지 현장 속 윤리 이해하기 강사: 김 영석.
리스크(Risk) 관리 위험도 관리 및 의사 결정론.
생산운영관리 입문 CHAPTER01 (Introduction to Operations Management)
3. 윤리적 상대주의와 절대주의 4. 결과주의와 공리주의
칼빈의 생애와 개혁자로의 변모 사학과 김종식.
국제의료관광 관련 법, 제도.
The eight quality management principles are: (품질경영의 8가지 원칙)
구원의 주제 24 삶에로의 초대인 지혜 잠언 성경본문 잠언 1:1~31:31.
CHAPTER 06 청소년의 행동문화 : 폭력(따돌림), 위험행동, 참여.
생명윤리 경복대학교 학기 유호연.
협력사 안전의식 강화교육 및 보안교육 계획 결 재 담 당 차 장 부 장 이 사 상 무 관리팀 환경안전과.
인식론(epistemology) 1 가장 넓은 의미의 방법론은 인식론이다. 인식론은 지식의 이론(theory of knowledge)으로서 오늘날 흔히 과학철학(the philosophy of science)과 동일시된다. 가장 넓은 의미에서 방법론의 주제는 진리를 추구하기.
사회복지와 철학의 이해.
남아메리카 선교 김수정, 이하정 전희진, 장성경.
1 사회보험 2 공공부조 목차 3 사회서비스 4 가족수당 5 요약. 1 사회보험 2 공공부조 목차 3 사회서비스 4 가족수당 5 요약.
비즈니스 협상의 효과(Effective)와 효율(Efficient)을 극대화 하는 협상 프로그램
약사윤리/ethics.
. 제4절 회계기준과 외부감사제도의 필요성 회계정보가 본래의 역할과 사회적 기능을 제대로 하게 하려면 그 전제로서 정보
Chapter 11. 건강가정을 위한 과제와 전망 1. 건강가정을 위한 과제 2. 건강가정의 전망과 미래를 위한 제언.
CHAPTER 9-1 한국의 사회복지정책 - 사회보험제도 -
제19장 호텔의 안전관리 제 3부 호텔 업무지원부문의 경영관리 1절 호텔 안전관리의 의의 2절 안전사고의 관리과정
3장. 사회복지의 가치와 윤리 영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장 우 심.
09(1) 청소년학 개론 제6장. 청소년 활동.
간호관리Ⅱ Chapter 8. 간호사의 법적 의무와 책임
Part 02. 파워포인트 실무와 활용.
제3장 사회복지법 등장과 전개.
한양인 주차정기권 신청 안내 2018년 2학기 관리처 관재팀.
Chapter 6 사회복지정책 분석틀.
1부 해킹이란… Chapter 2. 윤리적 법적 문제
합리적 의사결정이론(rational decision-making theory)
Chapter 1 인간행동의 이해와 사회복지실천
경찰학 세미나 제 5 강 경찰관직무집행법 2조 5호의 의미 신라대학교 법경찰학부 김순석.
Presentation transcript:

Chapter 1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에 대한 개요

사회복지에 대한 철학적 이해 철학이란? 철학이란 말은 그리스어 필로소피아(philosophia)에서 유래 필로는 ‘사랑하다’, ‘좋아하다’라는 뜻의 접두사, 소피아는 ‘지혜’라는 뜻 필로소피아는 지(知)를 사랑한다는 의미 결국 철학은 지혜를 배우는 학문으로, 자연과 인간 만상의 궁극적 원리를 찾는 학문적 작업

사회복지에 대한 철학적 이해 철학의 특성 철학은 알고자 하는 노력 철학은 탐구하는 지식 철학은 현실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 지식

사회복지에 대한 철학적 이해 철학과 사회복지의 관계성 철학은 인간과 사회에 대한 질문과 관심의 범위에 따라 몇 가지 하위분과로 구성 인간이 획득할 수 있는 확실한 지식의 내용과 지식 획득의 정당한 방법을 다루는 분야 인식론(epistemology) 올바르고 정확한 추론에 대한 방법과 원칙을 연구하는 분야 논리학 (logic) 선과 도덕적인 것이 무엇이며, 이것이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는 분야 윤리학 (ethics)

사회복지에 대한 철학적 이해 철학과 사회복지의 관계성 사회과학에서 파생된 사회과학철학(philosophy of social science)의 영향을 받음 사회과학철학이란 인간의 사회생활이 어떤 기초적인 규칙 아래서 운영되고 있으며,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가를 학문적으로 탐구 사회복지학 자체가 갖는 철학적 성격이 있음 관련 질문 : 학문으로서 사회복지학은 왜 존재하는가? 사회현상과 문제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는가? 사회복지가 추구하는 것은 무엇인가? 사회복지의 본질적 소명은 무엇인가?

사회복지에 대한 철학적 이해 사회복지는 실천(응용)학문으로서 인간의 존엄성과 사회정의의 가치를 추구하며, 사회복지사의 엄격한 도덕적 판단과 성찰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철학과 깊은 연관이 있음

사회복지에 대한 철학적 이해 철학이 사회복지실천에 주는 의미 철학의 한 분야로서 인식론이 사회복지 지식에 주는 의미 인식론에서 중요한 물음은 지식의 궁극적인 원천을 묻는 것 사회복지 학문과 실천의 속성은 가치 지향적이어서 실증주의 와 경험론만으로는 한계 최근 현상학, 근거이론, 해석학과 담론 등 질적 연구방법의 등장으로 사회복지의 지식체계가 훨씬 풍부 인식론은 사회복지 지식의 원천이 무엇인지 진지하게 고민하 도록 함

사회복지에 대한 철학적 이해 철학이 사회복지실천에 주는 의미 철학은 클라이언트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해줌 철학에서 행위의 주체인 인간은 이성적 사유가 가능하고 자 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이끄는 존재 철학의 의미를 아는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를 자신의 삶을 반성할 수 있고 보다 나은 삶을 향해 자신을 변화시킬 수 있 는 존재로 인식 철학은 사회복지사에게 생각하는 힘의 중요성을 일깨워줌 클라이언트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나는 무엇을 추구하 는가와 같은 철학적 질문을 통해 사회복지의 본래적 사명과 정체성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음

사회복지에 대한 철학적 이해 철학이 사회복지실천에 주는 의미 철학은 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천이 순환적으로 관련되어 있음을 드러냄 철학은 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천이 순환적으로 관련되어 있음을 드러냄 실천의 발전이 이론의 발전을 이끌고, 이론의 발전이 또한 실천의 발전으로 이어진다는 상호관계 인식 사회복지 이론이 먼저이고 실천은 나중이라는 생각, 실천이 더 중요하고 이론은 덜 중요하다는 이분법적 생각에서 벗어남

사회복지에 대한 윤리학적 이해 윤리학이란? 윤리학(ethics)이란 철학의 한 분야로서, 인간이면 마땅히 행해야 하는 도리 내지 규범을 연구 윤리(ethics)라는 말은 그리스어 ‘ethos’에서 유래, 이 는 관습, 사용, 습관을 의미 현대적 의미로 윤리란 어떤 행동이 도덕적으로 옳으며, 도 덕적으로 옳은 행동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다루는 개념 윤리는 사람과 사람이 함께 어울려 살면서 마땅히 행하여 야 하는 도리

사회복지에 대한 윤리학적 이해 윤리학과 사회복지의 관계성 윤리학은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 인간의 도덕 생활과 경험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설명하는 분야 기술윤리학(descriptive ethics) 도덕적인 것이 무엇을 의미하며, 이것이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는 분야 메타윤리학(meta ethics) 주어진 도덕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가장 적절한 도덕이론을 구체화하는 분야 규범윤리학(normative ethics)

사회복지에 대한 윤리학적 이해 윤리학과 사회복지의 관계성 사회복지학은 세 가지 차원 가운데 규범윤리학과 밀접히 관련 윤리학의 차원에서 사회복지학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관심 사회복지전문직이 추구하는 규범적 속성(사회복지 가치와 소 명)은 무엇인가? 전문가로서 사회복지사의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행위는 무엇 인가? 사회복지사의 비도덕적이고 비윤리적 행위는 무엇인가?

사회복지에 대한 윤리학적 이해 윤리학과 사회복지의 관계성 윤리학과 사회복지학의 관련성 사회복지가 가치 지향적이며, 강한 규범적 특성이 있다는 점 에서 윤리학과 관련 사회복지사는 인간에 대한 존엄성과 사회정의 가치를 토대로 클라이언트를 도울 때 법적인 의무와 도덕적 의무를 요구받 는 다는 점에서 윤리학과 관련

사회복지에 대한 윤리학적 이해 윤리학이 사회복지실천에 주는 의미 철학과 마찬가지로 윤리학은 사회복지 본질과 소명을 분명히 하도록 도움 사회복지가 추구하는 ‘인간다운 삶’에는 규범적 성격이 포함 인간다운 삶이란 무엇이고, 어떤 상태를 말하는지 과학적으로 다 설명할 수 없음 사회복지의 본질 및 소명과 관련하여 그 ‘규범적 타당성’을 윤리학(특히 규범윤리학)의 이론과 방법에서 도움을 얻음

사회복지에 대한 윤리학적 이해 윤리학이 사회복지실천에 주는 의미 윤리학은 사회복지실천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와 갈등을 이해하고 해소하는데 체계적인 지침을 제공 경험적 지식만이 아니라 인간의 행위규범을 탐구하는 윤리학의 이론과 방법을 통해 지침을 얻을 수 있음 실천현장의 특수성 및 대상자 특성을 감안하여 윤리학의 도움 을 받음

사회복지에 대한 윤리학적 이해 윤리학이 사회복지실천에 주는 의미 윤리학을 통해 윤리적 민감성(ethical sensitivity)의 중요성을 인식 민감성을 갖춘다는 것은 현장에서 윤리적 문제의 불가피성을 인정하고 그 발생가능성과 대안을 예측하면서 사전에 충분히 준비하는 자세를 갖추는 것 이는 교육과 훈련을 통해 길러지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들은 ‘나는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성찰을 통해 윤리적 민감성을 꾸준히 높여야함

사회복지에 대한 윤리학적 이해 윤리학이 사회복지실천에 주는 의미 윤리학은 사회복지실천의 오류(malpractice)를 밝히는 도덕적 근거 제공 실천오류는 사회복지사들이 우발적으로 하는 실수, 다양한 클 라이언트 체계와 가치 체계의 상충으로 윤리원칙을 지키지 못 해 발생하는 문제, 고의적인 부정행위 등 도덕적 책임은 사회복지사에게 중요한 의무로서 최선을 다하는 실천을 통해 오류(과오)의 가능성을 줄임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의 역사와 교육의 필요성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의 역사 미국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의 역사 리이머(F. Reamer)가 제시하는 미국 사회복지 윤리의 역사 도덕성의 시기(the morality period) 가치의 시기(the value period) 윤리이론 및 의사결정의 시기(the ethical theory and decision-making period) 윤리적 표준화와 위기관리의 시기(the ethical standards and risk management period)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의 역사와 교육의 필요성 미국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의 역사 - ① 도덕성의 시기 미국에서 사회복지 활동이 시작되는 19세기 말부터 사회복지가 전문직으로 태동하는 1940-50년대의 시기 이때는 사회복지전문직의 윤리나 도덕성보다 클라이언트 도덕성에 더 많은 관심 초창기 사회복지사들은 우애방문을 통한 도덕적 교화와 계몽활동을 주로 함 이 시각은 20세기 초반 인보관 운동의 영향으로 점차 구조적이고 환경적인 원인에 관심을 돌림. 개인의 도덕적 문제를 발생시키는 근본적 구조로서 사회 전체의 도덕성을 회복하려는 목표를 설정하고 사회정의와 사회개혁을 추진하려는 노력 확대 그러나 사회 전반에 도덕성을 강조하던 시대적 분위기는 사회복지가 전문직 의 모습을 갖추어가는 시점에서 점차 약화 오히려 인접 학문(예로 심리학과 정신의학)에서 관련 지식과 기술을 받아들 여 사회복지전문직의 고유하고 차별화된 관점과 방법론을 개발하는데 힘을 모음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의 역사와 교육의 필요성 미국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의 역사 - ③ 윤리이론 및 의사 결정의 시기 미국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의 역사 - ③ 윤리이론 및 의사 결정의 시기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의 시기 사회복지전문직의 가치 및 윤리를 이론화하는 작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윤리 적 문제와 딜레마를 해결하는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해 본격적인 관심 사회복지가 전문직으로 성장하는데 필수적인 ‘윤리적 기반’을 갖추게 됨 이 당시 전문직 윤리로 불리는 응용윤리학이 발달하여 사회복지 영역에도 직 접적으로 영향 사회복지 학자들이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개념과 방법을 소개하고 연구 이 때부터 사회복지 가치와 윤리에 대한 논의를 실천 현장과 결합시키고, ‘사 회복지 윤리이론’과 ‘실천윤리’를 사회복지 윤리의 중요한 두 축으로 자리 매김 사회복지사의 비윤리적 행위와 부정행위에 대해서도 본격적으로 관심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의 역사와 교육의 필요성 미국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의 역사 - ④ 윤리적 표준화와 위기관리의 시기 미국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의 역사 - ④ 윤리적 표준화와 위기관리의 시기 1990년대 이후부터 최근까지의 시기 사회복지전문직의 윤리적 이슈에 대해 사회복지사의 윤리의식이 높아 진 시기 1996년에 미국사회복지사협회가 기존의 윤리강령 전면적 개정 윤리강령 내용에는 사회복지사의 바람직한 행동규범과, 윤리적 위기 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를 제시하는 내용 포함 사회복지사의 업무상 과실이나 실천오류가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클라이언트로부터 소송에 휘말리는 사례 증가 변화하는 시대적 상황에 맞게 윤리적 표준 점검 및 비윤리적 행위로 인해 초래될 피해를 최소화하는 위기관리의 중요성 부각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의 역사와 교육의 필요성 우리나라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의 역사 1980년대 중반부터 ‘사회복지철학’ 과목 개설 1998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에 따라 사회복지사 자격과 관련 하여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을 선택과목으로 규정 현재 대부분의 대학에서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에 대한 기본 지식과 방법 교육 2009년부터 사회복지사 보수교육에서 윤리와 가치 영역을 필수로 취급 우리 상황에 맞는 사회복지 실천윤리를 발전시키는 것이 장기 적 과제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의 역사와 교육의 필요성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사회복지 전문가 윤리를 가르치는 목적은 철학자나 윤리학자를 만들려는 것이 아니라 행동하는 윤리적 실천가를 양성하는데 있음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의 역사와 교육의 필요성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전문가 윤리를 교육하는 목적 전문적 실천상의 윤리적 이슈들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고 민감성을 키우 는 것 상충하는 논쟁들의 각각의 장점과 한계를 신중히 조사하고 밝혀내는 것 실천 상황에 내포되어 있는 윤리적 원칙을 인식하는 것 윤리적 의사결정의 복잡성을 충분히 이해하는 것 신중한 추론을 통해 결론에 이르고, 윤리적 원칙을 실천에 적용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 자신의 도덕적 태도와 기준을 분명히 하고 전문직의 입장에서 수행한 윤리적 결정을 평가 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

Chapter 2 윤리와 가치에 대한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