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 1. Concept of Culture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0722 이유라 5.18 민주화 운동의 의미 배경 : 1979 년 12 월 12 일 쿠데타 원인 : 사태 (1979) - 박정희 대통령 죽음, 국가 혼란 - 전두환은 군대를 동원, 정권강탈 - 전국적 시위 발생 5.18 민주화 운동 발생.
Advertisements

1. 사회 변동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회를 구성 하는 정치, 경제, 사회 제도, 가치 관 등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변화하는 현상.
Today’s topic : TV, 드라마, 정치, 쇼오락 한성대학교 의류패션산업전공 교수 이희승.
1. 정치 과정과 정치 주체 정치 과정을 통해 다원적 가치와 이익이 조정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정치 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정치 주체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다.
페스탈로치에대해 … 엘리트 ㅋㅋㅋ. 페스탈로치의 성장배경  1746 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출생  가난한 사람을 무료로 치료해 주는 아버 지로부터 인격적인 영향을 많이 받음.  어려운 살림에도 고아원을 도와 주는 어 머니의 사랑 정신에 영향을 받음. 처음으로.
2007 사목교서. 생명을 선포하는 교회 “ 생명을 선포하는 교회 ” - 교구 사목 목표 -
㈜ 자음과모음 철학자이야기 씨리즈 中 다이어그램 하이퍼링크 By
테마가 있는 이야기 카페 바쁜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을 위한 편안한 쉼터.
Internet Addiction Disorder
우리문화의 다양한 모습들 4-3. 대중 매체와 대중사회 대중 매체의 유형과 특징 대중 매체와 대중사회 민족문화와 청소년문화.
블룸의 교육목표분류학 (Bloom’s Taxonomy)
제 3 장 유통 환경 1. 거시 환경 2. 소비자 변화.
잠재력의 발견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국제정치론 2014 가을학기 제1주(2)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Moral & Ethical Theory of Trade Unionism
개인의 행동에 대한 MARS Model Role Perceptions Values Personality Perceptions
방송원론
학기 성신여대 박준성 교수 제2장 전통적 조합주의 학기 성신여대 박준성 교수
사용자 경험 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 UX design) 인터랙션 디자인(interaction design, IxD)은 인간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상호간 작용하는 것 UI 디자인은 사용자와 컴퓨터·프로그램 간 의사소통의.
방송원론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디케Dike-정의의여신 Footer Text 4/21/2019.
유통경로의 통합관리.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테셀레이션(tessellation) 테셀레이션(tessellation) 이란 마루나 욕실 바닥에 깔려 있는 타일처럼 어떠한 틈이나 포개짐이 없이 평면이나 공간을 도형으로 완벽하게 덮는 것을 말한다.
마케팅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경영관리 인사관리(men : 인력관리) 재무관리(money : 운전자본)
2 안누 팔라쿤나투 매튜
(Media Systems Dependency Theory: MSD)
CHAPTER 3 여성과 복지국가.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모형 설정 양동훈.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문화의 맥락화 문화관광론.
국제관계의 이해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부패실태와 대책 장한마로.
안토니오 그람시 - 헤게모니를 중심으로 사회학과 홍.
사회 사상의 전개 “진보한다는 것은 변하는 것을 뜻한다. 완전하다고 하는 것은 이미 몇 번인가 변하였다는 것을 말한다.” -처칠- 모든 사회는 끊임없는 자기 수정과 변화 속에서 진보를 계속해 왔다. TEXT PP.145~149.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고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7단원: 음란물, 나의 미래를 좀먹는다
2. 누화와 케이블링 1. 서론 2. 용량성 누화 3. 유도성 누화 4. 복합적인 누화(누화의 일반적인 이해)
문화혁명 [文化革命] 곽영신 임황빈 최하영.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정치경제학이란 무엇인가?
McKinsey 7S MODEL McKinsey 의 7S Model 은
음악 수업 & 수업 지도안.
K. Marx 역사론.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문화의 장 이론 문화관광론.
학기 성신여대 박준성 교수 제2장 전통적 조합주의 학기 성신여대 박준성 교수
Historical Materialism
사료.
사회과 서술형 평가 문항 자료집 -중학교 일반사회 영역 -.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4. 지역 문화의 특성 ① 다양한 지역 문화(1).
유통의 정의 및 21세기 New Paradigm에 따른 유통환경
CHAPTER 2 여성복지의 관점 도서출판 신정.
성의 발달과 젠더 탐색 성과 인간관계.
3. 연구접근방법 가. 분석 수준(level of analysis) 1) 거시적 분석수준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 미국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2).
1. 강의 소개 컴퓨팅적 사고와 문제해결.
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과 국가의 형성 1 1. 우리가 사는 동아시아 2 3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활 양식
현지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현지조사(field working)란?
팀명 : 도~마ㄹ미 작품명 : 도~마 도 팀원 : 정형수, 박인권, 유 빈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Recommended course of action for HRDers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뮨화의 기능 환경에의 적응 사회와 집단의 유지 지식의 제공과 축적 뮨화의 구성요소 물질문화 비물질문화 제도, 규범문화 관념문화.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문화 Culture 1. Concept of Culture 1) the totality of the human creation and use of symbols and artifacts. 2) (E. B. Tylor) "culture is complex whole which includes knowledge, belief, art, morals, law, customs, and any other capabilities and habits acquired by man as a member of society". => It may be taken as constituting the "way of life" of an entire society, and this will include codes of manners, dress, language, rituals, norms of behavior and systems of belief. (한 사회의 구성원들의 삶의 방식을 구성하는 모든 유무형의 요소들의 복합적 전체) ※ 유사개념들 culture vs civilization : culture is wider concept than civilisation. Nature vs Nurture : biological determinants / Nurture: social determinants

2. 문화의 구분 : i)유형문화(2차 문화, 가시적 문화) + 무형문화(1차 문화, 비가시적 문화) - 유형문화(2차 문화, 가시적 문화) : 문화의 내용을 재현하는 대상, 기호(상징), 기술 등 - 무형문화(1차 문화, 비가시적 문화) : 문화의 내용을 형성하는 신념, 사고, 가치, 규범 등. => 2차 문화를 프로그램밍하는 문화.

※ 생각해 볼 개념들 국화와 칼: 죄의 문화 vs 수치의 문화 가치와 규범: 대학생들의 부정행위(동양) / 길거리에서의 kiss(서양) 문화적 다양성: 개고기 /소고기 / 달팽이 / 민족중심주의 ; 문화적 충격, 문화 상대주의, 문화다원주의 => Q: 문화 상대주의의 가능성과 한계 (예: 아프가니스탄의 Taleban 정권 또는 북한정권의 정체에 대한 인정의 문제) 21세기의 현실: 다문화주의, 문화다원주의, 단일민족주의 관념의 점진적 쇠퇴 => 인정의 정치(politics of Recognition)

문화와 사회에 관한 고전이론 Marx, Durkheim, Weber Marx Durkheim Weber 관점 구조주의적 갈등론   Marx Durkheim Weber 관점 구조주의적 갈등론 사회 불평등론 구조주의적 기능론 상호주관주의적 상징론 이해(interpretive) 사회학 문화해석:   문화를 보는 입장  유물론적 문화관  통합론적 문화관  상징적 문화관  Base(substructure): 재산, 생산수단, 경제제도 Superstructure: 위의 것을 합리화(정당화)시켜주는 이념, 제도, 지식, 법률, 종교 또는 예술 등등. => Ideology의 역할 => alienation 현상 전통적으로 공동의 규범과 도덕적 신념, collective conscience(집합적 표상의식) 과 같은 문화적 facts -주로 종교의 기능 - 가 사회적 통합과 구성의 원천이 되어 왔다.(Mechanical solidarity가 지배적인 사회형태). => 그러나 산업화(근대화)와 더불어 분업과 전문화와 같이 통합과 상호의존 관계가 분화된 사회의 등장으로 전통적 사회구성 기제는 바뀌고 있다고 봄(Organic solidarity가 지배 적인 사회 형태) i) Marx, Durkheim과 같이 조직, 사회 또는 국가 등의 개념을 macro-level에서 다루기보다는 의미나 가치를 수반하는 개인의 행위를 micro-level에서 다루는 입장. Ii) Marx가 관념을 단순히 물질적 이해관계의 반영이라고 본 것에 반대해서, 관념적 힘들이 경제적 행위와 구조에 심중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독립적 변수일 수 있다고 봄 => 자본주의의 발전과 종교의 관계. 이 구조의 근본적 전환을 위해 초기자본주의의 혁명적 전환을 의도함 society = religion 전통 종교의 현대 속의 기능적 대안물을 찾고자함. 자본주의의 기원: 개신교 윤리가 초기자본주의 촉발에 지배적 영향을 미쳤다고 봄.

문화연구의 최근 경향들 – 문화현상에 대한 비판 1. Marxist의 문화 비판 – Marxist적 시각에서 i) Gramsci의 Hegemony 이론 정통 Marxist 와는 달리 토대로부터 독립해 자율적으로 존속되고 번창하는 또 다른 차원의 문화적 영향력이 작동함을 가정함(일종의 문화적 ideology론). => 예컨대, 이데올로기로서 media는 문화적 영향력을 갖고 우리의 현실 경험을 일관된 방향으로 해석토록 끌어간다. (그람시에 의해, 노동자의 의식을 왜곡되게 몰아간다고 주장됨). => 정통 ideology는 의식적이며, 주로 정치적 영역에서 기능하지만, hegemony는 의식적이지 않으며 주로 사회․문화적 영역에서 기능한다.  (피지배 계급에 대한 직접적 강압이 아니라 문화적 수단을 통해 사회문화적 지도력을 발휘하는 능력 발휘 가능)

ii) Althusser의 사회구성체론 Marx의 토대에 의해 상부구조가 종속된 경제 결정론적 도식이 아닌 경제적-정치적-이데올로기적 실천의 기제를 갖는 중층적 사회구성체론을 제시함. =>문화 차원의 상대적 자율성 - “문화 분석은 이데올로기 분석이다” 이데올로기는 현실문제들에 대한 거짓 해결책이지만, 진실처럼 보이게 만든다. 하지만 Marx의 부정적 이데올로기관 - 허위의식으로서의 이데올로기 - 과는 다르게 이데올로기(문화)는 세상의 물질적 상황을 해석하고 이해하고 경험하고 살아내는 개념 틀로 기능한다고 봄. 곧 이데올로기는 현실인식을 형성하고 결정한다고 봄. => 이데올로기는 사상의 집합체가 아니라,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ISA; 교육, 종교, 가족, 정치, 미디어, 문화)의 행위와 생산을 통해 재생산된 육체적 행위이다.

2. 문화산업(Cultural Industry) 비판 여가활동과 여가 경험의 상품화를 목표로 삼는 상업자본주의적 산업 유형. 대중들의 문화적 욕구를 조작하며, 대중들이 선택한다고 여겨지는 문화산업 상품의 선택은 결국 제한된 선택의 폭 안에서 이루어진다. Frankfurt School - Adorno & Horkheimer. 진정한 의미의 문화와 상업자본의적 기제에 의해 만들어지는 문화와의 차이 인식 =>  "문화산업"이라는 개념 제시.  문화산업: 영화, 그림, 잡지, 라디오, TV, 전기 소설물류 등의 상품들이 수행하는 이데올로기적 기능에서 찾음. => 문화산업은 대중 기만에 바탕을 둠 

3. 문화연구 (Cultural Studies) - Birmingham School의 Cultural Studies 버밍햄 대학의 현대사회연구소(CCCs: Centre for Contemporary Cultural Studies) 를 중심으로 전개된 문화연구의 흐름. 엘리트주의적 문화해석에 대항하여 대중문화를 연구함. 노동계급의 문화에 대한 문화개입적 연구 이들의 연구에 의해, 문화의 개념 자체는 더욱 더 민주화되고 사회화되는 경로를 갖게 되었으며, 따라서 문화는 모든 실천적 상호관계들의 복합적 총체로서 이해되어야 함을 강조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