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원가계산(Variable Costing) 제 8장 변동원가계산(Variable Costing)
변동원가계산과 전부원가계산 전부원가계산(Absorption Costing) – 모든 제조원가를 제품원가에 포함 매출총이익양식의 손익계산서 제조부문,영업부문(판매및관리)과 같은 기능적 구분 강조 변동원가계산(Variable Costing) – 산출수준에 따라 변동하는 제조원가만을 제품원가에 포함. 공헌이익양식의 손익계산서 변동원가, 고정원가와 같이 원가행태적 구분 강조
전부원가계산과 변동원가계산의 원가구분 전부원가계산 변동원가계산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품원가 제품원가 변동제조간접원가 전부원가계산 변동원가계산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품원가 제품원가 변동제조간접원가 고정제조간접원가 기간원가 기간원가 판매비와 관리비
전부원가계산과 변동원가계산의 논쟁 전부원가계산 옹호자: 감가상각비, 보험료, 재산세, 감독자 급여와 같은 고정제조간접원가도 변동원가와 마찬가지로 제품생산에 반드시 필요하므로 제품원가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품이 판매될 때 비용화되는 것이 수익비용대응에 더 일치한다. 변동원가계산 옹호자: 고정제조간접원가는 제품을 하나도 만들지 않아도 발생한다. 따라서 이 원가는 특정 제품단위의 원가가 되지 못한다. 다만 고정제조간접원가는 특정 기간의 제품생산능력을 유지하기 위해 발생되는 원가이므로 그 기간의 기간원가로 처리되어야 한다.
변동원가계산 사례: 에메랄드 니트웨어
변동원가계산 사례1: 에메랄드 니트웨어
변동원가계산 사례: 에메랄드 니트웨어
단위당 제품원가(전부원가계산 vs.변동원가계산)
손익계산서(전부원가계산 VS. 변동원가계산)
영업이익의 차이 변동원가계산하의 영업이익과 전부원가계산하의 영업이익은 차이가 날 수 있다. 영업이익의 차이는 전부원가계산하에 재고자산으로 자본화된 고정제조간접원가 금액과 변동원가계산하에 기간원가로 비용화된 금액의 차이가 된다.
재고수량변화의 이익에 대한 영향 변동원가계산 전부원가계산 재고수량의 변화는 영업이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생산량 = 판매량 (재고량변화없음) Equal 생산량 > 판매량 (재고량 증가) Lower Higher 생산량 < 판매량 (재고량 감소)
변동원가순이익과 전부원가순이익의 조정 Year 1 Year 2 Year 3 변동원가 영업이익 $60,000 $ 0 $120,000 가산:기말재고에 포함된 고정제조간접원가 0 30,000 0 차감:기초재고에 포함된 고정제조간접원가 0 0 30,000 전부원가 영업이익 $60,000 $30,000 $90,000
변동원가계산사례2: 생산수량의 변화가 이익에 미치는 영향
전부원가계산의 문제점 경영자들은 이익을 증가시키기 위해 과대생산(overproduction)하는 경향이 있다. 수요이상의 불필요한 재고가 형성되기 쉽다.
변동원가계산의 장점과 단점 변동원가계산의 장점: 변동원가계산의 단점: CVP 분석에 필요한 자료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이익은 생산량이 아닌 판매량에 따라 움직인다. 변동원가 이익은 전부원가 이익보다 현금흐름과 더 일치한다. 경영자의 성과평가에 유리하다. 변동원가계산의 단점: 외부보고 및 내부보고를 위해 서로 다른 재고계산방법을 유지하는데 따른 회계시스템의 복잡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