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관계 속의 제도: GATT와 WTO가 세계 무역에 미치는 영향의 이해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 산별노조 ! 갈까 말까 ? 2007 년 9 월 3 일 LG 화학노조 간부교육. 2 민주노조 건설 후 우리 삶의 변화  살 만 하십니까 ? 집도 있고, 아이들 공부도 시키고, 차도 중형급 이상 몰고 다니고 …. 회사도 잘 다니고 … 그런데도 어쩐지 … 좀.. 불안하시죠.
Advertisements

‘ 성과급제 ’ 에 대한 양측의 해석 차이 : 사업계획 달성에 따른 성과급 차등 지급안 도입 연간 사업계획 100% 달성 임금의 150% 지급 연간 사업계획 90% 달성 임금의 50% 지금 사측 “ 성과급 50% 삭감 ” 전격 발표.
세계로 나가야 산다 (KIEP: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통상환경변화에 따른 반덤핑제도의 운용. 1/11 Contents WTO 통상환경의 변화 1. WTO 의 무역구제제도 한국의 반덤핑 제도 4. 한미 FTA 에 따른 반덤핑제도의 전망 5. 미국의 반덤핑 제도 3.
한국의 대외무역관계와 FTA 정책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박 태 호 교수
최상순 한성민 유설재 국제통상론 2010/5/18.
한국행정사 과제 한국 과거 현대정부에 대해 조사하기. 순서 1. 문민정부 ( 김영삼 ) 2. 국민정부 ( 김대중 ) 3. 참여정부 ( 노무현 )
2007 학년도 수시 2 학기 한성대학교 인문계 구술면접 특강 상상력 CT 한성대학 교.
한미 FTA 와 소비자 식품안전 권리는 ? 작성자 : 주희옥 ( 인천생협 상임이사 )/ 참고자료 : 한미 FTA 소비자대책위 자료 새로운 식품안전관리시스템의 구축방향 ( 황수철 ) 한국생협연합회 식품위원회 워크샾 자료 기타 자료.
글로벌경영환경 국제비즈니스환경적 영향요소 목적 ( 동기 ) 글로벌매출액증대 글로벌시장 리더십장악 글로벌 현금흐름 글로벌비즈니스다각화 시장다변화, 리스크분산 글로벌환경 세계무역 및 투자환경 지역경제통합 자본시장 개별국가 환경 경제환경 사회문화환경 정치법률환경 전략수단 해외시장.
우리나라 무역의 미래 김가은. 연도별 총 수입액 에너지 수입 액 → 원유에서부터 각종 금속, 곡물에 이르기까지 상품 가격이 지난 몇 년간 계속 오르고 있습 니다.
FTA가 미치는 영향 - 보건의료분야를 중심으로.
앨고어, 우리의 미래 AlGore The Future 지은이 : 앨고어 작성자 : 원다성.
당신의 조직에 ‘이기는 습관’을 심어라! 동사형 조직 프로 지독한 사관학교 프로세스 마케팅적 집요한 사고 실행력 규범이 있는
과목명:마케팅관리 담당교수:장흥섭 소속:일반대학원 경영학부 회계학전공 성명:권오준
일본-동남아 관계.
중국경제 개혁개방 30년의 빛과 그림자 강 희 정 동아시아경제론(2009-2).
엘케이(LK)경영연구원 이순석 원장/경제학박사
<한미 FTA> 협상 농업분과 주요쟁점
2015 동계 무역관리사 과정 한국무역협회 자격증 Global Trade Professional
한국경제교육협회 일반인 표준 경제 개념 2. 교환과 특화
공공성 강화 진영 대 시장주의 세력의 격돌 전면화 - 개방화 시장화를 분쇄하고 교육공공성 쟁취로 -
<울산시민사회단체 설명회 자료>
보호 무역이론 영산대 인도비즈니스학과.
제1절 : 국제통상법의 개념.
제 1장 장애의 개념과 분류 제1절 장애와 장애인의 의미와 개념 의미 : 1)장애 : 무슨 일을 하는데 거치적거리어 방해가 되는 일  신체적. 정신적 구조나 기능의 상실이 영구적으로 남는 것    장애로 인한 생활의 곤란. 사회적 시각 2)질병. 상해.
한미 FTA체결 지원위원회
육계산업 발전 대책 대한양계협회 이 홍 재.
2장 글로벌경영환경하의 기업의 목표와 지배구조
젊은 일꾼 빈지태 함안군의회(대산.산인.칠서면) 의정활동보서 빈 지 태 의원
FTA와 비즈니스 모델 옥우석 (인천대학교 무역학과)
Free 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의 적용심사 및 유의사항 2007년 인천공항세관.
어류 양식어업 현황과 정부정책 농림수산식품부 양식산업과.
성경퀴즈 대회 출애굽기.
FTA 관세종합실무 ● 교육일시 : 2014년 12월 17일(수) - 12월 19(금) <3일/20시간>
전자상거래 협상 및 동향 - TPP 규범 및 핵심쟁점 -
국제무역환경.
2014년 반부패 수범사례 발표 감사담당관실.
국제 경제 기구론 국제경제기구의 창설배경, 국제경제에서의 역할 및 한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알아본다.
2장. 새로운 국제무역질서.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기술규제대응팀 공업연구관 최 미 애
제 4 장 경제적 환경.
제3주차 강의안 새로운 국제무역질서 경동대학교 사회복지경영학부 이광근.
제1절 무역과 경제발전 제2절 개도국의 무역과 경제발전의 장애요인 제3절 개발도상국의 국제무역
<제 13 강> 국제경제 질서와 국제금융시장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국제정치론 2015 가을학기 제14주(1)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제2부 국제경제 제2장 무역이론 제3장 무역정책 제4장 국제경제환경 제5장 국제통화제도와 국제수지 제6장 국제금융.
건설시장의 사회경제적 환경과 산업구조의 변화 전망
2006 주요 지역 경제동향과 수출전망
한국 FTA 추진 및 사례분석: 한-ASEAN FTA
3. 세계화와 상호 의존 세계화의 의미와 영향 1.
제2편 한국경제의 분야별 제도 및 현황 제5장 무역.
동북아시대 대학의 역할 모색 광운대 동북아대학 실무추진위원장 권태한 교수.
1. 국제경제법의 의의와 발전 * 국제경제법이란 무엇인가? * 국제경제법 체제는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
수학 1학년 2학기 Ⅲ.도형의 성질>2.원과 부채꼴(3-4/13) 원과 부채꼴 대기.
초대의 글 진 행 순 서 참 가 안 내 원장 윤 교 원 기 술 표 준 원
해당물품의 과세가격이 제1방법에 의거하여 결정 될 수 없는 경우,
무역KEYNOTE 중·고등학생을 위한.
국제통상과 FTA 이재면.
제 7 강 농 업.
새로운 국제무역질서 이 석, 김혜미, 곽혜란.
비관세장벽과 신보호무역주의 Dominick Salvatore John Wiley & Sons, Inc.
Index 2010년 공판장 업무보고 목차 구미농협 공판장 현황 판매사업 추진 계획 중점 추진과제 Ⅰ. 주요 품목별 추진계획
남북한 경제협력강화약정 (Inter-Korean CEPA)
자유무역협정(FTA) 추진과 석유화학산업의 대응방향
중·미 관계 창원대 중국학과 교수: 정차근.
한미 FTA의 영향과 대응과제 최윤경 노연정 황지선 이설희.
베트남의 수출입 관리규제 산업무역부 수출입국 호치민시 2011년 7월.
DDA 농업협상의 전망.
경제적환경 1. 세계화 (WTO) 2. 지역화 (FTA).
Presentation transcript:

국제관계 속의 제도: GATT와 WTO가 세계 무역에 미치는 영향의 이해 Judith L.  Goldstein, Douglas Rivers and Michael Tomz (2007) 2차 세계대전 이후의 GATT/WTO와 그 외 무역 협정의 효과를 평가

Institutional standing 국가, 영토 또는 비 정부 단체는 제도에 의해서 만들어진 권리와 의무를 어느 정도까지 소유할 수 있다. GATT/WTO는 비회원 국가들에게도 권리와 의무를 부여하기 때문에 이 제도가 일으킬 수 있는 효과는 매우 크다. “Standing (권리와 의무)”과 회원의 자격을 비교하면; 권리와 의무는 정식 회원 국가들에게뿐만 아니라, 협정에 서명을 한번도 하지 않았던 영토 및 단체에게도 부여된다. 모든 회원국들이 협정 내용을 전부 지켜야 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 예외 조항) 국제 협정은 어떻게 무역을 장려하였는가 GATT/WTO 원칙인 호혜주의와 무 차별성이 죄수의 딜레마를 완화. GATT/WTO는 지도자들이 국내 정치의 압력에 대응하여 보호주의를 복위 시킬 확률을 줄인다. 분쟁해결조치의 존재

Underestimating the Reach of the GATT/WTO 1947년 10월 23개 국가가 일반협정에 서명: 관세 인하와 최혜국대우를 공약 WTO의 회원국은 기존 회원국과 신규회원국으로 나눈다. 많은 국가들이 1940년대 말까지 식민 지배 하에 있었다. 일반협정은 독립한 국가들이 기관에 가입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두었다. 제 26조 5. (a): 정부는 협정 수락 시…독자적 관세영역을 제외한 자신의 본 영토 및 자신이 국제적 책임을 지는 영토에 관하여 이 협정을 수락한다. 제 33조: 협정의 당사자가 아닌 정부, 또는 대외상거래관계 및 이 협정에서 제시되는 나머지 문제의 처리에 있어서 완전한 자치권을 가지는 독자적 관세영역을 위하여 행동하는 정부는…체약당사자단간에 합의되는 조건에 따라 이 협정에 가입할 수 있다. 식민지에 GATT협정을 적용, 독립 후 모국의 보증만으로 GATT에 가입가능 신생 독립국들 (개도국)은 선진국들의 양허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체약국단과 참관국의 차이는 투표권 행사에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총의에 의하여 의사결정이 이루어짐.

Overestimating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Formal Members GATT협정상의 의무는 선택적 예외 조항이 있기 때문에 특정 체약국들 사이에서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많은 무역 협정들이 세이프가드 조항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GATT 의 주요한 선택적 예외 조항 제 35조: GATT의 기존 가맹국이 신규 가맹국과의 사이에 GATT 관계를 맺기로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 이 두 국가 간에는 GATT 체약국이면서도 GATT 협정을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조항이다. 이것으로 상대국을 관세 ·수입제한 같은 면에서 GATT 관계국에 대해서 보다 엄격한 차별을 할 수 있다. 가맹국 중에서도 약한 권리와 의무를 가지고 있는 나라들이 있고, 비가맹국이라도 무역 레짐의 많은 혜택을 받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Institutional Embeddedness 1980년대와 1990년대 PTAs (특혜무역협정)의 증가 PTA가 GATT/WTO를 통해서 다변적으로 확대되면 그 이득은 더욱 커진다. PTA가 증가하면 PTA와 GATT/WTO로부터 보호를 받기 위해 로비를 하는 이권추구자가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있었다. Colonial Preferences (식민지 특혜) 세계경제공황에 대응책으로 식민지적 무역 지대를 건설하였다. GATT/WTO는 이미 존재하는 막강하고 지리적으로 제한된 식민지 협정을 보충 Preferential Trade Agreements (특혜 무역 협정) GATT/WTO가 설정한 자유화 정도와 상품 적용범위의 기준에 맞으면 관세동맹, 자유무역구역을 형성을 허락. (GATT 제 24조) 상임 위원회는 각 PTA를 조사, 단 하나도 기관의 규율에 맞지 않은 경우가 없었다고 판정. Unidirectional Trade Agreements: GSP (단일 방향성의 무역 협정: 일반특혜관세제도) - 개도국은 모든 무역에 대해서 요구되는 기준 없이 PTAs 형성을 허락되었다. 개도국의 선진국가 시장으로의 진입 허용 단일 방향성의 무역 협정 중에서 GSP가 가장 일반적이다.

다자간 무역협상 라운드

Empirical Results 자료 GATT&WTO는 회원국가들과 비회원 참가국들의 무역 증진에 기여 1946년부터 2004년까지의 자료 수집. 나라 구분: 기존 회원국, 비회원 참관국, 비 참가국. 161개 국가 대상 GATT&WTO는 회원국가들과 비회원 참가국들의 무역 증진에 기여

GATT 발족 후 2년 동안 무역을 136% 증대=>Torquay Round후에 93%=>Kennedy Round후에 26%=>Tokyo Round후에 24% 증대 GATT/WTO는 선진국과 개도국의 무역을 모두 늘렸다. 개도국의 무역 증진 책 개도국들에게 다른 참가국들에 대한 MFN관세를 확장하도록 요구 개도국들에게 그들의 관세를 낮추거나 묶어 놓도록 장려 개도국들에게 자국의 무역 정책을 자유화 한 나라 등 다른 참가국들의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

식민주의: 1980년 초까지 모두 없어짐 통화통합: 통화태환성의 증대와 자본시장의 확대로 무역 확대에 미치는 영향은 점차 줄어듦 GATT/WTO: PTAs가 증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GATT/WTO의 효과는 제거되지 않았다. PTAs: FTA등의 증가로 점차 늘어나고 있음

결론 GATT/WTO제도는 무역을 장려한다. 통계 분석을 통하여 어느 나라에게 어떤 시기에 협정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GATT/WTO는 모든 회원국들에게 이익을 주었다. 기존의 정식 회원국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무역에만 초점을 맞춘 자료를 보면 GATT/ WTO가 세계 무역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주장도 있지만 분석을 비회원 참관국들까지 포함함으로써 제도가 전후 무역을 일변시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순한 상품 무역을 넘어, 재정 협정, 환경 조약, 군사동맹 등의 다른 영역을 연구하여 비회원 참관국들의 행동들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야 한다. 주권을 가지지 않는 나라, 정부를 분석에 포함시킴으로써 GATT/WTO가 세계 2차 대전 후 국제 무역에 미친 영향을 더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세계가 복잡해 지면서 연계성이라는 컨셉의 중요성이 강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