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Index ⅰ. 고등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국내 대학 위기 ⅱ. MOOC 개념 및 필요성 ⅲ. 해외 MOOC 동향 ⅳ. 국내 MOOC 동향 v. KOCW 현황 vi. 대학도서관의 역할 변화 방향.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Index ⅰ. 고등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국내 대학 위기 ⅱ. MOOC 개념 및 필요성 ⅲ. 해외 MOOC 동향 ⅳ. 국내 MOOC 동향 v. KOCW 현황 vi. 대학도서관의 역할 변화 방향."— Presentation transcript:

1

2 Index ⅰ. 고등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국내 대학 위기 ⅱ. MOOC 개념 및 필요성 ⅲ. 해외 MOOC 동향 ⅳ. 국내 MOOC 동향 v. KOCW 현황 vi. 대학도서관의 역할 변화 방향

3 ⅰ. 고등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국내 대학 위기

4 1. 고등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정보기술 발달에 따른 고등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 2000년도까지 대학 수준의 지식과 정보는 대학 기관에서만 습득 가능  급변하는 정보기술의 발달- 산업, 교육 환경, 지식 개념 등의 변화  지식의 개념이 공유와 참여, 협력을 통해 융합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변화  최근 학문적 경계, 지식 독점 구조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온라인을 통한 지식 활용이 가능해짐  고등교육이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라 서서히 사이버대학으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

5 1. 고등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제 4 블록 (2024~2028) 제 3 블록 (2020~2024) 제 2 블록 (2015~2019) 제 1 블록 (2010~2014) 산학협동 강화 사이버대학 평생학습 대학 학점교류 대학 교재 없는 대학 입시 없는 대학 통학 없는 대학 글로벌 다문화 대학 경험중심 학위수여 학생 요구에 부응 기업 운영 연구 중심 대학 生 학사일정 無 체육 강좌 無 지구촌 개방형 멘토형,특성화 대학 스타 교수 중심 브레인 칩 시뮬레이션형 대학 生 감성 대학 정보기술의 발달에 다른 고등교육의 미래 시나리오 류청산 (2011),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른 고등교육의 미래 시나리오」, 정보와 사회

6 2. 국내 대학의 위기 국내 대학의 위기  2012년도 해외에서는 유명대학의 대규모 공개 온라인 강의 MOOC 등장  여러 대학 · 고등교육 기관이 컨소시엄을 맺고 강좌를 개설하여 운영  교육자료 개방, 대학 홍보, 우수 학습자 확보 방안으로 진화  전세계적으로 무료 강좌를 제공하는 대학의 증가 추세  최근 국내 학습자들은 MOOC 체험에 따라 해외 대학 진학에 대한 관심 증가

7 ⅱ. MOOC 개념 및 필요성

8 1. MOOC란  MOOC : Massive Open Online Course ‘ 대규모 공개 온라인 강좌 ’  2008년 매니토바 대학의 “긴밀성과 협업 지식” 세미나에서 MOOC 명명  미국 MIT에서 2001년 OER 운동으로부터 시작 - 2001년 온라인을 통해 대학 강좌 콘텐츠 일부를 무료로 제공  미국 유명 대학들의 참여 활성화  온라인 교육에 최적화된 강의 콘텐츠 제공 - 학습관리, 학점 인정, 퀴즈 및 포럼

9 2. MOOC의 장점 특 징특 징장 점장 점 단일 플랫폼을 통한 서비스 - 여러 대학에서 제공되는 양질의 강좌 및 우수 교수의 강좌를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로 서비스 가능 다수 대학 컨소 시엄 체제 - 단일 플랫폼 내 대학별 강의 콘텐츠 경쟁에 따라 콘텐츠의 질적 수준이 향상되고 수업의 질이 제고 전공·학위가 아닌 강좌 중심 - 자신에게 필요한 가장 적합한 강좌 및 교수자 선택이 가능함 - 전공이 아닌, 강좌 중심의 선택적 학습을 통해 융합형 인재 양성이 가능 개방성 -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시간·장소적 제한이 없음 - 국내 대학의 해외 진출이 가능하게 됨 취업 연계형 - 산업 실무에 적합한 기업이 필요한 융합 인재 육성이 가능하며, 학습 결과를 취업 시장과 연계하여 취업 연계형 학습이 가능

10 3. MOOC 도입 필요성  최근 박근 혜 정부의 정 책 발표 - 창 조산업 맞춤형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열린 아카데미’ 제안  KOCW 서비스를 통한 국내 고등교육 기관의 양질의 콘텐츠 축적  창 조적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최적의 수단  국가직무능력, 지역 및 지방대학 발전 취업활성화, 평생교육 지원 기반 마련

11 4. 기대 효과   오픈소스 플랫폼 구축을 통한 열린 교육 실현 -전국 대학들과 공유, 학습을 원하는 누구나 우수 강의에 접근  다양한 교수학습 제공을 통한 완전학습 구현 - 각종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커뮤니티 활성화로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 학습 - 강의 분절화, 팝업퀴즈 등으로 학습 동기 향상 및 완전학습  교육 생산성 향상 및 학습 만족도 제공 -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 적용으로 교육의 질과 교수 생산성 향상

12 ⅲ. 해외 MOOC 동향

13 주요 기관 해외 동향 개요 구분 edXCourseraUdacity 웹사이트 edxonline.orgcoursera.orgudacity.com 출자금 USD60M (660 억원)+ USD22M (242 억원)+ US156.3M (168.3 억원)+ 출범 시기 2012. 52012. 42012. 2 설립지 Columbia (Boston) California (Silicon Valley) California (Silicon Valley) 설립 유형 Non-profitFor-profit

14 1. edX  2012년 Harvard University와 MIT가 공동 투자하여 플랫폼 구축 및 운영해오고 있으며 전세계 30개 대학 132개이 참여  강좌 수는 60종, 수강생은 100만 여명  edX 공통 플랫폼 기반으로 컨소시엄 대학교에서 독자적으로 콘텐츠를 개발 · 운영하거나 edX 본부에서 컨소시엄 대학교의 콘텐츠 개발 · 호스팅 · 운영을 지원 (http://www.edxonline.org)

15 1. edX  대학의 모든 분야를 무료로 제공, 17주 내외의 수강기간  맞춤형 학습 – 학생 역량에 근거하여 다양한 강의 자료 제공  퀴즈 및 과제 부여, 시스템 상 자동으로 채점  시험 응시 가능 – 자율적 시험, 온라인 시험 감독관 시험  대학교와 edX 공동 명의의 수료증 발급  질평가 – 우수 강좌를 선정하여 강좌의 질 제고 유도

16 1. edX <<< edX 강의 서비스 화면 edX 강좌 수료증 발급 >>> 과제,시험 등 강좌 수료 기준 통과시 소정의 발급 비용 지불 후 수료증 발급 가능

17 2. Coursera  2012년 플랫폼 구축 및 운영  Stanford University, University of Michigan 등 전세계 107개 대학이 콘텐츠 제공  강좌 수 453 종, 수강생 495만 명 (’13.6.30 기준) https://www.coursera.org/

18 2. Coursera  캠퍼스 강좌의 개강 · 종강 일정에 맞춘 수강 기간  강좌 신청 및 수료 기간에 제한  강의 중간과 끝에 퀴즈 제공,  동료 학습자 평가 - 강의마다 과제가 주어져 적극적 학습 참여 가능  학점취득을 전제로 한 강좌 신청시 수업료 · 응시료 부과  수료증 발급 (Pass, Certificate, Statement of accomplishment 등)  미국교육협의회 ACE로부터 학점 인증 받은 강좌 5종 (2013.5) 운영중

19 2. Coursera https://www.coursera.org/ Coursera 강의 서비스 화면

20 3. Udacity  2011년 스탠포드 대학에서 구축 · 운영하기 시작  강의 수강 무료, 컴퓨터 공학 관련 25종의 강좌 개설, 수강생 74만 명  수준별 강좌 제공 – 초급, 중급, 고급  1주에 걸쳐 해결할 수 있는 과제, 토론 포럼을 통한 과제 해결  수료증 발급할 경우 시험 응시 - 온라인 시험 감독관 시험시 응시료 USD 30  수료증 무료 발급

21 4. 퓨쳐런 (FutureLearn)  2012년 영국 방송통신대학 격인 Open University가 설립 2013년 9월 20개의 강의로 첫 서비스 개시  영국, 호주, 아일랜드의 24개 대학 이외 영국 국립 공공기관인 영국 국립 도서관, 영국 문화원, 대영 박물관이 파트너로 참여  융합형 과학 교육, 인문학, 교육학 등 20 종 강좌  비디오 강의, 퀴즈, 토론 등 이용 가능  동영상 재생시 영문 자막 서비스 제공 http://futurelearn.com

22 5. 이베르시티 (Iversity)  2012년 출범, 2013년 10월 서비스 시작  캠퍼스 강좌의 개강 · 종강 일정에 맞춘 수강 기간 강좌 신청 및 수료기간 제한  학생들에게 토론 및 피드백 공간 제공  강좌를 이수한 수강생에게 이수증 수여  MOOC에 관심있는 개인 교수자를 대상으로 상금을 수여하는 공모전 주최  유럽 학점 교류제도인 ECTS와 협약으로 2년 이내 학점 인증 제도를 마련 예정

23 MOOC 공통 플랫폼 구축 현황 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서비스 제공기관별 플랫폼 구축 · 운영 - edX, Coursera, Udacity 등  사용자별 다양한 요구(자기개발,수료증,학점이수 등) 을 지원할 교수학습방법 지원  자국 교수학습 환경 고려, 국가단위별로 플랫폼을 구축하여 운영 - 미국 제외한 영국, 독일, 호주 등은 국가단위별 플랫폼 구축 - 전세계 대학으로 협력관계 확대

24 MOOC 공통 플랫폼 구축 현황 미국  미국 명문대를 중심으로 MOOC 플랫폼 구축 · 운영 현재 전세계 대학과 협력하여 강의 서비스 제공  edX - 하버드와 MIT를 중심으로 플랫폼 구축 시작 현재 아시아 명문 대학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치  Cousera - 스탠포드가 주축이 되어 플랫폼 구축 공립대학, 서부, 중부의 대학이 참여하여 공동활용  제공 서비스의 주 언어는 영어 자발적 재능기부 참여로 다국어 지원

25 MOOC 공통 플랫폼 구축 현황 기타 (영국, 독일, 호주)  영국 Open University에서 MOOC 서비스 FutureLearn을 운영하며 자체 플랫폼 구축 - 21개 영국 대학 및 주요 기관이 참여 - 영국 특유의 장점을 갖춘 서비스 진행이 목표  독일의 Iversity는 민간 기업이 MOOC 서비스를 제공 - 유명 대학 및 교수자의 강의 콘텐츠를 구입하여 서비스 제공  호주 유명 8개 대학의 연합으로 Open2Study 자체 플랫폼 구축 및 운영

26 MOOC 주요 서비스 현황 1. 맞춤형 교수학습 지원 서비스  사용자 학습 방식을 고려하여 교수자의 강의 설계 및 기획 지원  강의 제작 및 콘텐츠 개발 - 영상, 음성, 강의 대본, 강의 슬라이드, 교재 등으로 구성 - 영상은 단락별, 주제별 평균 15분 정도의 분량으로 제공 - 콘텐츠를 쉽게 제작 · 업로드 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교수자가 강의 개설 및 수강 기간의 설정 및 탄력적 운영  학습 지원 - 교수자가 정한 학습 일정에 따른 학습 활동 진행 - 학습 이력을 저장하여 학습 진행사항 확인 가능 - 학생에게 학습 일정에 대한 알림(이메일) 기능 제공  자동 평가 시스템, 동료 평가를 활용한 퀴즈 및 평가

27 MOOC 주요 서비스 현황 2. 학습 커뮤니티 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을 통하여 온라인 학습의 한계를 극복  온라인 토론 공간 마련  학습자들간 게시글을 통해 부족한 부분 상호 도움  ‘위키’를 통해 자발적으로 강의 관련 지식 제작 - 참여율 및 기여도는 자동 집계 되어 평가에 반영

28 MOOC 주요 서비스 현황 3. 학점 인정 및 수료를 위한 평가  공인된 이수증 제공 - 퀴즈, 시험, 과제 등 일정 수준 이상의 점수 획득 · 기준 충족 시 이수증 발급 - 학습 성과 평가는 MOOC 내부 평가 시스템과 공인 오프라인 평가 기관에서 최종 평가 - Coursera : Pearson VUE와 제휴하여 오프라인 시험, 자체 개발 온라인 평가 후 수료증 - edX : Pearson VUE와 제휴하여 오프라인 시험, 코스 운영 대학명의 수료증 수여 코세라의 강의 수료증edX의 강의 수료증

29 MOOC 주요 서비스 현황 3. 학점 인정 및 수료를 위한 평가  대학교의 학점 이수 - 미국 교육 위원회 (ACE)는 2013년 공식적으로 MOOC 대학 학점 취득 인정 Coursera 5개 강의에 대해 정식 시행 - 영국 Futurelearn은 코스를 이수한 수강생에 대한 이수증 수여 수강료 지불한 코스 이수에 대한 학점 인정 등 고려  교육기관 차원의 학위 수여 - 미국 조지아 공대: 2013년 가을학기 MOOC를 통한 컴퓨터 공학 석사학위 과정 개설 등록금은 현 등록금의 3분의 1 미만인 7000달러 정식 학위 수여를 위해 대학 차원의 입학 승인 및 개인 정보 확인 등 사전 절차에 의해 진행  강좌 이수 포트폴리오 관리 등 수료증의 활용 - 취업알선 : Coursera 경우 Career Service를 통해 학습자 동의하 수업 내역을 협력 기업들에게 제공 - 기업에 수료 정보 제공: Coursera 경우 학습자가 원하는 기업에 수료정보 제공할 예정

30 ⅳ. 국내 MOOC 동향

31 국내 MOOC 배경 2011 MIT OCW 등장 해외 OER 운동 확산 2011 MIT OCW 등장 해외 OER 운동 확산 대학의 지식 환원 인식 확산 대학의 지식 환원 인식 확산 2000년대 세계 각국 OCW 운동 동참 2000년대 세계 각국 OCW 운동 동참 고등교육 패러다임 발전 국내 2009.12 KOCW 시범서비스 시작 국내 2009.12 KOCW 시범서비스 시작 국내 고등교육 시장의 구조적 변화 필요

32 1. 서울대학교  2013년 5월 edX에 정식 참여, 2014년 3월 본격적 강좌 오픈을 위한 준비 (총 4개 강좌 예정)  강의 공개의 일환으로 SNUON 사이트를 개설 · 교내 구성원 대상으로 서비스 (일반인 공개 예정)  학습자-학습자, 교수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 개인별 진도,과제,시험 등에 따라 점수 부여 및 성적표 확인 가능

33 1. 서울대학교 SNUON 서비스 화면 http://snuon.snu.ac.kr

34 2. 한국과학기술원 (KAIST)  Education 3.0 교육과 함께 인터넷을 활용한 글로벌 교육을 추진해오고 있음 - 2012년부터 온라인으로 강의 수강 후 수업시간에는 학생-교수간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참여를 극대화 하는 방식의 교육  2013년 10월 Coursera와 협약을 체결, 콘텐츠 제공 계획  Coursera를 통해 KAIST의 강의가 전세계로 공유 KAIST 또한 Coursera의 강의 콘텐츠 활용

35 3. 고려대학교 http://open.korea.ac.kr  2007년 오픈코스웨어 컨소시엄 (OCWC)에 정식 가입  국내 대학 중 최초로 OCW 도입, 현재 OPEN KU 서비스 제공  다양한 분야의186개 강의와 세미나 자료 제공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금지의 CCL 조건하 이용)  오프라인 강의실에서 직접 청강 가능한 ‘열린 교육 프로그램’ 운영 -초중고교생 및 일반인들이 정해진 행사 기간 동안 학내 강의실 · 야외 공간에서 50개의 강의와 특강 참여 가능

36 4. 울산과학기술대학교 (UNIST)  온라인 강좌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 및 교수학습 제반 환경을 변화시키는 프로그램 진행  블랙보드(Blackboard) 학습관리시스템 도입, 다양한 부가 기능 활용 - 교재 및 동영상 제공, 과제 제공, 교수-학생 간 질의 응답, 토론, 위키, 퀴즈 등  온라인을 통한 이론 강의 선수 학습, 강의실에서 이론 강의에 대한 심화 학습 진행  교수자의 보조 교수를 두어 협업을 통한 학생 지도, 업무의 효율성 향상

37 ⅴ. KOCW 현황

38 1. KOCW 도입  2009년 12월 시범 서비스 시작으로 구축 · 운영  대학 간 강좌 콘텐츠 공동 활용, 대국민 고등교육 기회 확대 및 대학의 교육 경쟁력 향상  동영상 강의, 강의 관련 자료, 강의 계획서 등을 통합적으로 서비스  2010년 스마트폰을 활용한 KOCW 접속 어플리케이션 개발  2011년 다양한 매체(ex. 태블릿 pc)에 대처하여 급변하는 디지털 세대에 적극 지원 http://www.kocw.net

39 1. KOCW 강의 구축 현황 구분 201220132014년 2월 말 기관 수강의 수 강의 자료 기관 수강의 수 강의 자료 기관 수강의 수 강의 자료 국내 대학 1374,10362,0051516,17395,9921526,39399,611 유관기관 155351,390206272,470201,4812,900 해외 대학 및 유관기관 12354122,15811356123,02611356123,026 합계 1644,992185,5531827,156221,4881838,230225,537  2012년부터 대학, 교육 유관기관 및 방송사의 고품질 교육 콘텐츠를 수급, 서비스 범위 확대 (’14년 2월 28일 기준, 누계)

40 2. KOCW 주요 서비스(메인 서비스)  7개의 대주제로 분류- 인문과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의약학, 교육학, 예술체육 등  국내 대학 강의, 유관 기관 및 방송사 강의, 테마 강의 등을 제공 KOCW 메인 서비스

41 2. KOCWC 주요 서비스(전문대학 지원 서비스)  전문대학 학과별(8개 학과) 공개 강의 1,725건 제공(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학과 분류 준용)  직업기초강의(10개 분류) 공개 강의 269건 제공(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의 직업기초 능력 분류 준용) KOCWC 서비스

42 KOCW 국내 대학 강의  4년제, 전문대학, 사이버 대학 등 국내 150개 대학과 해외 대학의 고등교육 이러닝 콘텐츠 서비스  동영상, 플래시, 텍스트 자료 등 다양한 형태의 강의 제공 No.대학명강의 수No.대학명강의 수 1 울산대학교 53711 충남대학교 140 2 경희대학교 49012 청주대학교 139 3 건국대학교 27413 원광대학교 132 4 고려대학교 22714 경상대학교 128 5 한국외국어대학교 22615 부산대학교 118 6 서울대학교 17616 이화여자대학교 116 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17517 동국대학교 115 8 연세대학교 17518 한림대학교 113 8 한양대학교 15819 한국과학기술원 111 10 신라대학교 15720 전남대학교 107 (’14년 2월 28일 기준, 누계) * 누적 강좌 수 기준 상위 20개 대학 강의 제공 현황

43 KOCW 테마강의  대학 및 기관의 수집 강의자료를 이용자군의 학습 목적에 맞춘 테마 서비스를 기획  학습 목적별 스페셜 페이지를 구성하여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 미리보는 대학 기초 강의, 외국어 강좌 시리즈, 명사특강 등

44 ⅴi. 대학도서관 역할 변화 방향?

45

46

47

48

49

50  전통적 도서관 서비스와 온라인 대학교육을 위한 서비스  대학도서관과 대학 교수학습지원 센 터 의 역할 및 관계  대학의 교육, 지속 성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역할  이해 당 사자의 대학도서관에 대한 인식, 신 뢰, 필요 향상 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역할 모 델 개발 및 공유

51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Index ⅰ. 고등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국내 대학 위기 ⅱ. MOOC 개념 및 필요성 ⅲ. 해외 MOOC 동향 ⅳ. 국내 MOOC 동향 v. KOCW 현황 vi. 대학도서관의 역할 변화 방향."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