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2004031103 정혜정 2001014047 정하나 글로벌 경제 말레이시아 (malaysia) ‘ 원시와 현대가 공존하는 곳 ’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2004031103 정혜정 2001014047 정하나 글로벌 경제 말레이시아 (malaysia) ‘ 원시와 현대가 공존하는 곳 ’"— Presentation transcript:

1

2 2004031103 정혜정 2001014047 정하나 글로벌 경제 말레이시아 (malaysia) ‘ 원시와 현대가 공존하는 곳 ’

3 목 차 말레이시아의 사회문화 말레이시아의 경제 말레이시아 국기해설 / 개관 말레이시아 정치개황 / 군사

4 말레이시아 국기해설 말레이시아 국기는 ' 말레이지아 연방 ' 결성 (63.9.16) 직후 채택되었다. 국기에 있는 14 개의 적색선과 백색선은 연방정부와 13 개주가 평등한 구성원임을, 좌측 상단의 감색은 단결을, 초승달은 회교를 각각 상징함. 14 개의 성광을 발산하는 별은 13 개주와 연방정부로 구성된 말레이시아 연방을, 별과 초승달의 황색은 국왕에 대한 충성을 각각 상징한다.

5 말레이시아 개관 ο 국 명 : 말레이시아 (Malaysia) ο 국 체 : 입헌군주제 ( 선임제 입헌군주제 ) ο 정부형태 : 의원내각제 ο 의 회 : 양원제 ο 독 립 일 : 1957. 8. 31 ( 말레이시아 연방 독 립 ) ο 국 경 일 : 8 월 31 일 (Malaysia Day) ο 수 도 : Kuala Lumpur ( 인구 약 170 만, KL 생 활권역 인구 약 450 만 ) ο 국토면적 : 329,733 ㎢ ( 한반도의 약 1.5 배 ) ο 인구 (2004) : 2,560 만명 ο 인구증가율 (2004) : 1.8% ο 민족 : 부미푸트라 (58%), 중국인 (25%), 인도 인 (7%), 기타 (3%), 외국인체류자 (7%) ο 종 교 : 말레이인의 회교가 국교이나, 종교의 자유는 헌법으로 보장 ο 언 어 : 말레이어가 공용어이나, 영어가 널리 통용 ο 기 후 : 고온다습의 열대성기후, 연평균기온 27 ℃, 연평균 강우량 2,410 ㎜

6 말레이시아 역사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에서 들어온 다인 종 국가 ▣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에서 들어온 다인 종 국가 ▣ 말레이 반도 지역은 본래 말라야 라고 불리우던 지역 ▣ 문화의 포르투칼, 네덜란드, 영국 등의 식민지생활을 통해 다양해짐. 말레이시아 종교, 사회문화 활동, 전통, 의상, 언어, 음 식 등에서 복합적인 특성이 나타남. 말레이시아 종교, 사회문화 활동, 전통, 의상, 언어, 음 식 등에서 복합적인 특성이 나타남. ▣ 1957 년 : 8 월 31 일 11 개 주가 말레이시아 연방국가로 독립 1957 년 : 9 월 17 일 UN 가입 1957 년 : 9 월 17 일 UN 가입 1963 년 : 싱가포르, 사바, 사라왁이 연방 1963 년 : 싱가포르, 사바, 사라왁이 연방 1965 년 : 싱가포르 분리 ( 독립 ), 말레이시아 연방설 립 1965 년 : 싱가포르 분리 ( 독립 ), 말레이시아 연방설 립

7 말레이시아 정치개황 가. 기능 : 국회와 내각의 권고에 따라 총리, 대법 원 및 고등법원 판사 ( 총리 추천 ), 군총사 령관을 임명하는 등 행정권 행사 나. 선출 : 지도자회의 (Conference of Rulers) 에서 9 명의 주왕중 1 명을 국왕으로 선출 다. 임기 : 5 년 라. 현국왕 : 사이드시라주딘국왕.2001.12 취임 ( 제 12 대 국왕 )

8 말레이시아 정치개황 가. 형태 : 의원내각제 나. 내각 : 총리실과 27 개 부처로 구성 ( 장관은 34 명 ) 다. 총리 : 국왕이 하원의원 과반수의 신임을 받은 것 으로 판단되는 하원 의원을 총리로 임명 (2003.10 압둘라 총리가 제 5 대 총리로 취 임 )

9 말레이시아 군사 o 최근 5 년간 국방 예산 단위 : 억불 구분 20022003200420052006 국방비 19.520.522.329.331 1. 목표 : 말레이시아 주권과 전략적 이익을 보호하고, 모든형테의위협 에대처 2. 병역제도 : 지원병제 (10 년 복무, 제대후 2 년간 예비군 신분 ) 3. 군사력 현황 : 총 11 만명 - 육군 : 8 만명 (1 개 군단, 4 개 사단, 1 개 공수여단 ) - 해 / 공군 각각 1.5 만명 (4 개 비행단, 2 개 해역사 )

10 ▣ 말레이인, 중국인, 인도인, 원주민 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로서 언어, 문화, 종교, 관습이 다양하나 회교 문화가 지배적 ▣ 종교분포 ( 국가 ) : 34.2% 이슬람교, 30.9% 불교, 17.7% 중국종교, 10.2% 힌두교, 4.5% 기독교 6.07% ▣ 말레이시아는 헌법상으로는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지만, 실제는 이슬람 종교법인 샤리아 (Sharia) 의 구속 하에 무슬림의 개종을 불허하고 있다 ( 이슬람교가 국교이지만 타민족에 대해서 는 신앙의 자유가 주어짐 ) 말레이시아 종교

11 ▣ 계란 후라이를 얹은 매콤한 볶음밥인 나시고랭 (Nasi Goreng) ▣ 대표적인 아침식사인 나시 르막 (Nasi Lemak) 도 멸치 볶음, 찐계란, 닭고기, 칠리소스를 고명으로 얹어 맛있게 즐길 수 있다. ▣ 노냐 (Nonya) 요리는 중국과 말레이 음식의 현지 변 종으로 중국 조미료와 고추나 코코넛 액 같은 현지 향료를 함께 넣어 요리 ▣ ‘ 두리안 ’, ‘ 망고스틴 ’, ‘ 람부탄 ’, ‘ 구아바 ’, ‘ 수박 ’, ‘ 파파 야 ’, ‘ 바나나 ’ 와 같은 적도 지방의 과일. 특히 과일 중 의 왕이라 불리는 ' 두리안 ‘ 말레이시아 음식

12 이슬람교도 앞에서 돼지에 대해서 얘기하는 것은 실례 말레이시아에서 손가락질은 금물이다. 이는 가운뎃손가락을 들어올리는 서양의 욕설과 비슷한 의미 어린아이를 쓰다듬는 행위 금지. 신앙이 철저한 말레이시아는 아이의 영혼을 더럽힌다고 믿음 하루 6 번의 식습관과 5 번의 기도 말레이시아 사회관습

13 ▣ 말레이시아의 화폐단위는 링깃 (Ringggit) 으로 RM 으로도 표기됩니다 ▣ 도로 태국에서 싱가포르까지 도로망으로 이동 ▣ 철도 KTM 열차는 싱가포르 남쪽에서부터 북쪽 태국 국경까지 저렴한 요금으로 운행 ▣ 전철 K.L 의 Star-LRT 와 Putra-LRT 시스템은 매일 수도권에 출퇴근하는 사람들에게 편리제공 ( 우리나라 지하철과 달리 지상을 달리는 경전 철 ) 말레이시아 교통

14 ▣ 옷차림 : 사롱 여성은 긴 블라우스에 스커트, 남성은 셔츠 를 입지 않는 대신 머리에 두건 ▣ 생활풍습 : 1 년 2 년 모작으로 농업 환 경이 매우 우수 ( 팜오일, 천연고무, 코코아 등 열대 농작물과, 쌀, 코코넛, 사탕수수, 파인애플 및 열대과실, 원목과 제재목 등 목재류 중심 ) ▣관광사업이 매우 발달되어 있다. ▣ 석유사업이 매우 발달되어 있다 말레이시아 생활모습

15 말레이시아 전통 주거형태 ▣ 말레이시아 ( 수상가옥 ) 말레이시아는 온난 다습하며 열대의 낙원이다. 고무와 주석이 가장 많이 나는 곳으로 말레이시아 반도는 대부분 산지로 되어 있으며 교통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일년 내내 여름만 있는 나라로 말레이시아 사바주 원주민은 강이나 바다에서 고기를 잡고 집단 생활을 하며 살았기 때문에 수상가옥의 특징을 보인다. ▣ 땅에서도 열이 많기 때문에 아래에 사각 기둥을 세워서 지음

16 말레이시아 축제 및 행사 ▣ 타이푸삼 (Thaipusam) 인도인의 축제인 타이푸삼, 타이는 1 월 15 일 ~2 월 15 일까지의 한 달을 나타냄. 타이푸삼 이브에는 황소가 이끄는 꽃마차에 수브라마니암 상을 실고 시가 행진 ▣ 카마탄 페스티벌 (Kaamatan Festival) 사바 지역에서 개최되는 카마탄 페스티벌은 매년 5 월에 개최하는 말레이시아의 추수 감사 축제 ▣ 디파발리 (Deepavali) 디파발리는 힌두교 인들에게 전해 내려오는 전설 속의 설날이다. 음력 설날이 되면 말레이시아 사람들은 울긋불긋한 전통의상을 입음 ▣ 하리 라야 뿌아사 (Hari Raya Puasa) 하리 라야 아이딜피트리는 이슬람법에 따라 1 개월간 금식하는 라마단 (Lamadan) 이 끝나는 날이자 이슬람 달력의 10 번째 달인 샤왈 (SYAWAL) 의 첫째 날이다. 하리 라야 축제 동안 열리는 다양한 행사 가운데 가장 독특한 것은 ‘ 오픈 하우스 ’ 이다. 오픈 하우스행사는 가까운 사람들이나 친척을 초대해 함께 축제를 즐기는 것인데, 초대를 받은 사람들은 간단한 선물을 준비하는 것이 예의이다. ▣ 메르데카 데이 축제 열정적인 독립기념일 행사로 꼽히는 ‘ 메르데카 데이 ' 축제는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기념하며 매년 8 월 31 일을 기점으로 앞뒤로 보름씩 약 한 달간 진행된다.

17 말레이시아 경제 아시아 금융위기가 말레이시아 경제에도 영 향을 미쳐 말레이시아 경제가 악화되어, 98 년에는 마이너스 6.7% 라는 최악의 경제성장률을 기록 우리나라는 IMF 구제금융의 지원을 받았으나, 말레이시아는 고정환율제와 외환투기억제를 통해 위기 극복 인구수 (2,450 만 ) 에 비해 교역규모 (U$ 1,600 억 ) 가 상대적으로 크고 비즈니스 환경이 양호함에 따라 각 분야의 우수업체가 진출, 치열한 경쟁 전체 인구의 약 24% 인 화교로 지칭되는 중국계가 상권 장악이들은 동남아 화교 네트워크는 물론중국 본토, 대만, 홍콩 등지의 화교경제권과도 연계

18 말레이시아 경제 ▣ GDP1,307,960 억불 (2005 년 ), 1 인당 GDP : 5,040 불 ▣ 화폐단위 Ringgit ▣ 무역 - 2005 년도 기준 - 수출 : 1,471 억불 ( 전자장비, 고무, 원목, 원유 ) - 수입 : 1,187 억불 ( 자동차, 기계류, 전자제품 ) ▣ 우리나라와의 통상액 (2005) - 수출 : 601,163 만불 ( 석유, 고무, 원목 ) - 수입 : 460,817 만불 ( 전자통신기기, 건축자재, 선박 ) ▣ 경제개발계획 : Vision 2020, 제 2 차 산업발전 마스터 플랜 (1996~2005) ▣경제적 강점 : 부존자원 풍부 경제적 약점 : 종족간. 지역간 심한 소득 격차

19 수출 US18.8% Singapore15.5% Japan10.1% china6.7% Hong Kong6.0% 수입 Japan15.9% US14.5% Singapore11.1% china9.8% Thailand5.5% 기타 (42.9%)) China(6.7%) US(18.8%) Japan(10.1%)) Singapore (15.5%) Hong Kong (6.0%) 말레이시아 경제

20


Download ppt "2004031103 정혜정 2001014047 정하나 글로벌 경제 말레이시아 (malaysia) ‘ 원시와 현대가 공존하는 곳 ’"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