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ublished by재영 천 Modified 8년 전
1
속요 조선시가론 변승구 교수님 국어국문학과 1126031 장경선 1126038 한승아
2
목차 1. 서언 2. 속요의 개념 3. 속요의 형성과 전개 4. 속요의 장르와 특성 5. 작품세계 6. 문학사적 의의 7. 결어
3
1. 서언 속요란 무엇인가 ? 어떠한 작품들이 있으며 그 작품들은 어떠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가 ? 문학사적으로 어떠한 의의를 지니고 있는가 ?
4
2. 속요의 개념 원래 속요란 백성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하여져 온 시속의 노래란 의미. 속요 ( 俗謠 ) 는『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 향악보』등에 실려 전해지는 고려시대의 노래 중 경기체가를 제외한 우리말로 된 서정가요를 가리 키는 시가양식. 속요는 고려가 망한지 한 세기 이상이 지난 뒤인 조선조 성 · 중종대에 와서야 문자로 채록. 고려시대에 불리던 당시의 원형을 그대로 간직 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움.
5
3. 속요의 형성과 전개 민요궁중 반복구, 후렴구 삽 입 가사의 개변 일부 성격적 변모 고려 궁정 조선 왕조 궁실
6
3. 속요의 형성과 전개 ,, - 향가의 전통 그대로 계승 , - 기존의 가요 재창작 향가의 속요화만이 아니라 신라시 대의 민요까지도 고려 민간사회에 전 승되어 속요에 흡수되었음을 암시
7
3. 속요의 형성과 전개 민요가 왕실에 유입되어 속악으로 자리 잡는 과정의 환경 - 고려 왕실에 계승된 삼국 속악의 일정한 기여 - 고려 역대 군주의 민요에 대한 기호 - 왕실의 취향에 영합한 왕립 음악기관과 문신들의 역할 - 행신들의 아첨과 기녀들의 공헌 - 당악의 흡인력
8
3. 속요의 형성과 전개 속요가 조선조에 와서 ‘ 남녀상열지사 ’ 로 폄하 되었지만, 고려의 시각에서 본다면 당시에는 불건전한 노래로 취급되지 않 았을 것임 속요의 형성을 여말의 문란한 시 대상황과 반드시 연계시키려는 의식 은 매우 피상적이고 비합리적인 발상
9
4. 속요의 장르와 특성 작자나 제작 시기를 알 수 없는 것들이 대 부분이고, 제작 경위나 제목을 알 수 있더 라도 실제 작품이 전해지지 않음. 하나의 장르로 규정 지을 수 없을 정도로 노래에서 일정한 형태를 찾기 어려움. 속요에 나타난 반복구, 후렴구, 여음, 투 식어 등을 제거하면 민요와 친연한 작품으 로 변모.
10
4. 속요의 장르와 특성 송의 대성악 - 송의 궁중악으로 고려 궁중악의 악제를 정비 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 - 악지에 고려 궁중악에는 아악, 당악, 송악이 존재 개개의 악이 공존 & 기능 수행 대성악과 송사의 수입이 기존에 있던 우리 의 악을 소멸시키 않았 음을 증명
11
4. 속요의 장르와 특성 당악과 송악의 유사점 - 송수지사의 내용 당악 : 치어와 구호 속악 : 가사 자체의 서두나 끝 부분, 노래 전체 - 담당층 낮은 벼슬, 벼슬과 무관하게 기루 근처에서 평생을 보낸 사람들 - 주제 도시 남녀의 사랑, 이별, 그리움 위주 - 궁중 유입 과정 민간 가요에서 출발하여 기존의 가락에 가사를 짜 맞춤 속요의 원가를 막연히 민요로 상 정하는 데서 벗어 나야 함 !
12
5. 속요의 작품세계 고려가요 ①속요 계통의 노래 - 언어의 운율미, 구비적 전통미를 잘 살리고 있는 서정가 요 - 민요에 바탕 - 형태나 기원, 작자층 등에서 성격을 달리함 - 작품세계가 매우 다양 - 보편적인 주제는 남녀간의 사랑과 이별, 기다림과 그리 움 ②경기체가 계통의 노래 - 교술적인 성격이 두드러짐
13
5. 속요의 작품세계 1. 부모에 대한 효 2. 임금을 향한 충 3. 남녀간의 사랑 4. 굿 현장에서 불리는 무가 5. 민중의 애달픈 삶
14
5-1 사모곡 ( 효 )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랑을 각각 호미와 낫에 비 교 악장가사, 시용향악보에 실림 속요의 성격적 변모 과정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 서 제공 비유의 소박성과 진솔성으로 볼 때, 처음에는 돌 아가신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불린 노래 로 보임.
15
5-1 사모곡 목주 엇노래 제목과 보 편성을 갖 게 됨 사모곡 고려 궁중 무악으로 상승, 채택
16
5-2 정과정 ( 충 ) 충신연주지사의 대표적 작품 속요 가운데 작자가 분명히 밝혀져 있는 유일한 작품 10 구체 향가의 형태 유배시가인 이 노래는 이재현의 에 한 시로 번역되어 전해짐 자신의 무고함과 임금을 향한 변함없는 단심을 구 슬프고 비통한 어조로 읊조림
17
5-3 처용가 ( 무가 ) - 신라 향가 처용가에 기원을 둔 무가로 모두 45 행 - 악학궤범과 악장가사에 실림 - 처용가와 관련된 기록이 처음 나타난 것은 고종 23 년
18
5-3 처용가 첫째 단락 : 서사적 원망의 기원을 담음 둘째 단락 : 처용의 당당한 모습을 머리에서 발 끝까지 낱낱이 묘사 셋째 단락 : 처용의 모습에 감탄하고 찬양 넷째 단락 : 역신을 물리치는 처용의 주술적 위 력을 묘사
19
5-4 청산별곡 ( 민중의 삶 ) 1 연 : 세상살이의 어려 움을 벗어나고 싶어 함 2 연 : ‘ 새 ’ 에 감정을 이 입하여 슬픔을 노래 3 연 : 속세에 대한 미련 4 연 : 밤의 절망적인 고 독 5 연 : 운명을 체념하고 받아들이는 태도 6 연 : 새로운 환경을 찾 아 나섬 7 연 : 기적이 일어나기 를 바람 8 연 : 어느 쪽에서도 위 안을 얻지 못함
20
5-4 청산별곡 주제 - 산이나 바다를 찾아 외롭게 사는 민중의 애달픈 심정과 삶에 대한 비애 속요 중 가장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 중 하나 - 은둔한다고 풀어질 수 없는 삶의 고뇌를 술로 달래는 괴로움이 우수적인 표현과 음악성 속에 잘 용해됨 - 매 연마다 반복되는 시적 이음 고리가 음악적 효과를 거둠 ‘ 청산 ’ 과 ‘ 바다 ’ - 현실의 갈등과 고뇌에서 벗어날 수 없는 장소성
21
5-5 서경별곡 ( 사랑 ) 이별의 고통과 임의 뒤를 따르겠다는 애절한 소망과 연모의 정을 노래한 4 행까지 사랑의 정은 끊어지지 않으리라는 것을 노래한 8 행 까지 임을 배에 싣고 떠나는 사공을 원망하는 내용이 담 긴 마지막 행까지 서경별곡의 시적 화자는 사랑과 믿음을 중요시하는 자기중심적이며 직선적인 성격의 여인상을 드러냄
22
5-5 서경별곡 3 연에서 골계적인 성격을 발견 2 연은 정석가의 6 연과 일치 3 연에 걸친 시상의 흐름이 매끄럽지 않음
23
5-5 서경별곡 시적 화자의 목소 리가 여성적 이별이라는 소재 이별을 적극적으로 거부 함께 있는 행복과 애정을 강 조 희생을 통해 재회를 기약
24
5-6 쌍화점 부도덕한 인간의 윤리를 풍자 풍자와 상징성이 돋보이는 창작시 수록
25
5-6 쌍화점 1 연은 회회아비 2 연은 절의 사주 3 연은 우물의 용 4 연은 술집 주인을 중심 소재로 사용
26
6. 문학사적 의의 표현의 소박성과 함축성, 꾸밈없는 생활 정서 의 표현, 높은 문학성 등으로 시조와 더불어 우리 문학사의 대표적인 시가 양식으로 꼽힘 적나라한 인간성과 풍부한 정서를 우리말로 표 현하여 국문학의 중요한 유산으로 가치가 있음 음악적으로 경쾌한 리듬을 살리는 기교 등은 고전 문학의 진수를 맛보게 하는 요소로서의 기능
27
7. 결어 속요는 고려시대 노래 중 경기체가를 제외한 시가양식 총 14 편이 전해지며 다양한 작품세계를 가지 고 있음 꾸밈없고 소박하게 우리의 정서를 잘 표현함 우리말로 표현하여 국문학의 중요한 유산
28
질문 & 답변
29
감사합니다.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