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문화적 충돌과 조화로움의 상징 - 세르비아 - 201102715 이지용 201201803 신원경.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문화적 충돌과 조화로움의 상징 - 세르비아 - 201102715 이지용 201201803 신원경."— Presentation transcript:

1

2 문화적 충돌과 조화로움의 상징 - 세르비아 - 201102715 이지용 201201803 신원경

3 I ndex 1. 세르비아 최대 전성기의 왕, 두샨 황제 2. 정교의 뿌리, 성 시메온 과 성 사바 3. 세르비아어의 아버지, 부크 카라쥐치 4. 코소보 전투 와 밀로쉐비치

4 1 두샨 황제 세르비아 전성기의 왕

5 1 두샨 황제 두샨 황제의 생애 1314 콘스탄티노플 로 유학 왕위 차지 1331 1342 서부 발칸지역 대부분을 장악 스스로를 황제 라 칭함 1345 1346 세르비아, 로마 황제로 추대

6 1 두샨 황제 두샨 황제의 생애 1346~ 힐란다르 사원 관활권 편입 로마 교황에게 도움 요청 비잔틴제국, 오스만터키 에 용병 요청 1355 두샨 황제의 사망

7 1 두샨 황제 두샨 황제의 생애

8 1 두샨 황제 두샨 황제의 업적 로마법에 기초한 시민법, 바티칸 공의회에 기초한 교회법 등 편집 → 1219년 실행된 세르비아 법전에 기초 1. 세르비아 교구의 영향력 확대 코소보의 쥐짜( Ž ica) → 뻬치(Pe ć ) 2. 1354년 두샨 법전 최종 완성 3.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 확장

9 1 두샨 황제 두샨 황제의 업적 1. 세르비아 교구의 영향력 확대 코소보의 쥐짜( Ž ica) → 뻬치(Pe ć ) 2. 1354년 두샨 법전 최종 완성 3.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 확장 로마법에 기초한 시민법, 바티칸 공의회에 기초한 교회법 등 편집 → 1219년 실행된 세르비아 법전에 기초 4. 세르비아니즘 토대 구축 * 세르비아인들 → 발칸유럽의 맹주국가 자부심 → 세르비아니즘 확산 노력 * 가라샤닌 -1844년 세르비아니즘 이론 구축 기여 -두샨 황제 시절 기초 대(大)세르비아 국가 건설 이론적 기틀

10 2 성 시메온과 성 사바 세르비아 왕조와 독립정교의 뿌리

11 2 성 시메온과 성 사바 성 시메온 ( 스테판 네마냐 ) “성 시메온(스테판 네마냐)” - 정교를 받아들일 필요성을 느낌 - 스투데니짜(Studenica)사원 힐란다르 정교 사원 건립 정교의 발전, 확대 주력

12 2 성 시메온과 성 사바 성 사바 ( 사바 네마니치 ) “성 사바(사바 네마니치)” - 아버지를 따라 정교 입문 - 세르비아 정교회와 수도원 개축, 보수, 교회 서적 번역 세르비아 정교의 기틀 마련

13 스투데니짜 수도원힐란다르 정교 사원

14 3 부크 카라쥐치 세르비아어의 아버지

15 3 부크 카라쥐치 부크 카라쥐치의 생애 “부크 카라쥐치(1787-1864)” ▶ 트르쉬츠(Tr šć ) 출생 ▶ 트로노샤 정교사원 출신 ▶ 세르비아 최초 중등학교 입학 실패 ▶ 코피타르와의 만남

16 3 부크 카라쥐치 부크 카라쥐치의 생애 트로노샤 정교 사원유고비치형제 모자이크분수

17 3 부크 카라쥐치 부크 카라쥐치의 업적 1. 근대 세르비아어 개혁 2. 민속문학의 토대 구축 3. 구전 문학의 현대적 발전 (+ 민요, 속담, 이야기 등의 모음집) 4. 세르비아 민속 산문시집 + 세르비아어 사전 발간

18 3 부크 카라쥐치 부크 카라쥐치의 업적 밀로쉬 오브레노비치 曰 “부크 카라쥐치는 터키의 영 향을 약화시키는 잠재적 위험 요소 야!” “슬라브주의 확산과 발칸유럽 진출을 위해선 부크 카라쥐치 의 주장은 가치가 있다.”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

19 3 부크 카라쥐치 부크 카라쥐치의 업적 알바니아 계, 세르비아 작가 동상 철거 “유고 연방 코소보 주의 알바니아 계 주민들이 2일 주도 프리슈티나에서 세르비아계의 코소보 탄압의 상징 인 19세기 세르비아 작가 부크 카라지치 의 동상을 끌어 내리며 환호를 하고 있다.” 1997.07.04 –동아일보- 3 부크 카라쥐치 부크 카라쥐치의 업적

20 4 코소보와 밀로쉐비치

21 4 코소보 분쟁 ▶ 인구 : 180만명 ▶ 민족 : ▶ 수도 : 프리슈티나 ▶ 종교 : 이슬람교 90%, 정교 10% ▶ 언어 : 알바니아어, 세르비아어 알바니아계 90% 세르비아계 10% 코소보 개괄

22 4 코소보 분쟁 진행 과정 “1389년 코소보 평원 전투” 오스만 터키 군 vs 10만 기독교 연합군 승(勝)승(勝) 패(敗)패(敗)

23 4 코소보 분쟁 중세 왕국의 발원지 세르비아 독립 정교의 핵심지역 세르비아 민족의 저항정신 고취 민족의 신앙심, 자유, 국가 재건의 투쟁을 일깨워 준 버팀목 진행 과정 “1389년 코소보 평원 전투” 세르비아민족주의세르비아민족주의 세르비아민족의식세르비아민족의식 &&

24 4 코소보 분쟁 진행 과정 1980년 5월 티토의 사망 알바니아계曰 “코소보를 독립 시켜달라!” 세르비아계曰 “코소보는 세르비아의 영토 다!”

25 4 “슬로보단 밀로쉐비치(1941-2006)” ▶ 1989 – 1997 세르비아 공화국 대통령 ▶ 1997 – 2000 세르비아-몬테네그로 연합 신유고슬라비아 연방의 대통령 코소보 분쟁 진행 과정 ▶ 강력한 세르비아 민족주의 부활 선언 → 새로운 민족 지도자로 급부상

26 4 코소보 분쟁 진행 과정 코소보 자치권 폐지 1989년 유고연방보안군(세르비아계), 알바니아계 인종 청소 1998년

27 4 코소보 분쟁 진행 과정 - 코소보 평화안 - 1. 코소보 문제 3년 후 논의 - 알바니아 계曰 더 이상 코소보의 독립을 미룰 수 없다! 2. 코소보에 NATO중심 국제평화유지군 주둔 - 세르비아 계曰 주권 문제이므로 자국영토에 외국군대를 주둔시킬 수 없다!

28 4 코소보 분쟁 진행 과정 코소보 자치권 폐지 1989년 유고연방보안군(세르비아계), 알바니아계 인종 청소 1998년 1999년 3월 코소보 전쟁 발발, NATO군, 세르비아 공습 1999년 5월 밀로쉐비치 기소 1999년 6월 NATO와 유고연방 간 군사협정 체결, 코소보 평화유지군 배치

29 4 코소보 분쟁 진행 과정 ▶ ‘SCR1244 결의안’ 발표 ▶ UN임시 행정임무 부서(UNMIK) ▶ 코소보 평화 유지군(KFOR) → 2008년 알바니아 계에 의한 코소보 독립 선언

30 코소보 분쟁 결과 4 코소보 분쟁

31 2000 년 퓰리처상 수상작

32 ALB. SR. 4 코소보 분쟁 현재 동향

33 감사합니다. 모두 한 학기 동안 수고하셨습니다 ^^ – 역사와 인물로 동유럽 들여다보기, 김철민, 2011


Download ppt "문화적 충돌과 조화로움의 상징 - 세르비아 - 201102715 이지용 201201803 신원경."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