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세르비아니즘과 코소보 06 김현학 08 이경철.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세르비아니즘과 코소보 06 김현학 08 이경철."— Presentation transcript:

1 세르비아니즘과 코소보 06 김현학 08 이경철

2 목 차 1 세르비아니즘 형성배경과 내용 2 코소보 민족갈등의 양상과 전개과정 3 코소보 전쟁(1999)의 배경과 의미
목 차 1 세르비아니즘 형성배경과 내용 2 코소보 민족갈등의 양상과 전개과정 3 코소보 전쟁(1999)의 배경과 의미 4 코소보 전쟁 후 5 결 론

3 1 세르비아니즘의 형성배경과 내용

4 세르비아니즘의 형성배경과 내용 세르비아니즘? ☞ 근대 민족주의 사상의 전파와 함께 정착
☞ 중세 세르비아 왕국과 스테판 두샨 왕 시절의 역사적 당위성에 기초 ☞ 근대 민족주의 사상의 전파와 함께 정착 ☞ 세르비아 민족주의의 표출의 한 형태로 발전 (문화적 민족주의)

5 세르비아니즘의 형성배경과 내용 인물로 알아보는 중세 세르비아 왕국 Stefan Nemanja Stefan Nemanjić
Sv. Sava Stefan Dušan Lazar Hrebeljanović ☞ 1186년 제타(Zeta)공국 복속 → 코소보-메토히야 지역을 중심으로 중세왕조 기틀 마련 ☞ 1389년 코소보 전투 → 라자르 왕자 사망, 세르비아 연합군 패 → 민족의식과 세르비아니즘 형성에 큰 영향 ☞ 세르비아 중세왕조 최대의 전성기 ☞ 독립정교회 교구 쥐짜 → 페치 ☞ 독자적인 세르비아 법전 완성 ☞ 1217년 세르비아 독립왕국 건설 ☞ 1219년 세르비아 정교회 독립교구로 발전

6 세르비아니즘의 형성배경과 내용 오스만 터키 지배 하 ☞ Vojvodina의 Fruška Gora 정교회 사원
☞ 밀레트(Millet) 제도 - 제국 내 주민들에 대한 종교에 의한 구분 (민족성<종교) - 자신들의 종교와 문화를 유지할 수 있었던 제도 - 기독교인 = 밀레트-이-럼 (Millet i rum) - 세르비아니즘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역할 ☞ Vojvodina의 Fruška Gora 정교회 사원 - 세르비아니즘 토대 구축의 중요한 역할

7 세르비아니즘의 형성배경과 내용 근대 세르비아니즘 Ilija Garašanin Mihailo obrenović
Peter Karađorđević ☞ 세르비아니즘의 이론적 기틀 마련 ☞ 세르비아 중심으로 통합 ☞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완전 독립 ☞ 오-헝 제국 내 세르비아니즘 확산 추진 ☞ 세르비아니즘을 기초로한 강력한 세르비아 왕국 건설 추진 ☞ 1,2차 발칸전쟁을 통해 ‘세르비아의 르네상스기’를 구축

8 세르비아니즘의 형성배경과 내용 제1차 세계대전 후 ☞ 인적 + 물적 피해 ☞ 세르비아니즘의 확대 억제 ☞ 크루프 협정
(슬로베니아 + 크로아티아 세력과의 협상) ☞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 선포 (왕 :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9 세르비아니즘의 형성배경과 내용 티토와 유고슬라비아 연방 (제2차 세계대전 후) ☞ 티토를 중심으로 한 파르티잔의 등장
☞ ‘형제애와 일치’ → 유고슬라비즘 ☞ 정치적 민족주의 강조 (문화적 민족주의 확대 방지)

10 2 코소보 민족갈등의 양상과 전개과정

11 코소보 민족갈등의 양상과 전개과정 사회주의 유고연방 하에서 코소보 민족갈등 양상 1) 1966년 란코비치 사건
1) 1966년 란코비치 사건 2) 1974년 신헌법 3) 코소보의 공화국 지위 요구 시위 4) 1987년 밀로쉐비치의 연설 & 1989년 코소보 자치권 폐지

12 코소보 민족갈등의 양상과 전개과정 1) 알렉산다르 란코비치 사건 ① 사건 배경
- 자신의 비밀경찰(UDB-a)를 통해 민족주의 활동 감시 - 코소보-메토히야 지방 알바니아 민족주의자들에 관심 - 조직적으로 알바니아인 탄압 & 테러 ② 사건 결과 - 군 정보국에서 란코비치와 비밀경찰의 활동 감시 - 란코비치의 도청 사실이 발각 - 모든 직위 박탈 & 당에서 축출 ③ 사건이 미친 영향 - 세르비아 민족주의자 활동 & 세르비아니즘 확대 위축 - 코소보내 알바니아인들에게 커다란 힘 부여 - 1968년 헌법 수정 → ‘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의’로 승격 - 알바니아인들의 폭넓은 자치권 획득

13 코소보 민족갈등의 양상과 전개과정 2) 1974년 신헌법 ☞ 1974년 신헌법의 영향
민주 집중제로 복귀 자주 관리된 사회주의적 사회 집단 대통령제의 실제적 도입 ‘당’과 ‘군’의 역할 강조 ☞ 1974년 신헌법의 영향 - 세르비아인들의 민족적 피해의식을 일으킴 신헌법 존속에 대해 논쟁 - 밀로쉐비치의 결정으로 코소보 내 분쟁 심화를 낳음

14 코소보 민족갈등의 양상과 전개과정 3) 코소보의 공화국 지위 요구 시위 ① 요인 ② 시위 양상 ③ 시위대의 요구 사항
쁘리쉬티나 대학 운영과 졸업생들의 어려움 세르비아와 알바니아 민족 간 빈부 차 확대 소수인 세르비아 민족이 고위직 독차지 ② 시위 양상 쁘리쉬티나 대학생 시위 알바니아 노동자 & 일반 시민들 가세 세르비아인 & 몬테네그로인에 대한 테러 감행 ③ 시위대의 요구 사항 코소보를 떠날 것 동등한 시민권 부의 평등 정치범 석방 코소보 자치 공화국 수립 이웃 알바니아로의 합병 ④ 진압 과정 세르비아 경찰 유혈진압 코소보 내 폭동 전역으로 확대 연방군대 파견 계엄령 선포 ⑤ 결과 - 교통과 통신두절, 야간 통행 금지, 5인이상 집회 금지 - 세르비아 공화국은 코소보 사태를 지지하는 세력들 비난 - 세르비아인들의 피해의식을 확대시킴

15 코소보 민족갈등의 양상과 전개과정 4) 밀로쉐비치와 코소보 자치권 폐지
☞ 세르비아 과학예술 아카데미 (SANU : Srpska Akademija Nauka i Umetnosti) - 티토를 반세르비아주의자로 규정 - 세르비아의 경제 ⊂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공화국 - 신헌법 비난 (세르비아를 억합하기 위한 도구) - 세르비아 소수민족들의 권익보호 요구 ☞ 원인 ① 세르비아니즘의 위기인식 ② 티토 체제 하 세르비아인들이 희생자였다는 인식

16 코소보 민족갈등의 양상과 전개과정 4) 밀로쉐비치와 코소보 자치권 폐지 <1987년 밀로쉐비치의 연설>
① 배경 : 코소보 내 알바니아 폭동 진상조사 ② 사건 : 세르비아 민족주의에 대한 이상 역설 ③ 결과 : - 세로운 세르비아니즘 대변자의 탄생 의미 - 코소보 내 알바니아인들의 강력한 저항 - 다른 민족들에게 공포심을 심어줌 - 1989년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에 대한 자치권 폐지

17 코소보 민족갈등의 양상과 전개과정 4) 밀로쉐비치와 코소보 자치권 폐지 <1989년 코소보 자치권 폐지의 영향>
-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의 연방 탈퇴 움직임을 가속화 시킴 - 1990년 1월 공산당 대회에서 유고 연방 정치체제 구성 논의 느슨한 연합 체제로 전환 주장 세르비아 주도 하 연방유지 주장

18 유고슬라비아 내전과 보스니아 내전, 1999. 3 코소보 전쟁
코소보 민족갈등의 양상과 전개과정 4) 밀로쉐비치와 코소보 자치권 폐지 <코소보 자치권 폐지의 영향> -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의 기능이 정지 - 6개 공화국 모두에서 복수정당제 자유 선거 실시 → 공산당 패 지속적인 코소보 내 갈등과 분쟁 자치권 박탈 = 연방 존속에 대한 회의 유고슬라비아 내전과 보스니아 내전, 코소보 전쟁 원인 제공

19 3 코소보 전쟁의 배경과 의미 http://www.youtube.com/watch?v=1WBVmoGEP4Q
유투브 링크 걸려 있어요ㅎㅎ

20 코소보 전쟁의 배경과 의미 코소보 전쟁 배경 및 과정 <걸림돌이 된 2가지 항목>
① ‘코소보 독립문제를 3년뒤에 논의하자.’ ☞ 알바니아계 : 코소보의 독립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② ‘코소보 지역에 국제 평화 유지군의 주둔’ ☞ 세르비아계 : 자국 영토에 외국 군대를 주둔할 수 없다.

21 코소보 전쟁의 배경과 의미 세르비아 정부가 보는 코소보 분쟁 <도미노 효과 > ☞ 주된 원인 :
- 알바니아인들의 자치권 요구 확대 - 공화국으로의 승격 요구 <도미노 효과 > 발칸유럽의 주변국가들에게도 분쟁 확대 (그리스, 마케도니아..) - 대알바니아 국가를 수립하려는 알바니아 민족주의자들의 의도

22 코소보 전쟁의 배경과 의미 코소보스카 미트로비차 유혈 충돌

23 코소보 전쟁의 배경과 의미 코소보 분쟁 해결이 어려운 이유? 서구 강대국의 이해관계 충돌
세르비아인들의 주권 침해와 세르비아니즘에 대한 피해 극복 방법 유럽 내 ‘이슬람 중심 국가’ 등장에 대한 거부감 1999년 코소보 공습이 UN을 배제한 미국과 NATO의 독자적인 결정

24 4 코소보 전쟁 후

25 코소보 전쟁 후 코소보 전쟁 후 코소보와 코소보 평화 협정 이행 현황

26 코소보 전쟁 후 코소보 전쟁 후 코소보와 코소보 평화 협정 이행 현황 UN 안보리 ‘1244 결의’
☞ ‘1244 결의’ (SCR 1244) UN 안보리 ‘1244 결의’

27 ‘코소보에 대한 세르비아의 주권과 영토 통합’인정
코소보 전쟁 후 ‘1244 결의’내용과 그 실천의 의문점 3가지 1) ‘1244 결의’ 내용 - 코소보 내에서의 모든 폭력 중단 - 세르비아의 군과 경찰 그리고 세르비아 민병대 즉각 철수 - 기타 난민의 안전 귀환 보장 - 코소보 내 알바니아인과 세르비아인의 화해와 화합 추구 - 코소보의 정치, 경제, 사회의 발전 추구 <첫 번째 의문점> ‘코소보에 대한 세르비아의 주권과 영토 통합’인정 & ‘코소보의 자율성과 자치 행정을 존중 할 것’

28 → 별도의 안보리가 결의가 없는 한 그 임무는 지속
코소보 전쟁 후 ‘1244 결의’내용과 그 실천의 의문점 3가지 2) UNMIK와 KFOR의 신설 추진 결의 (‘UN 헌장의 제 7장’에 근거) UNMIK는 민주적인 정부 창출을 돕고, 경제 재건을 지원, 경찰 부대 창설 원조, 코소보 난민 및 이주민의 안전 보장 등의 임무 KFOR은 평화 정착과 정전, 세르비아군의 철수 이행 감시, 알바니아 무장단체의 해산, UNMIK 업무 지원, 치안 및 질서 유지, 국경감시 → 별도의 안보리가 결의가 없는 한 그 임무는 지속 <두 번째 의문점> 1999년 코소보 전쟁 종결 후에도 계속 발생하고 있는 ‘코소보스카 미트로비차 지역의 충돌’ (원인 : KFOR이 제대로 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데서 비롯)

29 실천에 있어 다소 어련운 점들이 여전히 상존해 있는 실정
코소보 전쟁 후 ‘1244 결의’내용과 그 실천의 의문점 3가지 3) 코소보 평화 정착을 위한 기타 내용들 - 코소보 전범 수사 및 체포를 위한 국제 구 유고슬라비아 전범재판소와의 협조 - 세르비아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에 대해 UNMIK와 KFOR는 예외가 적용 - 코소보 주변 국가들의 경제발전 및 안전화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 - 매 3개월에 한 번씩 안보리에 대해 UN 사무총장이 코소보 평화 진척 상황을 보고 <세 번째 의문점> 실천에 있어 다소 어련운 점들이 여전히 상존해 있는 실정 (코소보 총선거에서 세르비아계의 반발과 불참/ 총리가 코소보 전쟁 당시 코소보 해방군을 이끌고 세르비아인 학살 주도 )

30 코소보 전쟁 후 코소보 독립 일지 2007. 12. UN이 주도하였던 코소보 독립문제 논의 실패
미국의 지원을 바탕으로 일방적인 코소보 독립 선언 단행 전체 192개 UN 회원국 중 58개국만이 코소보의 독립 인정 유엔 국제사법재판소 코소보 독립 인정 국제조정기구(ISG) 코소보 감독 종료 선언

31 5 결 론

32 결 론 ❶ 단순한 지역분쟁이 아닌 국제질서의 새로운 변화와 시험대 제공할 가능성.
결 론 ❶ 단순한 지역분쟁이 아닌 국제질서의 새로운 변화와 시험대 제공할 가능성. ❷ 평화안 합의 후에도 민족적 갈등이, 간단한 문제로 해결되지 않음. ❸ 군사개입을 통한 강제적 평화는 타 국가에 부담줄 뿐, 진정한 평화 주지 않음. ❹ 국제 역학구도의 급격한 변화로 또 다른 신 냉전 시대 접어들 가능성 존재.

33 결 론 ☞ 코소보의 평화와 안정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결 론 ☞ 코소보의 평화와 안정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① 코소보 내 민족들 간의 지속적인 협상유도를 구축해야 할 필요성 제기됨. ② 세르비아니즘에 대한 코소보 내 양 민족들 간의 피해의식을 극복시켜주려는 노력과 다민족 사회를 위한 기초적 제반 여건을 보다 빨리 형성시켜 줘야 함. ③ 민족들만의 문제가 아닌 그리스를 비롯한 주변 여러 민족들에게 중요한 파급 효과를 지닌 다는 점에서, 이들 민족들과의 협조와 대화 채널을 가동시켜주는 것이 발간유럽의 평화를 위한 조치가 될 것임.

34 Thank You Any Questions?


Download ppt "세르비아니즘과 코소보 06 김현학 08 이경철."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