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연. 박도현. 1. 탐구 동기 2. 탐구 목표 3. 탐구 과정 4. 탐구 수행 5. 소감.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정병연. 박도현. 1. 탐구 동기 2. 탐구 목표 3. 탐구 과정 4. 탐구 수행 5. 소감."— Presentation transcript:

1 정병연. 박도현

2 1. 탐구 동기 2. 탐구 목표 3. 탐구 과정 4. 탐구 수행 5. 소감

3  얼마 전 체한 적이 있었는데 소화제를 먹고 속이 편안해졌다. 소화제 속에 어떤 성분들이 소화를 도와주는 지 궁금증이 생겼다.  과거 우리 조상들은 어떤 재료를 이용하여 소화 제를 만들었는지에 대한 궁금증도 생겼다.  친구들과 함께 소화제란 무엇인지. 또 소화제를 구성하는 성분이 무엇인지 탐구해 보고  천연 재료를 이용하여 소화제를 만들어 보고자 했 다.

4 (1) 소화제가 무엇인지 알아본다. (2) 소화제의 종류와 원리가 무엇인지 알아본다. (3) 과거 조상들이 즐겨 이용한 천연소화제에 대해 알아본다. (4) 우리 스스로 천연 소화제를 만들어 본다.

5 (1) 모둠원 1 차모임 : 주제를 정하고 서로 역할분담 (2) 자료조사 : 인터넷 검색, 산수도서관에서 백과사전 및 관련 서적 조사를 통하여 기본적인 보고서 작성 (3) 2 차 모임 (8.4): 각자 조사한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보 고서를 완성, 소화제 만들기에 대한 계획을 수립 (4) 3 차 모임 (8.11): 재료를 구입하여 소화제 만들기 (5) 4 차 모임 : 건조된 소화제를 확인

6 4.1. 소화제의 정의 4.2. 소화제의 종류와 원리 4.3. 천연소화제란 ? 4.4. 천연소화제의 종류

7  적게 분비된 소화액을 보충하거나 분비를 촉 진하며, 소화 기관의 운동이나 흡수 작용을 회 복시키기 위한 약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소화촉진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을 말한 다.  다카다이아스테이스, 아밀라아제, 펩신, 트립 신 따위가 있다.

8  위장관 운동 촉진제 위장의 수축이나 연동 운동 등을 촉진시켜 위 장 속의 음식물을 빠르게 배출시켜 소화를 돕 는 역할을 하는 약품  소화효소제 소화액의 부족분을 채워 줌으로써 음식물의 분해촉 진 하고 음식으로 섭취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직접 분해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약품

9  가스제거제 배에 가스가 차거나 복부팽만감이 있을 때 가스를 제거해 주는 약물이다.  제산제 위에서 위산이 과잉 분비되었을 때 위산의 수소이 온을 중화시켜 위의 불쾌감을 해소해주는 약물이 다.

10  생약 소화제 생약을 추출한 것으로 위를 자극하여 소화를 촉진 시키는 액체로 된 약물이다. 대표적인 것이 활명수 · 가스명수 등 물약으로 소화 제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소화제이다.

11  우리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식품 중 소화에 도움 이 도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12  한방에서는 무는 성질이 따뜻하여 소화를 돕 는 성질이 있다고 하여 우리 조상들은 소화가 잘 안될 때는 무로 만든 동치미를 먹고는 했다.  무의 영양성분은 비타민 B, C, 아밀레이스 ( 아 밀라아제 ) 가 다량 포함되어 있다.  카로틴성분은 체내에서 비타민 A 로 전환되며 칼륨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13  파인애플에는 단백질과 지방을 빠르게 소 화시켜주는 브로멜라인이라는 단백분해효 소가 있어서 기름진 음식을 먹을 때 곁들여 먹으면 소화가 잘된다. 그래서 주부들이 소 고기를 양념으로 재어 놓을 때 파인애플을 사용하기도 한다.

14  매실에는 소화효소의 일종인 베타 - 아밀라 아제와 프로테아제가 함유 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베타 - 아밀라아제는 고분자 탄 수화물을 저분자 탄수화물로 분해하는 효 소로 인체에 침이나 장액의 소화효소, 프로 테아제는 위액의 소화효소로 단백질을 분 해하는 효소이다.

15  콜라는 1886 년 약국을 운영하고 있었던 미 국 존 펨블튼 박사가 소다에 갖가지 약재를 섞어 소화제 대신으로 판매한 것에서 유래 되었다.  현대의학에서는 코카콜라에 실질적인 소화 효과는 없다고 한다.

16  5.1. 재료구성 및 제조방법  5.2. 만드는 과정  5.3. 한방 소화제 만들기 동영상

17  재료구성 백출 600g, 계피 100g, 빈랑자 100g, 산사자 100g, 감초 50g, 신곡 600g, 엿기름 600g, 자소엽 50g  제조방법 고루 섞어 보드랍게 가루내어 3~4mm 정도 크기로 환 ( 丸 ) 을 만든다.

18  약재를 곱게 빻는다.  약을 체로 곱게 거른다.  걸러낸 분말의 정확한 무게 측정한다.

19 측정한 분말의 85% 에 해당하는 양을 계산한다 계산한 양의 꿀을 약초분말과 혼합하여 반죽한 다.( 농도는 질지 않고 적당하게 뭉쳐질 정도 ) 반죽한 한약을 약 5g 정도로 떼어내 동그랗게 환 을 만든다.( 직경 1.5cm 정도 크기 ) 그늘에서 1 주일정도 말린다.

20

21  숙제를 하면서 많은 힘들었던 부분은  소화제의 재료를 사는 과정  그 후 그 재료들을 제분해주는 곳이 없어 대인시 장까지 가서 제분을 한 점  그 후에 만들었을 때도 시중에서 판매되는 것 처럼 만들어지지 않은 점  각각 환의 크기가 달랐던 것  다음 번 프로젝트에서는 더욱 체계적으로 계 획을 세워서 완벽에 가까운 결과를 만들 수 있 도록 하고 싶다.

22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정병연. 박도현. 1. 탐구 동기 2. 탐구 목표 3. 탐구 과정 4. 탐구 수행 5. 소감."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